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721B1 - 조립식 서핑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서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721B1
KR102321721B1 KR1020210034654A KR20210034654A KR102321721B1 KR 102321721 B1 KR102321721 B1 KR 102321721B1 KR 1020210034654 A KR1020210034654 A KR 1020210034654A KR 20210034654 A KR20210034654 A KR 20210034654A KR 102321721 B1 KR102321721 B1 KR 10232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urfing
circulating water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진
Original Assignee
오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진 filed Critical 오재진
Priority to KR102021003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721B1/ko
Priority to KR1020210102210A priority patent/KR2022012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06Devices for producing waves in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구조이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하고 재조립이 가능하여 일반 차량으로 이동하여 어디에든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조립식 서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서핑 장치에 사용되는 순환수를 저장하는 저수부(100); 상기 저수부 상측에 위치하면서 사용시에는 좌우로 전개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절첩 혹은 분리가 가능한 전개부(200); 상기 저수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펌핑 수단 및 유로를 통해 순환수를 출수하는 순환수공급부(300); 상기 저수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순환수를 상기 저수부(100)로 배출하는 순환수배수부(400); 및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와 상기 순환수배수부(4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워터플로우를 형성하는 서핑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서핑 장치{Self-assembly surfing installation}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의 조립식 서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여 차량으로 운반하여 이동식으로 설치 가능한 조립식 서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한된 실내·외 공간 내에 소정 유속을 가지는 물이 흐르도록 하여, 자연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공간 및 계절에 구애됨이 없이 실내외 어디서나 사시사철 수상스키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수상스키 연습시스템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8-076941호 (수상스키 및 윈드서핑 겸용 연습시스템)(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종래기술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통로(1a) 및 배수통로(1b)가 형성된 소정크기의 수조(1)와, 상기 수조(1)에 물이 소정 수위로 채워지도록 공급하되,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물 순환공급장치와, 수상스키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수조 내에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수조(1)에는 그의 전후측에 물의 급수 및 배수를 위한 창(1c, 1d)이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배수창(1d)에서 배출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2)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1) 내에서 소정 유속으로 물을 공급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물 순환공급장치는 상기 수조(1)의 급수통로(1a)에 연결되어 물을 소정 유속으로 공급하는 급수라인(3)과, 상기 급수라인(3)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수하기 위해 구동하는 펌프(5)와, 상기 양수펌프(5)에 연결된 제1 저장탱크(6)로 구성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라인(3)에서 분출되는 유속은 수상스키어가 물의 유속의 반력을 이용하여 일어설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유속의 반력에 의해 제자리에서 수상스키의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유속으로 분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조(1)의 배수유로(2)의 소정위치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라인(4)이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4)에는 배출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7)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저장탱크(7) 내에 저장된 물을 제1 저장탱크(6)에 보충하기 위해 연결하는 바이패스라인(8)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물 순환공급장치의 구조에서 상기 제2 저장탱크(7)는 제1 저장탱크(6)보다 소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양수펌프(5)와 제1 저장탱크(6)를 연결하는 라인상에는 공급되는 물의 살균을 위해 가열시키는 히터(9)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제1 저장탱크(6)에 있는 물을 양수펌프(5)로 끌어올려 급수라인(3)을 통하여 수조(1) 내에 소정 수위의 물을 채운다. 그리고, 상기 수조(1)의 급수통로(1a)에 형성된 급수창(1c)을 통하여 소정 유속으로 흐르도록 물을 계속 공급한다. 이때, 수조(1) 내에는 급수통로(3)로 분출되는 물이 소정 유속으로 흐르면서 배출창(1d)으로 배출되고, 배수라인(4)을 통하여 제2 저장탱크(7)에 일시저장되었다가 바이패스라인(8)을 통하여 제1 저장탱크(6) 내에 물이 보충된다.
