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381B1 -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381B1
KR102218381B1 KR1020140131773A KR20140131773A KR102218381B1 KR 102218381 B1 KR102218381 B1 KR 102218381B1 KR 1020140131773 A KR1020140131773 A KR 1020140131773A KR 20140131773 A KR20140131773 A KR 20140131773A KR 102218381 B1 KR102218381 B1 KR 10221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supply
uni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041A (ko
Inventor
조순천
김영빈
이주일
정희철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3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induc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01J37/32119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처리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는 윈도우를 가지는 공정 챔버, 상기 공정 챔버 내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 상기 공정 챔버 내로 공정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 상기 공정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정 챔버 내에서 상기 공정 가스로부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안테나를 가지는 플라즈마 발생 유닛, 그리고 상기 윈도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포러스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은 상기 다공판으로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재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WINDOW UNIT,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에칭 공정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 상의 박막을 제거할 수 있다.
기판 처리 공정에 플라즈마를 이용하기 위해, 공정 챔버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발생 유닛이 장착된다. 이 플라즈마 발생 유닛은 플라즈마 발생 방식에 따라 크게 CCP(Capacitively Coupled Plasma) 타입과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타입으로 나뉜다.
CCP 타입의 소스는 챔버 내에 두 전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두 전극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RF 신호를 인가하여 챔버 내에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반면, ICP 타입의 소스는 챔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일이 설치되고, 코일에 RF 신호를 인가하여 챔버 내에 전자장을 유도함으로써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이 때, 공정 챔버 내부로 공정 가스가 공급되고, 안테나가 공정 챔버 내부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여 공정가스를 플라스마 상태로 여기시킨다. 안테나로부터 인가된 고주파 전력은 유전체 윈도우를 투과하여 공정 챔버 내부에 제공된다. 유전체 윈도우의 온도는 기판 처리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전체 윈도우의 온도 조절은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도 조절이 용이한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 흐름의 양을 조절 가능한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처리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는 윈도우를 가지는 공정 챔버, 상기 공정 챔버 내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 상기 공정 챔버 내로 공정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 상기 공정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정 챔버 내에서 상기 공정 가스로부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안테나를 가지는 플라즈마 발생 유닛, 그리고 상기 윈도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포러스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은 상기 다공판으로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서로 대향되게 제공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는 측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판은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그리고 상기 측부판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재는, 상기 다공판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홀 및 상기 다공판에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홀 및 상기 배출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급홀 및 배출홀은 상기 측부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홀은 이웃하는 상기 배출홀을 갖고, 상기 배출홀은 이웃하는 상기 공급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급홀은 상기 측부판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은 상기 측부판의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상기 측부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급홀은 상기 측부판 내 상기 다공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러스 재질은 산화 알루미늄(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러스 재질은 카본 및 산소를 이용하여 퍼니스에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조절이 용이한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흐름의 양을 조절 가능한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윈도우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윈도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공판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포러스 재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윈도우 유닛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윈도우 유닛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윈도우 유닛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윈도우 유닛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윈도우 유닛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윈도우 유닛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을 식각하는 기판 처리 장치 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상부에 놓여진 기판을 가열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1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 처리 장치(1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W)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기판 처리 장치(10)는 기판(W)에 대하여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판 처리 장치(10)는 공정 챔버(100), 지지 유닛(200), 가스 공급 유닛(300), 플라즈마 발생 유닛(400) 및 배플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정 챔버(100)는 기판 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공정 챔버(100)는 하우징(110), 윈도우 유닛(120), 그리고 라이너(18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공간을 갖는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기판 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처리 공간으로 제공된다. 하우징(110)은 금속 재질로 제공된다. 하우징(1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접지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배기홀(102)이 형성된다. 배기홀(102)은 배기 라인(151)과 연결된다. 공정 과정에서 발생한 반응 부산물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머무르는 가스는 배기 라인(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 과정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는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된다.
