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726B1 -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 Google Patents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726B1
KR102217726B1 KR1020180159981A KR20180159981A KR102217726B1 KR 102217726 B1 KR102217726 B1 KR 102217726B1 KR 1020180159981 A KR1020180159981 A KR 1020180159981A KR 20180159981 A KR20180159981 A KR 20180159981A KR 102217726 B1 KR102217726 B1 KR 10221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vertebrae
cage
cervical
scre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143A (ko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너스
Priority to KR102018015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26B1/ko
Priority to PCT/KR2019/016331 priority patent/WO2020122466A2/ko
Publication of KR2020007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1Implants for expanding or repairing the vertebral arch or wedged between laminae or pedicl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9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가 제거된 환자의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경추체간의 제1 경추체와 제2 경추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며, 경추체간 사이 공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삽입 위치가 조절되는 지지 케이지; 전단에 상기 지지 케이지가 연결 설치되며,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 경추체 및 제2 경추체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일측이 제1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1 스크류; 일측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 및 일측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3 스크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Inserting Type Cervical Stand Alone Cage}
본 발명은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가 제거된 환자의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頸椎)는, 7개의 등골뼈로 된 척추의 맨 윗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머리뼈와 등뼈 사이에 있는데, 모양이 대부분 작고 납작하며, 가로로 난 횡 돌기에 척추동맥(제7경추 제외), 정맥 및 교감 신경 층이 지나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경추는, 둥근 모양으로 두개골을 받치는 관절면이 있으나, 추체와 극돌기가 없고, 제2 경추는 목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 축추(軸椎)라고 하며, 추체에서 위로 솟아오른 치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환추와 축추에서는 회전운동이 많이 일어나는 곳으로, 제3 경추에서 제6경추까지 작고 넓은 추체와 삼각형의 추공이 있으며, 끝이 둘로 갈라진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7 경추는 융추(隆椎)라는 것으로 길고 끝이 갈라지지 않은 극돌기가 있다.
한편, 경추 속에 있는 척수강으로는 뇌에서 사지로 전달하는 운동신경, 사지와 몸통 각 기관에서 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들이 척수로 되어 지나간다. 경추 앞쪽으로는 심장박동, 호흡 및 소화 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 양쪽에는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지나간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경추는, 사고로 인한 외부의 충격이나 비틀어진 자세가 장시간 지속됨에 따라 손상을 입거나 휘어진 상태의 변형이 생기게 되며, 이때 경추 간격이 좁아지거나, 경추간판이 탈출하여 압박하게 됨에 따라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을 느끼게 되며, 중기와 말기에는 심한 통증과 더불어 몸이 마비되는 증세가 수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추간판을 제거하여 신경의 압박을 제거한 후에, 환자의 골반 뼈를 크기와 모양에 맞추어 채취하여 이를 경추간판 제거 부위에 삽입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를 스크류로 경추에 고정하여 삽입된 조각 뼈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환자의 골반에 또 다른 상처가 남고, 통증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행의 불편을 호소하기도 하고 골반 뼈의 유합 과정 중의 골 흡수 과정에 의하여 목의 길이가 짧아지는 불편감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이 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자의 뼈 대신에 티타늄 합금이나 PEEK 등의 재질의 케이지를 경추간판에 삽입하여 그 간격을 넓혀주고 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금속(티타늄 합금) 등의 재질로 된 보강 플레이트를 경추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케이지와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로 결합하고 상하의 경추에 또다른 결합부재로 상기 플레이트를 고정한다.