또한, 순환된 물은 양수펌프(5)에서 급수라인(3)으로 제공시키기 전에 히터(9)에 의해 가열되므로써 살균이 완료된 후 양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종래기술에 의하면, 특별하게 수상스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계절에 국한하지 않고 사시사철 즐길 수 있으며, 특히 공간적인 구애를 전혀 받지 않고 실내.외 어느 곳에서나 설치가능하여 수상스키 및 윈드서핑의 묘미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의 시스템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은, 한번 설치되면 철거 및 구조 변경 등이 어려우며 해체가 쉽지 않아서, 이동식으로 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50985호 (실내 서핑 시스템)(이하, [특허문헌2]라 함) 가 제안되었다.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 종래기술의 목적은 철근 골조 방식으로 형성되어 설치, 철거, 구조 변경이 용이한 실내 서핑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종래기술의 실내 서핑 시스템(1000)은 언덕 형상의 기울기를 갖고, 상부에 인공 파도가 형성되는 서핑부(100), 상기 서핑부(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서핑부(100)에 제공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200) 및 일단이 상기 서핑부(10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수조(200)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2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서핑부(100)의 타단으로 이동시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핑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핑부(100)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에서 인공 파도가 워터 플로우시트 형태로 흐르는 플로우 플레이트(110) 및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철근 골조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철근 골조 방식은 종래의 콘크리트 골조 방식에 비해 설치, 철거, 및 구조 변경이 용이하게 되는바, 현장 상황에 맞는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의 기울기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저수조(200)는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에 제공되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서핑부(100)의 일단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수조(200)는 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플로우 플레이트(110)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의 타단에서 형성된 워터 플로우(500)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의 상향 경사진 표면을 거쳐 상기 저수조(200)에 다시 저장될 수 있다. 즉, 물은 저수조(200), 펌핑부(300), 및 플로우 플레이트(110)를 계속 순환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2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직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대 150 ton 정도의 물이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에는 배수 트렌치(201)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종래기술의 실내 서핑 시스템(1000)은 보조 저수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수조(210)는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110)에 제공되는 물을 보조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서핑부(100)의 타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저수조(210)는 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플로우 플레이트(110)의 최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후술할 물 토출부(3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 토출부(330)로부터 분사된 워터 플로우(500) 중에서 압력이 떨어지거나 이용자의 서핑보드에 마찰되어 역으로 흐르는 일부 잔수(510)가 상기 보조 저수조(210)로 흘러 들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저수조(2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직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대 2 ton 정도의 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배수 트렌치(211)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은 별도의 모터(미도시) 및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상기 저수조(200)로 이동되고, 다시 펌핑부(300)를 통해 플로우 플레이트(110)로 분사된다.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는, 철판 시트, 고탄성 압축 스폰지 및 방수 시트의 3중 방수 구조로 형성되어 방수성, 충격 흡수성 및 완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이 철근 골조 방식으로 형성되어 설치, 철거, 및 구조 변경이 용이하게 되는 바 현장 상황에 맞는 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의 시스템 역시, 단지 철골 구조라 설치, 철거 및 구조 변경 등이 제1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할 뿐, 역시 이를 해체하고 재조립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을 소요로 하게 되는바, 역시 빈번한 해체 및 재조립이 필요한 이동식으로 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경제적으로 아직은 부적합하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8-076941호 (수상스키 및 윈드서핑 겸용 연습시스템) [특허문헌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50985호 (실내 서핑 시스템)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골 구조이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하고 재조립이 가능하여 일반 차량으로 이동하여 어디에든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조립식 서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 차량의 허용 폭인 3M 이내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간에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서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조립식 서핑 장치는, 서핑 장치에 사용되는 순환수를 저장하는 저수부(100); 상기 저수부 상측에 위치하면서 사용시에는 좌우로 전개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절첩 혹은 분리가 가능한 전개부(200); 상기 저수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펌핑 수단 및 유로를 통해 순환수를 출수하는 순환수공급부(300); 상기 저수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순환수를 상기 저수부(100)로 배출하는 순환수배수부(400); 및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와 상기 순환수배수부(4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워터플로우를 형성하는 서핑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수부(100)는, 전면벽(110)과 좌.우 측면벽(120, 140) 및 후면벽(130), 그리고 바닥면(150)으로 이루어지는 상측이 개방된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저수부 바닥면에는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의 순환펌프(310)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수 배수부(400)로부터 회수된 순환수가 상기 순환펌프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상측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구 차단판(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개부(200)는, 좌측 전개부(210)와 우측 전개부(220)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는 각각, 기다란 직사각형의 바닥면(214,224)의 전면에 전면차단벽(211,221)과, 후면에 후면차단벽(213,223)을 가지고 있고, 일측에 각각 좌.