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030B1 - 다용도 뱃지 - Google Patents

다용도 뱃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030B1
KR102219030B1 KR1020190125500A KR20190125500A KR102219030B1 KR 102219030 B1 KR102219030 B1 KR 102219030B1 KR 1020190125500 A KR1020190125500 A KR 1020190125500A KR 20190125500 A KR20190125500 A KR 20190125500A KR 102219030 B1 KR102219030 B1 KR 10221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dge
path
needl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9012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된 일면을 가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뱃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피부착물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로를 포함하는 다용도 뱃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뱃지 {MULTIPURPOSE BADGE}
본 발명은 뱃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표(mark) 따위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 핀이나 클램프 따위를 피부착물에 고정하는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뱃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그림이나 로고 등이 인쇄 또는 도색 되어 있는 뱃지(badge)는 목에 걸어 착용하거나 또는 의류 등에 부착하여 홍보용이나 캠페인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데 실용신안등록공고 제1986-0000348호의 뱃지는 관광단 표시용 뱃지에 관한 것이고, 실용신안등록공개번호 제2000-0019593호인 뱃지의 후면에 형성된 부착핀이나 부착구를 이용하여 의류에 부착하고 캠페인이나 홍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실용신안등록 제0424174호인 패션뱃지는 원형의 평판면과, 그 가장자리에 단이 형성된 링부를 이용하여, 각각에 디자인을 형성함으로써 특유의 미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특허등록번호 제1426808호인 뱃지는 개폐되는 날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뱃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림이나 로고 등을 나타내는데 기능이나 역할이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용도를 가진 뱃지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고자 한다.
KR 10-2001-0096131 A1
본 발명은,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 또는 도색된 뱃지를 의류 따위와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켜 홍보용이나 캠페인용 등으로 활용하는 것 이외에, 의류의 옷감 손상 없이 뱃지를 이용하여 명찰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다용도 뱃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된 일면을 가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뱃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피부착물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로를 포함하는 다용도 뱃지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통로는, 적어도 일측단부에 관경이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장형성된 진입로를 포함하여, 안전핀의 바늘이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로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통로는, 양측단부에 상기 진입로가 각각 형성되되, 어느 한 상기 진입로는 다른 한 상기 진입로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는, 상측 및/또는 하측에 형성된 나사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뱃지는, 상기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상측 및/또는 하측을 수평하게 형성토록 하는 클램프고정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는, 상기 나사결합공에 상응하도록 돌출형성된 숫나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클램프연장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나사결합시 상기 플레이트와의 간섭으로 회전을 방해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구는, 상좌, 상우, 하좌 및 하우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좌 및 상기 하좌로 이루어진 한 쌍과, 상기 상우 및 상기 하우로 이루어진 또 다른 한 쌍이 각각 상기 피부착물에 꿰메어지되, 꿰메어진 각 쌍의 너비는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에 클램핑되는 집게의 너비보다 넓어 상기 집게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된 상기 클램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소정 의미를 가리키는 점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는, 전면에 상기 관통로 상에 상기 관통로와 나란하게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바늘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삽입공은 상기 관통로보다 폭이 좁되, 바늘 몸통이 상기 바늘삽입공을 통해 상기 관통로로 압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추가관통로, 및 전면에 상기 추가관통로 상에 상기 추가관통로와 나란하게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추가바늘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바늘삽입공은 상기 추가관통로보다 폭이 좁되, 바늘 몸통이 상기 추가바늘삽입공을 통해 상기 추가관통로로 압입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선을 포함하되, 상기 절단선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잘라 