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86B1 - 창틀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창틀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86B1
KR102218786B1 KR1020200157408A KR20200157408A KR102218786B1 KR 102218786 B1 KR102218786 B1 KR 102218786B1 KR 1020200157408 A KR1020200157408 A KR 1020200157408A KR 20200157408 A KR20200157408 A KR 20200157408A KR 102218786 B1 KR102218786 B1 KR 10221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unit
coupling
head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언
Original Assignee
변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언 filed Critical 변상언
Priority to KR102020015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4L-shaped corner pieces having two articulated or flexible joined legs; Corner joints with variable ang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7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deformation of the frame members

Abstract

창틀결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창틀결합장치는, 상호간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창틀 및 제2 창틀과 상기 제1 창틀과 상기 제2 창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안착된 받침대, 상기 제1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거리와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재료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제1 창틀의 내부 및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를 기 설정된 결합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기 설정된 결합위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제1 창틀의 내부 및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창틀의 외부면과 상기 제2 창틀의 외부면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틀결합장치 {CHASSIS COUPLING APPARATUS}
본 개시는 창틀의 제조과정에 있어 창틀의 결합 효율이 개선된 창틀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틀은 창 주위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며 창과 연결되어 창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에 따라 창을 창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창틀은 제조 편의를 위해 창의 각 단면에 대응되는 부재로서 형성되며, 창틀결합장치를 통해 각각을 결합하여 창틀을 제조한다.
최근에는 창틀은 일정 이상의 내구성이 요구되므로 알루미늄 또는 합금강을 이용한 창틀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알루미늄 또는 합금강 재질을 포함하는 창틀은 그 녹는점이 높아 직접 녹여 접합하기에는 어려우며, 창틀의 형상을 변화시켜 각각의 창틀을 물리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또는 합금강 재질의 창틀을 형상을 변화시켜 결합시키는 창틀결합장치는 창틀의 형상 변형에 대한 높은 결합 효율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창틀의 결합 효율이 개선된 창틀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상호간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창틀 및 제2 창틀과 상기 제1 창틀과 상기 제2 창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안착된 받침대, 상기 제1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거리와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재료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제1 창틀의 내부 및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를 기 설정된 결합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기 설정된 결합위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제1 창틀의 내부 및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창틀의 외부면과 상기 제2 창틀의 외부면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재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합부의 가압량을 결정하며, 상기 재료정보는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창틀 및 상기 제2 창틀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창틀과 상기 제2 창틀을 가압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가압력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모리의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인장강도, 상기 항복강도 및 상기 두께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기초로 상기 가압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압량을 기초로, 상기 헤드부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헤드부재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1 형상과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2 형상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제1 형상과 상기 제2 형상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가압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압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를 서로 다른 가압량으로 상기 제1 창틀의 외면과 상기 제2 창틀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가압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측면에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된 상기 제1 형상과 상기 제2 형상을 기초로, 상기 이격부재의 돌출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가 일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재를 결정된 상기 돌출거리로 돌출시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측면을 이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 및 제2 창틀 사이에 연결부재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와 제1 창틀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 및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창틀, 제2 창틀 및 연결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제1 창틀, 제2 창틀 및 연결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 제2 창틀 및 연결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T)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 사이에 연결부재(T)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S1)과 제1 창틀(S1)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 및 결합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결합장치(1)는 상호간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과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T)가 안착된 받침대(5), 제1 창틀(S1)의 내부와 연결부재(T)의 제1 거리(D1)와 제2 창틀(S2)의 내부와 연결부재(T)의 제2 거리(D2)를 측정하는 센서부(110),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의 재료정보가 저장된 메모리(20),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제1 창틀(S1)의 내부 및 제2 창틀(S2)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를 기 설정된 결합위치(E)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0), 기 설정된 결합위치(E)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제1 창틀(S1)의 내부 및 제2 창틀(S2)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를 고정하는 고정부(130) 및 제1 창틀(S1)의 외부면과 제2 창틀(S2)의 외부면을 각각 가압하여,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를 결합하는 결합부(200) 및 센서부(110), 가이드부(120), 고정부(130) 및 결합부(200)와 연결되어 센서부(110), 가이드부(120), 고정부(130) 및 결합부(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은 창틀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중 하나이며, 창의 크기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은 알루미늄 또는 합금강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접촉면은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이 서로 접합되는 상보적인 형상일 수 있다.
