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873B1 -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873B1
KR102036873B1 KR1020170121291A KR20170121291A KR102036873B1 KR 102036873 B1 KR102036873 B1 KR 102036873B1 KR 1020170121291 A KR1020170121291 A KR 1020170121291A KR 20170121291 A KR20170121291 A KR 20170121291A KR 102036873 B1 KR102036873 B1 KR 10203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late
lattice
camber
assembly
reb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893A (ko
Inventor
방중석
김태호
한경수
한성준
최영락
오건
김병수
이상진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8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여 합성데크를 구축할 때, 파형 플레이트가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를 이용하여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합성데크가 현장에 설치된 후 파형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가 시공되었을 때, 슬래브의 하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거나 울퉁불퉁한 형태로 되지 않고, 애초에 설계하였던 형상과 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합성데크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Composite Deck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역삼각형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Lattice Reinforcement)와 굴곡단면의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파형 플레이트(Steel Plate)가 합성된 형태의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굴곡단면의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여 합성데크를 구축할 때,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및 파형 플레이트의 각각에 부여된 상향 캠버(camber)가 서로 일치된 상태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결합시킴으로써, 현장에서 합성데크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였을 때, 슬래브가 설계된 선형으로 시공될 수 있게 하는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강재(鋼材)의 플레이트 위에 철근 조립체를 배치한 구성의 "합성데크"를 설치하고, 철근 조립체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합성데크 위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261호에는 굴곡진 형태의 강재 플레이트에서, 오목하게 파인 부분 즉, 오목부 내에 철근 조립체를 배치한 구성의 합성데크가 개시되어 있다.
강재 플레이트는 종방향으로 바라 볼 때,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데, 오목부는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오목부 사이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중간부가 존재한다. 오목부와 중간부는 종방향으로 강재 플레이트의 전체에 걸쳐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오목부와 평평한 중간부가 형성된 강재 플레이트를 "파형 플레이트"라고 부른다.
합성데크의 제작에 이용되는 철근 조립체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종방향 철근과, 상기 종방향 철근 사이를 격자 태로 연결하는 격자부재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합성데크의 제작에 이용되는 철근 조립체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261호에 개시된 철근 조립체의 경우는, 2개의 상현재와 1개의 하현재, 그리고 격자부재를 가지고 있어서, 철근 조립체가 길게 연장된 방향 즉, 종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파형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배치될 때에는 하현재가 아래쪽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볼 때 역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합성데크를 제작할 때, 파형 플레이트의 오목부 상면에 풋 서포트(foot support)를 설치하고, 그 위에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배치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가지는 캠버와 파형 플레이트가 가지는 상향 캠버를 서로 동일하게 만드는 "캠버 일치화(一致化)"에 대한 고려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건축물의 공간 활용 등을 위해서는 합성데크의 종방향 경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종방향 경간 중앙부분이 위쪽으로 솟아 있도록 종방향으로 가면서 상향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형태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에 부여된다. 파형 플레이트에도 상향 캠버가 부여될 수 있지만, 제작 및 가공시의 오차, 운반 및 보관 시의 오차 등으로 인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에 부여된 상향 캠버와, 파형 플레이트에 부여된 상향 캠버가 완전히 일치하기는 매우 어렵다.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는 큰 휨강성을 가지는데 비하여, 파형 플레이트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휨강성을 가지게 되므로, 애초에 부여하였던 상향 캠버가 운반, 보관 등의 과정에서 감소하기도 하며, 그에 따라 파형 플레이트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결합할 때에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는 상당한 캠버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의 각각이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가 서로 상이하며 오차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간의 상향 캠버 오차에 대해 어떠한 고려도 없이 파형 플레이트 위에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올려놓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슬래브를 구축하기 때문에, 캠버의 차이로 인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의 경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는 단순히 상면에 놓이게 되는 부재로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는 파형 플레이트에 대해 "연직하중"으로 작용하게 되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설치 후 파형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면에 작용하는 연직하중으로 인하여 파형 플레이트가 아래로 처지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파형 플레이트에 상향 캠버를 부여하였던 것은 실질적으로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 간의 차이(오차)는 더욱 커지게 되어, 합성데크에 의해 시공된 슬래브는 애초에 설계한 선형을 유지하지 못한 채, 하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거나 울퉁불퉁한 형태로 슬래브가 시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단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파형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것에만 급급하였을 뿐, 위와 같은 하중 작용으로 인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261호(2016. 12. 20.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여 합성데크를 구축하되, 파형 플레이트가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에 자동적으로 맞추어져 일치되게 만듦으로써, 완성된 합성데크가 현장에 설치된 후 파형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가 시공되었을 때, 슬래브의 하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거나 울퉁불퉁한 형태로 되지 않고, 애초에 설계하였던 형상과 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합성데크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오목부가 횡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오목부 사이에는 평평한 면의 중간부가 존재하며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는 파형 플레이트와; 종방향으로 연장된 봉부재로 이루어져서 역삼각형으로 배치된 2개의 상현재와 1개의 하현재, 및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를 연결하는 격자부재를 포함하며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합성데크로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하현재와 오목부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각각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며;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현재 