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111B1 -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111B1
KR102457111B1 KR1020220039145A KR20220039145A KR102457111B1 KR 102457111 B1 KR102457111 B1 KR 102457111B1 KR 1020220039145 A KR1020220039145 A KR 1020220039145A KR 20220039145 A KR20220039145 A KR 20220039145A KR 102457111 B1 KR102457111 B1 KR 10245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upling part
frame
bas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준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아이앤지산업(주)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지산업(주), 박정희 filed Critical 아이앤지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3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멍에(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를 상기 장선(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데크(100)는, 제1방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부(11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및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이 설치되는 연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는다.
이에, 물빠짐이 원활하고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DE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며 물빠짐이 원활하고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목재 데크를 사용하여 데크구조물을 제작했다. 종래의 목재 데크를 사용하는 데크구조물의 제작 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멍에 및 장선을 교차하여 설치하고, 장선의 상부에 목재 데크를 결합 및 고정한다. 이 때에, 목재 데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체결 부재를 삽입하면 목재 데크에 크랙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목재 데크를 연이어 조립하면 우천이나 강한 햇빛에 오랜 기간 노출되어 기온이 상승하는 등의 자연적인 요인에 따라 목재 데크가 수축 또는 팽창될 경우에 목재 데크가 휘어지거나 비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목재 데크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목재 데크의 양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이웃하는 목재 데크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장선에 고정시킨 후에 목재 데크를 연결부재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데크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70192호가 있다.
그러나, 목재 데크는 신축변형이 크고 비내구적인 특성으로 인해, 쪼개짐, 뒤틀림, 찔림 등이 쉽게 발생하여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 데크를 정렬 설치하기 위해서 목재 데크와 별도로 연결부재(연결클립)를 정렬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목재 데크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의 데크가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재질의 데크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크므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재질의 데크를 사용하는 종래의 데크구조물은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어렵다. 또한, 물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미끄러우며 소음이 크게 발행한다.
등록특허공보 제09701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빠짐이 원활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감이 향상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음이 감소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멍에(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를 상기 장선(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데크(100)는, 제1방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부(11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및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이 설치되는 연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프레임(122);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122)과 이격되어 제1하부프레임(122)의 위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124); 및 상기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과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126)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프레임(132);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132)과 이격되어 제2하부프레임(132)의 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34); 및 상기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과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13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122)의 제1방향의 일측단부(E1)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134)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면, 상기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가 상기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프레임(124)의 연직 하방에 제1프레임(124)과 상하로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기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타측단부(E2)의 최고 높이위치는 상기 나머지 부위의 높이위치보다 높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134)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면, 상기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가 상기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프레임(124)의 연직 하방에 제1프레임(124)과 상하로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기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나머지 부위의 상면은 제1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구간(S)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프레임(124)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140)의 상단의 높이위치와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몸체부(142) 및 상기 제1몸체부(142)와 결합되고 제1몸체부(142)의 상단에 배치되는 머리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부(142)의 제1방향의 폭은 상기 머리부(144)의 제1방향의 폭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1)는, 상기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와 제1방향의 타측의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2)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제1방향의 일측단에는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60)의 제1방향의 타측단에는 제4결합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4결합부(180) 및 제3결합부(170)와 각각 결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160)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돌출부(150)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160),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에는 완충재(190)가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하는 데크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크구조물이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멍에(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를 상기 장선(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100)는, 제1방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부(11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및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이 설치되는 연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다.