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610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610B1
KR102219610B1 KR1020140139673A KR20140139673A KR102219610B1 KR 102219610 B1 KR102219610 B1 KR 102219610B1 KR 1020140139673 A KR1020140139673 A KR 1020140139673A KR 20140139673 A KR20140139673 A KR 20140139673A KR 102219610 B1 KR102219610 B1 KR 10221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layer
coil
moto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784A (ko
Inventor
윤춘식
최성호
염슬기
황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13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6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에 회전자를 수용하는 코어와, 코어로부터 회전자를 향해 돌출하여 코일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폴을 갖는 모터의 고정자는,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권취폴 중 일측의 권취폴에는 권취폴의 자유단부로부터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고, 타측의 권취폴에는 코어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코일의 권취가 시작된다. 이에 의해, 모터의 점적률이 개선되어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의 소형화 및 중량 감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구조를 변경하여 동일한 크기의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의 턴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모터의 잠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코일이 권취된 고정자와, 고정자 내에 수용되어 고정자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의 턴 수는 모터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이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고정자에 보다 많은 턴 수를 갖도록 코일을 권취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권취슬롯의 확대단면도이다.
고정자(10)는, 중심에 회전자(5)가 수용되는 코어(11)와, 코어(11)의 내벽면으로부터 회전자(5)를 향해 돌출한 복수의 권취폴(15)을 포함한다. 각 권취폴(15)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이웃하는 한 쌍의 권취폴(15) 사이에는 코일이 수용되는 권취슬롯(20)이 형성되어 있다.
각 권취폴(15)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구조는 동일하며, 이에 따라, 이웃하는 한 쌍의 권취폴(15)에 의해 형성된 권취슬롯(20)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코일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권취폴(15)에 권취된 코일은 4개의 레이어로 형성되며, 각 레이어를 이루는 코일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된다. 제1레이어(21)는 12개의 턴 수를 가지며, 코어(11)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되고, 제2레이어(22)는 권취슬롯(20)의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된다. 제3레이어(23)는 코어(11)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되며, 제4레이어(24)는 권취슬롯(20)의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된다.
이렇게 코일을 권취할 때, 이웃하는 권취폴(15)에 권취된 코일은 절연을 위해 상호 4m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하며, 레이어 간 이동할때 2개 이상의 코일을 건너뛰면 안된다.
종래의 권취구조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3레이어(23)에 적어도 하나의 턴을 더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4개의 턴만 형성하고 제4레이어(24)로 이동하였다. 이는, 제3레이어(23)에서 하나의 턴을 더 형성할 경우, 제3레이어(23)의 마지막 턴인 26번째 턴과, 제4레이어(24)의 첫번째 턴인 27번째 턴이 2개 이상의 코일을 두고 이격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3레이어(23)에 턴을 더 형성하려면 제4레이어(24)의 27번째 턴 옆에 하나의 턴을 더 형성해야 하는데, 이 경우, 27번째 턴 옆에 형성될 턴은 이웃하는 권취폴(15)에 권취된 코일과의 간격이 0.4mm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부적절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정자(10) 권취구조는 각 권취폴(15)에 권취된 코일이 동일한 권취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실되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손실 공간은 고정자(10)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무게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구조를 변경하여 동일한 크기의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의 턴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모터의 잠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은, 중심에 회전자를 수용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하여 코일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폴을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권취폴 중 일측의 권취폴에는 상기 권취폴의 자유단부로부터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고, 타측의 권취폴에는 상기 코어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중심에 회전자를 수용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하여 코일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폴을 갖는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권취폴 중 일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이 형성하는 각 레이어의 턴 수와, 타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이 형성하는 각 레이어의 턴 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의 제1권취구조와 제2권취구조를 비대칭적으로 구성하고, 권취방향을 상호 반대로 설계함에 따라, 종래보다 많은 턴 수의 코일을 권취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점적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고정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턴 수의 코일을 권취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종래와 동일한 성능의 모터를 구성할 경우에는, 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 자유도가 개선된다. 또한, 모터의 소형화로 인해 중량이 감소되므로 제품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권취슬롯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권취슬롯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권취구조와 권취방향이 반대인 권취구조를 보인 권취슬롯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권취슬롯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10)는, 이웃하는 권취폴(115)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구조를 비대칭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각 권취슬롯(120)내의 손실공간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잠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정자(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회전자(105)를 수용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코어(111)와, 코어(111)로부터 회전자(105)를 향해 돌출하여 코일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폴(115)을 갖는다.
