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924U -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Google Patents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2924U KR20120002924U KR2020100010744U KR20100010744U KR20120002924U KR 20120002924 U KR20120002924 U KR 20120002924U KR 2020100010744 U KR2020100010744 U KR 2020100010744U KR 20100010744 U KR20100010744 U KR 20100010744U KR 20120002924 U KR20120002924 U KR 2012000292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nthetic wood
- clip
- synthetic
- wood
- w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clamping, e.g. friction, means on lateral surf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홈이 형성된 2개의 합성 목재를 연결 및 결합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밀착되고 합성 목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기초부분;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기둥부분; 및 상기 기둥부분의 끝 부분 또는 상기 기둥부분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합성 목재의 홈에 끼워지는 날개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합성 목재의 홈에 단단히 끼워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합성 목재를 연결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한 합성 목재를 단단히 연결함과 동시에 충격에 의해 합성 목재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라 자연녹지와 자연공간이 점차 줄어들면서, 생활공간(여기서는 주거공간과 사무공간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한다)을 자연친화적으로 변경 또는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의 콘크리트 바닥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클립을 이용하여 목재 또는 합성 목재를 설치하는 기술이 보편화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 목재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클립(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또는 벽면에 밀착되는 제1부분(210)과 제1부분(2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부분(220) 그리고 이 제2부분(220)의 끝에서 제1부분(21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제3부분(230)으로 이루어졌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립(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또는 합성 목재들(300, 310)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클립(200)의 제3부분들(230)은 합성 목재들(300, 310)에 형성된 홈들(302, 312)에 끼워져 이웃한 합성 목재들(300, 310)을 연결한다.
그런데 종래의 클립(20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합성 목재들(300, 310) 간의 결속력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은 클립(200)의 제3부분들(230)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3부분(23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홈들(302, 312)의 형태는 클립(200)과 합성 목재들(300, 31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지만, 반대로 합성 목재들(300, 310)에 대한 클립(200)의 결합력을 떨어뜨린다. 때문에 종래의 클립(200)은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합성 목재들(300, 310)을 단단히 결속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외부충격에 대한 합성 목재들(300, 310)의 파손방지 효과가 떨어진다.
종래의 클립(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목재들(300, 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3부분들(230)과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 사이에 적지 않은 틈새(S)가 형성된다. 때문에 보행자들이 합성 목재들(300, 310)의 가장자리(홈이 형성된 부분)를 강하게 밟거나 누르게 되면, 합성 목재들(300, 310)이 틈새(S)만큼 눌리면서 변형되거나 또는 파손된다.
셋째, 합성 목재들(300, 310) 간의 연결 부위로 이물질이 침입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클립(200)으로 2개의 합성 목재들(300, 310)을 연결하면, 2개의 합성 목재들(300, 310) 사이에 클립(200)의 제2부분(220)의 두께만큼 틈새가 발생한다. 이러한 틈새는 각종 이물질과 쓰레기들이 쌓이는 공간으로 이용되므로, 친환경을 위해 설치된 합성 목재들(300, 310)의 미관을 해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틈새에 고인 물은 합성 목재들(300, 310)의 표면을 더욱더 미끄럽게 만드므로, 보행자의 보행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웃한 합성 목재를 단단히 고정 및 연결함과 동시에 합성 목재의 가장자리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홈이 형성된 2개의 합성 목재를 연결 및 결합하는 클립으로서, 바닥면에 밀착되고 합성 목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기초부분;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기둥부분; 및 상기 기둥부분의 끝 부분 또는 상기 기둥부분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합성 목재의 홈에 끼워지는 날개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합성 목재의 홈에 단단히 끼워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분에는 합성 목재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덮개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분의 상부 표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거칠게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부분의 표면은 상기 날개부분이 합성 목재의 홈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합성 목재의 홈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단단히 끼워져 단단히 고정되므로, 이웃한 2개의 합성 목재를 단단히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합성 목재의 가장자리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므로, 합성 목재의 가장자리가 잦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합성 목재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 구간을 제공하므로, 합성 목재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이 빗물이나 물기로 인해 미끄러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날개부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날개부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합성 목재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의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을 이용한 합성 목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실시형태)
본 고안의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분(10), 기둥부분(20), 및 한 쌍의 날개부분(30)으로 이루어진다.