분리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은 상기 절단선에 의해 수평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의 뱃지는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 또는 도색된 뱃지를 의류 따위와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켜 홍보용이나 캠페인용 등으로 활용하되, 명찰을 피부착물에 부착하여야 할 경우, 다용도 뱃지에 관통 형성된 관통로에 바늘을 끼워 장착함으로써, 의류의 옷감 손상 없이 명찰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뱃지 착용자의 명찰 부착 습관을 고려하여 상기 관통로의 일 측의 진입로를 넓게 형성함으로써, 안전핀의 바늘이 상기 관통로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또 상기 관통로를 관통한 바늘을 안전핀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뱃지의 일 측에 클램프고정연장부를 체결하여, 원형 플레이트의 일측을 수평하게 형성토록 함으로써, 패용구의 집게를 이용하여 패용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의 뒷면은 임의의 패턴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가져 패용구의 집게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패용구의 집게를 다용도 뱃지에 착용할 때 패용구의 집게가 플레이트의 복수 고정구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됨으로써, 뱃지로부터 적어도 일 측방향으로 미끌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 패턴은 임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소정 의미를 가진 점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저시력자나 약시력자는 점자를 이용하여 의류에 착용된 뱃지가 어떤 것인지, 또는 뱃지의 착용 방향이 어떠한지 등을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다용도 뱃지에 명찰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고정연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3 또는 4의 다용도 뱃지에 패용구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다용도 뱃지에 형성된 고정구에 대한 일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 및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용도 뱃지와 또 다른 형태의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100)는, 특정 그림이나 로고(logo) 등이 인쇄 또는 도색되어 있는 일 면을 가진 플레이트(11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100)는, 상기 플레이트(11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131~134)와, 상기 플레이트(110)를 가로질러 관통 형성된 관통로(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a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용도 뱃지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플레이트(110)는 대략 원판형으로서, 일 면에는 특정 그림이나 로고 등이 인쇄되어 있어, 플레이트(110)가 고정구(131~134)를 통해 의류 따위와 같은 피부착물에 부착되는 경우, 통상의 뱃지(badge)로서 기능할 수 있다(도 6(a) 참조). 이를 위해 플레이트(110)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등일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일 예로 원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이외에 다양한 다각형이나 상기 그림이나 로고에 따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구(131~1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착물에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이나 끈으로 플레이트(110)를 피부착물에 꿰매어 박기 위해, 실이나 끈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고정구(131~134)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어 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쌍일 수 있다.
다만,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이나 끈을 플레이트(110)의 고정구(131~134)를 통해 피부착물에 부착시키기 위해, 플레이트(110)는 바람직하게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구(131~134)는 두 쌍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로(121)는 플레이트(110)의 두께에 상기 플레이트(110)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형성될 수 있다.
관통로(121)는 플레이트(110)에 매립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통로(121)의 일부가 노출되어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바늘삽입공(17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10)는 고정구(131~134)에 의해 피부착물에 부착 고정되면서, 일면, 즉 전면에 인쇄 또는 도포된 특정 그림이나 로고 등이 나타나 뱃지(100)를 홍보용이나 캠페인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상의 뱃지와 같으나, 명찰 등을 안전핀(또는 옷핀)의 바늘 등을 통해 피부착물에 부착하여야 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뱃지(100)의 관통로(121)에 바늘을 끼워 장착함으로써, 의류의 옷감 손상없이 명찰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b는 도 1a의 다용도 뱃지에 명찰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뱃지(100)는 실이나 끈 등으로 피부착물에 꿰매어져 부착 고정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명찰(20)에 달려있는 안전핀(10)의 바늘(11)을 관통로(121) 끼워 장착함으로써, 피부착물의 손상없이 명찰(20)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통로(121)는 적어도 일측단부에 관통로(121)의 관경이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장형성된 진입로(122, 123)를 가질 수 있다.
