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521B1 -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521B1
KR102217521B1 KR1020200165251A KR20200165251A KR102217521B1 KR 102217521 B1 KR102217521 B1 KR 102217521B1 KR 1020200165251 A KR1020200165251 A KR 1020200165251A KR 20200165251 A KR20200165251 A KR 20200165251A KR 102217521 B1 KR102217521 B1 KR 10221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display unit
displayed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로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로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로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6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60K2370/1529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앞 유리로 각종정보를 표출해주는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두께를 가지고, 운전자가 원하는 데시보드의 상단에 고정 거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표출되게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판(20);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앞 유리를 향해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화상정보를 비춰주는 복수의 표시영역들이 편성된 투광패널(30); 상기 제어기판(20)의 상면에 표시영역들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어기판(20)의 처리신호를 입력받아 각기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40); 상기 제어기판(20)과 투광패널(3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엘이디(30)로부터 발산된 빛이 해당 표시영역에만 집중시키는 집광패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Head-up display device linked with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앞 유리로 각종 정보를 표출해주는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실시간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자동으로 연동하여 길안내 및 안전운전 정보를 표출해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상시 최신정보로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필름이나 액정디스플레이 없이 고휘도 엘이디가 화상정보의 빛을 앞 유리에 직접 비춰주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우수한 시인성으로 안전운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을 분해하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탈/장착이 가능하여 설치나 교체에 소요되는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정보와 주변상황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있다.
이러한 헤드업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는 운전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량의 주행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를 앞 유리에 표출해준다.
초기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항공기에 부착되어 비행 시 비행사에게 비행 정보를 제공하고자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원리가 차량에 적용되도록 개발된 것이 차량용 헤드업디스플레이다.
기존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앞 유리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액정디스플레이는 빛의 직진성이 매우 낮아 주간의 경우 앞 유리에 비춰진 정보가 매우 희미하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보가 비춰지는 앞 유리부위에 시인성을 높여줄 짙은 색상의 필름을 부착하였다.
하지만 필름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짐에 따라 운전을 방해하여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데시보드 전면에 거치하는 제품도 등장하였다.
하지만 투명 디스플레이는 매우 고가이므로 구매비용이 부담될 뿐만 아니라 완전투명이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자동차제조사에서도 최근 헤드업디스플레이를 기본 또는 옵션으로 적용하여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사 헤드업디스플레이는 특허문헌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데시보드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헤드업디스플레이가 고장이 나거나 결함이 발생할 경우 차량을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6106호 (발명의 명칭: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용 통합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849호 (발명의 명칭: 차량용 허드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실시간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자동으로 연동하여 길안내 및 안전운전 정보를 표출해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상시 최신정보로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필름이나 액정디스플레이 없이 고휘도 엘이디가 화상정보의 빛을 앞 유리에 직접 비춰주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우수한 시인성으로 안전운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을 분해하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탈/장착이 가능하여 설치나 교체에 소요되는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앞 유리로 각종정보를 표출해주는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두께를 가지고, 운전자가 원하는 데시보드의 상단에 고정 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표출되게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판; 상기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고, 앞 유리를 향해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화상정보를 비춰주는 복수의 표시영역들이 편성된 투광패널; 상기 제어기판의 상면에 표시영역들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어기판의 처리신호를 입력받아 각기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 상기 제어기판과 투광패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이 해당 표시영역에만 집중시키는 집광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기판을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판형의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탈/장착되고, 상기 제어기판과 집광패널을 수용 가능한 두께를 가진 틀형의 상부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어기판이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리브; 상기 제어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전파되도록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천공된 스피커홀; 상기 제어기판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지지리브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 절개된 단자홈; 상기 제어기판의 설정이 조작되도록 상기 지지리브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 절개된 조작홈; 상기 상부케이스와 끼움 조립되도록 상기 지지리브의 일측 외면에 내측을 향해 