받침대(10)는 일정이상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받침대(10)의 상면에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상호간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받침대(10)의 상면에는 가이드부(120), 결합부(200)가 안착될 수 있으며, 받침대(10)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상호간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창틀결합장치(1)에 내재되어 창틀결합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센서부(110), 가이드부(120), 고정부(130) 및 결합부(200)와 연결되어 센서부(110), 가이드부(120), 고정부(130) 및 결합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는 창틀결합장치(1) 내에 내재되어 있으며, 프로세서(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로 메모리에 저장된 재료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정보는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단면두께, 재질을 포함하며, 연결부재(T)의 단면두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롬(ROM), 램(RAM), 하드 디스크(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창틀(S1) 및 제1 창틀(S1)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 사이의 제1 거리(D1)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110)는 제2 창틀(S2) 및 제2 창틀(S2)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 사이의 제2 거리(D2)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110)는 제1 창틀(S1)의 내부면과 제1 창틀(S1)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 사이의 제1 형상(H1, 도 9 참조)을 측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서부(110)는 제2 창틀(S2)의 내부면과 제2 창틀(S2)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 사이의 제2 형상(미도시)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 비전 카메라, 제1 창틀(S1) 등 거리와 형상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 제2 거리(D2), 제1 형상(H1), 제2 형상 등은 센서부(110)를 통해 직접 측정하거나, 프로세서(10)가 연결부재(T)가 창틀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20)에 저장된 연결부재(T)의 형상 정보, 창틀(S1, S2)과 연결부재(T)의 재료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11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 내부에 연결부재(T)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120)를 결합위치(E)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결합위치(E)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결합부(200)를 작동하여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를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작업자가 제1 창틀(S1), 제2 창틀(S2) 각각 내부에 연결부재(T)의 삽입한 상태에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를 결합위치(E)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20)의 가이드면(120, 도 5 참조)은 연결부재(T)의 내부면(T-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내부면(T-1)을 결합위치(E)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면(120)은 수직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면(120)은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의 외면과 접촉하여,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이 서로 수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20)는 받침대(5)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면(120a)이 결합위치(E)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대(5)의 상면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T)는 서로 접촉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제1 창틀(S1)의 단면과 제2 창틀(S2)의 단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이 서로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결합위치(E)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20)가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를 결합위치(E)에 배치할 경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부(120)와 함께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결합위치(E)에 안정적으로 고정 위치시킬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제1 창틀(S1), 제2 창틀(S2)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130)는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를 각각 고정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200)는 결합위치(E)에 배치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에 대해,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을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제1 창틀(S1)과 연결부재(T)의 제1 부(Ta), 제2 창틀(S2)과 연결부재(T)의 제2 부(Tb)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200)는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를 각각 가압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는 동일한 구성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00)는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과 접촉하여,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가압하는 헤드부(210), 헤드부(210)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30) 및 구동부(230)로부터 가압력을 헤드부(210)로 전달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10)는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과 직접 접촉하며,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재질보다 강한 강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헤드부(210)는 연결부재(T)의 결합 홈(TH)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210)가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외면을 가압하여 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외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변형된 형상이 연결부재(T)의 결합 홈(TH)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헤드부(210)와 구동부(23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부(23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헤드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20)는 구동부(230)로부터 헤드부(210)를 창틀(S1, S2)로 가압 및 이동시키는 경우, 해당 가압 및 이동력을 헤드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결합부(2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헤드부(21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헤드부(210)에 일정 이상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력이란,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소성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230)는 헤드부(210)에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며 충분하며, 전자식, 유압식 등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재(T)는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과 결합되어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T)는 