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099B1 -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099B1
KR102217099B1 KR1020180077553A KR20180077553A KR102217099B1 KR 102217099 B1 KR102217099 B1 KR 102217099B1 KR 1020180077553 A KR1020180077553 A KR 1020180077553A KR 20180077553 A KR20180077553 A KR 20180077553A KR 102217099 B1 KR102217099 B1 KR 10221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deck
reinforcing frame
synthetic wood
plate
improved dur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560A (ko
Inventor
유성모
Original Assignee
동양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업(주) filed Critical 동양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7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목재 데크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고, 시공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합성목재 데크는 평판형의 데크와 보강재가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시공 후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나사가 체결된 부위에 전단하중이 집중, 누적되면서 나사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보강재와 베이스 각관의 접촉면적이 넓지만 상호 간에 통기성은 전혀 없어 습기에 노출되는 접촉면이 쉽게 부식되어 녹이 슬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강프레임의 하판 상단에 형성된 결속돌기가 합성목재 데크에 형성된 결속홈에 일체로 결속되면서 합성목재 데크 및 보강프레임의 결속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상기 하판의 상면 전체영역이 합성목재 데크의 저면 전체에 밀착되면서 구조강도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Synthetic wood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durability by strengthening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합성목재 데크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고, 시공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deck)는 테라스, 실내 공간의 바닥, 공원 산책로 등과 같은 공간의 외장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데크는 일반적으로 원목을 길다란 형상으로 가공하여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오다가, 최근 값싼 목분과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합성 목재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목재로 만들어지는 데크는 습도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 전체적으로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합성 목재로 이루어지는 데크 중에서도 솔리드 구조에 비해 속이 빈 중공형의 데크나 요철 구조를 갖는 데크가 습도와 온도 변화에 더 취약하다. 이는 데크를 이루는 합성 목재가 온도 변화에 취약한 합성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이고, 아울러 요철 구조를 갖는 데크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솔리드에 비해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성 목재로 이루어지는 데크, 특히 요철 구조를 갖는 데크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변형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에는 합성 목재로 이루어지는 데크가 아래로 처지는 상황까지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429195호, 명칭/ 복합 빔 데크」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데크로 사용되는 합성목재의 비용을 줄이면서도 장기간 동안 습도 및/또는 열에 의한 변형 없이 데크를 보강할 수 있고, 합성 목재 또는 천연 목재 재질의 데크가 손상을 입었을 때 그 손상된 데크를 쉽게 제거하고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평판형의 데크와 보강재가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시공 후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나사가 체결된 부위에 전단하중이 집중, 누적되면서 나사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 및 데크 상호 간에 공간이 있어 구조강도가 저하되고, 상기 데크가 폭 방향으로 수축이나 팽창이 발생할 때 이를 방지하는 기능이 없어 내구성은 더욱더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를 베이스 각관에 고정 설치할 때 베이스 각관의 상단에 보강재의 하면 전체가 안착됨으로써 접촉면적이 넓지만 상호 간에 통기성은 전혀 없어 습기에 노출되는 접촉면이 쉽게 부식되어 녹이 슬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강프레임의 하판 상단에 형성된 결속돌기가 합성목재 데크에 형성된 결속홈에 일체로 결속되면서 합성목재 데크 및 보강프레임의 결속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상기 하판의 상면 전체영역이 합성목재 데크의 저면 전체에 밀착되면서 구조강도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판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받침발이 베이스 각관에 안착되면서 보강프레임 및 베이스 각관의 접촉면적을 줄여줌과 아울러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 데크의 저면 및 일 측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일체로 조립된 랩핑형 보강프레임이 수축이나 팽창에도 조립부위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견고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부재(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보강프레임이 합성목재 데크의 저면 전체영역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딩 끼움 조립됨으로써 합성목재 데크의 두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부족한 강도를 상기 보강프레임이 보강하여 줌으로써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 제작공정을 간소화함은 물론 수축이나 팽창으로 인한 체결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우수한 강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판에 형성된 결속돌기가 합성목재 데크의 결속홈에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합성목재 데크 및 보강프레임의 결속력을 대폭 강화함은 물론 시간이 지난 후에도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서도 합성목재 데크의 폭방향 변형 방지 및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매우 견고한 구조강도를 유지하고, 시공품질을 대폭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판을 베이스 각관에 고정한 후 인접하는 다른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연결돌기를 하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끼움 고정함으로써 인접하는 한 쌍의 보강프레임을 1회의 나사 체결작업을 통해 간편하게 베이스 각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의 하판 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받침발이 베이스 각관에 안착될 뿐 이를 제외한 하판의 저면은 들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받침발의 사이사이에 통기로를 확보하여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부식이나 녹발생을 억제하여 보강프레임 및 베이스 각관의 수명을 연장하고, 이에 따른 A/S 발생을 줄여 사후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합성목재 데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보강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폭방향 연결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연결돌기 및 하판의 분리상태 확대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합성목재 데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보강프레임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의 폭방향 연결상태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합성목재 데크(10), 보강프레임(2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 