사이에서 파형 플레이트의 중간부와 마주하도록,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의 횡방향 양단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현재와 결속되도록 설치되고, 파형 플레이트의 중간부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파형 플레이트의 중간부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파형 플레이트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져서 파형 플레이트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동일한 상향 캠버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합성데크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하현재와 오목부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각각의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현재 사이에서 파형 플레이트의 중간부와 마주하도록,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의 양단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현재와 결속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파형 플레이트의 중간부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파형 플레이트의 중간부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파형 플레이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에 맞춰져서 파형 플레이트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동일한 상향 캠버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합성데크를 만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의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여 합성데크를 구축할 때, 파형 플레이트가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가지고 있는 상향 캠버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를 일체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합성데크가 현장에 설치된 후 파형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가 시공되었을 때, 슬래브의 하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거나 울퉁불퉁한 형태로 되지 않고, 애초에 설계하였던 형상과 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지도록 조정되는 과정에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에 의해 파형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일체화되므로, 완성된 본 발명의 합성데크를 이용하여 슬래브가 시공되었을 때, 파형 플레이트는 콘크리트의 타설 하중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추가적인 장점이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파형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파형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파형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사이에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종방향 단부 위치에 해당하는 도 5의 선 A-A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선 B-B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거치부재가 영문자 M자 형태의 철근으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종방향 단부 형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페이서 부재를 이용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를 오목부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의 종방향 단부 형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에 구비되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의 제1, 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5의 선 C-C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의 설치 및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파형 플레이트의 결합 완료에 의해 본 발명의 합성데크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15의 선 D-D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합성데크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4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를 이용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파형 플레이트의 상향 캠버를 일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방향 중간 지점에도 거치부재가 구비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파형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각각 도 20의 선F-F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종방향 중간 지점의 거치부재의 설치 및 결합 완료에 의해 본 발명의 합성데크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 합성데크(100)(이하, "본 발명의 합성데크"라고 약칭함)는, 오목부(20)를 가지도록 굴곡진 형태의 파형 플레이트(2)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합성데크(100)에 구비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종방향(도 1의 화살표 X-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부재로 이루어진 2개의 상현재(11)와, 상기 상현재(1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부재로 이루어진 하현재(12), 그리고 상현재(11)와 하현재(12) 사이를 격자형태로 연결하는 격자부재(13)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서 점선은 직선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는 횡방향의 측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상,하현재(11, 12)가 위로 볼록한 형태로 곡선을 이루게 되어 "상향 캠버"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파형 플레이트(2)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파형 플레이트(2)는 아래로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20)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강재의 판형 부재이다. 파형 플레이트(2)에는 복수개의 오목부(20)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웃하는 오목부(20) 사이에는 중간부(21)가 존재한다. 중간부(21)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파형 플레이트(2) 역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마찬가지로 "상향 캠버"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파형 플레이트(2)는 전혀 상향 캠버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파형 플레이트(2)가 0(zero)의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파형 플레이트(2)가 오히려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있다면 마이너스(-)의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파형 플레이트(2)의 오목부(20)에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파형 플레이트(2)의 오목부(20)에 배치완료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 사이에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단부 위치에 해당하는 도 5의 선 A-A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서 임의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도 5의 선 B-B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종방향 중간 지점"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서 종방향 양단부 사이의 임의의 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는 사전에 제작된 후, 합성데크(100)의 제작을 위하여 크레인 등의 인양장치로 인양되어 파형 플레이트(2)의 오목부(20) 내에 배치된다. 