KR102220166B1 -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166B1
KR102220166B1 KR1020200095863A KR20200095863A KR102220166B1 KR 102220166 B1 KR102220166 B1 KR 102220166B1 KR 1020200095863 A KR1020200095863 A KR 1020200095863A KR 20200095863 A KR20200095863 A KR 20200095863A KR 102220166 B1 KR102220166 B1 KR 10222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ol
flow plate
rubber
storage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창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이윤창
이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창, 이현호 filed Critical 이윤창
Priority to KR102020009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6Safety devices; Coverings for baths
    • E04H4/065Floo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06Devices for producing waves in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서핑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자가 안전하게 서핑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며, 파도 생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이용자의 즐거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핑 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물을 보유하는 통 형상의 메인 풀(100)과, 상기 메인 풀(100)의 상측에 곡면으로 설치되는 플로우 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 풀(100) 및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 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 풀(300)은 상기 메인풀(100)과 차단된 상태이며, 상기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저장풀(3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1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310)에 의하여 메인 풀(1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저장 풀(300)로부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좌, 우로 이어지도록 러버 플로터(2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Enhanced Safety Indoor Surf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 서핑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자가 안전하게 서핑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며, 파도 생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이용자의 즐거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핑은 기본적으로 파도를 잡고 보드 위에서 그 파도를 타는 것이다. 처음에는 바다에서 하는 레저 스포츠였으나, 최근에는 실내에서 서핑을 즐기려고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실내 서핑장은 지속적으로 인공 파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용자가 서핑브드를 타고 인공 파도를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실내에서 할 수 있으므로, 날씨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관계 없이 사게절 이용이 가능한 레저 스포츠이다.
실내 서핑장과 관련된 종래 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등록특허 10-2050985호(2019. 11. 26. 등록)에는 플로우 플레이트 및 플로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갖는 서핑부, 저수조, 물 토출부를 갖는 펌핑부 등을 갖는 실내 서핑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20-0085341호(2020. 7. 14. 공개)에는, 서핑 가능한 파도 및 정재파(standing wave)를 발생시키기 위한 서핑 설비로서, 물이 물 입구를 통해 상단부까지 유동하는 경사진 경사로를 포함하되, 물이 제1 유속으로 상기 경사로에서 가속되고, 상기 경사로의 하단부가 파도 풀로 또는 상기 제1 유속에 비해 낮은 제2 유속을 갖는 영역으로 이어지며, 정재파는 보다 빠른 상기 제1 유속으로 유동하는 물이 보다 느린 상기 제2 유속으로 유동하는 물에 부딪친 결과로서 상기 영역에 유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을 획정하는 적어도 2개의 벽이 상기 물 입구 및/또는 상기 경사로의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벽들은 상기 유동 방향을 가로질러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행하는 파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상기 물의 유동 방향을 가로질러 회전 및/또는 병진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설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360275호(2014. 2. 3. 등록)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는 경사프레임이 구비되는 이동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와 연결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를 상기 프레임본체 내측에서 수직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경사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압축공기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경사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면서 수면을 연속 타격하여 인공파도가 생성되도록 하는 인공파도 생성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파도 생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91934호(2020. 06. 29. 등록)에는 상단 좌우측 후방의 고정부를 통해 수영장의 테두리벽 상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 상에 지지되는 구동부에 의해 전후로 회동하는 파도발생부를 포함하는 파도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파도발생부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브래킷과, 상단부가 상기 좌우측 후방의 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수직으로 기립되며 상기 수영장의 테두리벽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수직프레임과, 전방으로는 상기 힌지브래킷을 고정시키고 후방으로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체로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대 구조물과; 전단부가 상기 파도발생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파도발생부의 전후 회동에 따라 상기 파도발생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물막이 천막을 포함하고, 상기 파도발생부는 전면(前面)에 복수의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물넘이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도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10-2050985호(2019. 11. 26. 등록) 특허문헌 2 : 공개특허공보 10-2020-0085341호(2020. 7. 14. 공개) 특허문헌 3 : 등록특허공보 10-1360275호(2014. 2. 3. 등록) 특허문헌 4 :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91934호(2020. 06. 29. 등록)