윈도우 유닛(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윈도우 유닛(120)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윈도우 유닛(120)는 유전체(dielectric substance)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윈도우 유닛(12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윈도우 유닛(12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공판(140)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포러스 재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윈도우 유닛(120)을 설명한다. 윈도우 유닛(120)은 바디(130), 다공판(140), 그리고 온도 조절 유닛(145)을 가진다. 바디(130)는 상부판(132), 하부판(134), 그리고 측부판(136)을 가진다. 상부판(132)과 하부판(134)은 서로 대향되게 제공된다. 측부판(136)은 상부판(132)과 하부판(134)을 연결한다. 다공판(140)은 상부판(132)과 하부판(134)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도 3과 같이, 다공판(140)은 상부판(132), 하부판(134), 측부판(136)으로 둘러싸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디(130)는 다공판(140)을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윈도우 유닛(120)은 공급홀(150) 및 배출홀(160)을 포함한다. 일 예로, 공급홀(150) 및 배출홀(160)은 바디(130)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홀(150)은 유체 공급부재(148)로부터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받는다. 배출홀(160)은 윈도우 내의 유체를 유체 공급부재(148)로 배출한다.
다공판(140)은 포러스 재질을 포함한다. 다공판(140)을 통하는 유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온도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판(140)은 다양한 유전상수를 갖는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포러스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포러스 재질은, 퍼니스에서 고온 환경 하에서 산화알루미늄을 카본 및 산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포러스 재질은 도 5와 같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다공판(140)은 처리 공간의 상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140)은 상부 공간의 온도 변동에 따른 유체 흐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유닛(145)은 윈도우(120)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 조절 유닛(145)은 유체 공급부재(148)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부재(148)는 윈도우(120)으로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윈도우 유닛(120)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윈도우 유닛(120)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급홀(150)과 배출홀(160)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홀(150)과 배출홀(160)은 측부판(136)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공급홀(150)과 배출홀(160)은 서로 이웃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인접하는 공급홀(150)들 사이에는 하나의 배출홀(160)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배출홀(160)들 사이에는 하나의 공급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도 조절된 유체를 이용하여, 윈도우(120)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8은 윈도우 유닛(12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윈도우 유닛(120)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급홀(150a)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홀(150a)은 측부판(136)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60a)은 상부판(13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공급홀(150a)은 측부판(136) 내에 다공판(14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홀(150a)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소용돌이 치면서 배출홀(16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도 조절된 유체를 이용하여, 윈도우(120)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배출홀(160a)은 바디(130) 내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홀(160a)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윈도우 유닛(120)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윈도우 유닛(120)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급홀(150b)과 배출홀(160b)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홀(150b)과 배출홀(160b)은 측부판(136)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공급홀(150b)은 측부판(136)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배출홀(160b)은 측부판(136)의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도 조절된 유체를 이용하여, 윈도우(120)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라이너(180)는 하우징(110) 내부에 제공된다. 라이너(18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공간의 내부에 형성된다. 라이너(18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라이너(18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라이너(18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따라 제공된다. 라이너(180)의 상단에는 지지 링(131)이 형성된다. 지지 링(131)은 링 형상의 판으로 제공되며, 라이너(180)의 둘레를 따라 라이너(18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지지 링(131)은 하우징(110)의 상단에 놓이며, 라이너(180)를 지지한다. 라이너(180)는 하우징(110)과 동일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라이너(18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라이너(180)는 하우징(110) 내측면을 보호한다. 공정 가스가 여기되는 과정에서 챔버(100) 내부에는 아크(Arc)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아크 방전은 주변 장치들을 손상시킨다. 라이너(18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보호하여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아크 방전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기판 처리 공정 중에 발생한 불순물이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라이너(180)는 하우징(110)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아크 방전으로 라이너(180)가 손상될 경우, 작업자는 새로운 라이너(180)로 교체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기판 지지 유닛(200)이 위치한다. 기판 지지 유닛(200)은 기판(W)을 지지한다. 기판 지지 유닛(200)은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기판(W)을 흡착하는 정전 척(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판 지지 유닛(200)은 기계적 클램핑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판(W)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정전 척(210)을 포함하는 지지 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 유닛(200)은 정전 척(210), 절연 플레이트(250) 및 하부 커버(270)를 포함한다. 지지 유닛(200)은 챔버(100) 내부에서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정전 척(210)은 유전판(220), 전극(223), 히터(225), 지지판(230) 및 포커스 링(240)을 포함한다.
유전판(220)은 정전 척(210)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유전판(220)은 원판 형상의 유전체(dielectric substance)로 제공된다. 유전판(220)의 상면에는 기판(W)이 놓인다. 유전판(220)의 상면은 기판(W)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다. 때문에, 기판(W) 가장자리 영역은 유전판(220)의 외측에 위치한다. 유전판(220)에는 제 1 공급 유로(221)가 형성된다. 제 1 공급 유로(221)는 유전판(210)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제공된다. 제 1 공급 유로(221)는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되며, 기판(W)의 저면으로 열전달 매체가 공급되는 통로로 제공된다.