티타늄 합금이나 PEEK 재질의 케이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반 골 채취 부위의 불편감이나 합병증이 없고, 수술 후 완치 시간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경추체간 보강 방법은, 케이지를 경추체간에 삽입한 후에 경추체간의 입구 부분을 덮도록 보강 플레이트를 사용하는데, 경추는 서로 크기와 모양이 상이하여 케이지 삽입 후에 보강 플레이트 위치나 형상이 좋지 않게 되거나, 이로 인해 수술 후에 환자들이 이물감을 느끼는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경추체간 보강 방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가 위 또는 아래 경추간판 부위로 침범하여 인접 경추간판의 석회화를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28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997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디스크가 제거된 환자의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는, 경추체간의 제1 경추체와 제1 경추체에 대향하는 제2 경추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며, 경추체간 사이 공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삽입 위치가 조절되는 지지 케이지; 경추체간에 대향하는 전단에 상기 지지 케이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케이지에 의해 지지된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 경추체 및 제2 경추체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1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1 스크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3 스크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케이지는,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케이지 본체부; 상기 케이지 본체부와 대향하는 전단이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지 본체부를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거나 잡아당기는 삽입 조절부; 및 상기 삽입 조절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조절부 후단의 머리 부분과 상기 케이지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는 전단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지 본체부는, 전단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너비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유도홈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삽입 조절부의 전단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경추체간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경추체와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의 각 면에서 경추체간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골유합을 위해 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타단부로 관통 형성되는 골유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스크류 및 상기 제3 스크류가 지나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단부의 후단에 상기 제2 스크류 및 상기 제3 스크류가 제2 경추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두 개의 체결 유도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조절부는, 후단에 형성되는 볼트 헤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홀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상기 볼트 헤드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 로드; 및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관통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로드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조절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몸통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본체;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단부로부터 제1 경추체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 경사 프레임; 상기 제1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홀; 상기 제2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2 체결홀; 상기 제3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다른 일에 관통 형성되는 제3 체결홀; 상기 지지 케이지의 후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3 체결홀 사이에서 상기 지지 케이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4 체결홀; 및 상기 지지 케이지의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케이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상기 지지 케이지의 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을 삽입하여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을 전단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경추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경추체간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됨으로써, 기존의 경추보강 케이지에서 발생되는 보강 플레이트가 위 또는 아래 경추간판 부위로 침범하여 인접 경추간판의 석회화를 야기시키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지뿐만 아니라 플레이트까지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수술 후에 경추체간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기존의 보강 플레이트와 같은 보형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이물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경추체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케이지의 삽입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써, 경추체간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지지 케이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고정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고정 플레이트와 다른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10)는, 지지 케이지(100), 고정 플레이트(200), 제1 스크류(300),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를 포함한다.
지지 케이지(100)는, 경추체간의 제1 경추체(즉, 도 7 또는 도 8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추체)와 제1 경추체에 대향하는 제2 경추체(즉, 도 7 또는 도 8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추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며, 양측 및 고정 플레이트(200)와 대향하는 후단이 각각 고정 플레이트(200)의 양측 및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경추체간 사이 공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삽입 위치가 조절된다.
고정 플레이트(200)는, 경추체간에 대향하는 전단에 지지 케이지(100)가 연결 설치되며, 지지 케이지(100)에 의해 지지된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 스크류(300)에 의해 제1 경추체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에 의해 제2 경추체에 고정 설치된다.
기존의 경추 체간용 보강 플레이트는, 케이지를 경추체간에 삽입한 후에 경추체간의 입구 부분을 덮도록 설치었는데, 이로 인해 케이지 삽입 후에 보강 플레이트 위치나 형상이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가 위 또는 아래 경추간판 부위로 침범하여 인접 경추간판의 석회화를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 플레이트(200)는, 경추체간의 입구를 덮는 기존의 보강 플레이트와는 달리, 지지 케이지(100)와 함께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후 경추체간에 고정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보강 플레이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1 스크류(300)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1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제1 경추체로부터 고정 플레이트(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고정 플레이트(200)에 체결된다.
제2 스크류(400)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제2 경추체로부터 고정 플레이트(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고정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체결된다.
제3 스크류(500)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제2 경추체로부터 고정 플레이트(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고정 플레이트(200)의 다른 일측에 체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10)의 각 구성들간의 연결 관계는 다음과 같다.
경추체간의 공간과 대향하는 고정 플레이트(200)의 전단에 지지 케이지(100)가 연결 설치되고, 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고정 플레이트(200)의 상단에 제1 스크류(300)가 체결되고,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고정 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가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10)의 각각의 구성들은, 폴리에터에터캐톤(polyetheretherketone, PEEK)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터에터캐톤이라 함은, 티타늄(titanium)을 대신할 고성능 생체 적합 물질로서, 금속과 같이 사출성형, 몰딩, 가공, 압출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충격 및 마모에 강하며,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방사선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이와 같이, 폴리에터에터캐톤으로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를 형성할 경우, 신체의 친화력이 높아 신체에 거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아 신체에 장기간 이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10)는, 고정 플레이트(200)를 경추체간의 입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대신, 경추체간 사이 공간으로 삽입시킴으로써, 기존의 경추보강 케이지에서 발생되는 보강 플레이트가 위 또는 아래 경추간판 부위로 침범하여 인접 경추간판을 석회화시키거나, 수술 후 환자의 식도를 건드려 불편함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지지 케이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케이지(100)는, 케이지 본체부(110), 삽입 조절부(120) 및 분리 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케이지 본체부(110)는,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며, 후단에 삽입 조절부(120)가 연결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지 본체부(110)는, 몸체(111), 슬라이딩 홈(112), 슬라이딩 프레임(113) 및 관통홀(114)을 포함한다.