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를 장선(30) 상에 나란히 정렬설치하기 위해 장선(30) 상에 별도로 설치하는 종래의 데크 연결부재가 없어도, 데크(100) 자체에 구비된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를 서로 결합시키면서 데크(100)들을 용이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데크(100)들이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데크(100)가 배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고정수단(40)으로 데크(100)를 장선(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물빠짐이 원활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크(100)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데크(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데크구조물의 시공 중에 연장부(16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연장부(160)에 고정수단(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연장부(1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프레임(122);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하부프레임(122)과 이격되어 제1하부프레임(122)의 위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124); 및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과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프레임(132);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하부프레임(132)과 이격되어 제2하부프레임(132)의 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34); 및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과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프레임(122)의 제1방향의 일측단부(E1)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삽입되고,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의 'ㄷ'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과 제2결합부(130)의 'ㄷ'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결합부(120) 또는 제2결합부(130)가 상하로 힘을 받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1결합부(120)가 제1돌출부(140)처럼 데크(100)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더라도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구조물의 시공용이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정확하게 정렬되면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데크(100)들의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데크(100)의 길이방향(제2방향)을 따라 길게 결합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데크(100)들의 베이스부(11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연장부(160)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24)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면,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프레임(124)의 연직 하방에 제1프레임(124)과 상하로 대면하여 위치하고,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타측단부(E2)의 최고 높이위치는 상기 나머지 부위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연장부(16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머지 부위의 상면은 제1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구간(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연장부(16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레임(124)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의 높이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가 제1돌출부(140)처럼 데크(100)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물체의 하중이 제1돌출부(140) 및 제1결합부(120)에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제1결합부(120) 근처의 제1돌출부(140)에 물체의 하중이 편중되어 제1결합부(120) 근처의 제1돌출부(140)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데크(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몸체부(142) 및 제1몸체부(142)와 결합되고 제1몸체부(142)의 상단에 배치되는 머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142)의 제1방향의 폭은 머리부(144)의 제1방향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데크(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부(140)의 위에 놓이는 물체와 머리부(144)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돌출부(140)가 제1돌출부(140)의 위에 놓이는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1)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와 제1방향의 타측의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데크(100)들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데크(1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고 데크구조물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한 개의 제2돌출부(150)의 제1방향의 일측단에는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고, 연장부(160)의 제1방향의 타측단에는 제4결합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4결합부(180) 및 제3결합부(170)와 각각 결합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 뿐만 아니라 제3결합부(170)와 제4결합부(180)를 서로 결합시키면서 데크(100)들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데크(100)들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 뿐만 아니라 제3결합부(170)와 제4결합부(18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데크(100)가 배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고정수단(40)으로 데크(100)를 장선(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일측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60)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60),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결합부(170), 제4결합부(18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데크(100)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정확하게 정렬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연장부(160)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연장부(160) 상의 공간의 측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연장부(160) 상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돌출부(150)의 하단에는 완충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 위에서 사람 등이 이동할 때에 데크(100), 장선(30)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재(190)가 흡수하므로 소음이 감소할 수 있고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데크(100)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이 흡수되므로 사람 등이 데크(100) 위를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하는 데크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데크(100)를 정렬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크 연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데크(100b)를 설치하기만 하면 기설치된 데크(100a)의 연장부(160)가 가려지므로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고정수단(4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별도의 차폐부재 설치단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기초부 상에 멍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멍에 위에 장선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선 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복수 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데크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데크구조물을 구성하는 데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5의 데크에 완충재가 구비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중에서 데크 배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중에서 데크 고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제1방향은 데크의 폭방향을 의미하고 제2방향은 데크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크구조물]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기초부 상에 멍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멍에 위에 장선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선 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복수 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은, 기초부(10) 상에 멍에(20), 장선(30), 및 데크(100)가 각각 상호 교차되도록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 과정을 거친 기초부(10) 상에 멍에(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멍에(20)는 가령 금속 각관인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멍에(20)의 재료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멍에(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등 간격 이격되며 나란히 배치되며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멍에(20) 위에는 장선(3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선(30)은 가령 금속 각관인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장선의 재료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장선(30) 역시 측면으로 등 간격 이격되며 나란히 배치되며 설치될 수 있다. 