유전판(220)의 내부에는 하부 전극(223)과 히터(225)가 매설된다. 하부 전극(223)은 히터(225)의 상부에 위치한다. 하부 전극(223)은 제 1 하부 전원(2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하부 전원(223a)은 직류 전원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223)과 제 1 하부 전원(223a) 사이에는 스위치(223b)가 설치된다. 하부 전극(223)은 스위치(223b)의 온/오프에 의해 제 1 하부 전원(2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223b)가 온 되면, 하부 전극(223)에는 직류 전류가 인가된다. 하부 전극(223)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하부 전극(223)과 기판(W) 사이에는 정전기력이 작용하며,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W)은 유전판(220)에 흡착된다.
히터(225)는 제 2 하부 전원(225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225)는 제 2 하부 전원(225a)에서 인가된 전류에 저항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열은 유전판(220)을 통해 기판(W)으로 전달된다. 히터(225)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기판(W)은 소정 온도로 유지된다. 히터(225)는 나선 형상의 코일을 포함한다.
유전판(220)의 하부에는 지지판(230)이 위치한다. 유전판(220)의 저면과 지지판(230)의 상면은 접착제(236)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지지판(2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판(230)의 상면은 중심 영역이 가장자리 영역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단차질 수 있다. 지지판(230)의 상면 중심 영역은 유전판(220)의 저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유전판(220)의 저면과 접착된다. 지지판(230)에는 제 1 순환 유로(231), 제 2 순환 유로(232) 및 제 2 공급 유로(233)가 형성된다.
제 1 순환 유로(231)는 열전달 매체가 순환하는 통로로 제공된다. 제 1 순환 유로(231)는 지지판(230) 내부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순환 유로(231)는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링 형상의 유로들이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 1 순환 유로(231)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 1 순환 유로(231)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제 2 순환 유로(232)는 냉각 유체가 순환하는 통로로 제공된다. 제 2 순환 유로(232)는 지지판(230) 내부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순환 유로(232)는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링 형상의 유로들이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 2 순환 유로(232)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 2 순환 유로(232)는 제 1 순환 유로(23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순환 유로(232)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제 2 순환 유로(232)는 제 1 순환 유로(23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공급 유로(233)는 제 1 순환 유로(231)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지지판(230)의 상면으로 제공된다. 제 2 공급 유로(243)는 제 1 공급 유로(221)에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되며, 제 1 순환 유로(231)와 제 1 공급 유로(221)를 연결한다.
제 1 순환 유로(231)는 열전달 매체 공급라인(231b)을 통해 열전달 매체 저장부(231a)와 연결된다. 열전달 매체 저장부(231a)에는 열전달 매체가 저장된다. 열전달 매체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열전달 매체는 헬륨(He) 가스를 포함한다. 헬륨 가스는 공급 라인(231b)을 통해 제 1 순환 유로(231)에 공급되며, 제 2 공급 유로(233)와 제1 공급 유로(221)를 순차적으로 거쳐 기판(W) 저면으로 공급된다. 헬륨 가스는 플라즈마에서 기판(W)으로 전달된 열이 정전 척(210)으로 전달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제 2 순환 유로(232)는 냉각 유체 공급 라인(232c)을 통해 냉각 유체 저장부(232a)와 연결된다. 냉각 유체 저장부(232a)에는 냉각 유체가 저장된다. 냉각 유체 저장부(232a) 내에는 냉각기(232b)가 제공될 수 있다. 냉각기(232b)는 냉각 유체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이와 달리, 냉각기(232b)는 냉각 유체 공급 라인(232c)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냉각 유체 공급 라인(232c)을 통해 제 2 순환 유로(232)에 공급된 냉각 유체는 제 2 순환 유로(232)를 따라 순환하며 지지판(230)을 냉각한다. 지지판(230)은 냉각되면서 유전판(220)과 기판(W)을 함께 냉각시켜 기판(W)을 소정 온도로 유지시킨다.