코어(111)와 각 권취폴(115)은 일체로 형성되며, 권취폴(115)은 코어(111)의 내주면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권취폴(115)의 개수는 짝수로 형성되며, 모터의 특성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된다.
각 권취폴(115)에 대해, 코어(111)로부터 회전자(105)를 향한 방향을 세로방향이라하고 세로방향의 직각방향을 가로방향이라 하면, 권취폴(115)의 가로방향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다. 권취폴(115)의 자유단부에는 권취폴(115)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권취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권취폴(1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이웃하는 권취폴(115) 사이에는 코일이 수용되는 권취슬롯(1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권취슬롯(120)은 권취폴(115)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권취슬롯(120)의 권취폴(115) 자유단부에 인접한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각 권취폴(115)의 가로방향 폭이 일정하고, 코어(111)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권취슬롯(120)은 코어(111) 측에서 개구로 갈수록 그 가로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권취폴(115)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권취돌기(116)는 권취슬롯(120)의 개구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권취슬롯(120)의 개구는 급격히 좁아지기 때문에, 권취돌기(116)에 의해 권취슬롯(120)내에 수용된 코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권취폴(115)에는 코일이 권취되어 권취슬롯(120)내에 수용되며, 이웃하는 권취폴(115)에 권취되는 코일은 상호 비대칭적인 권취구조를 갖도록 권취된다. 즉, 각 권취폴(115)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구조가 이웃하는 권취폴(115)의 코일의 권취구조와 상이하다. 이때, 각 권취폴(115)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구조는 이웃하는 권취폴(115)과는 상이하지만, 그 다음 이웃하는 권취폴(115)과는 동일하다. 즉, 각 권취폴(115)의 권취구조는 2가지로 형성되며, 각 권취폴(115)은 교대로 2가지 중 한 가지의 권취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하나의 권취슬롯(12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코일은 그 권취구조가 상호 상이하다.
한편, 하나의 권취슬롯(12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코일은, 상호 비대칭적인 권취구조로 권취됨에 따라, 각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는 영역이 상이하다. 즉, 권취슬롯(120)에 수용된 코일 중 하나는 권취슬롯(120)의 코어(111)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되고, 다른 하나는 권취슬롯(120)의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된다.
이러한 각 권취폴(115)의 권취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권취폴(115)을 갖는 고정자(110)의 경우, 각 권취폴(115)을 제1 내지 제12권취폴(115a~115l)이라 하면, 제1, 3, 5, 7, 9, 11권취폴(115a,115c,115e,115g,115i,115k)의 권취구조는 제2, 4, 6, 8, 10, 12권취폴(115b,115d,115f,115h,115j,115l)의 권취구조와 상이하다. 그리고 제1, 3, 5, 7, 9, 11권취폴(115a,115c,115e,115g,115i,115k)의 권취구조는 상호 동일하고, 제2, 4, 6, 8, 10, 12권취폴(115b,115d,115f,115h,115j,115l)의 권취구조는 상호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3, 5, 7, 9, 11권취폴(115a,115c,115e,115g,115i,115k)의 권취구조를 제1권취구조(118a)라 지칭하고, 제2, 4, 6, 8, 10, 12권취폴(115b,115d,115f,115h,115j,115l)의 권취구조는 제2권취구조(118b)라 지칭한다.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는 코일이 권취된 레이어의 개수가 상이하고, 코일의 권취방향이 상이함에 따라,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에 대해 상호 대응되는 레이어를 이루는 턴 수가 상이하다.