우측면 차단벽(212,222)을 갖고 있는, 상측과 측면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서, 각각은 일측에 힌지(215,225)를 통해 절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식 서핑 장치의 이동시에는,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를 상기 힌지(215,225) 축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접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수배수부(400)는, 저수조(100) 후방에 위치하며, 철골 구조의 지지프레임(410)이 저수조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수가 가능하면서 서퍼가 대기할 위치에 일례로 금속성의 배수부그레이팅(420)이 얹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저수조 바닥면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수평지지프레임(411)과 이들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수직지지프레임(412)으로 이루어지면서, 격자 형태의 해체와 설치가 용이한 철골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수조 바닥의 수직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과 광폭의 배수부그레이팅(420) 양단을 지지해주는 사선방향의 보조프레임(41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수배수부(400)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스펀지나 탄성재로 감싼 스펀지롤(431)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되는 스펀지바닥부(430)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서핑부(500)는, 좌.우측 전개부(210,220) 사이에서 수류가 형성되는 플로우플레이트(590)와, 이를 좌.우측 전개부(210,220) 상의 좌.우측면 활대(520,540) 및 전.후면 활대(510.53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로우플레이트(590)는 탄성과 신축성을 갖는 방수 재질의 멤브레인(591) 및 상기 멤브레인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로프(592)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로프(592)의 각각은, 사면의 각 활대(510,520,530,540)에 걸치면서 그 말단은 좌.우측 전개부(210,220) 및 순환수배수부(400) 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550)에 의해 탄지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립식 서핑 장치에 의하면,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하고 재조립이 가능하여 일반 차량으로 이동하여 어디에든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조립식 서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간 이동시 일반 차량의 허용 폭인 3M 이내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간에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서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의한 실내 수상스키 및 윈드서핑 겸용 연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서핑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서핑 시스템의 지지 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서핑 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서핑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전개 상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절첩 상태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절첩시 분리되는 프레임 등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전개 상태의 외관 후면 및 정면 사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사용 상태의 사시 사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배수부의 사시 사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플로우플레이트 연결부의 실제 사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순환수 공급부의 실제 사진.
도 13c는, 도 13a에서의 절곡 연결부의 상세 사진.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순환수가 출수되는 방향을 일례로 전방으로 표현하고, 이를 기준으로 반대쪽인 후방, 그리고 전방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왼쪽을 좌측, 오른쪽을 우측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것일 뿐, 절대적인 방향을 발하는 것은 아니며, 전후방이나 좌우측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에 불과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서핑 장치의 최적 실시예를 도 6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전개 상태 사시도로서, 도 6a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c는 중앙그레이팅과 좌우그레이팅 및 배수부그레이팅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절첩 상태 사시도로서, 도 7a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절첩시 분리되는 프레임 등의 사시도로서, 도 8a는 이들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이들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전개 상태의 외관 후면 및 정면 사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사용 상태의 사시 사진으로서, 도 10a는 플로우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직전의 전방에서 바라본 실제 사진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의 배수부의 확대 사진이며, 도 10c는 플로우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전방에서 바라본 실제 사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배수부의 사시 사진으로서, 도 11a는 배수부 전체를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실제 사진이고, 도 11b는 배수부 지지프레임을 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11c는 도 11b의 부분 확대 사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플로우플레이트 연결부의 실제 사진으로서, 도 12a는 전면활대, 우측면활대 및 후면활대를 좌측방에서 바라본 실제 사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부분 확대 사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실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순환수 공급부의 실제 사진으로서, 도 13a는 순환수 공급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실제 사진이고, 도 12b는 순환수 공급부를 좌측방에서 바라본 실제 사진이며, 도 13c는, 도 13a의 절곡 연결부의 상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서핑 장치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핑 장치에 사용되는 순환수를 저장하는 저수부(100); 상기 저수부 상측에 위치하면서 사용시에는 좌우로 전개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절첩 혹은 분리가 가능한 전개부(200); 상기 저수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펌핑 수단 및 유로를 통해 순환수를 출수하는 순환수공급부(300); 상기 저수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순환수를 상기 저수부(100)로 배출하는 순환수배수부(400); 및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와 상기 순환수배수부(4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워터플로우를 형성하는 서핑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저수부(100)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c를 주로 참조하고, 도 9a 및 도 9b를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상술하면, 이는, 전면벽(110)과 좌.우 측면벽(120, 140) 및 후면벽(130), 그리고 바닥면(150)으로 이루어지는 상측이 개방된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수조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수부의 폭은 3m 이내가 바람직한바,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조립식 서핑 장치를 이동시에, 절첩 혹은 분해하여 이동시에도, 상기 저수부는 분해가 곤란한바, 따라서 폭이 3m 이내인 경우에, 도로교통법상 주간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이동을 위해 바닥에 이동용 롤러(1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면이나 후면에는 방수가 가능한 개폐구(130a)(도 9a 참조)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저수부 바닥면에는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의 순환펌프(310)가 설치되어야 하는바, 상기 순환펌프를 수중 펌프로 구성할 시에는, 상기 순환수 배수부(400)로부터 회수된 순환수가 상기 순환펌프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미 도시됨)가 설치될 수 밖에 없는바, 이 경우, 유입구로 서퍼의 신체 일부나 서퍼에의 부착물이 유입구로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유입구 차단판(160)이 설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유입구 차단판(160)은, 상기 조수부 바닥면과 어느 정도 이격되어 바닥면을 대부분 덮는 일반적인 평판이면 족하며, 수직방향의 지지대(161)에 의해 바닥면(150)에 지지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리브(162)(도 10a 참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도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제, 상기 전개부(200)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8b를 주로 참조하여 상술한다.