제1 창틀(S1)의 일단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부(Ta), 제1 부(Ta)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부(Ta)와 수직하게 배치된 제2 부(T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부(Tb)는 제2 창틀(S2)의 일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T)는 외면에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 각각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홈(T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창틀(S1)이 결합 홈(TH)에 맞추어 결합됨으로써 제1 창틀(S1)은 연결부재(T)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창틀(S2)이 결합 홈(TH)에 맞추어 결합됨으로써 제2 창틀(S2)은 연결부재(T)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부재(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S1)과 제1 창틀(S1)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T) 및 결합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의 동작을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결합하고자하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의 재료정보를 메모리(2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의 단면 내부에 연결부재(T)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부(120)의 가이드면(120a)에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는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와 메모리(20)에 저장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의 재료정보를 기초로 결합부(200)의 가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재료정보는 두께, 항복강도, 인장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의 인장강도보다 크고 항복강도보다 작은 가압력을 선택함과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를 고려한 가압거리(PD)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거리(PD)는 헤드부(210)의 가압면(210a)과 결합 홈(TH)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리(D1)는 결합 홈(TH)과 제1 창틀(S1)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거리(D2)는 결합 홈(TH)과 제2 창틀(S2)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창틀(S1, S2)과 연결부재(T)의 두께정보를 바탕으로 가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창틀(S1)의 두께(S1-t)가 두꺼울수록 가압력을 크게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창틀(S1)의 두께(S1-t)가 얇을수록 가압력을 작게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모리(20)의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두께와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를 기초로 상기 가압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는 헤드부(210)를 가압거리(PD)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30)의 가압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후, 가압거리(PD)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30)의 가압량과 사용자가 선택한 메모리(20)의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두께를 합산하여 헤드부(210)에 가할 총 가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가이드부(12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 사이에 삽입된 상태의 연결부재(T)를 결합위치(E)로 밀어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T)의 내부면(T-1)은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내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T)의 내부면(T-1)은 결합 홈(TH)이 형성된 면과 대향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센서부(110)를 통해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결합위치(E)에 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결합위치(E)에 배치된 경우, 고정부(1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결정된 가압력과 결합부(200)를 구동시켜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의 외형은 내부에 배치된 연결부재(T)의 결합 홈(TH)에 대응되도록 변형됨과 동시에 결합 홈(TH)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은 수직된 상태에서 연결부재(T)를 통해 상호가 결합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이 플라스틱 사출 재료가 아니라 일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알루미늄 또는 합금강을 이용한 재질로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열을 통한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를 변형이 아닌 물리적 가압을 통한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변형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 센서부(110), 가이드부(120) 및 고정부(130)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며, 헤드부(210`) 및 헤드부(210`)에 따른 동작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10`)는 복수의 헤드부재(210`) 및 복수의 헤드부재(210`)와 구동부(230)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10`)는 일렬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 각각은 제1 및 제2 창틀(S1, S2)을 가압하여 독립적으로 제1 및 제2 창틀(S1, S2)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220`)는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와 구동부(230)를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구동부(230)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로 독립적으로 전달해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연결부(220`) 각각은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각각과 피봇(221)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부(220`)의 개수는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먼저, 프로세서(10)는,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제1 창틀(S1)의 내부와 연결부재(T) 사이의 제1 형상(H1)과 제2 창틀(S2)의 내부와 연결부재(T) 사이의 제2 형상(H2)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T)의 결합 홈(TH`)은 복수 개로 형성되거나 크기가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형상(H2)은 연결부재(T)의 제2 부(Tb)와 제2 창틀(S2) 내부의 형상을 의미하며 제1 형상(H1)과 동일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는 측정된 제1 형상(H1)과 제2 형상(H2)을 기초로,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의 가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제1 형상(H1)을 기초로, 제1 헤드부재(210`-1)의 가압거리(PD`-1)를 제2 헤드부재(210`-2)의 가압거리(PD`-2)보다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가압거리를 기초로 제1 헤드부재(210`-1)의 가압력을 제2 헤드부재(210`-2)의 가압력보다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력은 전술한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의 재료정보와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를 기초로 프로세서(10)가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 결정된 가압량을 기초로,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를 서로 다른 가압량으로 제1 창틀(S1)의 외면과 제2 창틀(S2)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복수의 