제1권취구조(118a)는, 코일이 5개의 레이어로 권취되며, 상부의 레이어로 갈수록 권취된 코일의 개수인 턴(Turn) 수가 적어진다. 제1권취구조(118a)의 총 턴 수가 34이면, 제1레이어(121a)의 턴 수는 12, 제2레이어(122a)의 턴 수는 10, 제3레이어(123a)의 턴 수는 8, 제4레이어(124a)의 턴 수는 3, 제5레이어(125a)의 턴 수는 1이 된다.
각 레이어는 코일의 권취가 지그재그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레이어의 권취방향이 반대가 된다.
제1권취구조(118a)의 제1레이어(121a)는 권취슬롯(120)의 개구에 형성된 권취돌기(116)의 내측에 접하도록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며, 이에 따라, 제1레이어(121a)에서는 권취슬롯(120)의 개구로부터 코어(111)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된다. 제2레이어(122a)는, 제1레이어(121a)와는 반대로, 코어(111)로부터 개구를 향해 권취가 진행되고, 제3레이어(123a)는 개구로부터 코어(111)를 향해 권취가 진행된다. 제4레이어(124a)는 코어(111)로부터 개구를 향해 권취가 진행되고, 제5레이어(125a)는 코어(111)에 인접하게 권취가 된다.
이렇게 코일이 권취될 때, 각 레이어의 마지막 턴과 다음 레이어의 마지막 턴일은 코일을 2개이상 넘지 않아야 한다.
제1권취구조(118a)는 제1레이어(121a)가 권취슬롯(120)의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되어 제1레이어(121a)의 권취가 완료된 후, 제1레이어(121a)에서 제2레이어(122a)로 이동할 때, 제1레이어(121a)의 마지막 턴인 12번째 턴과, 제2레이어(122a)의 첫번째 턴인 13번째 턴이 상호 이웃하도록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제2레이어(122a)의 마지막 턴인 22번째 턴과, 제3레이어(123a)의 첫번째 턴인 23번째 턴은 코일 하나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있다. 제3레이어(123a)의 마지막 턴인 30번째 턴과, 제4레이어(124a)의 첫번째 턴인 31번째 턴은 상호 이웃하도록 권취되어 있고, 제4레이어(124a)의 마지막 턴인 33번째 턴과, 제5레이어(125a)의 34번째 턴은 코일 하나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권취구조(118a)에서는 각 레이어 간에 이동할 때, 각 턴은 1개 이하의 코일 차이를 두고 권취되어 있다.
만약, 제1권취구조(118a)에서 제1레이어(121a)의 1번째 턴을 코어(111)에 인접한 영역에서 시작했다면, 도 3의 23번째 턴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번째 턴이 되었을 것이고, 도 3의 33번째 턴은, 도 5의 31번째 턴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면, 30번째 턴에서 31번째 턴으로 진행할때 무려 5개의 코일을 넘어가야 하므로, 코일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노이즈 등에 의해 모터의 성능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권취구조(118a)에서 제1레이어(121a)의 권취를 권취슬롯(120)의 개구에서 시작한 것은 고정자의 설계상 바람직하다.
제2권취구조(118b)는, 코일이 4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며, 상부의 레이어로 갈수록 권취된 코일의 개수인 턴 수가 적어진다. 제2권취구조(118b)의 총 턴 수가 34이면, 제1레이어(121a)의 턴 수는 12, 제2레이어(122a)의 턴 수는 11, 제3레이어(123a)의 턴 수는 6, 제4레이어(124a)의 턴 수는 5가 된다.
