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202B1 -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202B1
KR102558202B1 KR1020220039431A KR20220039431A KR102558202B1 KR 102558202 B1 KR102558202 B1 KR 102558202B1 KR 1020220039431 A KR1020220039431 A KR 1020220039431A KR 20220039431 A KR20220039431 A KR 20220039431A KR 102558202 B1 KR102558202 B1 KR 102558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water
flow
plat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대근
전상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메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메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메이크
Priority to KR102022003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urfing, i.e. without a sail; for skate or snow boar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06Devices for producing waves in swimming poo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는 상부에 수류가 형성되는 플로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서퍼가 서핑을 수행하는 인공 서핑장에 이용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인공 서핑장 내측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의 배출구와 일측이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고, 상기 수류를 퍼트리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의 타측과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며, 내측에 형성된 상기 수류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를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수류의 유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Apparatus for jetting using artificial surf}
본 발명은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핑에 적합한 수류를 토출할 수 있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핑은 서프보드를 타고 파도의 경사진 면을 오르내리며 높이와 속도 및 기술을 겨루는 해양 스포츠로서 고도의 평형 감각, 정확한 타이밍이 요구되는 스포츠이다.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파도가 있어야 하며, 바다에 파도가 없을 경우에는 서핑을 즐길 수 없다.
파도가 없는 바다에서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 서핑보드에 모터를 사용하는 동력장치를 부착하여 바람이나 파도가 없는 곳에서 서핑을 즐길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바람이나 파도가 없는 곳에서 서핑을 즐기기 위하여 서핑보드에 모터 등을 장착할 경우, 서핑보드에 모터 뿐만 아니라 모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배터리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매우 작은 사이즈를 갖는 서핑보드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구현이 쉽지 않고 제작 비용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서핑을 해변이 아닌 실내에서 레저용으로 즐길 수 있도록 인공 서핑장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인공 서핑장의 경우 펌프와 노즐을 사용하여 일정한 수류를 생성시킴으로써 서핑환경을 조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07938호
본 발명은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물로부터 형성된 수류를 정류하고, 수류를 퍼트리며, 수류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는 상부에 수류가 형성되는 플로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서퍼가 서핑을 수행하는 인공 서핑장에 이용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인공 서핑장 내측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의 배출구와 일측이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고, 상기 수류를 퍼트리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의 타측과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며, 내측에 형성된 상기 수류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를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수류의 유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관은 내측에 형성된 수류가 상하 방향으로 정류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분배 플레이트; 및
내측에 형성된 수류가 좌우 방향으로 정류되도록 상기 제1 방향과는 분배각을 이루며 상기 제1 분배 플레이트와는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는 상기 분배관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수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각이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토출관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로 토출되는 수류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수류 높이가 되도록 기준 관 높이로 형성된 토출구가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토출관은 내측에서 유동하는 수류가 밀집되지 않도록 내측에 형성된 수류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물로부터 형성된 수류를 정류하고, 수류를 퍼트리며, 수류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서퍼가 서핑에 적합한 수류가 플로우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하도록 하여 양질의 서핑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분배관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1 내부 사시도로써, 경사 플레이트를 제외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2 내부 사시도로써, 경사 플레이트를 미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3 내부 사시도로써, 토출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를 미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4 내부 사시도로써, 토출 플레이트 및 경사 플레이트를 미도시한 도면이다.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교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분배관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1 내부 사시도로써, 경사 플레이트를 제외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2 내부 사시도로써, 경사 플레이트를 미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3 내부 사시도로써, 토출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를 미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의 토출관의 제4 내부 사시도로써, 토출 플레이트 및 경사 플레이트를 미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는 인공 서핑장(200)에 설치되어, 펌프(210)에 의해 배출되는 물을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측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내측에 형성된 수류를 플로우 플레이트(230)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 서핑장(200)은 서퍼가 서핑을 수행할 수 있는 수류를 인공으로 제공하는 장소 및 시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가 설치된 인공 서핑장(200)은 저장 지지부(210), 복수의 펌프(220),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지지부(210)는 내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지지부(210)에 저장된 물은 복수의 펌프(220)에 의해 흡입되고, 복수의 펌프(220)에 의해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로 배출될 수 있다.