몸체(111)는, 전단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너비가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양측에 슬라이딩 홈(112)이 형성되며, 후단에 슬라이딩 프레임(113)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프레임(113)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홀(114)이 관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11)는, 경추체간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경추체와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몸체(111)의 각 면(즉, 도 4를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경추체간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115)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11)는, 골유합을 위해 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타단부로(즉, 도 4를 기준으로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골유합 공간(116)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11)는,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가 지나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단부의 후단에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가 제2 경추체로 삽입되는 방향(즉,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가 삽입되는 경사각 방향)으로 두 개의 체결 유도홈(117)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12)은, 고정 플레이트(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270)(도 5 참조)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111)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113)은, 고정 플레이트(200)의 전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유도홈(211)(도 2를 참조)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111)의 후단으로부터 슬라이딩 유도홈(211)에 대응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관통홀(114)은, 삽입 조절부(120)의 전단(즉, 조절 나사산(123))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프레임(113)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측면에 후술하는 조절 나사산(123)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을 형성한다.
삽입 조절부(120)는, 케이지 본체부(110)와 대향하는 전단이 케이지 본체부(110)의 후단(즉, 관통홀(114))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고정 플레이트(200)에 연결 설치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케이지 본체부(110)를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거나 잡아당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삽입 조절부(120)는, 볼트 헤드(121), 체결 로드(122) 및 조절 나사산(123)을 포함한다.
볼트 헤드(121)는, 삽입 조절부(120)의 후단에 형성되고, 전단에 체결 로드(122)가 연장 형성된다.
체결 로드(122)는, 고정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체결홀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볼트 헤드(121)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전단에 조절 나사산(123)이 연장 형성된다.
조절 나사산(123)은, 케이지 본체부(110)의 관통홀(114)에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 로드(122)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관통홀(114)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형태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조절 나사산(12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관통홀(114)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나사산의 형태에 대응하여 케이지 본체부(1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다.
분리 방지부(130)는, 삽입 조절부(120)가 고정 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 조절부(120) 후단의 머리 부분과 케이지 본체부(110)에 연결 설치되는 전단 사이에 삽입된다.
분리 방지부(130)는, 볼트 헤드(121)와 체결 로드(12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볼트 헤드(121)와 체결 로드(122)이 방지턱 역할을 하여 해당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삽입 조절부(120)는, 볼트 헤드(121)가 제4 체결홀(260)의 후단 입구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 로드(122)가 제4 체결홀(260)을 관통하게 되며, 제4 체결홀(260)의 전단 출구 부분에 분리 방지부(13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볼트 헤드(121)가 회전하여 케이지 본체부(110)를 밀어주거나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고정 플레이트(200)에서 분리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고정 플레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 본체(210), 경사 프레임(220), 제1 체결홀(230), 제2 체결홀(240), 제3 체결홀(250), 제4 체결홀(260) 및 체결 돌기(27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210)는, 고정 플레이트(200)의 몸통을 형성하며, 상단에 경사 프레임(220)이 형성되고, 경사 프레임(220)을 관통하고 제1 체결홀(230)이 형성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제2 체결홀(240) 및 제3 체결홀(250)이 경사각을 가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며, 제2 체결홀(240)과 제3 체결홀(250)의 사이에 제4 체결홀(260)이 형성되며, 양측에 체결 돌기(270)가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본체(210)는, 지지 케이지(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프레임(113)을 삽입하여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프레임(113)의 형태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211)(도 2를 참조)을 전단에 형성할 수 있다.
경사 프레임(220)은, 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본체(210)의 단부로부터 제1 경추체의 반대 방향(즉,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본체(210)는 상단에 경사 프레임(220)이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ㅗ' 형태를 이루게 된다.
플레이트 본체(210)의 경우 지지 케이지(100)와 함께 경추체간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으나, 경사 프레임(220)은 그 형태로 인하여 높이가 낮은 경추체간의 경우에는 삽입이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본 발명을 경추체간으로 삽입하기 전에 플레이트 본체(210)가 위치하게 될 제1 경추체의 입구 부분에 플레이트 본체(210)에 대응하는 형태의 홈을 미리 파놓은 후, 본 발명을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홀(230)은, 제1 스크류(3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스크류(300)의 머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1 스크류(300)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경사 프레임(220)에 관통 형성된다.
