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664B1 -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 Google Patents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664B1
KR102219664B1 KR1020190156789A KR20190156789A KR102219664B1 KR 102219664 B1 KR102219664 B1 KR 102219664B1 KR 1020190156789 A KR1020190156789 A KR 1020190156789A KR 20190156789 A KR20190156789 A KR 20190156789A KR 102219664 B1 KR102219664 B1 KR 10221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sensing data
sensor network
data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파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파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파워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5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는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갱내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와, 이동체에 각기 탑재되어 갱 내에서 이동 중에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중 통신 가능 범위 내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각각 전달받는 복수개의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와, 통신 가능 범위 내의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와 통신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여 저장하고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통기 설비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Smart ventilation system in underground mines and closed areas us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통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 광산은 대형화 및 심부화되어 가고 있으며, 대형 장비가 갱내를 직접 갱내를 출입하면서 작업을 진행한다. 특히 광산에서 사용되는 대형 장비 및 설비들은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매연 및 미세먼지를 다량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갱내에서는 대규모의 통기 및 환기 장치 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광산의 통기 시스템은 생산비용 중 가장 큰 비중(국외 대형광산 약 50%, 국내 석회석 광산은 약 63%)을 차지하고 있으며 광산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더욱 많은 대형 장비가 사용되는 추세여서 그 비중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광산의 전통적인 환기 및 통기 설비는 정속형 팬을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원시적인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그로 인해, 과다한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팬 설비의 지속 가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광산의 갱도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계획이 변경되어 다양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통신선의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무선 통신망은 갱내 장애물 및 곡선 경로에 의해 매우 제한적이다. 유선 통신망의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경로가 자주 변경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가 반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제한적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갱내 통신망이 제대로 설치와 운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갱내의 곳곳의 환경 상황을 반영하여 통기 시스템을 적합하게 가동하는 것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는: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갱내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상기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이동체에 각기 탑재되어 상기 갱 내에서 이동 중에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중 통신 가능 범위 내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각각 전달받는 복수개의 IoT릴레이 무선중계기; 통신 가능 범위 내의 IoT릴레이 중계기와 통신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여 저장하고,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통기 설비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는 온도, 습도, 및 유해 가스 감지 센서, 기타 안전제어센서(지진, 기계설비, 수위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각각은 센싱 데이터를 정해진 소정 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각각은 최신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여 소정 시간 구간의 데이터를 현재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전송한다.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가 전송하는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데이터는 상기 최신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되 직전 전송 데이터와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진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는 상기 갱 내의 출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갱 내의 이동체가 상기 갱을 출입을 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와 상기 갱내 이동체에 탑재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를 통해 상기 갱으로 진입하는 이동체에 탑재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특정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특정 시간 구간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는 해당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 요청정보를 전달하며, 해당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는 수신한 데이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해당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 광산 및 폐쇄지역의 환기 또는 통기 장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 및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광산의 생산을 위한 장비운영비용 및 전력에너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특히 IoT기술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의 스마트통기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다양한 변경 사항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시 구동되었던 종래와는 달리 필요한 적절한 타이밍에 구동되기 때문에 환기 설비의 수명도 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채용되는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채용되는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채용되는 게이트웨이 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IoT를 이용하여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는 대신 구체적인 환경 상황에 따라서 해당 구역 또는 지점의 환기 또는 통기 시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하 광산 또는 폐쇄 지역 내에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는 복수개의 환경 센서들을 구비하여 배치된 지점이 속하는 구역에 대하여 상기의 환경 센서들이 환경 변화를 감지한다. 감지한 환경 변화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통신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를 지하 광산 및 폐쇄 지역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체에 탑재하는 IoT 방식을 채용한다. 예를 들어, 갱 내를 출입하는 차량에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를 탑재함으로써 갱 내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Data중계기의 구성 요소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은 갱 내에서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해당 구역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갱 밖으로 진출하면서 게이트웨이 중계기에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한다.