이 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하현재(12)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즉,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역삼각형 종방향 형상이 유지되도록 오목부(2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파형 플레이트(2)의 오목부(20)에 배치될 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하현재가 아래쪽에 위치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를 이용하여 합성데크를 제작함에 있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하부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하였을 때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는 철근 피복을 위하여 필요한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에는 거치부재(6)를 미리 조립 설치해두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하였을 때 거치부재(6)가 파형 플레이트(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위치함으로써,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형태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에 배치된다. 즉, 거치부재(6)를 미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 결합해두고, 거치부재(6)가 오목부(20)의 위쪽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파형 플레이트(2) 위에 놓이도록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에 삽입 배치하게 되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는 자동적으로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형태로 오목부(20)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배치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재(6)는, 오목부(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횡연장부재(60)와, 상기 횡연장부재(60)의 상부에 구비되어 2개의 상현재(11) 각각에 결합되는 결속부재(6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 구비된 2개의 상현재(11) 각각이 결속부재(61)에 결속됨으로써 거치부재(6)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 각각에 미리 조립 구비된다.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이 각각 오목부(20)의 양측에 위치하는 중간부(21) 상면에 놓여서 거치부재(6)가 오목부(20)의 위쪽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형태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 내에 배치된다. 즉,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거치부재(6)에 매달린 상태로 오목부(20)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관통체결부재(63)를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에 관통시켜 체결하는 "관통체결방식"을 이용하여 거치부재(6)를 파형 플레이트(2)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거치부재(6)에 구비된 결속부재(61)는 횡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현재(11)가 고리 형상의 부분에 끼워짐으로써 거치부재(6)의 결속부재(61)과 상현재(11)가 결속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리 형태의 결속부재(61)를 가지는 거치부재(6)의 경우,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거치부재(6)를 미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 조립하여 구비해둘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거치부재(6)의 결속부재(61) 형상과 구조는 이와 같은 고리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는 결속부재(61)의 형상이 변화된 또다른 거치부재(6)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 6에 대응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단부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거치부재(6)의 결속부재(61)는 위로 개방되어 있는 영문자 U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U자 형상 부분에 상현재(11)가 놓이고, 볼트를 이용하여 U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을 가로막음으로써, 상현재(11)가 결속부재(61)와 결속되고, 그에 따라 거치부재(6)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 미리 조립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와 같이 U자 형상의 결속부재(61)에 상현재(11)를 결속함에 있어서, U자 형상 부분에 상현재(11)가 놓인 상태에서 케이블 타이(cable tie)와 같은 선형(線形)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상현재(11)를 결속부재(61)와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치부재(6) 자체가 또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영문자 M자 형태의 철근으로 구성된 거치부재가 구비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가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 내에 위치한 후의 상태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단부 형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부재(6)는 영문자 M자 형태의 철근으로 이루어져서, 하현재(12)가 거치부재(6)의 M자 형상에서 중앙의 오목한 부분에 놓이도록 거치부재(6)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 결합되고, 거치부재(6)의 M자 형상의 가장자리가 중간부(21) 상면에 놓여서 거치부재(6)가 오목부(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하현재(12)가 직접 오목부(20)의 바닥 상면에 닿지 않고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에 배치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거치부재(6)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페이서 부재(7)를 이용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단부 형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부(20)의 바닥 상면에 스페이서 부재(7)를 배치하고,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하현재(12)가 스페이서 부재(7) 위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에서 띄워진 형태로 오목부(20) 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6) 또는 스페이서 부재(7)를 이용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 내에 배치함에 있어서, 거치부재(6)와 스페이서 부재(7)를 반드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 각각에 설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하현재(12)가 직접 오목부(20)의 바닥 상면에 닿지 않고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형태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에 배치할 수 있다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가 아닌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임의의 중간 지점에 거치부재(6) 또는 스페이서 부재(7)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거치부재(6) 또는 스페이서 부재(7)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설치되는 거치부재(6)는 후술하는 것처럼, 오목부(20)가 형성된 종방향 열(列)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간의 상향 캠버를 일치되게 만드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각각 본 발명에 구비되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도 12의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5의 선 C-C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에 배치되는 것과 병행하여, 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에 배치 완료된 후에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 사이에 설치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1, 2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31)와, 상기 수평부재(31)의 양단에서 연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연직부재(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직부재(32)의 상단에는 각각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와 결속되는 체결부(33)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제1, 2실시예에서 체결부(33)는 위에서 아래로 구부러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고리 형상이 상현재(11)의 위에 걸쳐지는 형태로 체결부(33)과 상현재(11)가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처럼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체결부(33)의 형상과 구조, 그리고 더 나아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전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변형될 수 있다.