상기와 같이, 종래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들은 인공 파도 생성을 위하여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고, 파도의 방향 세기 조정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인공 파도의 생성을 쉽게 하면서도, 인공 파도의 방향 및 세기를 다양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핑 설비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이용자가 저수조에 접근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러버 플로터를 플로우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파도의 높이를 쉽게 조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러버 플로터를 다수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 개를 좌, 우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파도의 방향을 쉽게 조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조절부를 플로우 플레이트의 후방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물이 메인 풀, 저수 풀 및 를로우 플레이트를 통하여 원활하게 순환되며,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 서핑 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물을 보유하는 통 형상의 메인 풀(100)과, 상기 메인 풀(100)의 상측에 곡면으로 설치되는 플로우 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 풀(100) 및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 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 풀(300)은 상기 메인풀(100)과 차단된 상태이며, 상기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저장풀(3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1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310)에 의하여 메인 풀(1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저장 풀(300)로부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좌, 우로 이어지도록 러버 플로터(2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펌프(310)의 물 배출구(311)는 저장 풀(300)의 상측에서 저장 풀(300)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풀(300)과 메인 풀(100) 사이에는 댐퍼(320)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320)에 설치되는 댐퍼판((321)은 상기 저장 풀(300)의 상면에 힌지(322)로 고정되며, 상기 댐퍼판(321)의 하측은 상기 저장 풀(300)의 상면 높이까지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후방측에는 배수 조절부(250)를 설치하여, 플로부 플레이트(200) 상의 물이 메인 풀(100)의 물로 유동될 수 잇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전, 후방으로 적어도 두개의 지점(211, 212)에서 플로우 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상하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7] 상기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폭을 1~2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8] 상기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공기 공급 장치(221)에 의한 공기 공급 제어에 의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9] 상기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러터(2100는, 물 공급 장치(231)에 의한 물 공급 제어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231)에 의한 물 공급은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인공 파도의 생성을 쉽게 하면서도, 인공 파도의 방향 및 세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핑 설비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이용자가 저수조에 접근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러버 플로터를 플로우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파도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러버 플로터를 다수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 개를 좌, 우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파도의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조절부를 플로우 플레이트의 후방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물이 메인 풀, 저수 풀 및 를로우 플레이트를 통하여 원활하게 순환되며,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물 유입구에 설치되는 댐퍼의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러버 플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에어가 공급되는 러버 플로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물이 공급되는 러버 츨로터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서핑 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물을 보유하는 통 형상의 메인 풀(100)과, 상기 메인 풀(100)의 상측에 곡면으로 설치되는 플로우 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 풀(100) 및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 풀(3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들에서 대해서 도면을 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인 풀(100)]
본 발명은 메인 풀(100)은, 이용자가 서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본 발명에서의 물의 순환은, 상기 메인풀(1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펌프(320)와 물 공급관(321)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풀(300)로 공급하고, 상기 저장 풀(300)로 공급된 물을 이용자(서퍼)가 서핑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인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공급하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를 지난 물은 다시 메인 풀(100)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펌프(320)와 물 공급관(321)을 1 개로 표시하였으나, 많은 양의 물 공급을 위하여 펌프(320) 및 물 공급관(321)은 다수 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풀(100)은, 상측으로 플로우 플레이트(200)를 설치하여, 이용자(서퍼)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에서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플로부 플레이트(200)의 아래쪽에서 충분한 물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메인 풀(100)은, 통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로 설치한다. 길이는 25M 정도로 하고, 폭은 10M 정도로 하는 것에 의하여, 여러 명의 서퍼가 동시에 서핑을 즐길 수 있게 한다.