소정깊이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걸림홈; 상기 상부케이스와 나사로 조립되도록 상면 일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제어기판의 설정이 조작되도록 소정탄성으로 내/외측을 향해 누름운동이 가능하게 매달린 조작버튼; 상기 제어기판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일측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단자홀; 상기 하부케이스와 끼움 조립되도록 일측 내면에 수평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상기 하부케이스와 나사로 조립되도록 하면 일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보스;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판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길안내 및 교통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설정버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통신모듈과 스피커 및 엘이디의 작동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판은, 외부밝기를 측정하여 엘이디의 발광세기를 조절하는 조도센서;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로 주행속도를 계산하는 GPS모듈;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투광패널의 표시영역은, 차량의 앞 유리에 비춰진 화상정보가 정상 표출되도록 전후 거울대칭으로 편성되되, 좌측 하단에 턴바이턴 방향을 알리도록 다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되는 TBT표시부; 좌측 상단에 목적지까지 남은거리와 턴바이턴 남은거리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남은거리표시부; 우측 하단에 주행 중인 구간의 속도위반카메라, 구간단속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을 알리도록 각각의 상징마크가 표시되는 주의경고표시부; 우측 중단에 속도위반카메라의 남은거리와 구간단속 평균속도 및 구간단속 남은거리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단속거리표시부; 우측 상단에 차량의 주행속도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주행속도표시부; 중앙 상단에 모바일단말기와의 통신상태 및 GPS 수신상태를 알리도록 각각의 상징마크가 표시되는 상태정보표시부; 중앙 하단에 지정된 주행속도의 과속상태 알리도록 원형의 띠로 표시되는 속도위반표시부; 상기 속도위반표시부의 내부 하단에 신호등카메라를 알리도록 신호등마크가 표시되는 신호주의표시부; 상기 속도위반표시부의 내부 상단에 단속속도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제한속도표시부;로 구획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집광패널은, 상기 투광패널에 편성된 표시영역의 모양과 위치대로 관통 배열되어 각각의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해당 표시영역에만 집중시키는 복수의 집광홀들이 형성되되, 상기 집광홀은 엘이디의 빛이 해당 표시영역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광하협형으로 구배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실시간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자동으로 연동하여 길안내 및 안전운전 정보를 표출해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상시 최신정보로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필름이나 액정디스플레이 없이 고휘도 엘이디가 화상정보의 빛을 앞 유리에 직접 비춰주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우수한 시인성으로 안전운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을 분해하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탈/장착이 가능하여 설치나 교체에 소요되는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를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의 본체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의 제어기판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의 투광패널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가 차량의 앞 유리로 표출하는 화상정보를 나타내는 참고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의 집광패널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앞 유리로 각종 정보를 표출해주는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처럼 본체(10)와 제어기판(20) 및 투광패널(30)과 엘이디(40) 그리고 집광패널(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제어기판(20) 내지 집광패널(50)을 수납하는 케이스이다.
이러한 본체(10)는 원형 내지 각형으로 형성되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즉, 본체(10)는 양면테이프나 젤리패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데시보드의 상단에 고정 거치된다.
여기서 본체(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판형의 하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1)에 탈/장착되는 틀형의 상부케이스(12)로 분할 구성된다.
먼저, 하부케이스(11)의 상면에는 사각 띠형의 지지리브(11a)가 수직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지지리브(11a)는 제어기판(20)을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시켜 간섭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의 일측에는 제어기판(20)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전파되도록 스피커홀(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리브(11a)의 후방 측에는 제어기판(20)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절개된 단자홈(11c)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리브(11a)의 일측 모퉁이에는 제어기판(20)의 설정이 조작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절개된 조작홈(11d)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리브(11a)의 후방 외면에는 상부케이스(12)와 끼움 조립되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함몰된 걸림홈(11e)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하부케이스(11)의 전방 측 상면에는 소정 높이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부케이스(12)와 나사조립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보스(11f)도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2)의 일측 모퉁이에는 제어기판(20)의 설정이 조작되도록 소정 탄성으로 내/외측을 향해 누름운동이 가능하게 매달린 조작버튼(12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부케이스(12)의 후방 측에는 제어기판(20)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된 단자홀(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2)의 후방 내면에는 하부케이스(11)의 걸림홈(11e)에 끼움 조립되도록 수평하게 돌출된 걸림돌기(12c)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2)의 전방 측 저면에는 소정 높이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하부케이스(11)와 나사조립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보스(12d)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판(2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표출되게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제어기판(20)의 저면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21), 통신모듈(22), 설정버튼(23), 스피커(24), 제어모듈(25)이 실장된다.
전원단자(21)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원형의 소켓 또는 USB단자로 구성된다.
통신모듈(22)은 운전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길안내 및 교통정보를 수신받는다.