제2권취구조(118b)는 제1권취구조(118a)와 마찬가지로, 각 레이어는 상호 지그재그 방향으로 코일이 권취되나, 제1레이어(121b)의 권취 시작점이 제1권취구조(118a)와 상이하다. 이에 따라, 제2권취구조(118b)의 각 레이어의 권취방향은 제1권취구조(118a)의 각 레이어의 권취방향과 상이하다.
제2권취구조(118b)의 제1레이어(121b)는 권취슬롯(120)의 코어(111)에 인접한 영역에서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며, 이에 따라, 제1레이어(121b)에서는 권취슬롯(120)의 코어(111)로부터 개구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된다. 제2레이어(122b)는, 제1레이어(121b)와는 반대로, 개구로부터 코어(111)를 향해 권취가 진행되고, 제3레이어(123b)는 코어(111)로부터 개구를 향해 권취가 진행된다. 제4레이어(124b)는 개구로부터 코어(111)를 향해 권취가 진행된다.
이렇게 제2권취구조(118b)는 권취슬롯(120)의 코어(111)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권취가 시작되고, 각 레이어에 대해 상호 지그재그로 권취가 진행되기 때문에, 각 레이어 간의 이동시 2개 이상의 코일을 넘지 않아도 된다. 즉, 제1레이어(121b)의 마지막 턴인 12번째 턴에서 제2레이어(122b)의 첫번째 턴인 13번째 턴으로 이동할 때, 13번째 턴은 12번째 턴으로부터 한개의 코일을 넘어서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제2레이어(122b)의 마지막 턴인 23번째 턴에서 제3레이어(123b)의 첫번째 턴인 24번째 턴으로 이동할 때는, 23번째 턴과 24번째 턴이 상호 접하도록 권취되어 있다. 제3레이어(123b)의 마지막 턴인 29번째 턴과 제4레이어(124b)의 첫번째 턴인 30번째 턴은 한개의 코일을 넘어서 권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권취구조(118b)에서도 각 레이어 간에 이동할 때, 각 턴은 1개 이하의 코일 차이를 두고 권취되어 있다.
만약, 제2권취구조(118b)에서 제1레이어(121b)의 1번째 턴을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시작했다면, 도 3의 13번째 턴이 도 5의 23번째 턴이 되었을 것이고, 도 3의 29번째 턴이 도 5의 24번째 턴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면, 23번째 턴에서 24번째 턴으로 진행할때 4개의 코일을 넘어가야 한다. 이에 따라, 제2권취구조(118b)는 제1레이어(121b)의 권취가 코어(111)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시작한 것은 설계상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를 이루는 코일은, 절연을 위해 상호 최소 0.4 mm는 이격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는, 종래보다 더 많은 턴 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권취슬롯(120)을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누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보면, 가장 인접한 코일간의 거리가 최소 0.4 mm를 유지하도록 코일이 권취되어 있다.