게이트웨이 중계기는 전달받은 센싱 데이터를 시스템제어부로 전달하고, 시스템제어부는 센싱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시스템제어부는 수집된 갱 내 또는 폐쇄 지역의 환경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구역에 배치된 환기 또는 통기 시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환경 센서는 온도, 습도, 및 각종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들을 포함한다. 환경 센서가 배치된 구역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정해진 기준치를 오버할 때, 해당 구역에 배치된 통기 설비를 적합한 범위로 가동한다. 여기서 적합한 범위는 팬의 회전 속도, 시간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각기 탑재되어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들과 무선 통신으로 환경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누락 없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어도 직전 전송한 데이터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다.
더 나아가, 시스템제어부는 누락되거나 에러가 발생된 센싱 데이터에 대하여는 데이터 요청정보를 보내서 해당 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다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은 매우 경제적인 비용으로 지하광산 또는 폐쇄지역에 통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다. 현재 지속적으로 통기 팬을 가동하여야 하는 광산에서 통기와 관련된 비용이 전체 비용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획기적인 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적합한 통기 시설의 가동을 통해 지하 광산 및 폐쇄지역의 환경을 더욱 바람직하게 개선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지하 광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은 갱 내 또는 폐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와, 갱 내 또는 폐쇄구역 내를 출입하는 이동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와,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여 저장하고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환기 설비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들이 지하 갱내 또는 폐쇄 지역에 분산하여 배치되어 해당 구역의 환경을 감지한다. 이러한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들 각각은 온도, 습도, 유해 가스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중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 각각은 해당 구역의 환경을 센싱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와 통신 연결되었을 때 센싱한 데이터를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에 전달한다. 릴레이 중계기(R1~R3)들은 이동체에 설치되어, 지하 갱내 또는 폐쇄 구역을 이동하면서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된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로부터 센싱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들은 이동체가 지하 갱내를 빠져나올 때 입구에 배치된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와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되어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한다.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100)로 전달하고, 시스템 제어부(100)는 센싱 데이터를 정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구역의 통기 설비(F1~F1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하 갱도를 확장 전진하면서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를 곳곳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별도의 유선 케이블 등을 설치할 필요없이 IoT기술를 이용한 스마트통기 제어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
도 3은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채용되는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는 단말기 제어부(200), 무선 통신모듈(210), 저장부(220), 전원부(230), 및 센서그룹(241~245)을 포함한다. 센서그룹은 온도센서(241), 습도센서(243), 유해가스 감지센서(242), 화재 감지센서(244), 중력센서(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단말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센싱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은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저장된 상태로 보관된 후 소거된다. 무선 통신모듈(210)은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와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된다. 어느 IoT릴레이 무선중계기가 통신 연결이 될 경우, 단말기 제어부(200)는 저장된 센싱 데이터를 무선 통신모듈(210)을 통해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로 전달한다. 전원부(230)는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유선 전원 라인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에서도 센싱 및 통신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
도 4는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채용되는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는 중계기 제어부(300), 무선 통신모듈(310), 저장부(320), 및 전원부(330)를 포함한다.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는 덤프 트럭과 같이 갱내를 출입하는 이동체에 탑재될 수 있다. 이동체는 지하 갱내 또는 폐쇄구역 내를 이동하면서 통신 연결 가능 범위 내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와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된다. 또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는 갱도의 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와도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된다.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는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와 통신 연결될 때에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와 통신 연결될 때에는 저장하고 있는 센싱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에 전달한다.