장선(30)은 멍에보다 더 촘촘히 설치될 수 있으며, 멍에보다 단면적이 작은 각관으로 시공될 수 있다. 장선(30)은 멍에(20) 상에서 멍에(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선(30) 위에는 복수 개(도 3에서는 3개)의 데크(10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100)는 납작하고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데크(100)의 재료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데크(100a, 100b, 100c)는 장선(30) 상에 제1방향(예컨대, 장선이 설치되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데크(100)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도 3에서는 3개)의 장선(30) 상에 가로질러 배열될 수 있다. 즉 데크(100)는 그 저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장선(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데크(10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와 서로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마감부재(L) 및 제2마감부재(R)는 장선(30) 위에 데크(100)와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1마감부재(L)는 데크구조물의 제1방향의 일측단(예컨대, 좌측단)에 설치될 수 있고 제2마감부재(R)는 데크구조물의 제1방향의 타측단(예컨대, 우측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마감부재(L) 및 제2마감부재(R) 사이에는 복수 개의 데크(10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제1마감부재(L)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우측)은 데크(100)의 제1방향의 일측(예컨대, 좌측)과 접하여 결합될 수 있고 제2마감부재(R)의 제1방향의 일측은 데크(100)의 제1방향의 타측과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데크(100)는 데크(100) 및 데크(100) 아래의 장선(30)과 결합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장선(3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40)은 예를 들면, 볼트, 너트, 못, 피스, 리벳 등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수단(4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데크(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데크]
도 4는 도 3의 데크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데크구조물을 구성하는 데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데크(100)는 베이스부(110), 제1결합부(120), 제2결합부(130), 제1돌출부(140), 제2돌출부(150) 및 연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100)는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100)는 완충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베이스부]
베이스부(110)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2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도 3).
[제1결합부]
제1결합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제1방향의 일측단(예컨대, 좌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결합부(120)는 도면과 같이 연장프레임(121), 제1하부프레임(122), 제1프레임(124) 및 제1연결프레임(126)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121)은 베이스부(110)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예컨대,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하부프레임(122)은 연장프레임(121)과 연결될 수 있고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하부프레임(122)은 연장프레임(1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연장프레임(121)보다 제1방향의 일측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1프레임(124)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하부프레임(122)과 이격되어 제1하부프레임(122)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24)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후술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의 높이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가 제1돌출부(140)처럼 데크(100)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물체의 하중이 제1돌출부(140) 및 제1결합부(120)에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제1결합부(120) 근처의 제1돌출부(140)에 물체의 하중이 편중되어 제1결합부(120) 근처의 제1돌출부(140)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데크(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프레임(124)의 상단의 높이위치가 제1돌출부(140)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으면 제1결합부(120)가 데크(100)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할 수 없으므로 제1결합부(120) 근처의 제1돌출부(140)가 물체의 하중을 크게 받을 수 있다. 이에, 1결합부(120) 근처의 제1돌출부(140)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20)의 형상이 제1돌출부(140)와 유사해져서 제1돌출부(140) 및 제1결합부(120)의 형태가 조화를 이루게되므로 데크(100)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연결프레임(126)은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결프레임(126)은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1결합부(120)가 이러한 형상 또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결합부(12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2결합부]
제2결합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제1방향의 타측단(예컨대, 우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결합부(130)는 제2하부프레임(132), 제2프레임(134) 및 제2연결프레임(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프레임(132)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하부프레임(132)은 베이스부(110)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4)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하부프레임(132)과 이격되어 제2하부프레임(132)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프레임(136)은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연결프레임(136)은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2결합부(130)가 이러한 형상 또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결합부(13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다(도 4).
이에 따라, 데크(100)를 장선(30) 상에 나란히 정렬설치하기 위해 장선(30) 상에 별도로 설치하는 종래의 데크 연결부재가 없어도, 데크(100) 자체에 구비된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를 서로 결합시키면서 데크(100)들을 용이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데크(100)들이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데크(100)가 배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고정수단(40)으로 데크(100)를 장선(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하부프레임(122)의 제1방향의 일측단부(E1)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도 4). 또한,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도 4).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의 'ㄷ'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과 제2결합부(130)의 'ㄷ'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결합부(120) 또는 제2결합부(130)가 상하로 힘을 받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1결합부(120)가 제1돌출부(140)처럼 데크(100)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더라도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구조물의 시공용이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에, 제2하부프레임(132)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가 연장프레임(121)과 접하거나 상기 일측단부(E1)가 제2연결프레임(136)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단부(E2)가 제1연결프레임(126)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데크(100)들이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면서 정렬설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정확하게 정렬되면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데크(100)들의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데크(100)의 길이방향(제2방향)을 따라 길게 결합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데크(100)들의 베이스부(11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연장부(160)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결합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면,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프레임(124)의 연직 하방에 제1프레임(124)과 상하로 대면하여 위치할 수 있다(도 4). 이 때에, 상기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4).
