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435B1 -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435B1
KR102219435B1 KR1020190062695A KR20190062695A KR102219435B1 KR 102219435 B1 KR102219435 B1 KR 102219435B1 KR 1020190062695 A KR1020190062695 A KR 1020190062695A KR 20190062695 A KR20190062695 A KR 20190062695A KR 102219435 B1 KR102219435 B1 KR 10221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ion material
nozzle
deposition
substrate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40A (ko
Inventor
김형민
차중원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4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25Oblique incidence of vaporised material on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증착 장치로서, 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증착 물질을 포함하는 증착원; 및 상기 증착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관형태는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방향에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NOZZLE AND DEPOSITING APPARATUS INCLUDING THE NOZZEL}
본 발명은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데 이용되는 분사 노즐 및 이러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증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장치,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에서 유기물질이나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 등은 일반적으로 진공 분위기에서 해당 물질을 증착하여 평판 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진공 증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진공 증착법은 진공 챔버 내부에 유기 박막을 성막시킬 기판을 위치시키고, 형성될 박막 등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마스크를 밀착시킨 후, 증착원을 이용하여 유기물질과 같은 증착 물질을 증발 또는 승화시켜 기판에 증착시키는 것이다.
종래 증착 방법에서, 증착기로부터 유기물을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유기물을 고온으로 가열시켜야 하는 데, 이 경우 유기물의 물성이 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발원으로부터 분사되는 증착 물질은 다양한 분사각으로 분사될 수 있으므로, 증착 물질이 분사되어 기판에 도달하는 각도에 따라 마스크와 기판 사이에 유기물질이 불균일하게 침투하여 증착되는 섀도우(shadow)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착 물질이 수직방향으로 기판에 증착하여 증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는 증착 물질의 분사속도의 불균일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증착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증착 장치는, 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증착 물질을 포함하는 증착원; 및 상기 증착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관형태는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방향에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는,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단위 개수의 노즐로 형성된 노즐 유닛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유닛으로 구성된 노즐부의 형상은 판 형태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은 상기 증착원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증착원에 연결되어, 상기 증착 물질이 인입되는 제1 분사부; 및 상기 제1 분사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증착 물질이 상기 기판을 향해 분사되도록 형성된 제2 분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제1 분사부는 상기 증착 물질의 인입 방향에 따라, 수평선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분사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제2 분사부는 상기 제1 분사부에 연결된 입구 및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제2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의 지름이 상기 출구의 지름보다 길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제2 분사로는 속도 경사각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폭 만큼 떨어진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상의 위치에서,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 수직 속도 성분 및 상기 증착 물질의 수평 속도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분사폭은 상기 출구의 지름의 4배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분사폭은, 상기 중심에서의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대비 상기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속도가 1%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6.2° ~ 7° 사이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단위 개수는 7개이고, 상기 유닛은 육각형 형상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부의 상기 유닛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노즐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는 노즐을 제공하고, 이러한 노즐은 기판에 증착 물질이 분사되도록 형성된 노즐로서, 상기 증착 물질은 상기 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증착원에 포함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증착원 상에 배치된 판 형태의 노즐부에 포함되고 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형태는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방향에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은, 상기 증착원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증착원에 연결되어, 상기 증착 물질이 인입되는 제1 분사부; 및 상기 제1 분사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증착 물질이 상기 기판을 향해 분사되도록 형성된 제2 분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상기 제1 분사부는 상기 증착 물질의 인입 방향에 따라, 수평선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분사로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상기 제2 분사부는 상기 제1 분사부에 연결된 입구 및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제2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의 지름이 상기 출구의 지름보다 길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상기 제2 분사로는 속도 경사각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폭 만큼 떨어진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상의 위치에서,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 수직 속도 성분 및 상기 증착 물질의 수평 속도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상기 분사폭은 상기 출구의 지름의 4배에 대응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상기 분사폭은, 상기 중심에서의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대비 상기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속도가 1%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6.2° ~ 7° 사이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과 다른 노즐은 형상은 판 형태인 노즐부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을 7개 포함하는 육각형 형상이며, 상기 육각형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의 중심과 상기 다른 노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착 물질이 수직방향으로 기판에 증착하여 증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증착 물질의 분사속도의 불균일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에 포함되는 노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노즐부의 노즐 및 이에 대응하는 기판의 일부와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는 증착원(10), 기판(20), 마스크(30), 및 노즐부(100)를 포함한다.