데크(10)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합성목재 데크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으로, 두께를 줄임으로 인한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일체로 조립할 수 있는 다수의 결속홈(11)이 저면에 상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합성목재 데크(10)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20)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로써 합성목재 데크(10)의 저면 전체에 밀착되는 하판(21)의 상단에는 결속홈(11)에 일체로 결속되는 다수의 결속돌기(22)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결속홈(11) 및 결속돌기(22)는 어떠한 경우라도 항상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맞춤 조립으로 결속됨으로써 합성목재 데크(10) 및 보강프레임(20)은 상호 간에 공간 없이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함은 물론 구조강도를 대폭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목재 데크(10) 및 보강프레임(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21)의 일측 저면에는 앵글형의 고정판(23)이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판(23)은 나사(1)를 이용하여 베이스 각관(3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판(23)은 도 6과 같이 하판(21)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상기 보강프레임(20)과 합성목재 데크(10)가 상호 조립된 상태임에도 고정판(23)은 보강프레임(20)의 측방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고정판(23)을 베이스 각관(1)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프레임(20)에 형성되는 결속돌기(22)는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부로 돌출된 수직판(22a)의 상단에 수평으로 걸림판(22b)이 형성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와 같이 상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마주하는 경사 걸림판(22c)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판(22d)이 형성된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합성목재 데크(10) 및 보강프레임(20)의 결속력을 대폭 강화함은 물론 시간이 지난 후에도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서도 합성목재 데크(10)의 폭방향 변형을 방지하고,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매우 견고한 구조강도를 유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프레임(20)이 안착 설치되는 베이스 각관(1)과 보강프레임(20) 상호 간의 접촉면적을 줄여줌과 아울러 통기성을 확보하여 부식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신규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보강프레임(20)의 하판(21)은 저면에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안착되는 다수의 받침발(2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발(24)의 사이사이에는 보강프레임(20) 및 베이스 각관(1) 상호 간의 접촉면을 줄여줌과 아울러 외부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기로(25)가 형성됨으로써 원활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보강프레임(20) 및 베이스 각관(1)의 부식이나 녹발생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발(24) 및 고정판(23)은 베이스 각관(1)에 수평 상으로 안착되면서 합성목재 데크(10)가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합성목재 데크(10)가 수평상으로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안착됨은 물론 고정판(23)을 들뜨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발(2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공(26)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발(24)이 불필요한 격벽의 역할을 하면서 통기로(25)가 상호 단절됨을 방지하여 더욱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20)은 고정판(23)이 형성되지 않은 하판(21)의 타측 저면에는 인접하는 보강프레임(20)을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27)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성목재 데크(10)의 시공시 상기 합성목재 데크(1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의 고정판(23)을 도 6과 같이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나사(2)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 후 고정판(23)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판(21)의 저면에는 다른 합성목재 데크(1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의 연결돌기(27)를 밀착되도록 끼움 고정함으로써 인접되는 한 쌍의 합성목제 데크(10)를 1회의 나사 체결작업을 통해 간편하게 베이스 각관(1)에 고정 설치함과 아울러 매우 간편하게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돌기(27) 및 하판(21)의 저면에는 각각 산형의 인터록킹 돌기(28) 및 인터록킹 홈(28a)이 형성됨으로 연결돌기(27) 및 하판(21)이 상호 인터록킹으로 결합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는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합성목재 데크(100), 보강프레임(20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 데크(100)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합성목재 데크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으로, 두께를 줄임으로 인한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20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일체로 조립할 수 있는 다수의 결속홈(101)이 저면에 상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다수의 합성목재 데크(100)를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함과 아울러 합성목재 데크(100) 및 보강프레임(200)을 상호 더욱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홈(102)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상기 합성목재 데크(100)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로써 합성목재 데크(100)의 저면 전체에 밀착되는 하판(201)의 상단에는 결속홈(101)에 일체로 결속되는 다수의 결속돌기(202)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합성목재 데크(100) 및 보강프레임(200)은 상호 맞춤 조립으로 결속됨으로써 합성목재 데크(100) 및 보강프레임(200)은 상호 간에 공간 없이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함은 물론 구조강도를 대폭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목재 데크(100) 및 보강프레임(20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201)의 일측에는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나사(2)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03)이 형성되고, 하판(201)의 타측 선단에는 합성목재 데크(100)의 일 측면을 감싸면서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합성목재 데크(1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보호하는 랩핑판(204)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203)은 도 13과 같이 하판(201)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보강프레임(200)과 합성목재 데크(100)가 조립된 상태임에도 고정판(203)은 보강프레임(200)의 측방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고정판(203)을 베이스 각관(1)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랩핑판(204)의 상단에는 일측이 합성목재 데크(100)의 연결홈(102)에 끼워지면서 합성목재 데크(100)와 보강프레임(200)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하는 연결판(205)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205)의 타측은 인접하는 다른 합성목재 데크(100)의 연결홈(102)에 끼워진다.