또한, 메인 풀(100)의 좌, 우 상측에는 측판(230)을 설치하며, 상기 측판(2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높이보다 일정 부분 높게 설치하여,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흐르는 물이 외부러 넘쳐 흐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판(230)의 높이는 저장 풀((300)쪽의 전방 부분의 높이는 높게 하고, 후방 부분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풀(100)은, 물을 저장하면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골조 방식의 지지 프레임(110)을 메인 풀(100)의 외곽과 중심부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풀(100)의 일측에는 저장 풀(30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저장 풀(300)에 저장된 물은 상기 메인 풀(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플로우 플레이트(200)]
본 발명의 플로우 플레이트(200)는, 서퍼가 서핑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는, 상기 메인 풀(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골조 방식의 지지 프레임(110)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10) 상측에 철판 시트(210)를 고정하고, 상기 철판 시트(210) 상측에 고탄성 압축 스폰지(220)를 고정하며, 그 위에 방수 시트(23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는, 삼중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방수성, 충격 흡수성, 완충성, 강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로우 플레이트(200) 뿐만 아니라,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좌, 우측에 설치되는 메인 풀(100)의 측벽(230)도 동일하게 삼중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서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중간 부분에는, 러버 플로터(240)를 설치하여, 파도의 세기 및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종래 플로터로서는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공압 실린더, 선회 베어링 등과 같은 기구적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렇지만, 플로우 플레이트(200) 상에서 공압 실린더의 조작을 하는 것은 이용자(서퍼)의 안전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러버 플로터(240)를 설치한다.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전, 후방으로 적어도 두개의 고정 지점(241, 242)에서 플로우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킨다. 이때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고정 대상은 상기 철판 시트(210)로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러버 플로터(240)가 철판 시트(210)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지점(241, 242)은 상기 러버 플로터(240)의 안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지점(241, 242)을 상기 러버 플로터(240)의 안쪽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용자(서퍼)가 서핑 중에 걸려서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상, 하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을 적층하여 설치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두 개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두 개층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러버 플로터(240)를 세 개층으로 하는 경우에, 한 개의 층만 세우거나, 세 개층 모두를 세우는 것 등에 의하여 물 흐름의 세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서퍼에게 다양한 재미를 경함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러버 플로터(240)의 재질은 고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고무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주입 또는 물 주입에 의해 플로트가 상측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이라면 고무 이외의 재질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폭을 1~2M로 하고, 각각의 러버 플로터(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폭이 10M인 경우 2M의 러버 플로터(24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5개의 러버 플로터(240)를 사용하게 되고, 이 경우 5개의 러버 플로터(2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물 흐름과 세기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공기 공급 장치(243)에 의한 공기 공급 제어에 의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물 공급 장치(244)에 의한 물 공급 제어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러버 플로터(240)에 공기나 물 주입을 전혀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러버 플로터(240)의 모든 층에 공기나 물을 주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물 공급 장치(244)에 의한 물 공급은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러버 플로터(24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서퍼가 다양한 파도의 높이 및 속도를 즐기면서 서핑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후방측에는 다수 개의 배수 조절부(250)를 설치하여, 플로부 플레이트(200) 상의 물이 메인 풀(100)의 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 조절부(250)는 서퍼가 플로우 플레이트(200)에서 서핑 중 넘어지는 경우에도 메인 풀(100)로 떨어지지 않도록 격자형으로 플로우 플레이트(200) 상에 설치한다.