노즐부(100)는 복수의 노즐(n)을 포함하고, 복수의 노즐(n) 각각은 증착원(10)의 일측으로부터 증착원(1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노즐부(100)는 소정의 단위 개수(예를 들어, 7개)를 한 단위로 하는 노즐 유닛(u, 이하 유닛이라 함)을 복수 포함하는 판 형태(Surface type)의 노즐부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닛(u)은 단위 개수(예를 들어 7개)의 노즐(n)을 포함하여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닛(u)의 한 변의 길이(X)는 제2 분사로(1021)의 출구 지름(d2)의 3배, 즉 3d2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n)은 증착 물질(200)이 분사되도록 중공형의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n)은 증착원(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내부 공간에서 기화 또는 승화된 증착 물질(200)이 기판(20)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된 증착 물질(200)은 진공 중에 분사되므로, 방향성을 잃고 노즐(n)의 출구를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따라서, 노즐(n)의 형상과 각도는 증착 물질(200)의 증착 균일도와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노즐(n)의 상부 형상과 각도 및 노즐(n)의 하부 형상과 각도는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노즐(n)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는 적절한 진공도가 유지되는 진공 챔버(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절한 진공도가 유지되는 진공 챔버 내에 증착 장치가 배치됨에 따라 노즐부(100)로부터 분사된 증착 물질(200)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증착 물질(200)은 표시장치에서 유기 발광층, 즉, R(적색), G(녹색), B(청색)를 나타내는 부화소를 형성하는 유기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진공 챔버는 처리되는 기판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증착원(10)은 기판(2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기판(20)에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 물질(200)을 수용하는 도가니(crucible, 미도시)를 포함하여 내부에 유기물질과 같은 증착 물질(200)을 저장할 수 있다. 증착원(10)은 서로 마주보는 기판(20)의 길이 방향(제1 방향)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된다.
기판(20)은 마스크(30)(mask)와 함께 기판 고정부(미도시)로써 고정될 수 있다.
마스크(30)는 기판(20) 상에 유기막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30)의 개구부 형상에 따라 기판(20)상에 유기물질이 증착될 수 있다. 증착원(10)과 기판(20)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거리(H)를 형성하고, 기판에 증착 물질(200)이 증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거리(H)는 40d2 내지 50d2의 범위일 수 있으니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진공 챔버, 증착원(10), 증착 물질(200), 기판(20), 및 마스크(30)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증착 장치에서 사용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노즐(n)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n)은 제1 분사부(101)와 제2 분사부(102)로 구성된다. 제1 분사부(101)는 증착원(10)으로부터 인입 방향(id)으로 증착 물질(200)이 인입되고 제2 분사부(102)에서 증착 물질(200)이 기판(20)을 향해 분사된다.
제1 분사부(101)는 증착원(10)과 기판(20) 사이에 형성되고 일단이 증착원(10)에 연결되며, 증착원(10)의 높이 방향으로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제1 분사로(1011)를 갖는다.
제1 분사로(1011)의 인입구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인입 방향(id)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각도(a)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각도(a)는 제2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제2 분사부(102)의 형상은 제2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경사 형상이 되도록 제2 분사로(1021)의 입구의 지름(d1, 이하 제1 지름이라 함)과 제2 분사로(1021)의 출구의 지름(d2, 이하 제2 지름이라 함)은 서로 동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름(d1)은 제 2 지름(d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분사로(1021)는 제1 분사로(1011)의 타단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소정의 속도 경사각(이하, 경사각이라 함, θ)만큼 경사진 제2 분사로(1021)를 갖는다.