즉 상기 연결판(205)은 도 13과 같이 인접되는 한 쌍의 합성목재 데크(100)의 마주하는 연결홈(102)에 양측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다수의 합성목재 데크(100)를 상호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함과 아울러 합성목재 데크(100)가 상향으로 들뜸을 방지하고, 합성목재 데크(100)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하판(201)은 저면에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안착되는 다수의 받침발(20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발(206)의 사이사이에는 보강프레임(200) 및 베이스 각관(1) 상호 간의 접촉면을 줄여줌과 아울러 외부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기로(207)가 형성됨으로써 원활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보강프레임(200) 및 베이스 각관(1)의 부식이나 녹발생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발(206) 및 고정판(203)은 베이스 각관(1)에 수평 상으로 안착되면서 합성목재 데크(100)가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합성목재 데크(100)가 수평상으로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안착됨은 물론 고정판(203)을 들뜨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발(206)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공(208)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발(206)이 불필요한 격벽의 역할을 하면서 통기로(207)가 상호 단절됨을 방지하여 더욱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를 시공하는 공법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적으로 상기 합성목재 데크(10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0)의 고정판(203)을 도 14와 같이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나사(2)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 후 다른 합성목재 데크(10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0)의 연결판(205)을 상기 베이스 각관(1)에 고정 설치된 합성목재 데크(100)의 연결홈(102)에 끼우면 인접하는 한 쌍의 합성목재 데크(100)를 상호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접되는 한 쌍의 합성목제 데크(10)를 1회의 나사 체결작업을 통해 간편하게 베이스 각관(1)에 고정 설치함과 아울러 매우 간편하게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인력 감축 및 공기를 단축하면서도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1: 베이스 각관 2: 나사
10, 100: 합성목재 데크 11, 101: 결속홈
102: 연결홈 20, 200: 보강프레임
21, 201: 하판 22, 202: 결속돌기
22a: 수직판 22b: 걸림판
22c: 경사 걸림판 22d, 205: 연결판
23, 203: 고정판 24, 206: 받침발
25, 207: 통기로 26, 208: 통기공
27: 연결돌기 28: 인터록킹 돌기
28b: 인터록킹 홈 204: 랩핑판

Claims (11)

  1. 저면에 다수의 결속홈(11)이 상향으로 함몰 형성된 합성목재 데크(10)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10)의 저면 전체에 밀착되는 하판(21)의 상단에 상기 결속홈(11)에 일체로 결속되는 다수의 결속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판(21)의 일측 저면에는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3)이 형성된 보강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고정판(23)은 하판(21)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20)과 합성목재 데크(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보강프레임(20)의 측방으로 노출된 고정판(23)을 베이스 각관(1)에 고정 설치하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상기 하판(21)의 저면에는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안착되는 다수의 받침발(2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발(24)의 사이사이에는 보강프레임(20) 및 베이스 각관(1) 상호 간의 접촉면을 줄여줌과 아울러 통기성을 제공하는 다수의 통기로(25)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발(2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공(26)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24) 및 고정판(23)은 베이스 각관(1)에 수평 상으로 안착되도록 상호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22)는 수직판(22a)의 상단에 수평으로 걸림판(22b)이 형성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마주하는 경사 걸림판(22c)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판(22d)이 형성된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20)은 고정판(23)이 형성되지 않은 하판(21)의 타측 저면에 연결돌기(27)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6.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 데크(1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의 고정판(23)을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나사(2)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23)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판(21)의 저면에는 다른 합성목재 데크(1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의 연결돌기(27)를 밀착되도록 끼움 고정하여 인접하는 한 쌍의 합성목재 데크(10)를 상호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의 시공공법.
