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066B1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066B1
KR102219066B1 KR1020190140800A KR20190140800A KR102219066B1 KR 102219066 B1 KR102219066 B1 KR 102219066B1 KR 1020190140800 A KR1020190140800 A KR 1020190140800A KR 20190140800 A KR20190140800 A KR 20190140800A KR 102219066 B1 KR102219066 B1 KR 10221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se
auxiliary battery
antenna
pro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홍
Original Assignee
최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홍 filed Critical 최태홍
Priority to KR102019014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66B1/ko
Priority to KR1020200171771A priority patent/KR102289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및 그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를 포함하는 지갑형 커버부, 후면 보호부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전면 보호부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 및 전면 보호부의 외측면과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으로 이동 가능한 무선 충방전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를 외부 충격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판매가 급증하였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과거에는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과 교체가 불가능한 배터리 교체형 스마트폰이 고르게 출시되었으나, 최근에는 생산 비용 절감, 스마트폰의 외관 향상 등의 이유로 배터리 내장형이 주로 생산되고 있다.
배터리 내장형 스마트폰의 경우 위와 같은 장점은 있으나, 스마트폰이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고 듣거나 직접 참여하여 이용하는 데에 폭넓게 사용되고,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구동 시 대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스마트폰용 어플 등이 개발되면서,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용량은 1일 사용 용량에도 못 미쳐 사용자들은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충전하여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외장 배터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외장 배터리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별도로 충전하여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고, 충전 시에 스마트폰과 외장 배터리를 충전 케이블로 연결하여야 하며, 특히 이동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파지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때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외장 배터리를 위와 같은 충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내장된 보조 배터리를 간편하게 무선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및 그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를 포함하는 지갑형 커버부; 상기 후면 보호부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전면 보호부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 및 상기 전면 보호부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으로 이동 가능한 무선 충방전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충방전 안테나는 상기 전면 보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함께 회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갑형 커버부는 상기 전면 보호부를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갑형 커버부는 상기 전면 보호부와 연결되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일정 공간 내에 배치되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충방전 안테나는 별도로 제공되는 안테나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 장착부는 상기 지갑형 커버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전면 보호부의 외측면 및 상기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으로 회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갑형 커버부 및 상기 안테나 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갑형 커버부 및 상기 안테나 장착부를 서로 밀착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나 무선 충전기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과, 무선 충전기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충전 등이 매우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반대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방전 안테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휴대 단말기 비충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조 배터리에 의한 휴대 단말기 충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무선 충전기에 의해 보조 배터리 충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휴대 단말기 비충전 시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보조 배터리에 의한 휴대 단말기 충전 시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또는 이에 대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전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 출력부 등이 구비되는 면을 지칭하고, '후면'은 그 반대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내측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휴대 단말기가 배치되는 면을 지칭하고, '외측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그 반대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외면을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감싸 외부 충격 또는 긁힘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의미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정보의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 휴대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스마트폰용 내지 휴대폰용 케이스 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모든 케이스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보조 배터리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것이므로, 무선 충전 기능이 내장된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반대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방전 안테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휴대 단말기 및 보조 배터리의 충전 또는 비충전 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휴대 단말기 비충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보조 배터리에 의한 휴대 단말기 충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무선 충전기에 의해 보조 배터리 충전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지갑형 커버부(10), 안착부(30), 보조 배터리(50) 및 무선 충방전 안테나(70)을 포함한다.
지갑형 커버부(10)는 전면 보호부(11) 및 후면 보호부(13)를 포함한다. 전면 보호부(11) 및 후면 보호부(13) 각각은 휴대 단말기(MD)의 전면 및 후면을 보호한다. 상기 전면 보호부(11)는 전면에 정보의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MD)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면 족하고, 스마트폰과 같이 전면에 정보의 입출력부가 모두 구비되는 장치의 전면을 보호하는 것일 필요는 없다.