진입로(122, 123)는 플레이트(110)의 타면, 즉 후면에 대략 삼각형 또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가져, 안전핀(10)의 바늘(11)이 관통로(121)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그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작은 관경을 가진 관통로(121)에 끝이 뾰족한 바늘을 삽입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관통로(121)의 말단부에 진입로(122, 123)를 형성하여, 안전핀(10)의 바늘(11)이 관통로(121)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진입로(122, 123) 중 어느 하나의 진입로(123)를 다른 하나의 진입로(122)보다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진입로(122)보다 제2 진입로(123)의 폭을 넓게 그리고 반경을 길게 형성하여 플레이트(110)는 좌우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제1 진입로(122)와 제2 진입로(123) 중 어느 하나를 더 넓게 함으로써, 안전핀(10)의 바늘을 관통로(121)에 관통시킨 후 바늘을 안전핀(10)의 머리에 위치한 갈고리 안에 눌러 결속시킬 때 손가락의 움직임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고정연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는 원형이되, 상측 및/또는 하측에 형성된 나사결합공(111, 112)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10)는 상기 나사결합공(111, 112)에 나사결합되어 원형의 플레이트(110)의 상측 및/또는 하측을 수평하게 형성토록 하는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는 플레이트(110)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진 것으로, 일측면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외측면과 대향하였을 때 서로 맞물리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반대로 그 타측면은 편평하게 수평 형성되어,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가 나사결합한 플레이트(110)는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의 상기 타측면에 의해 일측면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의 일측면에는 상기 나사결합공(111, 112)에 상응하는 숫나사산(142, 152)을 가지고 있어,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숫나산(142, 152)이 이에 상응하는 나사결합공(111, 112)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원형의 플레이트(110) 상측에 클램프고정연장부(141)가 결합하면 플레이트(110)의 상측은 수평 형성되고, 반대로 원형의 플레이트(110) 하측에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151)가 결합하면 플레이트(110)의 하측은 수평 형성되어, 각 측에 형성된 수평면에 집게(202)가 클램핑시 해당 수평면에 의해 삐뚤어지지 않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에 패용구를 착용한 모습으로서, 다용도 뱃지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클램프고정연장부(141)가 나사결합되고, 이에 집게(202)가 클램핑되어 이에 연결된 고리(203)를 매개로 명패케이스(201)는 늘어뜨려진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른 형태로 원형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클램프고정연장부(15)가 나사결합되고, 이에 집게(202)가 클램핑되어 명패케이스(201)는 원형 플레이트(110)에 매달린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110)의 상측이나 하측에, 또는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좌측 및/또는 우측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가 플레이트(110)에 체결할 때,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와 플레이트(110) 서로 비틀어지지 않도록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는 플레이트(110)와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가 플레이트(110)와 나사결합시 회전을 할 때마다 회전을 방해하도록 서로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와 플레이트(110)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된 이후에 비틀어지지 않도록 추가 회전을 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플레이트(110)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원형 플레이트(110) 상에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와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다용도 뱃지에 형성된 고정구에 대한 일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131~134)는 바람직하게 두 쌍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하로 배치된 각 쌍의 고정구 사이의 간격 d는 패영구의 집게(202)의 너비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d는 h보다 1~5mm만큼 넓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구(131~134)는 상좌, 상우, 하좌 및 하우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110)의 상좌 및 하좌로 이루어진 한 쌍과, 상우 및 하우로 이루어진 또 다른 한 쌍이 각각 피부착물에 꿰메어지되, 꿰메어진 각 쌍의 너비는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에 클램핑되는 집게의 너비보다 넓어서, 집게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 및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앞면(110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그림이나 로고 등이 노출될 수 있으나,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뒷면(110b)에는 