  7. 저면에 다수의 결속홈(101)이 상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양 측면에 연결홈(102)이 형성된 합성목재 데크(100)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100)의 저면 전체에 밀착되는 하판(201)의 상단에 상기 결속홈(101)에 일체로 결속되는 다수의 결속돌기(20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판(201)의 일측 에는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03)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201)의 타측 선단에는 합성목재 데크(100)의 일 측면을 감싸는 랩핑판(204)이 형성된 보강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고정판(203)은 하판(201)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200)과 합성목재 데크(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보강프레임(200)의 측방으로 노출된 고정판(203)을 베이스 각관(1)에 고정 설치하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상기 하판(201)의 저면에는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안착되는 다수의 받침발(20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발(206)의 사이사이에는 보강프레임(200) 및 베이스 각관(1) 상호 간의 접촉면을 줄여줌과 아울러 통기성을 제공하는 다수의 통기로(207)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발(206)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공(208)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판(204)의 상단에는 인접하는 한 쌍의 합성목재 데크(100)의 마주하는 연결홈(102)에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연결판(2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206) 및 고정판(203)은 베이스 각관(1)에 수평 상으로 안착되도록 상호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11. 제 7항 또는 제 8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 데크(10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0)의 고정판(203)을 베이스 각관(1)의 상단에 나사(2)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다른 합성목재 데크(100)와 일체로 조립된 보강프레임(200)의 연결판(205)을 상기 베이스 각관(1)에 고정 설치된 합성목재 데크(100)의 연결홈(102)에 끼워서 인접하는 한 쌍의 합성목재 데크(100)를 상호 폭방향으로 일체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의 시공공법.
KR1020180077553A 2018-07-04 2018-07-04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KR10221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53A KR102217099B1 (ko) 2018-07-04 2018-07-04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53A KR102217099B1 (ko) 2018-07-04 2018-07-04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60A KR20200004560A (ko) 2020-01-14
KR102217099B1 true KR102217099B1 (ko) 2021-02-19

Family

ID=6915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53A KR102217099B1 (ko) 2018-07-04 2018-07-04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570A (ko)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해일 압출성형 데크, 압출성형 데크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2532146B1 (ko) 2022-12-13 2023-05-12 (주) 한길산업 미끄럼 방지 및 수축/팽창이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KR102457111B1 (ko) * 2022-03-29 2022-10-20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49557B1 (ko) * 2022-04-28 2024-03-20 주식회사 더우드 용이한 데크의 결합과 고정력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91954B1 (ko) * 2022-05-10 2023-01-26 김기영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08B1 (ko) * 2009-10-19 2010-09-10 주식회사 이데크 데크 결합 구조체
US20150059271A1 (en) * 2013-09-05 2015-03-05 Nexus Global Co., Ltd. Outdoor combination flo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924U (ko) * 2010-10-20 2012-04-30 이동제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08B1 (ko) * 2009-10-19 2010-09-10 주식회사 이데크 데크 결합 구조체
US20150059271A1 (en) * 2013-09-05 2015-03-05 Nexus Global Co., Ltd. Outdoor combination fl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570A (ko)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해일 압출성형 데크, 압출성형 데크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2532146B1 (ko) 2022-12-13 2023-05-12 (주) 한길산업 미끄럼 방지 및 수축/팽창이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60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099B1 (ko)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조립체 및 시공공법
US8161697B1 (en) Studless load bearing panel wall system
US20110265411A1 (en) New plastic floor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2182923B1 (ko) 외부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1369512B1 (ko) 조립식건축물
KR101656273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KR101396179B1 (ko) 복합 빔 데크
EP2397620B1 (en) Laminated beam construction
US20050115181A1 (en)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KR101429195B1 (ko) 복합 빔 데크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2522194B1 (ko)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KR101039876B1 (ko)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KR102369330B1 (ko) 데크 시스템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11114596U (zh) 一种地板连接卡扣及一种地板系统
JP7210470B2 (ja) 特に水平建物構造を構成するための平坦な建物要素
KR102106473B1 (ko) 마루바닥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59542B1 (ko)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KR200460323Y1 (ko) 강화 마루판용 마감 부재
KR102190521B1 (ko) 스터드의 조립식 양방향 단열재 고정클립과 이의 시공방법
KR200363822Y1 (ko) 보온커버를 구비하는 조립식 물탱크
KR200374859Y1 (ko) 대용량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