한편, 지갑형 커버부(10)는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3)는 연결부(13)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상대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13)는 밴딩 가능한 소재 또는 힌지 등과 같이 절곡 가능한 파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안착부(30)는 후면 보호부(13)의 내측면(13b)에 제공된다. 하나의 양상에서, 안착부(30)와 후면 보호부(13)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 내지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양상에서, 안착부(30)와 후면 보호부(13)는 하나의 부품으로써 일체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다.
안착부(30)에는 휴대 단말기(MD)가 안착된다. 휴대 단말기(MD)가 안착되기 위해, 안착부(30)는 휴대 단말기(MD)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30)를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 단말기(MD)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MD)의 테두리 부분을 외부 충격 또는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보조 배터리(50)는 휴대 단말기(MD)에 내장되는 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지갑형 커버부(10)의 전면 보호부(11)에 구비된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50)를 전면 보호부(11)에 장착하기 위해, 지갑형 커버부(10)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는 전면 보호부(11)와 연결되어 일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 보조 배터리(50)가 내장될 수 있다.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과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사이의 공간(s)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상기 공간(s)는 연결부(1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3)가 서로 상대 회전 이동할 때,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과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도 4에 도시된 후면 보호부(13)의 내측면(11b)의 반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무선 충방전 안테나(70)의 전부가 상기 공간(s)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일부가 상기 공간(s)에 배치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를 위해,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지갑형 케이스(10)의 후면 보호부(13) 외측면(13a) 측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무선 충방전 안테나(70)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40)에 의해 휴대 단말기(MD)가 충전된다. 상기 충전과 관련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전면 보호부(11)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와 전면 보호부(11)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 공간 내에 배치되되, 보조 배터리(50)와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충방전 안테나(70)가 전면 보호부(11)에 구비되는 경우,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전면 보호부(11)와 함께 회전 이동하게 된다. 즉, 전면 보호부(11)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회전 이동되는 경우,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도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회전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이동은 연결부(1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보조 배터리(50)는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50)가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에 장착되는 경우(도 3 참조),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는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으로 돌출되게 된다(도 3 및 도 6 참조). 이에 의해,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와 후면 보호부(13)의 내측면(13b) 사이에, 소정의 간격(D)이 형성되게 된다(도 6 참조). 이러한 경우, 연결부(15)가 완전히 접혀지지 않고 완만하게 밴딩 되더라도,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 내의 무선 충방전 안테나(70)가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를 통해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에 의해, 휴대 단말기(MD)가 보조 배터리(50)에 의해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커버부(10)는 전면 보호부(11)를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지갑형 커버부(10)는 전면 보호부(11)와 연결되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일정 공간 내에 배치되는 자석(19)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자석(19)은 상기 일정 공간 내에서 보조 배터리(17)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19)이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두께 상으로 자석(19)이 보조 배터리(50)와 겹쳐지지 않아 상기 일정 공간의 활용 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19)이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만을 사이에 두고 후면 보호부(13)와 인접 배치될 수 있어,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이 보다 자력에 의해 강력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석(19)과 휴대 단말기(MD) 내의 자화 가능한 금속(미도시) 사이에 인력(引力) 발생하여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이 밀착 고정되고, 보조 배터리(50)에 의한 휴대 단말기(MD)의 충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흡착 패드, 나노 패드 등일 수 있다. 상기 흡착 패드 또는 나노 패드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 표면 또는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어느 하나는 상기 흡착 패드 또는 나노 패드에 흡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 패드 또는 나노 패드가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의 표면에 접착된 경우,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은 상기 흡착 패드 또는 나노 패드에 흡착되고, 전면 보호부(11)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흡착 패드 또는 나노 패드의 흡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다른 하나에는 매끄러운 재질의 흡착력 강화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위의 예에서와 같이 흡착 패드 또는 나노 패드가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의 표면에 접착되는 경우, 상기 흡착력 강화 필름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MD) 및 보조 배터리의 충전 및 비충전에 대해 설명한다.