제2 체결홀(240)은, 제2 스크류(4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2 스크류(400)의 머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2 스크류(400)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 본체(2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다.
제3 체결홀(250)은, 제3 스크류(5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3 스크류(500)의 머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3 스크류(500)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 본체(210)의 다른 일측에 관통 형성된다.
제4 체결홀(260)은, 지지 케이지(100)의 후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삽입 조절부(120)에 대응하는 형태로 플레이트 본체(210)의 제2 체결홀(240)과 제3 체결홀(250) 사이에서 지지 케이지(100) 방향으로 관통된다.
체결 돌기(270)는, 지지 케이지(100)의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본체(210)의 양측으로부터 지지 케이지(1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경추체의 입구 부분에 경사 프레임(220)이 삽입될 정도의 홈을 미리 판 후, 본 발명을 경추체간의 제1 경추체와 제2 경추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경추체간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없이 본 발명이 경추체간의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케이지(100)는 제1 경추체와 제2 경추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고정 플레이트(200)는 경추체간의 공간으로 삽입된 후, 제1 스크류(300),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에 의해 제1 경추체 및 제2 경추체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고정 플레이트(200)가 제1 경추체 및 제2 경추체에 단단하게 고정되면, 사용자는 수술의 필요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조절부(120)룰 회전시켜 제1 경추체 및 제2 경추체 사이 공간에서 지지 케이지(10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고정 플레이트(200)는, 의사의 판단 및 기호, 환자의 병변 부위 및 상태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또는 8의 삽입 방향과는 달리 제1 경추체에 제2 스크류(400) 및 제3 스크류(500)가 고정되고, 제2 경추체에 제1 스크류(300)가 고정되는 방향으로도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경사 프레임(220)이 삽입될 홈은 제2 경추체의 입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 플레이트(200)는, 경사 프레임(220) 정도의 홈만 경추체의 입구에 형성시키면, 지지 케이지(100)와 함께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 경추체간에 고정됨으로써, 경추체간의 입구를 완전히 덮는 기존의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100: 지지 케이지
110; 케이지 본체부 111: 몸체
112: 슬라이딩 홈 113: 슬라이딩 프레임
114: 관통홀 115: 이탈방지돌기
116: 골유합 공간 117: 체결 유도홈
120: 삽입 조절부 121: 볼트 헤드
122: 체결 로드 123: 조절 나사산
130: 분리 방지부 200: 고정 플레이트
210: 플레이트 본체 211: 슬라이딩 유도홈
220: 경사 프레임 230: 제1 체결홀
240: 제2 체결홀 250: 제3 체결홀
260: 제4 체결홀 270: 체결 돌기
300: 제1 스크류 400: 제2 스크류
500; 제3 스크류

Claims (9)

  1. 경추체간의 제1 경추체와 제1 경추체에 대향하는 제2 경추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며, 경추체간 사이 공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삽입 위치가 조절되는 지지 케이지;
    경추체간에 대향하는 전단에 상기 지지 케이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케이지에 의해 지지된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 경추체 및 제2 경추체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1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1 스크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제2 경추체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3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케이지는,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며, 전단으로 갈수록 양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너비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지 본체부; 및
    상기 케이지 본체부와 대향하는 전단이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지 본체부를 경추체간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거나 잡아당기는 삽입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몸통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지 본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 조절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하되, 서로 마주보는 전단부 내측이 돌출되어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지는,
    상기 삽입 조절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조절부 후단의 머리 부분과 상기 케이지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는 전단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 방지부를 포함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본체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유도홈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삽입 조절부의 전단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경추체간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경추체와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의 각 면에서 경추체간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골유합을 위해 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타단부로 관통 형성되는 골유합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스크류 및 상기 제3 스크류가 지나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 경추체와 대향하는 단부의 후단에 상기 제2 스크류 및 상기 제3 스크류가 제2 경추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두 개의 체결 유도홈을 형성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조절부는,
    후단에 형성되는 볼트 헤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홀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상기 볼트 헤드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 로드; 및