이러한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를 비교해보면, 양자는 레이어의 개수를 달리하여 상호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며, 제1권취구조(118a)는 권취슬롯(120)의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권취를 시작하고 제2권취구조(118b)는 권취슬롯(120)의 코어(111)에 인접한 영역에서 권취를 시작함에 따라,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는 권취방향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자(110)는 코일이 권취되는 제1권취구조(118a)와 제2권취구조(118b)를 비대칭적으로 구성하고, 권취방향을 상호 반대로 설계함에 따라, 제1권취구조(118a)의 코일과 제2권취구조(118b)의 코일 중 가장 인접한 코일 간의 거리가 최소 0.4mm를 유지하면서도 종래보다 많은 턴 수의 코일을 권취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종래 고정자(110)에서는 코일의 턴 수가 29개인데 반해, 본 발명의 고정자(110)의 턴 수는 34개가 되므로, 모터의 점적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모터의 점적률이 44.2%인데 반해, 본 발명의 점적률은 51.8%로 7.6%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고정자(1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턴 수의 코일을 권취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고정자(110)를 이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턴 수를 갖는 동일한 성능의 모터를 구성할 경우, 고정자(110)의 외경을 2.2Φ만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 자유도가 개선된다. 또한, 모터의 소형화로 인해 중량이 감소되므로 제품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105 : 회전자 10, 110 : 고정자
11, 111 : 코어 15, 115 : 권취폴
116 : 권취돌기 20, 120 : 권취슬롯
118a : 제1권취구조 118b : 제2권취구조
121a, 121b : 제1레이어 122a, 122b : 제2레이어
123a, 123b : 제3레이어 124a, 124b : 제4레이어
125a : 제5레이어

Claims (5)

  1. 중심에 회전자를 수용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하여 코일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폴을 갖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권취폴 중 일측의 권취폴에는 상기 권취폴의 자유단부로부터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고, 타측의 권취폴에는 상기 코어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코일의 권취가 시작되되,
    상기 일측의 권취폴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 방향과 상기 타측의 권취폴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취 방향은 상호 반대이고,
    상기 일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의 레이어 개수와, 상기 타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의 레이어 개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이 형성하는 각 레이어의 턴 수와, 상기 타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이 형성하는 각 레이어의 턴 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의 총 턴 수와, 상기 타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의 총 턴 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코일의 권취구조는, 상기 권취폴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코어 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수 레이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상기 권취폴의 자유단부 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짝수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타측의 권취폴에 권취된 권취구조는, 상기 코어에서 상기 권취폴의 자유단부 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수 레이어와, 상기 권취폴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코어 방향으로 권취가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짝수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40139673A 2014-10-16 2014-10-16 모터 KR10221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673A KR102219610B1 (ko) 2014-10-16 2014-10-16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673A KR102219610B1 (ko) 2014-10-16 2014-10-16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784A KR20160044784A (ko) 2016-04-26
KR102219610B1 true KR102219610B1 (ko) 2021-02-24

Family

ID=5591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673A KR102219610B1 (ko) 2014-10-16 2014-10-16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0023A4 (en) * 2018-08-10 2022-01-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TOR CORE AND PROCESSING METHODS THEREOF
KR20200033538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코렌스글로벌 2단 동선 및 이를 채용한 전동기
CN109818444A (zh) * 2019-02-18 2019-05-28 浙江龙芯电驱动科技有限公司 一种高槽满率集中绕组无刷电机定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935B1 (ko) * 2011-02-14 2015-08-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전기의 고정자 및 그 권선방법
JP5376016B1 (ja) * 2012-08-03 2013-12-25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784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3089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ES2663318T3 (es) Estator de máquina giratoria
KR102219610B1 (ko) 모터
JP5711327B2 (ja) 変圧器
JP6735094B2 (ja) 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6118062B2 (ja) 固定子コア
JP6351866B2 (ja) 回転電機
JP6523626B2 (ja) トランス
JP5710329B2 (ja) 回転電機の電機子巻線
JP5460529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KR101092072B1 (ko) 직렬 또는 병렬 결선이 용이한 스테이터 코어
US9601255B2 (en) Amorphous core transformer
WO2014132288A1 (ja) 回転電機
JP7194624B2 (ja) インシュレータ
KR102077346B1 (ko) 영구자석모터의 프릭션을 저감시키는 스테이터 코어
JP2008311626A (ja) 変圧器及びそのコイル巻線方法
JP2009153312A (ja) 回転電機用固定子
JP2006345650A (ja) モータ用ティース構造
JP7063205B2 (ja) 固定子巻線構造
JP2015079934A (ja) 磁性素子
KR102233003B1 (ko) 슬롯리스 전동기의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슬롯리스 전동기
JP2006042574A (ja) 回転電機のコイル
JP6755446B2 (ja) レゾルバステータ構造
KR102511276B1 (ko) 축방향 자속형 모터용 평각형 코일 및 코어
US11258328B2 (en) Motor with flat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