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435B1 -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435B1
KR102217435B1 KR1020180030761A KR20180030761A KR102217435B1 KR 102217435 B1 KR102217435 B1 KR 102217435B1 KR 1020180030761 A KR1020180030761 A KR 1020180030761A KR 20180030761 A KR20180030761 A KR 20180030761A KR 102217435 B1 KR102217435 B1 KR 10221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ixing member
tree
fruit
f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993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8003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4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에 있어서, 나무기둥의 둘레를 둘러싸며 나무기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며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나무기둥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뼈대;를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열매가 맺히는 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체이다.

Description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FALLING FRUIT COLLECTION APPARATUS INSTALLED ON WOODEN PILLAR}
본 발명은 나무에서 떨어지는 과일이나 열매를 수집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나무에서 낙과한 은행을 수집하고, 함께 떨어질 수 있는 잎은 걸러낼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은행나무는 탁월한 공기정화능력과 강한 생명력, 병충해가 적고 국내의 기후와 토양의 조건에 알맞다는 점의 강점들로 인해 가로수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은행나무는 다량의 낙엽과 은행이 떨어지기에 이를 사람이 일일이 정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열매는 바닥에 떨어지면 악취가 심하고 길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은행의 낙과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들이 발명되었으나, 함께 떨어지는 은행잎을 걸러낼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며, 과일을 모아두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기구가 파손될 위험도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 10-1758731 호 (명칭: 은행낙과수집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구의 설치만으로도 손쉽게 낙과를 수집하고, 낙과한 과일과 나뭇잎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에 있어서, 나무기둥의 둘레를 둘러싸며 나무기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며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나무기둥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뼈대;를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열매가 맺히는 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구의 설치만으로도 손쉽게 낙과를 수집하고, 과일과 나뭇잎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바닥에 은행이 떨어져 냄새와 길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은행나무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손쉽게 은행을 수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나무의 높은 곳에 장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나무의 관리자 이외의 타인이 함부로 은행을 채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의 뼈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에 장착되는 그물망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장착되는 그물망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는 뼈대(10), 제 1 그물망(11), 제 2 그물망(12), 상측 고정밴드(21) 및 하측 고정밴드(22)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제 1 결합부재(31), 제 2 결합부재(32)로 나뉠 수 있다.
뼈대(10)는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가 열매를 수집하기 알맞은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나무에 설치되면 방사형 반구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뼈대(10)는 나무에서 떨어지는 은행과 낙엽의 무게를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고정된 형태와 강도를 지니고 플렉서블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은행이나 잎이 떨어져 소정의 변형이 일어난 후에도 다시 원래의 형태를 가지는 복원력을 갖는 소재를 뜻할 수 있다.
제 1 그물망(11)은 뼈대(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나무에서 낙하하는 은행이 안착시키는 역할 및 외벽의 수행할 수 있고, 제 2 그물망(12)은 제 1 그물망(11)의 안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2 그물망(12)과 제 1 그물망(11) 사이에는 은행이 안치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게 된다.
또한, 각 그물망이 복수의 단위망을 가지게 되면, 제 2 그물망(12)은 제 1 그물망(11)보다 넓은 단위망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그물망(11) 및 제 2 그물망(12)은 은행이나 나뭇잎을 포함한 그 외 부가적인 부속물이 추가로 안착될 수 있기에 뼈대(10)만큼 탄력적이면서도 무게를 받칠 수 있는 강한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측 고정밴드(21) 및 하측 고정밴드(22)는 본 발명의 구조체를 나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수행하고, 열매가 맺히는 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구조체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열매를 아래에서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고정부재는 구조체의 안쪽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측 고정밴드(21)는 뼈대(10)의 중앙의 안쪽면과 제 2 그물망(12)의 중앙부로 이어지고, 일 면에는 상측 고정밴드(21)를 말아 원통의 형태로 나무기둥을 감싸는 방식으로 구조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결합부재(32)가 고정부재의 일 단과 타 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하측 고정밴드(22)는 상측 고정밴드(21)에서 이어져 뼈대(10)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측 고정밴드(21)와 마찬가지로 나무기둥을 감싸는 밴드 형식으로 구비되어 제 2 결합부재(32)를 통해 나무에 고정될 수 있다.