또한, 플로우 플레이트(200) 상의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격자형의 다수 개의 배수 조절부(250)는 각각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도록 조절하는 배수 조절부(250) 하측에 개방 제어부(미도시)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의 다수 개의 배수 조절부(250)는 상기 다수 개의 러버 플로터(240)와 연동하여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저장 풀(300)]
본 발명의 저장 풀(300)은, 서퍼가 서핑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물을 플로우 플레이트(20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저장 풀(300)과 메인 풀(100) 사이는 격벽(340)을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저장 풀(300)은, 메인 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 우, 및 전방면은 폐쇄시키며, 메인 풀(100)과 접하는 부분의 상측부만을 개방하여, 물 유입구(310)를 형성한다. 상기 저장 풀(30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개방된 물 유입구(310)를 통해서 메인 풀(100)의 상측에 설치된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물을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저장 풀(300)에는 외부 일측에는 펌프(320)를 설치한다. 상기 펌프(320)는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저장 풀(3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저장 풀(3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320)에 연결된 물 공급관(321)은, 저장 풀(3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물 공급관(321)의 개방구(322)는 플로우 플레이트(200)를 직접 향하지 않고, 저장 풀(300)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플로우 플레이트(200)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플로우 플레이트(200)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펌프(320)와 공급관(321)은, 상기 저장 풀(300)의 폭에 맞추어 다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 풀(300)과 메인 풀(100) 사이의 개방된 물 유입구(310)에는, 댐퍼(330)를 설치하며, 상기 댐퍼(330)에 설치되는 댐퍼 판((331)은 상기 저장 풀(300)의 상면 모서리에 힌지(332)로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댐퍼 판(331)의 후면에는 즉 저장 풀(300) 측으로는 수직 정렬판(333)을 설치하며, 상기 수직 정렬판(333)은 적어도 하나의 댐퍼 판(331)에 적어도 한 개 설치하며, 두 개 이상의 다수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 판(331)의 하측은, 상기 저장 풀(300)과 상기 메인 풀(100) 사이의 개방된 물 유입구(310)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힌지(332)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저장 풀(300)에 저장된 물이 격벽(350) 이상으로 채워지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저장 풀(300)에 저장된 물이 댐퍼 판(331)을 밀어주게 되며, 따라서, 저장 풀(300)로부터 물이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흐르게 된다.
상기 댐퍼 판(331)의 후면에 설치하는 수직 정렬판(333)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저장 풀(300)에 저장된 물이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흘러내는 경우에 좌, 우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흘러내리게 된다. 즉, 저장 풀(300)에 저장된 물이 플로우 플레이트(2000로 흘러 내리게 되면, 댐퍼 판(331)이 힌지(332)에 의해 물 유입구(3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열리게 되며, 이때 상기 댐퍼 판(331)의 후면에 설치된 수직 정렬판(333)도 함께 물 유입구(310)가 열리는 방향으로 들려지게 되면서, 저장 풀(300)에 저장된 물이 좌, 우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힌지(332)와 함께 댐퍼 판(33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서핑 시간이 종료된 후, 설비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저장 풀(300)이 댐퍼 판(331)에 의하여 플로우 플레이트(200)에 대해서 폐쇄되므로, 서퍼들이 잘못하여 저장 풀(300)로 넘어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판(331) 및 수직 정렬판(333)은 다양한 재질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성을 가지는 재료로 하면 된다. 물론 댐퍼 판(331)은 고무와 같은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하여 굽혀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수직 정렬판(333)은 저장 풀(333)에 저장된 물을 좌, 우로 균등하게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공급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강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댐퍼 판(331)에 수직 정렬판(333)을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두 구성의 재질을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메인 풀
110 : 지지 프레임
200 : 플로우 플레이트
210 : 철판 시트
220 : 고탄성 압축 스폰지(220)
230 : 방수 시트
240 : 러버 플로터
241, 242 : 고정 지점
243 : 공기 공급 장치
244 : 물 공급 장치
250 : 배수 조절부
300 : 저장 풀
310 : 물 유입구
320 : 펌프
321 : 물 공급관
322 : 개방구
330 : 댐퍼
331 : 댐퍼 판
332 : 힌지
333 : 수직 정렬판
340 : 격벽

Claims (10)

  1. 서핑 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물을 보유하는 통 형상의 메인 풀(100)과, 상기 메인 풀(100)의 상측에 곡면으로 설치되는 플로우 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 풀(100) 및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 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 풀(300)은 상기 메인풀(100)과 차단된 상태이며, 상기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저장풀(3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1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310)에 의하여 메인 풀(1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저장 풀(300)로부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좌, 우로 이어지도록 러버 플로터(240)를 설치하며,
    상기 저장풀(300)과 메인 풀(100) 사이에는 댐퍼(330)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320)에 설치되는 댐퍼 판((321)은 상기 저장 풀(300)의 상면에 힌지(322)로 고정되며,
    상기 댐퍼 판(321)의 하측은 상기 저장 풀(300)의 상면 높이까지 덮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댐퍼 판(321)의 후면에는 수직 정렬판(333)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댐퍼 판(321)과 상기 수직 정렬판(333)은 저장 풀(30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상하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폭을 1~2m로 하고,
    상기 러버 플로터(240)의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에의 고정은 러버 플러터(240)의 안쪽에 형성되는 고정 지점(241, 242)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러버 플러터(240)는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하여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10)의 물 배출구(311)는 저장 풀(300)의 상측에서 저장 풀(300)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200)의 후방측에는 배수 조절부(250)를 설치하여, 플로부 플레이트(200) 상의 물이 메인 풀(100)의 물로 유동될 수 잇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전, 후방으로 적어도 두개의 지점(211, 212)에서 플로우 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로터(240)는, 공기 공급 장치(221)에 의한 공기 공급 제어에 의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플러터(2100는, 물 공급 장치(231)에 의한 물 공급 제어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231)에 의한 물 공급은 메인 풀(100)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 설비 시스템.