포커스 링(240)은 정전 척(2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포커스 링(240)은 링 형상을 가지며, 유전판(2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포커스 링(240)의 상면은 외측부(240a)가 내측부(240b)보다 높도록 단차질 수 있다. 포커스 링(240)의 상면 내측부(240b)는 유전판(22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된다. 포커스 링(240)의 상면 내측부(240b)는 유전판(220)의 외측에 위치된 기판(W)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한다. 포커스 링(240)의 외측부(240a)는 기판(W)의 가장자리 영역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포커스 링(240)은 챔버(100) 내에서 플라즈마가 기판(W)과 마주하는 영역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지지판(230)의 하부에는 절연 플레이트(250)가 위치한다. 절연 플레이트(250)는 지지판(230)에 상응하는 단면적으로 제공된다. 절연 플레이트(250)는 지지판(230)과 하부 커버(270) 사이에 위치한다. 절연 플레이트(250)는 절연 재질로 제공되며, 지지판(230)과 하부 커버(27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하부 커버(270)는 기판 지지 유닛(20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하부 커버(270)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하부 커버(270)는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하부 커버(270)의 상면은 절연 플레이트(250)에 의해 덮어진다. 따라서, 하부 커버(270)의 단면의 외부 반경은 절연 플레이트(250)의 외부 반경과 동일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커버(270)의 내부 공간에는 반송되는 기판(W)을 외부의 반송 부재로부터 정전 척(210)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 핀 모듈(미도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커버(270)는 연결 부재(273)를 갖는다. 연결 부재(273)는 하부 커버(27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벽을 연결한다. 연결 부재(273)는 하부 커버(270)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부재(273)는 기판 지지 유닛(200)을 챔버(100) 내부에서 지지한다. 또한, 연결 부재(273)는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연결됨으로써 하부 커버(270)가 전기적으로 접지되도록 한다. 제 1 하부 전원(223a)과 연결되는 제 1 전원 라인(223c), 제 2 하부 전원(225a)과 연결되는 제 2 전원라인(225c), 열전달 매체 저장부(231a)와 연결된 열전달 매체 공급라인(231b), 및 냉각 유체 저장부(232a)와 연결된 냉각 유체 공급 라인(232c) 등은 연결 부재(273)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부 커버(270) 내부로 연장된다.
가스 공급 유닛(300)은 챔버(100) 내부에 공정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 유닛(300)은 가스 공급 노즐(310), 가스 공급 라인(320) 및 가스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가스 공급 노즐(310)은 윈도우 유닛(12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가스 공급 노즐(310)의 저면에는 분사구가 형성된다. 분사구는 윈도우 유닛(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챔버(100) 내부의 처리공간으로 공정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 라인(320)은 가스 공급 노즐(310)과 가스 저장부(330)를 연결한다. 가스 공급 라인(320)은 가스 저장부(330)에 저장된 공정 가스를 가스 공급 노즐(310)에 공급한다. 가스 공급 라인(320)에는 밸브(321)가 설치된다. 밸브(321)는 가스 공급 라인(320)을 개폐하며, 가스 공급 라인(320)을 통해 공급되는 공정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플라즈마 발생 유닛(400)은 챔버(100) 내 공정 가스를 플라즈마 상태로 여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발생 유닛(400)은 ICP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 유닛(400)은 고주파 전원(420), 제 1 안테나(411), 제 2 안테나(413), 그리고 전력 분배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전원(420)은 고주파 신호를 공급한다. 일 예로, 고주파 전원(420)은 RF 전원(420)일 수 있다. RF 전원(420)은 RF 전력을 공급한다. 이하, 고주파 전원(420)이 RF 전원(420)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 1 안테나(411)는 고주파 전원(420)과 제 1 라인(L1)을 통해 연결된다. 제 2 안테나(413)는 고주파 전원(420)과 제 2 라인(L2)을 통해 연결된다. 제 2 라인(L2)은 제 1 라인(L1)의 분기점(P)에서 분기된다. 제 1 안테나(411) 및 제 2 안테나(413)는 각각 복수 회로 감긴 코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411) 및 제 2 안테나(413)는 RF 전원(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RF 전력을 인가받는다. 전력 분배기(430)는 RF 전원(4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의 안테나로 분배한다.
제 1 안테나(411) 및 제 2 안테나(413)는 기판(W)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안테나(411) 및 제 2 안테나(413)는 공정 챔버(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411) 및 제 2 안테나(413)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안테나(411)의 반경은 제 2 안테나(413)의 반경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안테나(411)는 공정 챔버(100)의 상부 안쪽에 위치하고, 제 2 안테나(413)은 공정 챔버(100)의 상부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411, 413)은 공정 챔버(100)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411, 413) 중 어느 하나는 공정 챔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공정 챔버(100)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안테나가 공정 챔버(100) 내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한, 코일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안테나(411) 및 제 2 안테나(413)은 RF 전원(420)으로부터 RF 전력을 인가받아 챔버에 시변 전자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정 챔버(100)에 공급된 공정 가스는 플라즈마로 여기될 수 있다.