상기 전개부(200)는, 좌측 전개부(210)와 우측 전개부(220)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바,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는 각각, 기다란 직사각형의 바닥면(214,224)의 전면에 전면차단벽(211,221)과, 후면에 후면차단벽(213,223)을 가지고 있고, 일측에 각각 좌.우측면 차단벽(212,222)을 갖고 있는, 상측과 측면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서, 각각은 일측에 힌지(215,225)를 통해 절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각 바닥면(214,224)아 아래로 향하고 상기 좌측면차단벽(212)과 우측면차단벽(222)이 좌우측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저수부의 전면벽(110) 및 상기 전면차단벽(211,221)이 전면 경계를 이루며, 유사하게 상기 저수부의 후면벽(130) 및 상기 후면차단벽(213,223)이 후면 경계를 이루면서 광폭의 서핑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본 장치의 이동시에는,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를 상기 힌지(215,225) 축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접어서 이동하게 되면, 전체 장치의 폭이 저수조의 폭으로 좁아지므로, 일반도로를 주간에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없으며, 특히 도로교통법상 주간 이동 제약이 사라지게 된다. 즉,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의 바닥면(214,224)이 대형 트럭의 측면벽과 같은 방식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서핑장치의 특성상, 상기 좌측면차단벽(212)과 우측면차단벽(222)은, 도 6a 를 기준으로 전방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져야 하는바, 따라서, 상기 전면차단벽(211,221) 보다 후면차단벽(213,223)의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상기 좌측면차단벽(212)과 우측면차단벽(222)은 테이퍼진 구성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힌지축(215,225)은, 상기 도 7a에서와 같이 경첩식으로도 가능하나, 이외에도 베어링식이나 기타 완전 분해가능한 형태로도 제작가능하며, 또한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를 전개시에 좌.우 측면벽(120,140)과 사이에 보강리브(223a)(도 9a 참조)를 덧대어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보강을 하도록 한다.
특히, 도 13a 및 도 1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완전 분리가능한 변형예에서는, 양 경계에 절곡연결부(290)를 추가하도록 하는바, 각 경계부에 플랜지(291,292)를 형성하고, 양 플랜지(291,292)를 체결볼트(293) 및 체결너트로 단단히 고정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제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순환수공급부(300)를 상술하면, 저수조 바닥면(150)에 설치된 순환펌프(310)에 의해 수류부(320)로 공급되는 순환수는 수류파이프(321) -> 확관부(322) -> U자형관(323) 을 거쳐, 순환수가 강한 수압으로 분사되는 유출구(324)를 통해, 서핑부(500)로 분사되어지면서 워터플로우를 형성하는바, 따라서 서퍼들은 서핑부(500)의 플로우플레이트(590)(도 10c 참조) 상에서, 워터플로우의 수류와 서핑부의 경사 각도에 의해 서핑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서핑부(500)의 플로우플레이트(590)에 대해서는, 도 10c 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의 상단에는, 서핑부(500)에서 튕기는 순환수 등의 물빠짐이 가능하면서 서퍼나 안전요원이 위치할 일례로 금속성의 그레이팅(330,340)이 얹혀 있도록 하는바, 이때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순환수공급부(300) 상에서 별도의 지지프레임 등에 의해 지지되는 중앙그레이팅(330)과, 상기 좌우측 전개부(201,220) 상에 위치하는 좌우그레이팅(340)으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순환수배수부(400)를 상술하면, 상기 순환수배수부(400)는, 저수조(100) 후방에 위치하여, 서핑부(500)로부터 흘러 넘치는 순환수가 다시 저수조로 흘러가도록 하기 위함인바, 일례로 철골 구조의 지지프레임(410)이 저수조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수가 가능하면서 서퍼가 대기할 위치에 일례로 금속성의 배수부그레이팅(420)이 얹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일례로 철골 구조의 지지프레임(410)은, 저수조 바닥편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수평지지프레임(411)과 이들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수직지지프레임(412)으로 이루어지면서, 격자 형태의 해체와 설치가 용이한 철골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저수조 바닥의 수직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과 광폭의 배수부그레이팅(420) 양단을 지지해주는 사선방향의 보조프레임(413)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부가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도 6c 참조),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의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 경우라면, 상기 보조프레임(413)과 수직지지프레임(412)의 상측 일부는 분해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역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412)은 중간 위치에 수직지지프레임 연결부(412a)가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413) 양단에도 역시 보조프레임 연결부(413a)가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도 11c 참조).