수평부재(31)에는 관통공(3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공(36)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長空)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공(36)이 장공으로 형성된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관통체결수단(35)에 의해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수평부재(31)가 고정될 때, 관통체결수단(35)의 위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관통공(36)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부재(31)의 보강을 위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리브(34)가 수평부재(31)에 결합 구비될 수 있다.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 사이에 상기한 구성의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설치되는데,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양단, 구체적으로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양단에 구비된 연직부재(32)의 상단 각각이 상현재(11)에 체결되도록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설치되며, 그에 따라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는,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 사이에 존재하는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마주하게 된다.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는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파형 플레이트(2)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오목부(20)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오목부(20)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편의상 복수개의 오목부(20) 각각에 배치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 각각을 "제1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제2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및 "제3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라고 명명(命名)하였을 때, 제1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제2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현재 사이에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복수개의 종방향 위치에 배치되고, 제2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제3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에서도 서로 상현재 사이에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가 복수개의 지점에 배치된다. 이 때, 제1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제2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의 위치와, 제2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와 제3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오히려 서로 어긋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사이에 상기한 방식으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설치된 후에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이를 마주하고 있는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가 결합된 합성데크(100)가 완성된다. 도 15에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설치 및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와 파형 플레이트(2)의 결합 완료에 의해 본 발명의 합성데크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15의 선 D-D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 즉, 도 14의 상태에 후속하여 관통체결수단(35)에 의해 수평부재(31)와 중간부(21)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합성데크(1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200)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서 점선은 도 14에서의 파형 플레이트(2) 위치 즉, 아직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의 파형 플레이트(2)의 위치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합성데크의 종방향 경간을 가능한 연장하기 위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 및 파형 플레이트(2) 각각은 종방향의 경간 중앙부분이 위쪽으로 솟아 있도록 종방향으로 가면서 상향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형태의 상향 캠버가 존재한다. 그런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및 파형 플레이트 각각은 별도로 가공 제작되고, 그 제작, 보관, 운반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가지는 상향 캠버와, 파형 플레이트(2)가 가지는 상향 캠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마주하도록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배치한 초기 상태에서는, 상향 캠버의 차이로 인하여 수평부재(31)와 중간부(21) 사이에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 상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중간부(21)을 밀착시킨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적어도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만들어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를 결합 고정시키는데는 관통체결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수평부재(31)에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공(36) 및 이와 마주하는 중간부(21)에 볼트 등의 연직한 관통체결수단(35)을 관통시키고, 관통체결수단(35)에 너트 등의 마감체결부재(37)를 결합하여 체결 고정함으로써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를 결합 고정시키고, 그에 따라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와 파형 플레이트(2)를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관통체결수단(35)을 미리 아래에서 위쪽으로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에 설치해둔 상태에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설치하여, 중간부(21)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던 관통체결수단(35)이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관통공(36)에 관통된 후, 마감체결부재(37)를 관통체결수단(35)에 결합하여 체결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관통체결수단(35)을 위에서 아래로 즉, 위쪽으로 부터 관통공(36)에 삽입하여 중간부(21)를 관통시키고 중간부(21)의 하면에서 마감체결부재를 관통체결수단(35)의 단부에 체결할 수도 있다.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는 파형 플레이트(2)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와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가 상이할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를 결합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도 1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던 파형 플레이트(2)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향하여 당겨지게 된다. 이 때,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당겨져서 수평부재(31)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거나 또는 그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서 최소화된다. 