클램핑된 집게(202)가 잡아당겨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10)의 뒷면(110b)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돌기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의미를 가리키는 점자(161~164)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돌기 패턴이 임의로 형성되어 집게(20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머무르지 않고, 저시력자나 약시력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뱃지(100)를 부착하고 있을 때, 점자를 이용하여 의류에 착용된 뱃지가 어떤 것인지, 또는 뱃지의 착용 방향이 어떠한지 등을 인지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110)에 패용구 부착시 부착 방향도 쉽게 인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는 전면(110a)에 관통로(121) 상에 관통로(121)와 나란하게 플레이트(110)를 가로지르도록 바늘삽입공(1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늘삽입공(170)의 폭은 관통로(121)보다 폭이 좁되, 바늘의 몸통이 압입에 의해 바늘삽입공(170)에 억지끼워져 관통로(121)로 진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로(121)의 일부가 플레이트(110)의 전면(110a) 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관통로(121)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핀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10)에 끼울때 바늘을 진입로(122, 123)를 통해 진입시키지 않고 바늘을 바늘삽입공(170)에 억지끼움으로써 안전핀을 상기 플레이트(110)에 끼울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늘삽입공(170)의 외측에는 'U'자 또는 'V'자 홈부(미도시)를 가져, 바늘이 바늘삽입공(170) 상에 안착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바늘을 압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도 7a에 도시한 다용도 뱃지는 고정구(131~134)에 실이나 끈 등이 꿰메어졌을 때, 고정구(131~134)에 꿰메어진 실이나 끈의 형태에 따라 안전핀의 바늘이 바늘삽입공(170)에 진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상측의 고정구(131~134) 중 어느 하나가 하측의 고정구(131~134) 중 어느 하나와 실 또는 끈이 꿰메어져 있으면, 바늘삽입공(170)의 전면을 가려 안전핀의 바늘을 바늘삽입공(170)에 압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늘삽입공(170)의 위치는 고정구(131~134) 밖 상측이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따라 상기 바늘삽입공(170')과 상응하는 위치에 추가관통로(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는 안전핀의 바늘을 진입로(122)를 통해 제1 관통로(121)에 끼울 수도 있고, 고정구(131~134)에 꿰메어진 실이나 끈의 형태와 무관하게 안전핀의 바늘을 추가바늘삽입공(170')에 압입하여 추가관통로(121')에 끼울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뱃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선(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단선(103)은 고정구(131~134) 밖 상측 및/또는 하측, 즉 고정구(131~134) 사이가 아닌 부분에 위치하되, 최상단에서 하측으로 전체 높이의 10% 내지 30%의 높이 및/또는 최하단에서 상측으로 전체 높이의 10% 내지 30%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절단선(103)을 중심으로 플레이트본체(102)로부터 절단편(101)을 잘라 분리함으로써, 원형의 플레이트(110) 상측 및/또는 하측은 상기 절단선(103)에 의해 수평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고정연장부(141, 151)가 결합된 플레이트(110)와 유사하게, 패용구를 다용도 뱃지(100)에 착용할 때 절단선(103)을 중심으로 절단편(101)을 자르고, 각 측에 형성된 수평선(또는 수평면)에 집게(202)를 클램핑함으로써 해당 수평선(또는 수평면)으로 인해 삐뚤어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전핀 11: 바늘
20: 명찰 100: 뱃지
101: 절단편 102: 플레이트본체
103: 절단선 110: 플레이트
110a: 플레이트 앞면 110b: 플레이트 뒷면
111, 112: 나사결합공 113, 114: 걸림턱
121: 관통로 122: 제1 진입로
123: 제2 진입로 131~134: 고정구
141, 151: 클램프고정연장부 142, 152: 숫나사
161~164: 점자 170: 바늘삽입공
201: 명패케이스 202: 집게
203: 고리 y1, y2: 실

Claims (10)

  1. 특정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된 일면을 가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뱃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피부착물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로;
    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로는, 적어도 일측단부에 관경이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장형성된 진입로를 포함하여, 안전핀의 바늘이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로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관통로는, 양측단부에 상기 진입로가 각각 형성되되, 어느 한 상기 진입로는 다른 한 상기 진입로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2. 삭제
  3. 삭제
  4. 특정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된 일면을 가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용도 뱃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피부착물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로;
    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나사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뱃지는,