한편, 도 6a 및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수공급부(300) 및 순환수배수부(400)의 상단에 각각 배치되는, 물빠짐을 위하면서 서퍼나 안전요원이 위치할 좌우그레이팅(340) 및 배수부그레이팅(420) 역시, 절첩식으로 구성하여도 좋지만, 이들은 견고성을 위해 고정형으로 구성하고 이동시에는 분리한 상태에서 별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역시,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수공급부(300)의 중앙그레이팅(230) 및 순환수배수부(400)의 지지프레임(410) 역시, 분리한 상태에서 전개부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로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 상태에서 전개부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추가로 더 상술하면,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순환수배수부(400)의 상단에는, 상기 배수부그레이팅(420)과 함께 혹은 상기 배수부그레이팅(420)을 대체하여, 스펀지바닥부(430)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이는 서퍼가 균형을 잃고 인공파도에 휩쓸릴 경우, 배수부(400)로 넘어질 수 있는바, 이 경우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펀지바닥부(430)는, 일례로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펀지나 탄성재로 감싼 스펀지롤(431)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상기 서핑부(500)에 대하여, 도 6a, 도 10a 및 도 10c를 주로 참조하여 상술한다.
상기 서핑부(500)는, 순환수공급부(300)와 순환수배수부(400) 사이에서 실제 서퍼들이 서핑을 하는 공간인바, 좌.우측 전개부(210,220) 사이에서 수류가 형성되는 플로우플레이트(590)와, 이를 좌.우측 전개부(210,220) 상의 좌.우측면 활대(520,540) 및 전.후면 활대(510.53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플로우플레이트(590)는 탄성과 신축성을 갖는 방수포와 같은 멤브레인(591) 및 상기 멤브레인의 둘레에 형성된 고정로프(5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각 고정로프(592)는, 사면의 각 활대(510,520,530,540)에 걸치면서 그 말단은 좌.우측 전개부(210,220) 및 순환수배수부(400) 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550)에 의해 탄지설치된다. 다만, 사면 중에서 어느 일측 (일례로, 순환수공급부(300) 측) 에서는 고정구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제, 도 6a, 도 6c, 도 7a, 도 8a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서핑 장치의 절첩 및/또는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제 본 발명의 조립식 서핑 장치를 사용시에는, 도 6a 및 도 10a에서와 같이 전개부(200)를 좌우측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전면활대(510) 및 후면활대(530)를 설치하고, 각종 그레이팅(330,340,420)을 설치한 후, 먼저 상기 플로우플레이트(591) 전면의 각 고정로프(592)를 상기 전면활대(510)에 고정하고, 이후 여타 3면의 각 고정로프(592)들을 상기 좌측면활대(520), 후면활대(530) 및 우측면활대(540)에 고정하되 각 해당 위치에 위치하는 조임구(550)들을 사용하여 탄지고정한다 (도 10c 참조).
이와는 역으로, 도 6a 및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전개부(200)가 전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철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전면활대(510) 및 후면활대(530)와 각종 그레이팅(330,340,420)을 철거하는바, 이때 중앙그레이팅(330)은 그대로 두어도 되며, 상기 좌우그레이팅(340) 및 배수부그레이팅(420) 역시, 절첩식일 경우에는 단순히 접히도록 하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부의 지지프레임(410)의 상단 일부도 분리하도록 한다.