결함 홈(TH`)을 가지는 연결부재(T)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결합 홈(TH`)의 가지는 연결부재(T)를 이용해서도 제1 창틀(S1)과 제2 창틀(S2)을 상호간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재(2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재(2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 센서부(110), 가이드부(120), 고정부(130), 연결부(210`) 및 구동부(230)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며, 헤드부재(210``) 및 헤드부재(210``)에 따른 동작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헤드부재(21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8에서는 하나의 헤드부재(210``)의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헤드부재(210``)는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이격부재(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재(211``)는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의 가압면(P)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의 측면(S)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의 측면에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격부재(211``)는 하나의 헤드부재(210``)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이 가지는 이격부재(21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이격부재(211``)가 돌출될 경우, 나열되고 인접한 하나의 헤드부재는 돌출된 이격부재(211``)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220`)는 헤드부(210``)와 상하 핀 연결(22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하 핀 연결(221) 사이에 공간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헤드부(210``)는 상하 핀 연결(221)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다.
공간홀(h)은 연결부재(220`)를 통해 연결되는 프로세서(10)의 제어전선 및 이격부재(211``)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유압선이 통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결합장치(1``)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먼저, 프로세서(10)는,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제1 창틀(S1)의 내부와 연결부재(T) 사이의 제1 형상(H1)과 제2 창틀(S2)의 내부와 연결부재(T) 사이의 제2 형상(H2)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T)의 결합 홈(TH``)은 복수 개로 형성되거나 크기가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홈(TH``)은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지부(K)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는 측정된 제1 형상(H1)과 제2 형상(H2)을 기초로, 복수의 헤드부재(210`) 각각의 가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제1 형상(H1)과 제2 형상(H2)이 포함하는 에지부(K)의 형상을 기초로 이격부재(211``)의 돌출거리(211``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부(K)의 각도 및 홈이 깊으면 깊을수록 이격부재(211``)의 돌출거리(211``D)는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는 이격부재(211``)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를 독립적인 가압거리(PD``-1, PD``-2, PD``-3, PD``-4)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헤드부재(210``-1)의 제1 가압거리(PD``-1)는 제4 헤드부재(210``-4)의 제4 가압거리(PD``-4)보다 클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는 제1 창틀(S1), 제2 창틀(S2) 및 연결부재(T)가 일부 결합된 상태에서, 이격부재(211``)를 결정된 돌출거리(211``D)로 돌출시켜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 각각의 측면을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헤드부재(210``-1, 210``-2, 210``-3, 210``-4)의 측면은 이격되게 되며, 에지부(K)에도 복수의 헤드부재 중 일부가 직접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접합부재(1``)는 에지부(K)에도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이 결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지부(K) 형상에 의해 결합된 연결부재(T)와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결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접합부재(1``)는 에지부(K)를 포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포함하지 않는 홈의 경우에도 에지부(K)에 추가 가압을 함으로써, 연결부재(T)와 제1 창틀(S1) 및 제2 창틀(S2)의 결합 완고성을 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1`, 1``: 창틀접합장치 5: 받침대
10: 프로세서 20: 메모리
110: 센서부 120: 가이드부
130: 고정부 200: 접합부
210: 헤드부 220: 연결부
230: 구동부 T: 연결부재
S1: 제1 창틀 S2: 제2 창틀

Claims (5)

  1. 상호간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창틀 및 제2 창틀과 상기 제1 창틀과 상기 제2 창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안착된 받침대;
    상기 제1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거리와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재료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제1 창틀의 내부 및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를 기 설정된 결합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기 설정된 결합위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제1 창틀의 내부 및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창틀의 외부면과 상기 제2 창틀의 외부면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재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합부의 가압량을 결정하며,
    상기 재료정보는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두께를 포함하는 창틀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창틀 및 상기 제2 창틀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창틀과 상기 제2 창틀을 가압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가압력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모리의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인장강도, 상기 항복강도 및 상기 두께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기초로 상기 가압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압량을 기초로, 상기 헤드부를 구동하는 창틀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헤드부재;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1 형상과 상기 제2 창틀의 내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제2 형상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제1 형상과 상기 제2 형상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가압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압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를 서로 다른 가압량으로 상기 제1 창틀의 외면과 상기 제2 창틀의 외면을 가압하는 창틀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가압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측면에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된 상기 제1 형상과 상기 제2 형상을 기초로, 상기 이격부재의 돌출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창틀, 상기 제2 창틀 및 상기 연결부재가 일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재를 결정된 상기 돌출거리로 돌출시켜 상기 복수의 헤드부재 각각의 측면을 이격시키는 창틀결합장치.