    상기 케이지 본체부의 관통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로드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조절 나사산을 포함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제1 경추체와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단부로부터 제1 경추체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 경사 프레임;
    상기 제1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홀;
    상기 제2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2 체결홀;
    상기 제3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다른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3 체결홀; 및
    상기 지지 케이지의 후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3 체결홀 사이에서 상기 지지 케이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4 체결홀을 포함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상기 지지 케이지의 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을 삽입하여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을 전단에 형성하는,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KR1020180159981A 2018-12-12 2018-12-12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KR10221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81A KR102217726B1 (ko) 2018-12-12 2018-12-12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PCT/KR2019/016331 WO2020122466A2 (ko) 2018-12-12 2019-11-26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81A KR102217726B1 (ko) 2018-12-12 2018-12-12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43A KR20200072143A (ko) 2020-06-22
KR102217726B1 true KR102217726B1 (ko) 2021-02-22

Family

ID=7107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81A KR102217726B1 (ko) 2018-12-12 2018-12-12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7726B1 (ko)
WO (1) WO202012246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14B1 (ko) * 2022-10-26 2023-07-28 (주)메디쎄이 회전가능한 플레이트 일체형 경추용 케이지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6747B (zh) * 2020-09-15 2024-03-08 北京纳通医学科技研究院有限公司 寰枢椎关节融合器
CN113262084A (zh) * 2021-04-02 2021-08-17 宁波华科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稳型零切迹腰椎椎间融合系统
CN113598924B (zh) * 2021-08-04 2023-09-15 台州恩泽医疗中心(集团) 骨科术中置钉装置
CN114587551B (zh) * 2022-03-03 2023-08-22 浙江德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用于颈椎侧弯矫形颈椎前路钢板内固定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8080A1 (en) * 2010-08-11 2013-10-10 Warsaw Orthopedic, Inc. Interbody spinal implants with extravertebral support plates
KR101531171B1 (ko) * 2014-09-16 2015-06-25 (주) 서한케어 척추간 인공보철물
US20150366590A1 (en) * 2003-03-31 2015-12-24 DePuy Synthes Products, Inc. Spinal fixation plat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284A (ko)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경추용 케이지
KR101136427B1 (ko) * 2009-09-25 2012-04-20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경추체간 유합 기기
KR20170079979A (ko) 2015-12-31 2017-07-1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골접촉 면적과 안정성이 향상된 경추 추체간 케이지
KR101807554B1 (ko) * 2016-01-18 2017-12-1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경추 보형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6590A1 (en) * 2003-03-31 2015-12-24 DePuy Synthes Products, Inc. Spinal fixation plates
US20130268080A1 (en) * 2010-08-11 2013-10-10 Warsaw Orthopedic, Inc. Interbody spinal implants with extravertebral support plates
KR101531171B1 (ko) * 2014-09-16 2015-06-25 (주) 서한케어 척추간 인공보철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14B1 (ko) * 2022-10-26 2023-07-28 (주)메디쎄이 회전가능한 플레이트 일체형 경추용 케이지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466A2 (ko) 2020-06-18
WO2020122466A3 (ko) 2020-09-03
KR20200072143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726B1 (ko)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CN1798528B (zh) 动力型固定装置
CN101868187B (zh) 用于选择性地稳定与校正脊柱畸形和不稳定性的柔性、滑动、动态植入系统
KR100747676B1 (ko) 척추 안정 어셈블리
KR101920618B1 (ko) 후방 추골 플레이팅 시스템
KR101136427B1 (ko) 경추체간 유합 기기
JP6434979B2 (ja) 棘突起固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20259364A1 (en) Variable durometer lumbar-sacral implant
CN102215766A (zh) 用于稳固包括棘突椎锁定板的脊柱的系统和方法
CN105682586A (zh) 用于内侧柱关节固定术的内侧足底板
JP2008500068A (ja) 後突起の動的スペーサ
CN101610741A (zh) 整形外科植入物和假体
JP2006508705A (ja) 動的固定装置及びその使用法
JP2010524544A (ja) 骨格成長を調節するための埋め込み型デバイスおよび埋め込み型器具
US11517442B2 (en) Dynamic spinal segment replacement
JP6760953B2 (ja) 椎弓形成術用スペーサ
JP6771554B2 (ja) 棘間ユニバーサル動的ホルダー
KR101326054B1 (ko) 척추용 임플란트
CN107174383A (zh) 一种可撑开型椎间融合器
US9795413B2 (en) Spinal fixation member
CN107106212A (zh) 骨螺钉
CN208243665U (zh) 一种可撑开型椎间融合器
KR20200040987A (ko)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경추용 일체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1813525B1 (ko) 4줄 나사산을 구비하는 척추경 나사못
CN106264695B (zh) 腰椎用棘突间撑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