이후, 도 7a에서와 같이, 별도의 혹은 일체로 장착된 유압실린더나 크레인을 사용하여,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를 안쪽으로 접어서, 이동하면 된다. 일례로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의 폭을 1m로 하였을 경우, 전개시에는 서핑부(500)의 좌우 폭이 5m 가량 되므로 충분히 서핑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접었을 시에는 좌우폭이 3m로 줄어들므로, 일반 대형트럭이나 트레일러에 적재하여 이동하는데 편리할뿐더러, 도로교통법상의 특별 운송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아울러 조립과 분리가 종래기술보다 더욱 간단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이벤트성으로 혹은 계절에 관계없이 대중적인 레저로서의 서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저수부 110 : 전면벽
120 : 좌측면벽 130 : 후면벽
130a: 개폐구
140 : 우측면벽 150 : 저수부 바닥면
160 : 유입구 차단판 161 : 지지대
162 : 리브 190 : 롤러
200 : 전개부
210 : 좌측전개부 211 : 전면차단벽
212 : 좌측면차단벽 213 : 후면차단벽
214 : 바닥면 215 : 힌지
220 : 우측전개부 221 : 전면차단벽
222 : 우측면차단벽 223 : 후면차단벽
223a: 보강리브
224 : 바닥면 225 : 힌지
290 : 절곡연결부 291,292 : 플랜지
293 : 체결볼트
300 : 순환수공급부 310 : 순환펌프
320 : 수류부 321 : 수류파이프
322 : 확관부 323 : U자형관
324 : 유출구 330 : 중앙그레이팅
340 : 좌우그레이팅
400 : 순환수배수부 410 : 지지프레임
411 : 수평지지프레임 412 : 수직지지프레임
412a: 수직지지프레임 연결부 413 : 보조프레임
420 : 배수부그레이팅 430 : 스펀지바닥부
431 : 스펀지롤
500 : 서핑부 510 : 전면활대
520 : 좌측면활대 530 : 후면활대
540 : 우측면활대 550 : 조임구
590 : 플로우플레이트 591 : 멤브레인
592 : 고정로프

Claims (5)

  1. 조립식 서핑 장치로서,
    서핑 장치에 사용되는 순환수를 저장하는 저수부(100); 상기 저수부 상측에 위치하면서 사용시에는 좌우로 전개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절첩 혹은 분리가 가능한 전개부(200); 상기 저수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펌핑 수단 및 유로를 통해 순환수를 출수하는 순환수공급부(300); 상기 저수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순환수를 상기 저수부(100)로 배출하는 순환수배수부(400); 및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와 상기 순환수배수부(4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워터플로우를 형성하는 서핑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서핑부(500)는, 좌.우측 전개부(210,220) 사이에서 수류가 형성되는 플로우플레이트(590)와, 이를 좌.우측 전개부(210,220) 상의 좌.우측면 활대(520,540) 및 전.후면 활대(510.53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로우플레이트(590)는 탄성과 신축성을 갖는 방수 재질의 멤브레인(591) 및 상기 멤브레인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로프(592)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로프(592)의 각각은, 사면의 각 활대(510,520,530,540)에 걸치면서 그 말단은 좌.우측 전개부(210,220) 및 순환수배수부(400) 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550)에 의해 탄지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100)는, 전면벽(110)과 좌.우 측면벽(120, 140) 및 후면벽(130), 그리고 바닥면(150)으로 이루어지는 상측이 개방된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저수부 바닥면에는 상기 순환수공급부(300)의 순환펌프(310)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수 배수부(400)로부터 회수된 순환수가 상기 순환펌프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상측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구 차단판(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부(200)는, 좌측 전개부(210)와 우측 전개부(220)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는 각각, 기다란 직사각형의 바닥면(214,224)의 전면에 전면차단벽(211,221)과, 후면에 후면차단벽(213,223)을 가지고 있고, 일측에 각각 좌.우측면 차단벽(212,222)을 갖고 있는, 상측과 측면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서, 각각은 일측에 힌지(215,225)를 통해 절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식 서핑 장치의 이동시에는, 상기 좌.우측 전개부(210,220)를 상기 힌지(215,225) 축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접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배수부(400)는, 저수조(100) 후방에 위치하며, 철골 구조의 지지프레임(410)이 저수조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수가 가능하면서 서퍼가 대기할 위치에 일례로 금속성의 배수부그레이팅(420)이 얹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저수조 바닥편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수평지지프레임(411)과 이들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수직지지프레임(412)으로 이루어지면서, 격자 형태의 해체와 설치가 용이한 철골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수조 바닥의 수직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과 광폭의 배수부그레이팅(420) 양단을 지지해주는 사선방향의 보조프레임(41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배수부(400)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스펀지나 탄성재로 감싼 스펀지롤(431)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되는 스펀지바닥부(430)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핑 장치.