KR1020200157408A 2020-11-23 2020-11-23 창틀결합장치 KR10221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408A KR102218786B1 (ko) 2020-11-23 2020-11-23 창틀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408A KR102218786B1 (ko) 2020-11-23 2020-11-23 창틀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786B1 true KR102218786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408A KR102218786B1 (ko) 2020-11-23 2020-11-23 창틀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7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41Y1 (ko) * 1997-10-14 1999-12-01 성재갑 창틀 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40026499A (ko) * 2002-09-25 2004-03-31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시스템 창호의 복합 가공장치
KR20140105130A (ko) * 2013-02-22 2014-09-0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롤러조립장치
KR20190051129A (ko) * 2017-11-06 2019-05-15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KR102053476B1 (ko) * 2015-01-30 2019-12-06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프로파일의 보강재 자동 체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41Y1 (ko) * 1997-10-14 1999-12-01 성재갑 창틀 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40026499A (ko) * 2002-09-25 2004-03-31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시스템 창호의 복합 가공장치
KR20140105130A (ko) * 2013-02-22 2014-09-0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롤러조립장치
KR102053476B1 (ko) * 2015-01-30 2019-12-06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프로파일의 보강재 자동 체결장치 및 방법
KR20190051129A (ko) * 2017-11-06 2019-05-15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2218A1 (en) Ultrasonic bonding method of electric wire
JP4898463B2 (ja) 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KR101882547B1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기
MXPA06014295A (es) Arreglo para soldadura de piezas de trabajo mediante dispositivo de soldadura ultrasonica.
CN111052518B (zh) 带端子电线的制造方法、带端子电线以及超声波接合装置
KR102218786B1 (ko) 창틀결합장치
JP2006114343A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6035244A (ja) 冷間圧接方法及び金属接合体
JP6128946B2 (ja) 電線と端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3426742B2 (ja) 圧着端子と電線の圧着構造及び圧着工具
JP2012048902A (ja) 電線端部の成形方法及び電線端部成形用型
KR102066822B1 (ko) 창틀접합장치
JPH10335040A (ja) コネクタ圧入装置
KR102019614B1 (ko) 카메라 모듈용 부품의 제조 및 연속 결합 방법
CN211136388U (zh) 一种增压夹紧机构
JP3121157U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
JP2022106091A (ja) ケーブル組立体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ホーンチップ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ケーブル組立体
KR101662555B1 (ko) 라인을 연결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EP3616276B1 (en) Method for aligning a crimper of a first tool of a crimping press relative to an anvil of a second tool of the crimping press and a crimping press device
CN105474480A (zh) 用于使用超声信号的端子压接装置的滤波器
US5335842A (en) Self-aligning single point bonding tool
CN114599471A (zh) 具有可移位止动元件的超声波焊接装置
CN211554144U (zh) 一种电阻测量装置
KR101417391B1 (ko) 축전지 연결단자의 정렬장치
KR101979613B1 (ko) 복합소재 접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