상측 고정밴드(21) 및 하측 고정밴드(22)를 통해 본 발명의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각 밴드를 원통형으로 말아 고정할 시, 그 직경이 나무기둥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어 강하게 고정되어야 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측 고정밴드(21) 및 하측 고정밴드(22)를 고정하는 제 2 결합부재(32)는 후크 및 고리 쌍으로 구성되거나, 지퍼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선택적 실시예로 고정용 로프나 잠금쇠 등 구조체를 나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정부재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31)는 뼈대(10)의 외부의 일 단 및 타 단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구조체가 반구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외벽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 2 결합부재(32)와 마찬가지로 후크 및 고리 쌍으로 구성되거나, 지퍼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결합부재(32)와 같이 다양한 고정부재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의 뼈대(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뼈대(10)는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반구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자세하게 설명하면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뻗어가는 복수의 제 1 뼈대와 그에 수직하게 뻗어가는 복수의 제 2 뼈대를 가지며, 방사형으로 뻗어가는 복수의 제 1 뼈대의 일 단에는 구조체를 벌려 나무기둥에 끼울 수 있도록 틈이 생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무기둥에 구조체를 장착한 후 뼈대(10)에 생성된 틈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제 1 결합부재(31)를 결합하면, 뼈대(10)는 상부가 개방된 반구의 형태를 지니게 된다.
방사형으로 뻗어가는 복수의 제 1 뼈대 중 하나에는 제 2 그물망(12)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뼈대(10)의 중앙부 하단에는 나무기둥을 장착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이 뼈대(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양한 크기의 나무기둥에 장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그물망(12)이 장착되는 제 1 뼈대와 아랫면 사이의 높이가 본 발명의 구조체에서 은행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뼈대(10)는 무작위 방향으로 뻗어 성장하는 나뭇가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원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선택적 실시예로 다각형 혹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나무가 촘촘하게 심어진 곳에서 각각의 나무에 설치되는 구조체 사이의 곡면으로 인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대(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 1 그물망(11)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그물망(11)은 뼈대(10)와 대응하는 면적으로 설치되어 구조체의 외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도면상에는 예시로 제 1 결합부재(31)의 형태가 후크 및 고리 쌍(31a)(또는, 제 1 결합부재)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 1 그물망(11)은 은행보다 촘촘한 단위로 형성되어 나무에서 떨어지는 은행을 받칠 수 있어야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 그물망이 아닌 천과 같은 다른 소재가 차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조체가 외부에 구비되는 특성상 물이 고이거나 은행 외의 것들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그물망을 추천하고 있다.
또한, 선택적 일 실시예로 제 1 그물망(11)에는 그물망의 내부에 수납된 은행들을 뺄 수 있는 전용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나무에 장착된 구조체을 분해하지 않고, 해당 개구부를 열어 은행을 빼낼 수 있고, 손쉽게 이를 실현하기 위해 뼈대(10)의 형태에 변형을 주어 은행이 개구부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경사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그물망(12)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제 2 그물망(12)은 구조체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뼈대(10)에 가로로 부착어 제 2 그물망(12)의 중앙에는 상측 고정밴드(21)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구조체 내부에 층을 나누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4에서 제 1 결합부재(31)는 지퍼 구조물(31b)(또는, 제 1 결합부재)의 형식이 예시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로 나무기둥이 삽입될 수 있도록 뼈대(10)의 틈이 생성된 방향에는 제 2 그물망(12)도 똑같은 틈이 구비되고, 해당 틈은 제 2 결합부재(32)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 2 그물망(12)은 은행의 크기보다 넓은 단위로 형성되어 나무에서 떨어진 은행이 제 2 그물망(12)을 통과하면서, 나뭇잎은 제 2 그물망(12)에 걸러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실제 다양한 열매나무나 나무에서 떨어지는 열매 이외의 것이 걸러 모울 수 있는 용도로 채용될 수 있기에, 수집하는 대상이 은행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뼈대(10)에 생성된 틈을 벌려, 나무기둥을 구조체의 중앙에 위치시킨 후 제 2 결합부재(32)를 닫아 상측 고정밴드(21), 하측 고정밴드(22) 및 제 2 그물망(12)을 닫고, 제 1 결합부재(31)를 닫는 방식을 통해 구조체를 나무에 설치할 수 있다.
구조체를 해체하기 위해서 설치 방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며, 이때 앞서 서술한 선택적 실시예인 개구부가 제 1 그물망(11)에 구비되지 않았다면, 제 1 결합부재(31)를 먼저 열어 내부의 은행을 꺼낸 후 구조체를 해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뼈대
11: 제 1 그물망, 12: 제 2 그물망
21: 상측 고정밴드, 22: 하측 고정밴드
31: 제 1 결합부재, 32: 제 2 결합부재