KR1020210034654A 2021-03-17 2021-03-17 조립식 서핑 장치 KR10232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654A KR102321721B1 (ko) 2021-03-17 2021-03-17 조립식 서핑 장치
KR1020210102210A KR20220129984A (ko) 2021-03-17 2021-08-03 조립식 서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654A KR102321721B1 (ko) 2021-03-17 2021-03-17 조립식 서핑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210A Division KR20220129984A (ko) 2021-03-17 2021-08-03 조립식 서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721B1 true KR102321721B1 (ko) 2021-11-04

Family

ID=78521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654A KR102321721B1 (ko) 2021-03-17 2021-03-17 조립식 서핑 장치
KR1020210102210A KR20220129984A (ko) 2021-03-17 2021-08-03 조립식 서핑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210A KR20220129984A (ko) 2021-03-17 2021-08-03 조립식 서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1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02B1 (ko) * 2022-03-30 2023-07-21 주식회사 웨이브메이크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941A (ko) 1997-04-15 1998-11-16 고종문 수상스키 및 윈드서핑 겸용 연습시스템
US20090176588A1 (en) * 2007-11-13 2009-07-09 Lochtefeld Thomas J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stationary sheet flow water rides
KR102050985B1 (ko) 2019-01-30 2019-12-03 주식회사 서핑라이더 실내 서핑 시스템
KR102220166B1 (ko) * 2020-07-31 2021-02-24 이윤창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941A (ko) 1997-04-15 1998-11-16 고종문 수상스키 및 윈드서핑 겸용 연습시스템
US20090176588A1 (en) * 2007-11-13 2009-07-09 Lochtefeld Thomas J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stationary sheet flow water rides
KR102050985B1 (ko) 2019-01-30 2019-12-03 주식회사 서핑라이더 실내 서핑 시스템
KR102220166B1 (ko) * 2020-07-31 2021-02-24 이윤창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02B1 (ko) * 2022-03-30 2023-07-21 주식회사 웨이브메이크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84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95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stationary sheet flow water rides
JP2022090006A (ja) センタリングクランプとダニ防止下向き歯と水排出溝と中心内面正方形ロック風および煙向け直し調節可能中心天蓋システムと複数機能フック、ロープ、杭、滑車輪システムとを有する調節可能中心天蓋・調節可能リング天蓋・調節可能周辺オーニング・単一中心内面正方形ロック・ポップアップ
KR102321721B1 (ko) 조립식 서핑 장치
US7536966B2 (en) Sectional pontoon boat
KR102050985B1 (ko) 실내 서핑 시스템
US5341588A (en) Portable ice fishing hut
US7243979B1 (en) Recreational and utility trailer
US11530551B2 (en) Expandable tent with adjustable height and internal volume
KR20190009281A (ko) 부분 또는 완전 접이식 이동형 인클로저
US3507293A (en) Portable and collapsible fish house
KR101665440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CA2610614C (en) Method and shelter arrangement for temporary covering of an open deck space on a watercraft
ES2286399T3 (es) Piscina prefabricada.
KR102220166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실내 서핑장 시스템
RU2215105C1 (ru) Защитный чехол для временно неэксплуатиру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0003515A2 (en) Portable enclosure
WO2004015224A1 (en) An overflowing above-ground swimming pool
GB2134942A (en) Portable shelter
GB2608826A (en) Hot tub arrangement
KR20200002445U (ko) 픽업 트럭용 폴딩텐트
KR102424452B1 (ko) 캠핑트레일러용 샤워부스 설치장치
RU2532001C1 (ru) Плавающий бассейн (варианты)
US20050173944A1 (en) Ice fishing shelter
JPH09183342A (ja) 車載用キャリアベース
RU59106U1 (ru) Мобильный бо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