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로 배출된 물은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 내측에서 수류를 형성하며,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이후, 플로우 플레이트(230) 상부에서 수류를 형성한 물은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거쳐 다시 저장 지지부(210)의 내측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물은 저장 지지부(210), 복수의 펌프(220),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 및 플로우 플레이트(230) 순으로 순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 지지부(210)는 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211), 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외벽(2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211)은 방수 기능을 갖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외벽(212) 또한, 방수 기능을 갖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판(211) 둘레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세워져 형성될 수 있고, 저장 지지부(210)에 저장되는 물을 내측에 가두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장 지지부(210)는 바닥판(211) 상부에 배치된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벽(212)과 바닥판(211)에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 및 복수의 펌프(220)가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지지부(210)는 다른 구성을 하측 또는 좌우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펌프(220)는 저장 지지부(2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펌프(220)는 일단에 형성된 흡입구로 물을 흡입하고, 타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는 일단이 복수의 펌프(220) 중 어느 하나의 펌프(220)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펌프(2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수류를 형성하여 유동하다가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는 분배관(110) 및 토출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관(110)은 일단이 펌프(220)의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토출관(120)의 일단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토출관(120)은 일단이 분배관(110)의 타단과 연통되고, 타단에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향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는 특정 방향으로 구부러진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펌프(2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수류를 형성하여 유동하되, 분배관(110)과 토출관(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배관(110)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고, 수류를 퍼트릴 수 있다.
이하, 분배관(110)의 내측에서 유동하는 수류는 제1 수류라 칭하고, 토출관(120) 내측에서 유동하는 수류는 제2 수류라고 칭하도록 한다.
상술된 분배관(110)은 제1 수류를 정류할 뿐만 아니라, 제1 수류의 폭이 넓어지도록 제1 수류를 퍼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배관(110)은 제1 분배 플레이트(111) 및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분배 플레이트(111)는 제1 수류가 상하 방향으로 정류되도록 제1 수류의 유동 방향인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제1 수류의 유동 방향이자 분배관(110)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1 분배 플레이트(111)는 제1 수류가 퍼지는 퍼짐 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설명하면, 제1 분배 플레이트(1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법선 방향이 제1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분배 플레이트(111)는 제1 수류 중에서 제1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중력 방향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1 수류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제1 수류를 상하 방향으로 정류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제1 수류가 좌우 방향으로 정류되도록 제1 방향과는 분배각을 이루고 제1 분배 플레이트(111)와는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제1 수류 중에서 제1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제1 방향의 좌우 방향(중력 방향 및 중력의 반대 방향 각각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1 수류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제1 수류를 좌우 방향으로 정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 모두는 제1 분배 플레이트(111)와 수직을 이루지만, 제1 방향과는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 마다 상이한 분배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분배관(1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수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제1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분배각이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배각은 절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분배관(110)의 내측 중에서 외곽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제1 방향과 이루는 분배각이 커질 수 있다.
또 다르게 설명하면,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법선 방향이 제1 분배 플레이트(111)의 법선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제1 수류가 퍼지는 퍼짐 방향을 따라서 더 벌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배관(110)에 유입된 제1 수류를 퍼짐 방향으로 퍼트려서 토출관(12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류를 퍼트림이란, 수류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수류의 폭을 확장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수류의 중심에서 가까울수록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 간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제1 수류의 중심에서 가까울수록 밀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제1 분배 플레이트(111) 및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는 분배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관(120)은 분배관(110)의 타측과 일측이 연통되어 분배관(110)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내측에 제2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관(120)은 분배관(1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제2 수류를 정류하며, 제2 수류가 플로우 플레이트를 향해 토출되도록 제2 수류의 유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관(120)은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제2 수류가 유동하도록 제2 수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수류는 제1 방향으로 유동하다가 토출관(120)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토출관(120)의 폭은 분배관(110)의 타단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높이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출관(120)은 타단에 플로우 플레이트(230)를 향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토출구의 높이는 기준 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관(120)은 토출구 내측에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울어져 배치되는 경사 플레이트(12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 플레이트(124)는 일단이 토출관(120) 내측 천장에 고정되고, 타단이 내측 천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될 수 있다.