이러한 경사각(θ)은, 노즐(n)의 중심(c)으로부터 분사폭(L)만큼 떨어진 지점에 대응하는 기판(20)상의 위치에서, 증착 물질(200)의 분사 수직 속도 성분과 분사 수평 속도 성분을 포함하는 속도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이다. 이러한 속도 경사각은 제1 범위(예를 들어, 6.2° ~ 7°)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사각(θ)으로써, 제1 분사로(1021)가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선형적으로 작아지는 형태가 되어야 증착 물질(200)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증착 물질(200)의 직진성이 증대됨에 따라 섀도우 불량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중심(c)에서의 증착 물질(200)의 수평 분사 속도가 0이고, 이러한 증착 물질(200)의 분사폭(L)은 중심(c)에서의 증착 물질(200)의 수직 분사 속도를 기준 수직 분사 속도로 하여 중심(c)으로부터 기준 수직 분사 속도 대비 1%의 수직 분사 속도가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분사폭(L)은 제2 지름(d2)의 4배(4d2)가 된다.
또한, 복수의 노즐(n) 중, 어느 한 노즐(n)의 제2 분사로(1021)의 출구와 이웃 노즐의 제2 분사로(1021)의 출구 사이의 거리는 제2 분사로(1021)의 출구 지름(d2)의 3배일 경우 증착 물질(200)의 균일도가 향상된다.
증착 물질의(200)의 불균일도는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며, 복수의 노즐(n) 각각의 제2 분사로(1021) 출구 사이의 간격과 증착 물질의(200)의 불균일도와의 관계는 이하의 표 1과 같다.
[수학식 1]
불균일도 = (증착 물질의 속도 - 증착 물질의 최소 속도)/증착 물질의 최대 속도
제2 분사로 출구들 사이의 간격 증착 물질의 균일도
5d2 0.64
4d2 0.42
3d2 0.22
표 1을 참조하면, 제2 분사로(1021)들의 출구 사이의 거리는 출구 지름(d2)의 3배일 경우 증착 물질(200)의 불균일도가 가장 낮은 0.22가 되어 기판(20)에 증착 효율이 가장 높게 됨을 알 수 있다.
제2 분사로(1021)들의 출구 사이의 거리가 출구 지름(d2)의 3배 이하, 예를 들어 2배인 경우, 복수의 노즐(n) 제1 분사로(1011)의 인입구는 서로 서로 겹치게 된다.
따라서, 제1 분사로(1011)의 인입구들이 서로 겹치지 않고 증착 물질(200)의 불균일도가 가장 낮도록, 제2 분사로(1021)들의 출구 사이의 거리는 출구 지름(d2)의 3배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증착원
20: 기판
30: 마스크
100: 노즐부
n: 노즐
u: 유닛

Claims (22)

  1. 증착 장치로서,
    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증착 물질을 포함하는 증착원; 및
    상기 증착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도록 관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단위 개수의 노즐로 형성된 노즐 유닛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유닛으로 구성된 노즐부의 형상은 판 형태이고,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은
    상기 증착원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증착원에 연결되어, 상기 증착 물질이 인입되는 제1 분사부; 및
    상기 제1 분사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증착 물질이 상기 기판을 향해 분사되도록 형성된 제2 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부는 상기 증착 물질의 인입 방향에 따라, 수평선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사부는 상기 제1 분사부에 연결된 입구 및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제2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의 지름이 상기 출구의 지름보다 길고, 상기 제2 분사로는 속도 경사각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관형태는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방향에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폭은 복수의 노즐 각각의 내경이며,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폭 만큼 떨어진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상의 위치에서,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 수직 속도 성분 및 상기 증착 물질의 수평 속도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이고,
    상기 경사각은 상기 수직 속도 성분에 대한 상기 수평 속도의 비에 대응하는 각도인, 증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폭은 상기 출구의 지름의 4배에 대응하는, 증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폭은, 상기 중심에서의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대비 상기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속도가 1%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인, 증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6.2° ~ 7° 사이인, 증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개수는 7개이고, 상기 유닛은 육각형 형상인, 증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하는, 증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하는, 증착 장치.