즉,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가 서로 상이한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에 배치되었을 때,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 과도한 간격이 존재하는 상태가 되더라도, 합성데크의 제작을 위하여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와 파형 플레이트(2)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자동적으로 파형 플레이트(2)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동일한 상향 캠버를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 간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서 조정되어, 파형 플레이트(2)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동일한 상향 캠버를 가지게 되면, 완성된 본 발명의 합성데크가 현장에 설치된 후 파형 플레이트(2)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래브가 시공되었을 때, 슬래브의 하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거나 울퉁불퉁한 형태로 되지 않고, 애초에 설계하였던 형상과 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수평부재(31) 방향으로 당겨져서 중간부(21)와 수평부재(31) 사이의 연직간격이 더 이상 변하지 않거나 또는 중간부(21)와 수평부재(31)가 완전히 밀착한 상태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와 파형 플레이트(2)가 견고하게 결합되면, 결과적으로 파형 플레이트(2)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따라서 파형 플레이트(2)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일체 조립으로 완성된 본 발명의 합성데크(100)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파형 플레이트(2)에 작용하는 콘크리트 타설 하중 등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통해서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에 전달되고, 파형 플레이트(2)는 콘크리트의 타설 하중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1, 2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경우, 연직부재(32)의 상단에 구비된 체결부(33)가 위에서 아래로 구부러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고리 형상이 상현재(11)의 위에 걸쳐지는 형태로 체결되었다. 그러나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에서 체결부(3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 및 도 19에는 각각 제3, 4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이용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를 일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8 및 도 19에서는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에 밀착되기 전의 상태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8에 도시된 제3실시예 및 도 19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제1, 2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31) 및 연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연직부재(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직부재(32)의 상단에는 각각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와 체결되는 체결부(33)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도 18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에서 체결부(33)는, 도 6에 도시된 거치부재(6)의 결합부재(61)처럼, 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따라서 상현재(11)가 체결부(33)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고리 형상의 부분에 끼워져서 서로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경우, 체결부(33)의 형상과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거치부재(6)의 결합부재(61)와 같다. 즉, 체결부(33)은 위로 개방되어 있는 영문자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U자 형상 부분에 상현재(11)가 놓이고, 볼트를 이용하여 U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을 가로막으로써, 체결부(33)이 상현재(11)와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제3, 4실시예에 따른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기타 구성 및 효과 등은 앞서 제1, 2실시예의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던 것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형상과 구성, 그리고 체결부(33)의 형상과 구성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발휘하는 작용을 동일하게 수행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파형 플레이트(2)와 결합하면서 양 부재의 캠버를 일치시킴에 있어서,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이용하는 것에 더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설치된 추가적인 거치부재(6)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0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중간 지점에도 거치부재(6)가 더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파형 플레이트(2)의 오목부(20)에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는 각각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를 보여주는 도 20의 선F-F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1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단순히 오목부(20) 내에 배치하였을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중간 지점의 거치부재(6)와 파형 플레이트(2)를 결합함으로써 파형 플레이트(2)의 선형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와 일치되도록 변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서 점선은 도 21에서의 파형 플레이트(2) 위치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양단부에 구비된 거치부재(6)의 경우에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와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가 서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 내에 삽입하게 되면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이 각각 중간부(21) 상면에 놓이게 된다. 그런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의 경우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단순히 오목부(2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가 서로 상이한 상향 캠버를 가짐으로 인하여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이 중간부(21) 상면과 닿지 않을 수 있다. 즉,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 내에 삽입하였을 때 중간 지점의 거치부재(6)의 양단과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간 지점의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이 중간부(21) 상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을 밀착시킨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적어도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만들어서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의 캠버가 1차적으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일치하게 되며,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 간의 추가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는 횡연장부재(60)를 가지고 있으므로,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을 밀착시킨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적어도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만들어서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관통체결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 등의 관통체결부재(63)를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에 관통한 후, 관통체결부재(63)의 관통된 단부에 너트 등의 마감체결부재(64)를 체결함으로써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중간부(21) 상면 사이가 최대로 가까워지게 하거나 또는 서로 밀착하게 만들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사전 구비된 거치부재(6)는,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가 서로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를 일체로 결합하는 부재로서 기능하게 되는 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도 거치부재(6)를 미리 더 구비한 상태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오목부(20)에 삽입 배치하고, 상기한 것처럼 중간 지점의 거치부재(6) 양단부를 파형 플레이트(2)와 밀착 내지 최대로 가까운 상태로 결합 고정함으로써, 오목부(20)가 형성된 종방향 열(列)을 따라가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 간의 상향 캠버 일치화 및 추가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이용한 상향 캠버 일치화에 더하여,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를 이용한 상향 캠버 일치화가 추가됨으로써,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와 파형 플레이트(2) 간의 상향 캠버 일치화 및 양 부재 간의 일체화가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이용한 상향 캠버 일치화 작업과,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를 이용한 상향 캠버 일치화 작업은, 어느 것을 먼저 수행하여도 무방하며, 동시에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중간 지점에 사전 구비된 거치부재(6)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로 이루어져도 거치부재(6)를 이용한 위와 같은 상향 캠버 일치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3에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와 종방향 중간 지점의 거치부재의 설치 및 결합 완료에 의해 본 발명의 합성데크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