[게이트웨이 중계기(G)]
도 5는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 채용되는 게이트웨이 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는 중계기 제어부(400), 무선 통신모듈(400), 유선 통신모듈(450), 저장부(420), 및 전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의 무선 통신모듈(400)은 갱내 또는 폐쇄구역을 출입하는 이동체에 탑재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와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요소이다. 또한 유선 통신모듈(450)은 시스템 제어부(100)와 통신 연결을 위한 요소이다.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는 무선적으로 통신 연결되는 릴레이 중계기(R1~R3)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또한 시스템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은 시스템 제어부(100), 및 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스템 제어부(100)에는 관리자 단말기가 더 연결될 수도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갱내 또는 폐쇄구역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에서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 각각은 최신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여 소정 시간 구간의 데이터를 현재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에 전송한다.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가 전송하는 소정 시간 구간의 데이터는 최신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되 직전 전송 데이터와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고, 시스템 제어부(100)가 수집된 데이터들을 정리하여 저장할 때 중복되는 부분을 신속하게 찾음으로써 빠른 동작이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G1, G2)를 통해 갱으로 진입하는 이동체에 탑재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에 특정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의 특정 시간 구간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는 해당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에 데이터 요청정보를 전달하며, 해당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T1~T8)는 수신한 데이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해당 IoT릴레이 무선중계기(R1~R3)에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F1~F10: 통기 설비, R1~R3: IoT릴레이 중계기, T1~T8: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G1, G2: 게이트웨이 중계기, 100: 시스템 제어부, 110: 저장부

Claims (7)

  1.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으로서: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갱내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상기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상기 갱 내를 출입하는 이동체에 각기 탑재되어 상기 갱 내에서 이동 중에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중 통신 가능 범위 내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각각 전달받는 복수개의 IoT릴레이 무선중계기;
    통신 가능 범위 내의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와 통신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여 저장하고,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통기 설비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각각은 센싱 데이터를 정해진 소정 기간 동안 보관하고,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각각은 최신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여 소정 시간 구간의 데이터를 현재 연결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전송하며,
    상기 복수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가 전송하는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데이터는 상기 최신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되 직전 전송 데이터와 오버랩되는 부분을 가지는 것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환경 센서는 온도, 습도, 및 유해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는 상기 갱 내의 출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갱 내의 이동체가 상기 갱을 출입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와 상기 갱내 이동체에 탑재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교환하는 것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중계기를 통해 상기 갱으로 진입하는 이동체에 탑재된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특정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특정 시간 구간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한 릴레이 중계기는 해당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 요청정보를 전달하며,
    해당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는 수신한 데이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해당 IoT릴레이 무선중계기에 전송하는 것인,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KR1020190156789A 2019-11-29 2019-11-29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KR10221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89A KR102219664B1 (ko) 2019-11-29 2019-11-29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89A KR102219664B1 (ko) 2019-11-29 2019-11-29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664B1 true KR102219664B1 (ko) 2021-02-24

Family

ID=7468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789A KR102219664B1 (ko) 2019-11-29 2019-11-29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6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494A (ko) * 2010-11-26 2012-07-09 주식회사 휴텍이일 광산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494A (ko) * 2010-11-26 2012-07-09 주식회사 휴텍이일 광산 안전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dkaos, "진동 측정", https://redka0s.tistory.com/19(2017.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0469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ft system
KR101905125B1 (ko) 스마트 터널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A2530795A1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location of a mining vehicle in a mine
KR20070109480A (ko) 교통정보 검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루프검지장치
US20030203716A1 (en) Wireless data collecting system and wireless data relay apparatus
KR20170061968A (ko) 로봇을 이용한 감시 및 보안 시스템
KR102458696B1 (ko) 레일 로봇 및 레일 로봇 시스템
KR102219664B1 (ko) IoT기술을 이용한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스마트통기시스템
KR102404039B1 (ko)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무선데이터 송수신용 IoT릴레이무선중계기
KR10119456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방법
CN112556514B (zh) 一种重型运载火箭发射支持设备远程状态监测系统
WO2021161686A1 (ja) センサ制御用無線タグ、移動体および点検システム
KR102081840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058532B1 (ko) 지하철 터널 내 조명 제어방법
CN205292689U (zh) 一种轨道交通供电系统带电检测显示系统、显示器及装置
JP2002341937A (ja) 作業ロボットの移動方法
KR102473723B1 (ko)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CN103147797A (zh) 煤矿井下火情监测机器人
KR20120137906A (ko) 송유관 보안 시스템
CN107354956A (zh) 一种带有海绵城市功能的综合管廊系统
KR100547471B1 (ko) 컴퓨터양방제어와 지피에스를 활용한 가로등 중앙집중 관리 시스템
KR102171744B1 (ko) Cra를 이용한 궤도주행로봇
JP3672411B2 (ja) 無線式警備システム
KR100908924B1 (ko) 교통정보 검출 시스템
CN214570195U (zh) 一种罩式炉天车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