  13. 기판에 증착 물질이 분사되도록 형성된 노즐로서,
    상기 증착 물질은 상기 기판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증착원에 포함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증착원 상에 배치된 판 형태의 노즐부에 포함되고 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증착원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증착원에 연결되어, 상기 증착 물질이 인입되는 제1 분사부; 및
    상기 제1 분사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증착 물질이 상기 기판을 향해 분사되도록 형성된 제2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부는 상기 증착 물질의 인입 방향에 따라, 수평선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사부는 상기 제1 분사부에 연결된 입구 및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제2 분사로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의 지름이 상기 출구의 지름보다 길고, 상기 제2 분사로는 속도 경사각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형태는 상기 증착 물질이 분사되는 방향에 따라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폭은 복수의 노즐 각각의 내경이며,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폭 만큼 떨어진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상의 위치에서, 상기 증착 물질의 분사 수직 속도 성분 및 상기 증착 물질의 수평 속도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이고, 상기 경사각은 상기 수직속도 성분에 대한 상기 수평 속도의 비에 대응하는 각도인, 노즐.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폭은 상기 출구의 지름의 4배에 대응하는, 노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폭은, 상기 중심에서의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대비 상기 증착 물질의 수직 분사속도가 1%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인, 노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경사각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6.2° ~ 7° 사이인, 노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다른 노즐은 형상은 판 형태인 노즐부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을 7개 포함하는 육각형 형상이며,
    상기 육각형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하는, 노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중심과 상기 다른 노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의 지름의 3배에 대응하는, 노즐.
KR1020190062695A 2019-05-28 2019-05-28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KR10221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95A KR102219435B1 (ko) 2019-05-28 2019-05-28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95A KR102219435B1 (ko) 2019-05-28 2019-05-28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40A KR20200136740A (ko) 2020-12-08
KR102219435B1 true KR102219435B1 (ko) 2021-02-24

Family

ID=7377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95A KR102219435B1 (ko) 2019-05-28 2019-05-28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1405A (ja) 2014-12-17 2018-01-1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材料堆積装置、真空堆積システム、及び材料堆積方法
JP2018532876A (ja) 2016-09-22 2018-11-0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材料堆積源構成の分配アセンブリのためのノズル、材料堆積源構成、真空堆積システム、及び材料を堆積させ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15A (ja) * 1988-06-24 1990-01-10 Fujitsu Ltd 有機金属気相成長装置
KR100611670B1 (ko) * 2005-01-24 2006-08-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물 증발장치
KR100929035B1 (ko) * 2007-08-23 2009-11-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가열용기 및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KR20170056348A (ko) * 2015-11-13 201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1405A (ja) 2014-12-17 2018-01-1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材料堆積装置、真空堆積システム、及び材料堆積方法
JP2018532876A (ja) 2016-09-22 2018-11-0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材料堆積源構成の分配アセンブリのためのノズル、材料堆積源構成、真空堆積システム、及び材料を堆積させる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40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440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318264B1 (ko) 증착장치
KR100837475B1 (ko) 증착장치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558519B1 (ko) 유기물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KR102046441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42471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8248301A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JP2018501405A (ja) 材料堆積装置、真空堆積システム、及び材料堆積方法
JP6656261B2 (ja) 蒸発した材料を堆積させるための装置、分配管、真空堆積チャンバ、及び蒸発した材料を堆積させるための方法
KR102039684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200087777A1 (en) Vapor deposition source and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por deposition film
JP2017538039A (ja) 材料堆積システム及び材料堆積システムで材料を堆積する方法
KR102219435B1 (ko) 노즐 및 노즐을 포함한 증착 장치
TW202037739A (zh) 用以沈積一已蒸發材料之蒸汽源、用於一蒸汽源之噴嘴、真空沈積系統、及用以沈積一已蒸發材料之方法
WO2016138964A1 (en) Nozzle for a material source arrangement used in vacuum deposition
KR20130113303A (ko) 진공 증착 장치 및 그 증착원
KR20230047440A (ko) 증기 소스, 증기 소스를 위한 노즐, 진공 증착 시스템, 및 증발된 재료를 증착하기 위한 방법
TW201925499A (zh) 蒸鍍裝置、蒸鍍方法和控制板
TWI685580B (zh) 真空蒸鍍裝置及其蒸發頭、真空蒸鍍方法
US20160072065A1 (en)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positing thin-film of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deposition apparatus
JP2020521039A (ja) 蒸発した材料を堆積させるための蒸発源、真空堆積システム、及び蒸発した材料を堆積させるための方法
KR102128308B1 (ko) Oled 디스플레이, 그 제조용 증착원과 그 제조 방법
KR102155110B1 (ko) 선형증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증착장비
WO2022243734A1 (en) Nozzle for a distributor of a material deposition source, material deposition source, vacuum de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depositing material
KR102076843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