배플 유닛(500)은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기판 지지 유닛(200) 사이에 위치된다. 배플 유닛(500)은 관통홀이 형성된 배플을 포함한다. 배플은 환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된다. 하우징(110) 내에 제공된 공정가스는 배플의 관통홀들을 통과하여 배기홀(102)로 배기된다. 배플의 형상 및 관통홀들의 형상에 따라 공정가스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ICP 타입의 플라즈마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상술한 윈도우 유닛이 제공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유도성 용량 결합(CCP: Capacitively Coupled Plasma) 타입의 플라즈마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상술한 윈도우 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판 처리 장치
100: 공정 챔버
120: 유전체 유닛
132: 상부판
134: 하부판
136: 측부판
140: 다공판
150: 공급홀
160: 배출홀
200: 기판 지지 유닛
300: 가스 공급 유닛
400: 플라즈마 발생 유닛

Claims (20)

  1.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처리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는 윈도우를 가지는 공정 챔버;
    상기 공정 챔버 내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공정 챔버 내로 공정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
    상기 공정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정 챔버 내에서 상기 공정 가스로부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안테나를 가지는 플라즈마 발생 유닛; 그리고
    상기 윈도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은 상기 윈도우로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포러스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판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서로 대향되게 제공되는 상부판과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는 측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유체공급부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공급홀 및 상기 유체공급부재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홀 및 상기 배출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 및 상기 배출홀은 상기 측부판에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기판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그리고 상기 측부판으로 둘러싸이는 기판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공급홀들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배출홀들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공급홀이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급홀은 상기 측부판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은 상기 측부판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상기 측부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급홀은 상기 측부판 내 상기 다공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의 재질은 산화 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11. 반도체 기판들이 플라즈마 처리되는 처리 공간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 가스를 제공하는 윈도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 유닛은 상기 윈도우로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포러스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판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서로 대향되게 제공되는 상부판과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는 측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유체공급부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공급홀 및 상기 유체공급부재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홀 및 상기 배출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공급홀 및 상기 배출홀은 상기 측부판에 형성되는 윈도우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윈도우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그리고 상기 측부판으로 둘러싸이는 윈도우 유닛.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상기 측부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윈도우 유닛.
  17. 제 1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공급홀들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배출홀들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공급홀이 형성되는 윈도우 유닛.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의 재질은 산화 알루미늄(Al2O3)를 포함하는 윈도우 유닛.
  19. 반도체 기판들이 플라즈마 처리되는 처리 공간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 가스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그리고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윈도우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포러스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판을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산화 알루미늄을 퍼니스에서 카본 및 산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KR1020140131773A 2014-09-30 2014-09-30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KR10221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773A KR102218381B1 (ko) 2014-09-30 2014-09-30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773A KR102218381B1 (ko) 2014-09-30 2014-09-30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41A KR20160039041A (ko) 2016-04-08
KR102218381B1 true KR102218381B1 (ko) 2021-02-23

Family

ID=5590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773A KR102218381B1 (ko) 2014-09-30 2014-09-30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3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035B1 (ko) * 2003-11-17 200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정전척
WO2010001938A1 (ja) * 2008-07-04 2010-01-0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プラズマ処理方法および誘電体窓の温度調節機構
US8970114B2 (en) * 2013-02-01 2015-03-03 Lam Research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ed window of a plasma processing chamber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41A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479B1 (ko) 기판 지지 유닛,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980203B1 (ko) 지지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CN105470125A (zh) 处理基板的系统和方法
KR20130025144A (ko) 정전 척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5012583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57017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817210B1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8077B1 (ko) 지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232332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234452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42624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927937B1 (ko) 지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218381B1 (ko) 윈도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윈도우 유닛 제조 방법
KR101569886B1 (ko) 기판 지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430745B1 (ko) 정전 척 및 기판 처리 장치
CN108695132B (zh) 等离子体生成单元以及包括其的基板处理装置
KR20220021745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939661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502853B1 (ko) 지지 유닛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1885569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160145865A (ko) 정전 척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26210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543686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02191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3260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