상기 타측단부(E2)의 최고 높이위치는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연장부(16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면은 제1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구간(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연장부(16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돌출부]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14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빠짐이 원활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크(100)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데크(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제1돌출부(140)는 제1돌출부(140)의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몸체부(142) 및 제1몸체부(142)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1몸체부(142)와 결합되는 머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142)의 제1방향의 폭은 머리부(144)의 제1방향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데크(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부(140)의 위에 놓이는 물체와 머리부(144)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돌출부(140)가 제1돌출부(140)의 위에 놓이는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1)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와 제1방향의 타측의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도 4).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데크(100)들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데크(1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고 데크구조물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제2돌출부]
제2돌출부(150)는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150)가 복수 개 형성된 경우에 제2돌출부(15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데크(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제2돌출부(150)는 장선(30)과 접할 수 있고 베이스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돌출부(150)는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몸체부(152) 및 제2몸체부(152)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2몸체부(152)와 결합되는 바닥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부(152)의 제1방향의 폭은 바닥부(154)의 제1방향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데크(100)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데크(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장선(30)과 바닥부(154)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제2돌출부(150)가 베이스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부(1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단으로부터 후술하는 연장부(160)가 연장되는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후술하는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하단으로부터 연장부(160)가 연장되거나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이와 다른 나머지 제2돌출부(150)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하단으로부터 연장부(160)가 연장되거나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의 바닥부(154)의 제1방향의 폭은 이와 다른 나머지 제2돌출부(150)의 바닥부(154)의 제1방향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도면과 달리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의 하단의 높이위치는 이와 다른 나머지 제2돌출부(150)의 하단의 높이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즉, 도면과 달리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장선(30)과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연장부]
연장부(160)는 적어도 한 개의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에, 연장부(160)는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60)에는 고정수단(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구조물의 시공 중에 연장부(16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연장부(160)에 고정수단(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을 수 있다(도 4).
이에 따라, 물이 연장부(1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장부(16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3결합부]
제3결합부(170)는 적어도 한 개의 제2돌출부(150)의 제1방향의 일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3결합부(170)는 적어도 한 개의 제2돌출부(150)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도 5).
다만, 제3결합부(170)가 이러한 형상 또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결합부(17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4결합부]
제4결합부(180)는 연장부(160)의 제1방향의 타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4결합부(180)는 제3하부프레임(182), 제3프레임(184) 및 제3연결프레임(1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하부프레임(182)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3하부프레임(182)은 연장부(160)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프레임(184)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하부프레임(182)과 이격되어 제3하부프레임(182)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연결프레임(186)은 제3하부프레임(182) 및 제3프레임(1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연결프레임(186)은 제3하부프레임(182) 및 제3프레임(184)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3하부프레임(182) 및 제3프레임(184)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4결합부(180)가 이러한 형상 또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결합부(18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4결합부(180) 및 제3결합부(170)와 각각 결합가능하다(도 4).
이에 따라,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 뿐만 아니라 제3결합부(170)와 제4결합부(180)를 서로 결합시키면서 데크(100)들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데크(100)들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 뿐만 아니라 제3결합부(170)와 제4결합부(18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데크(100)가 배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고정수단(40)으로 데크(100)를 장선(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돌출부(150)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3결합부(170)의 돌기는 제3하부프레임(182) 및 제3프레임(18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도 4).
이 때에, 상기 돌기가 제3연결프레임(186)과 접하거나 제3하부프레임(182) 또는 제3프레임(184)이 상기 돌기가 구비된 제2돌출부(150)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데크(100)들이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면서 정렬설치될 수 있다.