2: 파형 플레이트
3: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
6: 거치부재
11: 상현재
12: 하현재
20: 오목부
21: 중간부

Claims (7)

  1. 복수개의 오목부(20)가 횡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오목부(20) 사이에는 중간부(21)가 존재하며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는 파형 플레이트(2)와; 2개의 상현재(11)와 1개의 하현재(12), 및 상현재(11)와 하현재(12) 사이를 연결하는 격자부재(13)를 포함하며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일체 결합되어 있는 합성데크(100)로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 및 종방향 중간 지점에는, 오목부(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거치부재(6)가 각각 미리 결합 구비되어 있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각각의 오목부(20) 내에 배치될 때, 종방향 양단부에 구비된 거치부재(6)가 중간부(21) 상면에 놓여서 걸쳐짐으로써,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형태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오목부(20)에 배치되는데;
    거치부재(6)는, 오목부(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횡연장부재(60)와, 상기 횡연장부재(60)의 상부에 구비되어 2개의 상현재(11) 각각에 결합되는 결속부재(61)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오목부(20) 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 사이에서,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마주하도록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장공으로 이루어진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31)와, 상기 수평부재(31)의 양단에 구비된 연직부재(32)와, 상기 연직부재(32) 각각의 상단에 구비되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와 결속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고;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각각의 오목부(20) 내에 배치되고,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마주하며, 체결부(33)가 상현재(11)와 결속된 상태에서, 관통체결수단(35)이 중간부(21)와 관통공(36)을 관통한 후 마감체결부재(37)가 관통체결수단(35)에 체결됨으로써,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수평부재(31)에 밀착되거나 또는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로 결합 고정되고,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과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로,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에 관통체결부재(63)가 관통되어 체결되어 거치부재(6)와 파형 플레이트(2)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중간부(21)가 형성된 종방향 열(列)에서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에 의해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에 맞춰지고, 오목부(20)가 형성된 종방향 열에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에 의해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짐에 따라, 파형 플레이트(2)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동일한 상향 캠버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개의 오목부(20)가 횡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오목부(20) 사이에는 중간부(21)가 존재하며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는 파형 플레이트(2)와; 2개의 상현재(11)와 1개의 하현재(12), 및 상현재(11)와 하현재(12) 사이를 연결하는 격자부재(13)를 포함하며 상향 캠버를 가지고 있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일체로 결합하여 합성데크(10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양단부와 종방향 중간 지점에, 오목부(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거치부재(6)를 각각 결합 설치하는 단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하현재(12)와 오목부(20)의 바닥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를 각각의 오목부(20) 내에 배치하는 단계;
    오목부(2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 사이에서,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마주하도록,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횡방향 양단을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와 체결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를 파형 플레이트(2)와 결합 고정하고,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파형 플레이트(2)와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거치부재(6)는 오목부(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횡연장부재(60)와, 상기 횡연장부재(60)의 상부에 구비되어 2개의 상현재(11) 각각에 결합되는 결속부재(61)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장공으로 이루어진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31)와, 상기 수평부재(31)의 양단에 구비된 연직부재(32)와, 상기 연직부재(32) 각각의 상단에 구비되어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현재(11)와 결속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 및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를 파형 플레이트(2)와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에서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의 수평부재(31)가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와 마주하고 체결부(33)가 상현재(11)와 결속된 상태에서, 관통체결수단(35)이 중간부(21)와 관통공(36)을 관통한 후, 마감체결부재(37)가 관통체결수단(35)에 체결됨으로써,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수평부재(31)에 밀착되거나 또는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로 결합 고정되게 만들고,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의 횡방향 양단과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가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로 되도록 횡연장부재(60)의 횡방향 양단과 파형 플레이트(2)의 중간부(21)에 관통체결부재(63)가 관통되어 체결되어 거치부재(6)와 파형 플레이트(2)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중간부(21)가 형성된 종방향 열(列)에서는 캠버 조정 중간연결재(3)에 의해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에 맞춰지고, 오목부(20)가 형성된 종방향 열에서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종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된 거치부재(6)에 의해 파형 플레이트(2)의 상향 캠버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의 상향 캠버에 맞추어짐에 따라, 파형 플레이트(2)와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1)가 동일한 상향 캠버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합성데크(100)를 만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데크의 제작방법.