기초부분(10)은 클립(100)을 바닥 또는 벽면에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기초부분(10)은 바닥 또는 벽면과 쉽게 밀착할 수 있도록 대체로 수평방향(도 3 기준 방향임)으로 평형하고 넓게 퍼진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기초부분(10)은 바닥 또는 벽면과 단단히 결합하기 위해 볼트 또는 나사용 구멍(14)을 가진다. 한편, 구멍(14)에 끼워진 볼트 또는 나사의 머리는 기초부분(10) 위쪽에 위치되는 합성 목재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기초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정확하게는 구멍(14)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들 보다 오목하게 형성된다(이 부분을 도 4에서 12로 표시하였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초부분(10)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합성 목재가 설치되는 위치와 장소에 따라 기초부분(10)이 ∧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경우).
기둥부분(20)은 기초부분(10)으로부터 기초부분(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기둥부분(20)은 날개부분(30)을 지지하는 구실과 이웃한 합성 목재의 경계면을 이루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기둥부분(20)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웃한 합성 목재들 사이에 큰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얇은 것이 좋다.
날개부분(30)은 기둥부분(20)의 측면 또는 최상단에서 기초부분(20)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날개부분(30)은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에 끼워져, 이웃한 합성 목재들(300, 310)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하고 이들 합성 목재들(300, 310)을 연결하는 구실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날개부분(30)은 제1연장부(32), 제2연장부(34), 제3연장부(36)로 이루어진다. 제1연장부(32)는 기둥부분(20)으로부터 기초부분(10)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연장부(34)는 제1연장부(32)의 끝에서 위쪽(도 3 기준 방향임)으로 기둥부분(20)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연장부(36)는 제2연장부(34)의 끝에서 기둥부분(20)을 향해 기초부분(10)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날개부분(30)은 대체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에 억제 끼움 방식으로 끼워진다. 그러나 본 고안의 날개부분(30)은, 제2연장부(34)가 억제 끼움 시 기둥부분(20)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제1연장부(32)와 제3연장부(36)가 홈들(302, 312)의 내부벽면과 지속적으로 면 접촉할 수 있으므로, 합성 목재들(300, 310)과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클립(100)을 통한 합성 목재들(300, 310) 간의 결속력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에 전달되는 충격과 하중을 날개부분(30)을 통해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참고로, 날개부분(30)의 표면에는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클립(100)의 사용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고안의 클립(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2개의 합성 목재(300, 310)를 연결한다. 기초부분(10)은 합성 목재들(300, 310)의 밑면 일부분을 감싸고, 날개부분(30)은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들(302, 312)에 끼워져 합성 목재들(300, 3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기초부분(10)은 볼트 또는 나사(50)에 의해 바닥 또는 벽면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웃한 합성 목재들(300, 310) 역시 클립(100)에 의해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클립(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날개부분(30)을 통해 합성 목재들(300, 310)과 단단히 결합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충격과 하중에 약한 홈들(302, 312)을 지탱하는 구실을 하므로, 합성 목재들(300, 310)의 견고한 설치를 가능케 하고 합성 목재들(300, 310)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100)은 덮개부분(40)을 더 구비한 점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제2실시형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립(100)은 기둥부분(20)이 제1실시형태의 클립보다 더 높게 연장되고 이 기둥부분(20)에 하나의 날개부분(30)과 하나의 덮개부분(40)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기둥부분(20)은 합성 목재(300, 310)의 두께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기둥부분(20)의 일 측면에서는 날개부분(30)이 기초부분(10)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기둥부분(20)의 다른 측면의 최상단에서는 덮개부분(40)이 기초부분(10)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인 덮개부분(40)은 기둥부분(20)의 최상단에서 기초부분(10)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합성 목재(300, 310)의 상부(특히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구실을 한다. 아울러 덮개부분(40)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판(42)과 합성 목재(300, 310)와의 단단한 결속을 위한 톱니(44)를 갖는다. 고무판(42)은 덮개부분(40)의 상부표면에 설치되어 빗물로 인해 미끄러운 합성 목재(300)의 표면을 밟고 지나는 보행자들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구실을 한다. 