1. 휴대 단말기(MD) 비충전 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와 전면 호보부(11)에 의한 일정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상기 상태에서는, 휴대 단말기(MD)의 충전이 일어나게 않게 된다.
2. 보조 배터리(50)에 의한 휴대 단말기(MD) 충전 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와 전면 호보부(11)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경우,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상기 상태에서는, 보조 배터리(50)에 의해 휴대 단말기(MD)가 충전된다. 즉, 무선 충방전 안테나(70)의 송신 코일이 휴대 단말기(MD) 내에 내장된 수신 코일을 찾기 위해 신호를 보낸다.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 코일이 감지되면 전자기 유도가 시작되어 상기 송신 코일 내부에 있는 전자들이 상기 송신 코일 주위을 흐르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자기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수신 코일 내의 전자들은 상기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 코일 주위를 흐르게 되고, 상기 수신 코일 주위에서의 전자들의 흐름에 의해 휴대 단말기(MD)가 충전되게 된다.
3. 무선 충전기(WC)에 의한 보조 배터리(50) 충전 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17)와 전면 보호부(11)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경우,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무선 충전기(WC)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상기 상태에서는, 무선 충전기(WC)에 의해 보조 배터리(50)가 충전된다. 즉, 무선 충전기(WC)의 송신 코일이 무선 충방전 안테나(70)의 수신 코일을 찾기 위해 신호를 보낸다.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 코일이 감지되면 전자기 유도가 시작되어 상기 송신 코일 내부에 있는 전자들이 상기 송신 코일 주위를 흐르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자기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수신 코일 내의 전자들은 상기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 코일 주위를 흐르게 되고, 상기 수신 코일 주위에서의 전자들의 흐름에 의해 보조 배터리(50)가 충전되게 된다.
한편,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보조 배터리(50)에 연결되는 전원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전원과 상기 전원 단자를 충전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보조 배터리(50)를 유선 충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4. 무선 충전기(WC)에 의한 휴대 단말기(MD) 충전 시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후면 보호부(13)가 무선 충전기(WC)와 맞닿도록 뒤집는 경우, 무선 충전기(WC)에 의해 휴대 단말기(MD)가 충전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MD)가 충전된다 함은, 휴대 단말기(MD)에 내장된 주 배터리(미도시)가 충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MD)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50)나 무선 충전기(WC)에 의한 휴대 단말기(MD)의 충전, 및 무선 충전기(WC)에 의한 보조 배터리(50)의 충전 등이 매우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9는 휴대 단말기 비충전 시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보조 배터리에 의한 휴대 단말기 충전 시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무선 충방전 안테나(70')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무선 충방전 안테나(70')는 안테나 장착부(21)의 내부에 매립 장착될 수 있다.