즉, 통신모듈(22)은 저전력 블루투스로 구성되고, 초기 페어링 설정 이후부터는 전파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통신모듈(22)은 T-MAP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실시간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다.
설정버튼(23)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을 입력받는 것으로, 촉각이나 소리로 누름을 인지할 수 있는 스위치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24)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은 길안내 및 교통정보를 소리로 출력해준다.
제어모듈(25)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통신모듈(22)과 스피커(24) 및 엘이디(40)의 작동신호를 처리한다.
이때, 제어기판(20)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센서(26)와 GPS모듈(27)을 더 탑재할 수도 있다.
조도센서(26)는 외부밝기를 측정하여 엘이디(40)의 발광세기를 조절되게 유도한다.
예컨대, 조도센서(26)에 의해 주간과 같이 주위가 밝으면, 엘이디(40)를 최대 밝기로 발광시켜 시인성을 확보해준다.
반대로 야간과 같이 주위가 어두우면, 엘이디(40)를 최저 밝기로 발광시켜 눈부심을 방지해준다.
GPS모듈(27)은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로 주행속도를 계산하여 운전자에게 표출해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패널(3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앞 유리를 향해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화상정보로 비춰준다.
이러한 투광패널(30)은 엘이디(40)로부터 발산된 빛을 문자, 숫자, 로고 등으로 표출해주는 복수의 표시영역들이 편성된다.
즉, 표시영역은 엘이디(40)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부위로, 투명이나 소정의 색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영역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BT표시부(31), 남은거리표시부(32), 주의경고표시부(33), 단속거리표시부(34), 주행속도표시부(35), 상태정보표시부(36), 속도위반표시부(37), 신호주의표시부(38), 제한속도표시부(39) 등으로 편성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턴바이턴 방향”은 방향전환할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턴바이턴 남은거리”는 방향전환하기까지 현재 위치로부터 남은 거리를 의미한다.
TBT표시부(31)는 좌측 하단에 편성되고, 턴바이턴 방향을 알리도록 다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된다.
남은거리표시부(32)는 좌측 상단에 편성되고, 목적지까지 남은거리와 턴바이턴 남은거리를 알리도록 도착깃발과 함께 세자리 숫자가 표시된다.
주의경고표시부(33)는 우측 하단에 편성되고, 주행 중인 구간의 속도위반카메라, 구간단속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을 알리도록 각각의 상징마크가 표시된다.
단속거리표시부(34)는 우측 중단에 편성되고, 속도위반카메라의 남은거리와 구간단속 평균속도 및 구간단속 남은거리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된다.
주행속도표시부(35)는 우측 상단에 편성되고, 차량의 주행속도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된다.
상태정보표시부(36)는 중앙 상단에 편성되고, 모바일단말기와의 통신상태 및 GPS 수신상태를 알리도록 각각의 상징마크가 표시된다.
속도위반표시부(37)는 중앙 하단에 편성되고, 지정된 주행속도의 과속상태를 알리도록 원형의 띠로 표시된다.
신호주의표시부(38)는 속도위반표시부(37)의 내부 하단에 편성되고, 신호등카메라를 알리도록 신호등마크가 표시된다.
제한속도표시부(39)는 속도위반표시부(37)의 내부 상단에 편성되고, 단속속도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영역들은 전후방향의 거울대칭으로 편성되는데, 실제 차량의 앞 유리에 비춰지는 화상정보는 도 8과 같이 정상적으로 인식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표출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4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제어기판(20)의 상면에 표시영역들대로 실장되어 각기 발광한다.
여기서 엘이디(40)는 백색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RGB 3색 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단색의 엘이디(40)로 구성할 경우 투광패널(30)을 통해 표출정보에 색상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패널(5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제어기판(20)과 투광패널(30) 사이에 개재되어 빛의 산란을 방지해준다.
이러한 집광패널(5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패널(30)에 편성된 표시영역의 모양과 위치대로 복수의 집광홀(51)들이 관통 배열된다.
즉, 집광홀(51)은 각각의 엘이디(40)로부터 발산된 빛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해당 표시영역에만 집중시켜준다.