그리고 톱니(44)는 덮개부분(4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합성 목재(300)의 상부 표면을 강력하게 집는 구실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날개부분(30)이 없이도 합성 목재(300)와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는 날개부분(30)과 덮개부분(40)을 통해 이웃한 합성 목재들(300, 310)을 단단히 결속시키므로, 다수의 합성 목재들(300, 310)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매우 편리하며, 합성 목재들(300, 310)의 일부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42)을 제공하므로, 합성 목재들로 이루어진 바닥을 보행하는 보행자들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은 날개 부분(30) 중 제2연장부(34)가 제1연장부(32)로부터 제3연장부(36)를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를 갖는 제2연장부(34)는 날개부분(30)이 합성 목재들(300, 310)의 홈(302, 312)에 삽입될 때, 더욱 용이한 삽입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10 기초부분 12 오목부
14 구멍 20 기둥부분
30 날개부분 32 제1연장부
34 제2연장부 36 제3연장부
40 덮개부분 42 고무판
44 톱니
300, 310 합성 목재 302, 312 (끼움) 홈
10 기초부분 12 오목부
14 구멍 20 기둥부분
30 날개부분 32 제1연장부
34 제2연장부 36 제3연장부
40 덮개부분 42 고무판
44 톱니
300, 310 합성 목재 302, 312 (끼움) 홈
Claims (4)
-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홈이 형성된 2개의 합성 목재를 연결 및 결합하는 클립으로서,
바닥면에 밀착되고 합성 목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기초부분;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기둥부분; 및
상기 기둥부분의 끝 부분 또는 상기 기둥부분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합성 목재의 홈에 끼워지는 날개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합성 목재의 홈에 단단히 끼워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분에는 합성 목재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덮개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분의 상부 표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거칠게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분의 표면은 상기 날개부분이 합성 목재의 홈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744U KR20120002924U (ko) | 2010-10-20 | 2010-10-20 |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744U KR20120002924U (ko) | 2010-10-20 | 2010-10-20 |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924U true KR20120002924U (ko) | 2012-04-30 |
Family
ID=4660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0744U KR20120002924U (ko) | 2010-10-20 | 2010-10-20 |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2924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4560A (ko) * | 2018-07-04 | 2020-01-14 | 동양기업(주) |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및 시공공법 |
-
2010
- 2010-10-20 KR KR2020100010744U patent/KR2012000292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4560A (ko) * | 2018-07-04 | 2020-01-14 | 동양기업(주) |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및 시공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0293B1 (ko) |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 |
KR101557419B1 (ko) | 단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구비한 데크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데크 설치구조 | |
KR102460462B1 (ko) | 충격 흡수용 알루미늄데크 | |
KR200444020Y1 (ko) | 목재데크의 변형방지를 위한 연결조이너 | |
KR101176363B1 (ko) | 데크 체결용 연결구 | |
KR102256356B1 (ko) | 데크조립체 | |
KR101794532B1 (ko) | 목재 데크용 시공 부재 | |
KR101352280B1 (ko) |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 |
KR102465315B1 (ko) |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US8966858B2 (en) | Floor profile arrangement | |
KR101947077B1 (ko) | 기능성 데크 시스템 | |
KR101054956B1 (ko) | 조립형 방음패널 | |
KR101191025B1 (ko) | 바닥재를 위한 에징 레일 | |
KR20120002924U (ko) | 합성 목재 연결용 클립 | |
CN210563064U (zh) | 一种预制楼梯 | |
KR20180002100U (ko) | 데크 고정구조 | |
KR102649557B1 (ko) | 용이한 데크의 결합과 고정력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 |
KR102294527B1 (ko) |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 |
KR20160104515A (ko) | 조립식 바닥재 | |
WO2014088391A1 (en) | Interlocking joint for wooden multilayer laminated panel board | |
KR20140056430A (ko) | 조립식 계단 | |
KR101037657B1 (ko) |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 |
KR101015760B1 (ko) | 목재 바닥판의 설치를 위한 일체식 복합소재 장선 | |
JP3195936U (ja) | 階段板 | |
CN212053606U (zh) | 一种木地板伸缩缝收边金属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