  7. 삭제
KR1020170121291A 2017-09-20 2017-09-20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203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91A KR102036873B1 (ko) 2017-09-20 2017-09-20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91A KR102036873B1 (ko) 2017-09-20 2017-09-20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93A KR20190032893A (ko) 2019-03-28
KR102036873B1 true KR102036873B1 (ko) 2019-10-25

Family

ID=659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91A KR102036873B1 (ko) 2017-09-20 2017-09-20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5874B (zh) * 2020-09-16 2021-12-17 江苏万年达杭萧钢构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钢结构楼承板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267Y2 (ja) * 1990-10-29 1997-05-21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床スラブ用打込み型枠と自立型トラス状鉄筋の連結装置
KR100202270B1 (ko) * 1996-03-13 1999-06-15 조세훈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101503809B1 (ko) * 2014-11-28 2015-03-18 구연진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1586390B1 (ko) * 2015-09-07 2016-01-19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강성 보강 데크플레이트
KR101747097B1 (ko) * 2015-12-22 2017-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 방향 지지철물 일체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018B1 (ko) 2015-06-09 2017-03-10 (주)엔아이스틸 역삼각트러스와 배력근이 일체화된 합성골데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267Y2 (ja) * 1990-10-29 1997-05-21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床スラブ用打込み型枠と自立型トラス状鉄筋の連結装置
KR100202270B1 (ko) * 1996-03-13 1999-06-15 조세훈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101503809B1 (ko) * 2014-11-28 2015-03-18 구연진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1586390B1 (ko) * 2015-09-07 2016-01-19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강성 보강 데크플레이트
KR101747097B1 (ko) * 2015-12-22 2017-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 방향 지지철물 일체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93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US20060162102A1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bridg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285487B1 (ko) 비모듈 대응성 및 수평 전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0947340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76627B1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KR102153007B1 (ko) 저면홈과 전단트러스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036873B1 (ko)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12766A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228642B1 (ko) 일체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 단차 접합부를 갖는 중공슬래브
KR101050746B1 (ko) Pc 보 연결 부재, 상기 pc 보 연결 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 상기 콘크리트 구조 형성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의 형성 방법
KR102036874B1 (ko) 캠버 조정 결합재에 의한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1849983B1 (ko) 긴장재 도입효율이 증진된 psc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304335B1 (ko) 절곡성형부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KR102278450B1 (ko)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101355147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200426525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철근 구조
KR101247322B1 (ko) 철근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전단 보강 구조
KR102042090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보강철근 결합체와 지지판을 이용한 h말뚝과 콘크리트 교대 구조체의 일체화 구성을 가지는 일체식 교대 및 그 시공방법
JP5054807B2 (ja) トラス付きデッキプレート
KR101821164B1 (ko)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004478U (ko)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KR102688888B1 (ko) 타이바 삽입홈이 형성된 골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철골 수평 조립체
KR102113252B1 (ko)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부 보강형 데크 연결 구조체
KR102278451B1 (ko)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