KR1020200095863A 2020-07-31 2020-07-31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KR10222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63A KR102220166B1 (ko) 2020-07-31 2020-07-31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63A KR102220166B1 (ko) 2020-07-31 2020-07-31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166B1 true KR102220166B1 (ko) 2021-02-24

Family

ID=7468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63A KR102220166B1 (ko) 2020-07-31 2020-07-31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721B1 (ko) * 2021-03-17 2021-11-04 오재진 조립식 서핑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248B2 (ja) * 1996-04-17 2006-01-05 栗田工業株式会社 プール施設
KR20120071280A (ko) * 2010-12-22 2012-07-02 김목근 무동력 파도타기 장치
KR101360275B1 (ko) 2012-12-10 2014-02-12 윤대원 인공파도 생성장치
EP2123850B1 (en) * 2007-02-23 2016-06-15 Instant Sport, S.L. Wave-generating apparatus
KR102050985B1 (ko) 2019-01-30 2019-12-03 주식회사 서핑라이더 실내 서핑 시스템
KR200491934Y1 (ko) 2019-06-29 2020-07-03 이선화 파도 발생기
KR20200085341A (ko) 2017-12-05 2020-07-14 액션 팀 베란슈탈텅 게엠베하 서핑 설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248B2 (ja) * 1996-04-17 2006-01-05 栗田工業株式会社 プール施設
EP2123850B1 (en) * 2007-02-23 2016-06-15 Instant Sport, S.L. Wave-generating apparatus
KR20120071280A (ko) * 2010-12-22 2012-07-02 김목근 무동력 파도타기 장치
KR101360275B1 (ko) 2012-12-10 2014-02-12 윤대원 인공파도 생성장치
KR20200085341A (ko) 2017-12-05 2020-07-14 액션 팀 베란슈탈텅 게엠베하 서핑 설비
KR102050985B1 (ko) 2019-01-30 2019-12-03 주식회사 서핑라이더 실내 서핑 시스템
KR200491934Y1 (ko) 2019-06-29 2020-07-03 이선화 파도 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721B1 (ko) * 2021-03-17 2021-11-04 오재진 조립식 서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7505A1 (en) Inflatable surfing apparatus and method
US3913332A (en) Continuous wave surfing facility
US34733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waves
EP2123850B1 (en) Wave-generating apparatus
US20170043267A1 (en) Wave simulator for board sports
US8602685B1 (en) Wav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7144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ve characteristics
KR100945007B1 (ko) 웨이크 보드 전용 인공 풀 시스템
KR102220166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JP2005524789A5 (ko)
ES2843545T3 (es) Dispositivo flotante para producir una ola estacionaria
US20240044160A1 (en) Surfing installation
WO2015173477A1 (en) System for forming an artificial wave
ES2622847T3 (es) Estructura y procedimiento para actividades subacuáticas
ES2857823T3 (es) Dispositivo para generar una ola estacionaria
KR20200070520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이동식 서핑장
US5149304A (en) Arrangement including a moveable tower
KR102378608B1 (ko) 인공파도 생성시스템
CH707912A2 (de) Verstellbare Gegenstromanlage.
KR20120071280A (ko) 무동력 파도타기 장치
WO2020204761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олны
KR200489749Y1 (ko) 놀이기구용 파도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