안테나 장착부(21)는 지갑형 커버부(10)의 외측면(10a)에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착부(21)는 연결부(15)의 외측면(15a)에 고정되는 것 외에,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또는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의 일부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고정된 안테나 장착부(21)는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및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이동은 연결부(15)의 길이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안테나 장착부(21)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안테나 장착부(21)의 일면이 후면 보호부(13) 외측면(13a)과 맞닿게 된다면, 안테나 장착부(21)가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안테나 장착부(21) 상기 일면의 반대면이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3a)과 맞닿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예를 들어, 안테나 장착부(21)가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에 고정될 때에는, 안테나 장착부(21)의 연장부(21a)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 등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테나 장착부(21)가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으로 회전 이동될 때에는 짧게, 반대로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회전 이동될 때에는 길게 연장부(21a)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작부(21)가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으로 회전 이동된 때에는 휴대 단말기(MD)의 충전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위와 반대로,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착부(21)가 후면 보후부(13)의 외측면(13a) 측으로 회전 이동된 때에는 휴대 단말기(MD)가 충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전면 보호부(11) 전체를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 측으로 회전 이동시키지 않고, 안테나 장착부(21)만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MD)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키거나 충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지갑형 커버부(10) 및 안테나 장착부(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갑형 커버부(10) 및 안테나 장착부(21)를 서로 밀착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안테나 장착부(21)에 매립되는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자석과 휴대 단말기(MD) 내의 자화 가능한 금속 사이에 인력(引力)이 발생하여 안테나 장착부(21)가 후면 보호부(13)의 외측면(13a)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에는 안테나 장착부(21)가 안착되는 안착홈(11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1c)의 측벽에는 고정홈(11d)이 형성되고, 안테나 장착부(21)에는 상기 고정홈(11d)에 대응되는 고정돌기(2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돌기(21b)가 고정홈(11d)에 삽입 결합되어 안테나 장착부(21)가 전면 보호부(11)의 외측면(11a) 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부(21)가 안착홈(11c) 내에 안착됨으로써, 휴대 단말기(MD) 비충전 시에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과 달리, 안착홈(11c)의 측벽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안테나 장착부(21) 에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 안착홈(11c) 및 안테나 장착부(21)의 상측에만 고정홈(11d) 및 고정돌기(21b)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되었지만, 그 하측에 고정홈 및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고정홈 및 고정돌기는 안착홈(11c) 및 안테나 장착부(21)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갑형 커버부 11: 전면 보호부
13: 후면 보호부 15: 연결부
17: 보조 배터리 장착 커버 21: 안테나 장착부
30: 안착부 50: 보조 배터리 70, 70': 무선 충방전 안테나 MD: 휴대 단말기 WC: 무선 충전기

Claims (7)

  1.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및 그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를 포함하는 지갑형 커버부;
    상기 후면 보호부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전면 보호부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 및
    상기 전면 보호부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으로 이동 가능한 무선 충방전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방전 안테나는
    별도로 제공되는 안테나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 장착부는
    상기 지갑형 커버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전면 보호부의 외측면 및 상기 후면 보호부의 외측면 측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갑형 커버부 및 상기 안테나 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갑형 커버부 및 상기 안테나 장착부를 서로 밀착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0190140800A 2019-11-06 2019-11-06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1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00A KR102219066B1 (ko) 2019-11-06 2019-11-06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0200171771A KR102289853B1 (ko) 2019-11-06 2020-12-0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00A KR102219066B1 (ko) 2019-11-06 2019-11-06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771A Division KR102289853B1 (ko) 2019-11-06 2020-12-0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066B1 true KR102219066B1 (ko) 2021-02-22

Family

ID=7468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800A KR102219066B1 (ko) 2019-11-06 2019-11-06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0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127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43866A (ko)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2587U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리엔씨컴퍼니 지갑겸용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127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43866A (ko)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2587U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리엔씨컴퍼니 지갑겸용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2625B1 (en)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EP2472353B1 (en) Mobile terminal
US9318906B2 (en) Universal dock for portable phone
US9307656B2 (en) Electronic device case
US20060258412A1 (en) Mobile phone wireless earpiece
KR20010024946A (ko) 전자 장치용 힌지 어셈블리
KR1017564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US8610403B2 (en) Charging cradle
KR10221906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86136Y1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289853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N101060722B (zh) 耳机装置
KR10217821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KR101109319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KR200491272Y1 (ko) 탈부착 사용 구조를 갖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CN213906355U (zh) 无线充电设备及系统
TWM505643U (zh) 具電子元件之保護殼
KR101495774B1 (ko) 마우스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113258623A (zh) 无线充电座
KR102486907B1 (ko) 무선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KR20210103345A (ko) 핸드폰 케이스
CN205082839U (zh) 一种移动终端保护套
CN210609326U (zh) 一种蓝牙耳机手机套
CN219780341U (zh) 智能耳机仓
CN218772181U (zh) 一种电子设备的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