즉, 경사 플레이트(124)와 토출관 내측 바닥은 소정의 이격 거리로 이격되되, 경사 플레이트(124)의 일단과 토출관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장 길고, 경사 플레이트(124)의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 플레이트(124)와 토출관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 플레이트(124)의 타단과 토출관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장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토출관(120)은 토출구로 향할수록 제2 수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관(120)으로부터 토출되는 제2 수류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수류 높이가 되도록 경사 플레이트(124)의 타단과 토출관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는 미리 설정된 수류 높이일 수 있다.
한편, 토출관(120)은 분배관(110)에 의해 퍼진 제2 수류가 내측에서 유동하는 동안, 일부 내측 영역에 제2 수류가 밀집되거나 적체되어 유속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수류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12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121)는 제2 수류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121)는 토출관(12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관(120)의 단면은 제2 수류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잘라내진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121) 각각은 일단이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112) 각각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경사 플레이트(124)와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121) 각각은 토출관(120) 내측에 배치되되, 제2 수류의 유동 경로를 따라 일단부터 타단이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관(120)은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121)에 의해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유로 각각에 제2 수류가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로 각각을 유동하는 제2 수류 각각은 토출관(120)으로부터 토출되기까지 서로 혼합되거나, 일부 유로에 밀집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토출관(120)은 타단에 형성된 토출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25)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25)는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토출구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부 부재 내측에 연결되며 하단이 하부 부재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25)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제2 수류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지 않고 벌어지거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로우 플레이트(230)는 기울어져 배치되며 굴곡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우 플레이트(230)는 일단이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일단에서 타단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에 의해 플로우 플레이트(230)의 일단으로 토출된 수류는 플로우 플레이트(230)의 상부를 유동하다가 플로우 플레이트(230)의 타단을 거처 바닥판(211)으로 낙하할 수 있다.
즉, 플로우 플레이트(230)의 상부에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에 의해 정류되고 소정의 폭을 형성하는 수류가 유동할 수 있다.
이때, 플로우 플레이트(230)는 웨이브 플레이트 및 웨이브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로우 플레이트는 제1 플로우 영역과 제2 플로우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로우 영역이 플로우 플레이트의 일단부터 웨이브 플레이트의 앞단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로우 영역에는 웨이브 플레이트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로우 영역에 포함되는 플로우 플레이트의 경사도는 제1 경사도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제1 경사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플로우 영역이 웨이브 플레이트의 앞단부터 플로우 플레이트의 타단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플로우 영역에는 웨이브 플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플로우 영역에 포함되는 플로우 플레이트의 경사도는 제2 경사도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경사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도 범위의 최저 경사도는 제2 경사도 범위의 최대 경사도 이상일 수 있다.
웨이브 플레이트는 유동 방향과 수직한 플립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로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플립 각도를 이루도록 세워져 배치되어 플로우 플레이트 상부를 유동하는 물이 파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브 플레이트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세워지는 각도인 플립 각도가 웨이브 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플로우 플레이트의 상부를 유동하던 물이 웨이브 플레이트 상부를 통과하면 상부를 향해 유동함으로써 서퍼가 서핑을 수행할 수 있는 파도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100)의 토출관(120)은 토출구에 장착되는 정류 플레이트(123)를 구비할 수 있다.