여기서 집광홀(51)은 엘이디(30)로부터 발산된 빛이 해당 표시영역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광하협형으로 구배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엘이디(30)의 실장 개수는 최소화하면서도 비교적 큰 크기의 표시영역을 표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본체
11: 하부케이스
11a: 지지리브
11b: 스피커홀
11c: 단자홈
11d: 조작홈
11e: 걸림홈
11f, 12d: 체결보스
12: 상부케이스
12a: 조작버튼
12b: 단자홀
12c: 걸림돌기
20: 제어기판
21: 전원단자
22: 통신모듈
23: 설정버튼
24: 스피커
25: 제어모듈
26: 조도센서
27: GPS모듈
30: 투광패널
31: TBT표시부
32: 남은거리표시부
33: 주의경고표시부
34: 단속거리표시부
35: 주행속도표시부
36: 상태정보표시부
37: 속도위반표시부
38: 신호주의표시부
39: 제한속도표시부
40: 엘이디
50: 집광패널
51: 집광홀

Claims (8)

  1. 차량의 앞 유리로 각종 정보를 표출해주는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고, 운전자가 원하는 데시보드의 상단에 고정 거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표출되게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판(20);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앞 유리를 향해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화상정보를 비춰주는 복수의 표시영역들이 편성된 투광패널(30);
    상기 제어기판(20)의 상면에 표시영역들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어기판(20)의 처리신호를 입력받아 각기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40);
    상기 제어기판(20)과 투광패널(3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엘이디(40)로부터 발산된 빛을 해당 표시영역으로 집중시키는 집광패널(50);
    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패널(30)의 표시영역은,
    차량의 앞 유리에 비춰진 화상정보가 정상 표출되도록 전후 거울대칭으로 편성되되,
    좌측 하단에 턴바이턴 방향을 알리도록 다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되는 TBT표시부(31);
    좌측 상단에 목적지까지 남은거리와 턴바이턴 남은거리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남은거리표시부(32);
    우측 하단에 주행 중인 구간의 속도위반카메라, 구간단속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을 알리도록 각각의 상징마크가 표시되는 주의경고표시부(33);
    우측 중단에 속도위반카메라의 남은거리와 구간단속 평균속도 및 구간단속 남은거리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단속거리표시부(34);
    우측 상단에 차량의 주행속도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주행속도표시부(35);
    중앙 상단에 모바일단말기와의 통신상태 및 GPS 수신상태를 알리도록 각각의 상징마크가 표시되는 상태정보표시부(36);
    중앙 하단에 지정된 주행속도의 과속상태 알리도록 원형의 띠로 표시되는 속도위반표시부(37);
    상기 속도위반표시부(37)의 내부 하단에 신호등카메라를 알리도록 신호등마크가 표시되는 신호주의표시부(38);
    상기 속도위반표시부(37)의 내부 상단에 단속속도를 알리도록 세자리 숫자가 표시되는 제한속도표시부(39);
    로 구획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제어기판(20)을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판형의 하부케이스(11);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상단에 탈/장착되고, 상기 제어기판(20)과 집광패널(50)을 수용 가능한 두께를 가진 틀형의 상부케이스(1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는,
    상기 제어기판(20)이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리브(11a);
    상기 제어기판(20)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전파되도록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천공된 스피커홀(11b);
    상기 제어기판(20)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지지리브(11a)상에 내/외측으로 관통 절개된 단자홈(11c);
    상기 제어기판(20)의 설정이 조작되도록 상기 지지리브(11a)상에 내/외측으로 관통 절개된 조작홈(11d);
    상기 상부케이스(12)와 끼움 조립되도록 상기 지지리브(11a)의 일측 외면에 내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걸림홈(11e);
    상기 상부케이스(12)와 나사로 조립되도록 상면 일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보스(11f);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는,
    상기 제어기판(20)의 설정이 조작되도록 소정의 탄성으로 내/외측을 향해 누름운동이 가능하게 매달린 조작버튼(12a);
    상기 제어기판(20)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일측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단자홀(12b);
    상기 하부케이스(11)와 끼움 조립되도록 일측 내면에 수평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2c);
    상기 하부케이스(11)와 나사로 조립되도록 하면 일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보스(12d);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20)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21);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길안내 및 교통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22);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설정버튼(23);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4);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통신모듈(22)과 스피커(24) 및 엘이디(40)의 작동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모듈(2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20)은,
    외부밝기를 측정하여 엘이디(40)의 발광세기를 조절하는 조도센서(26);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로 주행속도를 계산하는 GPS모듈(27);
    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패널(50)은,
    상기 투광패널(30)에 편성된 표시영역의 모양과 위치대로 관통 배열되어 각각의 엘이디(40)로부터 발산된 빛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해당 표시영역에만 집중시키는 복수의 집광홀(51)들이 형성되되,