Claims (13)

  1.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에 있어서,
    나무기둥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나무기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중간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며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나무기둥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뼈대;
    상기 플렉서블 뼈대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뼈대 위에 나무에서 낙하하는 열매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1그물망;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제 1 그물망 위에서 상기 뼈대의 가로로 부착되어 상기 구조체의 내부에 층을 나누는 제 2 그물망;
    을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열매가 맺히는 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그물망 및 제 2 그물망이 복수의 단위망으로 구성될 때, 상기 제 1 그물망의 단위망은 상기 나무의 열매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무의 열매를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그물망의 단위망은 상기 나무의 잎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나무의 열매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무의 잎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뼈대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에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뼈대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일 단과 마주하는 타 단에는 제 2 결합부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뼈대가 상기 나무기둥을 둘러싼 이후 상기 제 2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그물망은 상기 플렉서블 뼈대의 일 단과 같이 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그물망의 일 영역에는 수납된 열매를 빼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뼈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중간 영역과 연결되는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뼈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후크 및 고리 쌍으로 구성되는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는 지퍼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뼈대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되 낙하하는 상기 열매에 부딪힐 경우 소정의 변형이 일어난 후 다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물질인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뼈대는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뼈대와 상기 복수의 제 1 뼈대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뼈대로 구성되는 것인,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하열매 수거 구조체.
KR1020180030761A 2018-03-16 2018-03-16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KR10221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1A KR102217435B1 (ko) 2018-03-16 2018-03-16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1A KR102217435B1 (ko) 2018-03-16 2018-03-16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93A KR20190108993A (ko) 2019-09-25
KR102217435B1 true KR102217435B1 (ko) 2021-02-22

Family

ID=6806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61A KR102217435B1 (ko) 2018-03-16 2018-03-16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6817A (zh) * 2020-03-25 2020-06-23 邢台市农业科学研究院 便携式酸枣果实采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055A (ja) * 2002-08-02 2004-03-04 Yoshiki Morita 物入れ装置
KR101367994B1 (ko) * 2012-09-25 2014-03-03 대한민국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KR101698313B1 (ko) * 2015-02-27 2017-02-01 대한민국 과실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ko) * 2009-12-07 2012-05-16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KR101758731B1 (ko) 2016-11-25 2017-07-17 윤양수 은행낙과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055A (ja) * 2002-08-02 2004-03-04 Yoshiki Morita 物入れ装置
KR101367994B1 (ko) * 2012-09-25 2014-03-03 대한민국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KR101698313B1 (ko) * 2015-02-27 2017-02-01 대한민국 과실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93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8499B1 (en) Storm drain assembly with disposable filter cartridge
US20010030150A1 (en) Sewer basket and its support
US6254770B1 (en) Sewer basket and its support
US20180023280A1 (en) Storm water filter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US9578813B2 (en) Rapid deployment plant protector
KR200454416Y1 (ko) 은행 낙과 수거장치
US20070295652A1 (en) Inlet filter for storm drain
JP2017528161A (ja)
WO2010008501A2 (en) Filter for preventing hair from becoming clogged in a drain
KR102217435B1 (ko) 나무기둥에 설치되는 낙과 수집 장치
US3469700A (en) Strainer and flow-directing apparatus for swimming pool floor drains
CN101035745A (zh) 堆肥容器
US20040094461A1 (en) Storm drain filter assembly
US6749366B1 (en) Environmental filter and flow control device
JP2009007161A (ja) ごみ保管袋及びごみ保管袋吊上げ装置
US20200095753A1 (en) Mist collection arrangement
CN106013244A (zh) 助于排水的窨井盖
KR20120059253A (ko)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20140104673A (ko)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KR200492301Y1 (ko) 벤치기능을 갖는 가로수덮개
JP3180058U (ja) 多目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多目的シート張設体
CN217204571U (zh) 一种带有多级净化功能的雨水载污挂篮
JP2009184748A (ja) ゴミ集積装置
KR102187796B1 (ko) 최소구성의 초저가 쓰레기 수거장치
US11713584B2 (en) Pool strainer basket insect and organic matter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