정류 플레이트(12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토출구의 상부에서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정류 플레이트(123)는 제2 수류의 유동 방향인 제2 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술된 토출구에서 플로우 플레이트(23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제2 수류 중에서 상부 영역은 정류 플레이트(123)에 의해 흐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정류 플레이트(123)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제2 수류 중에서 정류되지 않아 상부 방향(중력 반대 방향 또는 플로우 플레이트(230)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서퍼가 서핑을 수행할 수 있는 정류된 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110: 분배관
120: 토출관

Claims (5)

  1. 상부에 수류가 형성되는 플로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서퍼가 서핑을 수행하는 인공 서핑장에 이용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에 있어서,
    인공 서핑장 내측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의 배출구와 일측이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고, 상기 수류를 퍼트리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의 타측과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형성하는 수류를 정류하며, 내측에 형성된 상기 수류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를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수류의 유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은
    내측에 형성된 수류가 상하 방향으로 정류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분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배 플레이트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법선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분배관의 내측에 형성된 수류가 파지는 퍼짐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분배관의 내측에 형성된 수류가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막아 정류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로 토출되는 수류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수류 높이가 되도록 기준 관 높이로 형성된 토출구가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토출구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의 상부에서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정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정류 플레이트는
    상기 토출구에서 상기 플로우 플레이트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수류 중에서 정류되지 않아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수류의 흐름을 제한시켜 정류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구 내측에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울어져 배치되는 경사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토출관의 내측 천장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토출구의 내측 천장과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상기 토출관의 내측 바닥과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되, 일단과 상기 토출관의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장 길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토출관의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토출관의 내측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수류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수류 높이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 수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구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는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 부재의 내측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부재의 내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수류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가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지 않고 벌어지거나,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내측에 형성된 수류가 좌우 방향으로 정류되도록 상기 제1 방향과는 분배각을 이루며 상기 제1 분배 플레이트와는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분배 플레이트는
    상기 분배관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수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분배각이 커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은
    내측에서 유동하는 수류가 밀집되지 않도록 내측에 형성된 수류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KR1020220039431A 2022-03-30 2022-03-30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KR10255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431A KR102558202B1 (ko) 2022-03-30 2022-03-30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431A KR102558202B1 (ko) 2022-03-30 2022-03-30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202B1 true KR102558202B1 (ko) 2023-07-21

Family

ID=8742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431A KR102558202B1 (ko) 2022-03-30 2022-03-30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2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8002A1 (en) * 2017-01-20 2019-05-02 The Wave Pool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waves
KR20210007938A (ko) 2020-12-31 2021-01-20 정두화 서핑을 이용하기 위한 동적 인공 (52)파도 시설
KR102321721B1 (ko) * 2021-03-17 2021-11-04 오재진 조립식 서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8002A1 (en) * 2017-01-20 2019-05-02 The Wave Pool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waves
KR20210007938A (ko) 2020-12-31 2021-01-20 정두화 서핑을 이용하기 위한 동적 인공 (52)파도 시설
KR102321721B1 (ko) * 2021-03-17 2021-11-04 오재진 조립식 서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9212B1 (en) Swimming system current generator
CA2922576C (en) Inflatable water attraction
US10006213B2 (en) Swimming pool skimmer attachment
KR102558202B1 (ko) 인공 서핑장용 수류 토출 장치
US10774553B2 (en) Wave making apparatus
US20100269251A1 (en) Swim-in-place apparatus and methods
US9878255B2 (en) Surfing device and method
US8434966B1 (en) Sequenced chamber wave generator apparatus and method
ES2843545T3 (es) Dispositivo flotante para producir una ola estacionaria
US20200391090A1 (en) Wave generating system
US11173407B2 (en) Slide, inflatable water slide and pool
KR101886677B1 (ko)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KR20210101160A (ko) 파고 조절이 가능한 인공 리버 서핑 시스템
JP2006521120A (ja) サーフボード用滑走デバイス
JP2011106196A (ja) 放水ピット構造
KR20240030057A (ko) 실내 설치성이 개선된 인조 서핑장
KR200465994Y1 (ko) 씨 체스트를 구비한 선박
US20100167247A1 (en) Unit for training in water-based traction board sports and for recreational purposes
KR20110048834A (ko) 분수 형성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소파구조물
CN107002629B (zh) 用于经受摆动运动的结构的装置和方法
CA3076634A1 (en) Artificial surfing system
JP5708793B2 (ja) Lng受入構造
US20240011312A1 (en) Pool Wave Generator
KR10141152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