제3결합부(170), 제4결합부(180),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 연장부(160)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돌출부(150) 및 연장부(160)는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에,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60)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돌출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결합부(170), 제4결합부(18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데크(100)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정확하게 정렬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연장부(160)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연장부(160) 상의 공간의 측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연장부(160) 상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이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완충재]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5의 데크에 완충재가 구비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돌출부(150)의 하단에는 완충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돌출부(150)의 하단이 완충재(190a)로 코팅될 수 있다. 완충재(190)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100) 위에서 사람 등이 이동할 때에 데크(100), 장선(30)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재(190)가 흡수하므로 소음이 감소할 수 있고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데크(100)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이 흡수되므로 사람 등이 데크(100) 위를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다.
완충재(190b, 190c)는 연장부(160) 또는 제4결합부(180)의 하단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살펴본다.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기초부 마련단계, 멍에 배치단계, 장선 설치단계, 데크 배치단계 및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부 마련단계에서는, 기초를 정리하여 기초부(10)를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초부(10)를 평탄하게 마련할 수 있다.
멍에 배치단계에서는, 도 1과 같이, 기초부(10) 상에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장선 설치단계에서는, 도 2와 같이, 멍에(20) 상에 장선(30)을 교차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장선(30)은 멍에(20)에 고정될 수 있다.
데크 배치단계와 관련하여, 도 7을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중에서 데크 배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크 배치단계에서는,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새로운 데크(100b)를 기설치된 데크(100a) 가까이에 배치시키고 A방향(제1방향)으로 밀어서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결합시키면 새로운 데크(100b)가 기설치된 데크(100a)의 연장부(160)를 덮을(가릴)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결합시키면 새로운 데크(100b)의 제3결합부(170)가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4결합부(18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가 없는 경우에는,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제1마감부재(L)에 새로운 데크(100)를 결합시키면서 배치할 수 있다(도 3 및 도 4).
데크 고정단계와 관련하여, 도 8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중에서 데크 고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크 고정단계에서는,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연장부(160)가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어서 외부에 노출되므로, 연장부(160)에 고정수단(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정수단(40)을 B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데크(100b)의 연장부(160)에 설치함으로써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기초부 마련단계, 멍에 배치단계, 장선 설치단계, 데크 배치단계 및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데크(100) 자체에 구비된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를 서로 결합시키고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부(160)에 고정수단(40)을 설치하면서 데크(100)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이에,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데크(100)를 정렬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크 연결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데크(100b)를 설치하기만 하면 기설치된 데크(100a)의 연장부(160)가 가려지므로 연장부(160)에 설치된 고정수단(4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고정수단(4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별도의 차폐부재 설치단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기초부 20: 멍에
30: 장선 40: 고정수단
100: 데크
110: 베이스부 120: 제1결합부
121: 연장프레임 122: 제1하부프레임
124: 제1프레임 126: 제1연결프레임
130: 제2결합부 132: 제2하부프레임
134: 제2프레임 136: 제2연결프레임
140: 제1돌출부 142: 제1몸체부
144: 머리부 150: 제2돌출부
160: 연장부
170: 제3결합부 180: 제4결합부
190: 완충재

Claims (12)

  1.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멍에(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를 상기 장선(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100)는,
    제1방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부(11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및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이 설치되는 연장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고,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프레임(122);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122)과 이격되어 제1하부프레임(122)의 위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124); 및
    상기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의 제1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과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126)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프레임(132);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132)과 이격되어 제2하부프레임(132)의 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34); 및
    상기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과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136)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122)의 제1방향의 일측단부(E1)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하부프레임(132) 및 제2프레임(134)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하부프레임(122) 및 제1프레임(124) 사이에 삽입되는,
    데크구조물.
  2.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멍에(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를 상기 장선(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100)는,
    제1방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부(11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및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이 설치되는 연장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고,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1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면, 상기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가 상기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프레임(124)의 연직 하방에 제1프레임(124)과 상하로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기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타측단부(E2)의 최고 높이위치는 상기 나머지 부위의 높이위치보다 높은, 데크구조물.