    상기 집광홀(51)은 엘이디(30)의 빛이 해당 표시영역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광하협형으로 구배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KR1020200165251A 2020-12-01 2020-12-01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KR10221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51A KR102217521B1 (ko) 2020-12-01 2020-12-01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51A KR102217521B1 (ko) 2020-12-01 2020-12-01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521B1 true KR102217521B1 (ko) 2021-02-19

Family

ID=7468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251A KR102217521B1 (ko) 2020-12-01 2020-12-01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715B1 (ko) 2022-04-05 2022-06-27 최귀철 위성 측위 데이터에 기반하는 차량 속도를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2437335B1 (ko) * 2022-05-12 2022-08-30 (주)텔레컨스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3620B1 (ko) 2023-03-10 2023-06-21 (주)케이앤씨텍 외장형 속도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766A (ja) * 2006-11-07 2008-05-22 Shimadzu Corp 表示器および虚像表示装置
JP3144033U (ja) * 2008-06-02 2008-08-14 世益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全地球測位システム付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100070973A (ko) * 2008-12-18 2010-06-28 박호철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장치, 시스템 및 서비스 구현방법
KR101224849B1 (ko) 2011-05-02 2013-02-12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차량용 허드 장치
JP3183407U (ja) * 2013-02-27 2013-05-16 怡利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スマートフォ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130068357A (ko) * 2011-12-15 2013-06-26 김종섭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6132360A (ja) * 2015-01-20 2016-07-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76106B1 (ko) 2017-08-11 2019-05-07 주식회사 에이디테크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용 통합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766A (ja) * 2006-11-07 2008-05-22 Shimadzu Corp 表示器および虚像表示装置
JP3144033U (ja) * 2008-06-02 2008-08-14 世益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全地球測位システム付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100070973A (ko) * 2008-12-18 2010-06-28 박호철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장치, 시스템 및 서비스 구현방법
KR101224849B1 (ko) 2011-05-02 2013-02-12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차량용 허드 장치
KR20130068357A (ko) * 2011-12-15 2013-06-26 김종섭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JP3183407U (ja) * 2013-02-27 2013-05-16 怡利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スマートフォ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16132360A (ja) * 2015-01-20 2016-07-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76106B1 (ko) 2017-08-11 2019-05-07 주식회사 에이디테크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용 통합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715B1 (ko) 2022-04-05 2022-06-27 최귀철 위성 측위 데이터에 기반하는 차량 속도를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2437335B1 (ko) * 2022-05-12 2022-08-30 (주)텔레컨스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3620B1 (ko) 2023-03-10 2023-06-21 (주)케이앤씨텍 외장형 속도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521B1 (ko) 모바일 기기 연동형 헤드업디스플레이단말기
US10761369B2 (en) Display apparatus
JP2007071540A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080186155A1 (en) Persistence of Vision Display
US11137598B2 (en) Display device
WO2016047061A1 (ja) 情報提示装置
JP2019077283A (ja) 車載撮影装置
JP2007055430A (ja) 車両用表示装置
US8678602B2 (en) Cantilever indicator for vehicle instrument cluster
RU133478U1 (ru) Световое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одителей о появлении пешехода (варианты)
KR101162356B1 (ko) 자동차용 계기판의 프리즘눈금
CN214038033U (zh) 状态指示装置及具有其的车辆
KR101745189B1 (ko) 차량용 경고 알림 장치
JP2016022875A (ja) ベゼル体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表示装置
JP201324103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8185641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GB2489796A (en) Instrument for a motor vehicle
JP621042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4652787B2 (ja) 表示装置
KR20200075046A (ko) 자동차 운행 시 후행 차량에 차선변경 정보표시 및 감사 메시지 표시 시스템
JP2015157509A (ja) 車両用警告装置および車両用警告ユニット
JP6455713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30163244A (ko) 차량의 탑승자 안내 시스템
US20240001843A1 (en) Display device
CN216384000U (zh) 一种基于mini-LED背光模组的汽车尾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