    상기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원형의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을 수평하게 형성토록 하는 클램프고정연장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는, 상기 나사결합공에 상응하도록 돌출형성된 숫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나사결합시 상기 플레이트와의 간섭으로 회전을 방해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좌, 상우, 하좌 및 하우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좌 및 상기 하좌로 이루어진 한 쌍과, 상기 상우 및 상기 하우로 이루어진 또 다른 한 쌍이 각각 상기 피부착물에 꿰메어지되, 꿰메어진 각 쌍의 너비는 상기 클램프고정연장부에 클램핑되는 집게의 너비보다 넓어 상기 집게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된 상기 클램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소정 의미를 가리키는 점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전면에 상기 관통로 상에 상기 관통로와 나란하게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바늘삽입공;
    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삽입공은 상기 관통로보다 폭이 좁되, 바늘 몸통이 상기 바늘삽입공을 통해 상기 관통로로 압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추가관통로; 및
    전면에 상기 추가관통로 상에 상기 추가관통로와 나란하게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추가바늘삽입공;
    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바늘삽입공은 상기 추가관통로보다 폭이 좁되, 바늘 몸통이 상기 추가바늘삽입공을 통해 상기 추가관통로로 압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10. 특정 그림이나 로고 따위가 인쇄된 일면을 가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뱃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피부착물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로;
    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선;
    을 포함하되, 상기 절단선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잘라 분리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은 상기 절단선에 의해 수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뱃지.
KR1020190125500A 2019-10-10 2019-10-10 다용도 뱃지 KR10221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00A KR102219030B1 (ko) 2019-10-10 2019-10-10 다용도 뱃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00A KR102219030B1 (ko) 2019-10-10 2019-10-10 다용도 뱃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030B1 true KR102219030B1 (ko) 2021-02-23

Family

ID=7468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500A KR102219030B1 (ko) 2019-10-10 2019-10-10 다용도 뱃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15U (ko) * 1994-06-09 1996-0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출뱃지 조립체
JP2001275719A (ja) * 2000-03-30 2001-10-09 Taito:Kk ミニチュア付きバッジ
KR20010096131A (ko) 2000-04-17 2001-11-07 심순보 배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15U (ko) * 1994-06-09 1996-0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출뱃지 조립체
JP2001275719A (ja) * 2000-03-30 2001-10-09 Taito:Kk ミニチュア付きバッジ
KR20010096131A (ko) 2000-04-17 2001-11-07 심순보 배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18536A (ja) 離間したときに情報を表示する上側部分及び下側部分を有する庇を備えたキャップ
JP3227497U (ja) マスク
KR102219030B1 (ko) 다용도 뱃지
US11992074B2 (en) Motorcycle shirt or speed-boat shirt with hold-down attachment device and kit therefor
US9084469B2 (en) Military award attachment method and device
BRPI0917915B1 (pt) Prendedor de botão e método para fixação do mesmo
WO2010072012A1 (zh) 一种领带组件
CN208126734U (zh) 一种新型服饰商标吊牌
US9949536B2 (en) Fastener system for fabrics
US20130067693A1 (en) Garment closure device
KR101824046B1 (ko) 양면 사용 및 목걸이줄 연결이 가능한 인식표
US20180027910A1 (en) Detachable belt loop
US20170294141A1 (en) Buttons, beads, and removable clips bearing braille indicia for fabric
JP4527954B2 (ja) 多種類飾り具対応のループタイ用止め金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JP6978768B2 (ja) ホルダ
KR20180117955A (ko) 스냅 단추
KR200435758Y1 (ko) 탄성 클립을 구비한 걸이형 넥타이
JP5276051B2 (ja) ネクタイ
CN207306246U (zh) 一种自缝式的隐藏缝线的佩戴徽章
JPH0748642Y2 (ja) 襟留め具及び襟留め具付シャツ
KR20180002591U (ko) 명찰 착용 장소를 제공하는 액세서리
KR200456277Y1 (ko)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US20060196013A1 (en) Epaulette
GB2458735A (en) Flower holder for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