  3.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멍에(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 상에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를 상기 장선(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100)는,
    제1방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가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위에 놓이는 물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부(11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및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결합부(130)보다 제1방향의 타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이 설치되는 연장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 및 제1결합부(120)와 각각 결합가능하고,
    상기 제1결합부(12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2결합부(130)와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부(110) 및 제1결합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데크(100)의 연장부(160)를 덮고,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1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130)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면, 상기 제2프레임(134)의 제1방향의 타측단부(E2)가 상기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프레임(124)의 연직 하방에 제1프레임(124)과 상하로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기 타측단부(E2)를 제외한 제2프레임(134)의 나머지 부위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나머지 부위의 상면은 제1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구간(S)을 포함하는, 데크구조물.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20)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140)의 상단의 높이위치와 대응하는, 데크구조물.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몸체부(142) 및 상기 제1몸체부(142)와 결합되고 제1몸체부(142)의 상단에 배치되는 머리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142)의 제1방향의 폭은 상기 머리부(144)의 제1방향의 폭보다 작은, 데크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1)는, 상기 복수 개의 제1돌출부(14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140)의 상단부와 제1방향의 타측의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1결합부(120)의 상단부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D2)보다 작은, 데크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제2돌출부(150)의 제1방향의 일측단에는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60)의 제1방향의 타측단에는 제4결합부(180)가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100)의 제4결합부(180) 및 제3결합부(170)와 각각 결합가능한, 데크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170)가 구비되는 제2돌출부(150)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160)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돌출부(150)는 상기 한 개 이상의 제2돌출부(150) 중에서 제1방향의 가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160), 제3결합부(170) 및 제4결합부(18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데크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150)의 하단에는 완충재(190)가 구비되는, 데크구조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하는 데크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11. 청구항 4의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하는 데크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12. 청구항 5의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100a)의 제2결합부(130)에 새로운 데크(100b)의 제1결합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하는 데크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데크(100b)를 장선(30)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220039145A 2022-03-29 2022-03-29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5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145A KR102457111B1 (ko) 2022-03-29 2022-03-29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145A KR102457111B1 (ko) 2022-03-29 2022-03-29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111B1 true KR102457111B1 (ko) 2022-10-20

Family

ID=8380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145A KR102457111B1 (ko) 2022-03-29 2022-03-29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1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010A (en) * 1997-03-24 1998-10-06 Conn; James H. Interconnecting construction panels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KR101649310B1 (ko) * 2015-12-11 2016-08-30 (주)티엔우드 굴절부를 구비하는 히든 클립
KR101855368B1 (ko) * 2018-02-07 2018-05-08 아이앤지산업(주)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00004560A (ko) * 2018-07-04 2020-01-14 동양기업(주)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및 시공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010A (en) * 1997-03-24 1998-10-06 Conn; James H. Interconnecting construction panels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KR101649310B1 (ko) * 2015-12-11 2016-08-30 (주)티엔우드 굴절부를 구비하는 히든 클립
KR101855368B1 (ko) * 2018-02-07 2018-05-08 아이앤지산업(주)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00004560A (ko) * 2018-07-04 2020-01-14 동양기업(주)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및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261B1 (ko)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30291471A1 (en) Wooden deck fastening device
US20150082735A1 (en) Post support bracket system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US8302360B2 (en) Wooden roof truss
KR200444020Y1 (ko) 목재데크의 변형방지를 위한 연결조이너
KR102457112B1 (ko)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57111B1 (ko)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47077B1 (ko)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67721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조립형 채널
AU724149B2 (en) Flooring construction with capacity for deflexure adjustment
US20110203200A1 (en) Deck system
KR200445945Y1 (ko) 데크 결합부재
KR20170050374A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2076737B1 (ko) 피스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로드 시스템용 장선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8889B1 (ko) 슬라이딩 레일 끼움 방식의 데크 조립 시스템
JP4870241B1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2173879B1 (ko) 조립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외장패널 조립체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2277969B1 (ko) 시공의 편의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036873B1 (ko)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