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029B1 -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029B1
KR102217029B1 KR1020200116692A KR20200116692A KR102217029B1 KR 102217029 B1 KR102217029 B1 KR 102217029B1 KR 1020200116692 A KR1020200116692 A KR 1020200116692A KR 20200116692 A KR20200116692 A KR 20200116692A KR 102217029 B1 KR102217029 B1 KR 10221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ixing
main body
rib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20011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29B1/ko
Priority to KR1020210018915A priority patent/KR102359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025/003Accessories not covered by groups A45B25/24 - A45B25/3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너부, 상기 봉부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윗살, 상기 윗살과 연결되며 상기 윗살을 덮도록 구비되는 원단부, 상기 러너부 및 상기 윗살에 연결되어 상기 러너부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윗살이 펼쳐지거나 모아지도록 구비되는 받침살 및 상기 윗살은 방사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부분의 전단 부분인 제1 윗살 및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부분의 후단 부분인 제2 윗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Umbrella rib Fixing Apparatus and Umbrella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특수한 지역을 제외하고는 비가 오지 않는 지역을 찾아보기 어렵다. 비가 내리는 현상은 인류에게 필수적인 현상이지만, 현대인들에게는 비가 내릴 때 생활의 불편함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이에 옷이나 신체가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산 또는 우비 등 비를 막아줄 수 있는 여러 도구들이 개발 및 생산되어 왔다.
우비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자가 이동할 때 소음이 발생하며 우비 내로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우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있어야 하므로 손이 자유롭지 못하고, 바람에 의해 비를 온전히 피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지만, 사용상태에서 미사용상태로 변경이 용이하고, 신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내리는 비를 막아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강풍이 불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우산살이 파손되거나 원단부가 찢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우산의 경우 휴대성과 방수성이 모두 요구되는 물품인데, 우산이 완전히 망가지지 않더라도 사용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작은 파손에도 우산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불필요하게 비용을 지불해 우산을 사야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우산을 사용하던 중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우산살이 파손된 경우에도 우산살을 곧게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이 간단한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파손 부위가 어느 부위인지 관계없이 우산살을 유지시켜 우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너부, 상기 봉부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윗살, 상기 윗살과 연결되며 상기 윗살을 덮도록 구비되는 원단부, 상기 러너부 및 상기 윗살에 연결되어 상기 러너부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윗살이 펼쳐지거나 모아지도록 구비되는 받침살 및 상기 윗살은 방사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부분의 전단 부분인 제1 윗살 및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부분의 후단 부분인 제2 윗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윗살과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일부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한다.
또한, 우산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우산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우산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우산살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일부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우산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우산을 사용하던 중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우산살이 파손된 경우에도 우산살을 곧게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나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손 부위가 어느 부위인지 관계없이 우산살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우산과 원단 고정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연결부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100)은 손잡이부(1), 봉부재(2), 러너부(21), 우산살(22) 및 원단 고정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는 원통형, 사각기둥형, 고리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의 재질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는 나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단일한 재질로만 구비될 필요는 없다.
손잡이부(1)에는 버튼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11)는 후술하는 걸림부(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는 러너부(21)가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러너부(21)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버튼부(11)가 눌러지면 걸림부(12)는 봉부재(2)에 삽입되어 러너부(21)가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봉부재(2)는 손잡이부(1)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부재일 수 있다. 봉부재(2)는 사용자가 쉽게 우산을 휴대할 수 있도록 속이 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부재(2)는 바람에도 쉽게 휘지 않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부재(2)에는 러너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러너부(21)는 봉부재(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러너부(21)는 봉부재(2)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봉부재(2)는 다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술한 형태로 단일한 단으로 구비될 수도 잇다. 단수가 많아질수록 우산(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봉부재(2)의 단부에는 캡부(23)가 구비되어 러너부(21)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우산이 펼쳐지거나 모아질 수 있다.
러너부(21)는 봉부재(2) 상에서 손잡이부(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우산살(22)은 봉부재(2)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원단부(3)가 펼쳐져 사용자가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우산살(22)은 봉부재(2)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구비되는 윗살(221) 및 윗살(221)과 및 러너부(21)에 연결되는 받침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윗살(22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살(222)도 윗살(22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받침살(222)은 윗살(221) 및 러너부(21)에 연결된다. 받침살(222)은 러너부(21)가 슬라이딩되면 윗살(221)들이 펼쳐질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우산살(22)도 바람에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부(3)는 사용자가 비를 맞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원단부(3)는 물에 젖지 않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부(3)는 윗살(221)의 단부에 묶이는 등의 방법으로 윗살(221)에 연결될 수 있다. 원단부(3)는 윗살(221)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원단부(3)에 우산살(22)에 의해 펼쳐져 차지하는 면적만큼 원단부(3)가 비를 막아줄 수 있다.
윗살(221)에는 팁(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원단부(3)와 윗살(221)을 이어주는 것을 보조하고 윗살(221)의 끝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다른 사람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산(100)은 캡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23)는 봉부재(2)의 단부를 마감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 외의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우산(100)과 원단 고정부(4)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단 고정부(4)는 결합부(40) 및 집게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 고정부(4)는 원단부(3)와 윗살(221)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윗살(2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원단부(3)를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 고정부(4)는 우산살(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는 중공된 형태로 구비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0)의 중공된 부분은 우산살(22)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구비되어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합부(40)에는 집게부(41)가 결합될 수 있다. 집게부(41)는 결합부(40)에 연결되는 제1 집게부(412) 및 제1 집게부(412)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2 집게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게부(41)는 원단부(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우산(100)의 경우 원단부(3)가 우산살(22)의 연장방향을 따라 팽팽하게 펼쳐져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원단부(3)와 우산살(22)의 연결이 끊긴 경우 바람에 휘날려 예기치 못하게 원단부(3)의 하측의 공간에 서있는 사용자에게 빗물이 튈 수도 있고, 미관상 좋지 못하다. 또한, 사용자가 비를 피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원단부(3)와 우산살(22)은 얇은 실이나 끈으로 연결되므로 원단부(3)와 우산살(22)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는 본래의 상태로 복구가 어렵고, 복구가 되더라도 내구력이 약해 다시 파손되기 쉽다.
또한, 우산(100)은 복수 개의 우산살(22)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우산살(22)만 고장이 나도 새로 우산(100)을 사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단 고정부(4)를 통해 원단부(3)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상술한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다시 집게부(41)에 대해서 설명하면, 결합부(40)와 연결되어 제1고정치(411a)가 형성되는 제1 집게부(412) 및 제1 집게부(412)와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제2고정치(412a)로 하여 원단부(3)를 고정하는 제2 집게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게부(412) 및 제2 집게부(411)가 원단부(3)를 고정시켜 원단부(3)가 다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집게부(412)의 상면 상에 한 쌍의 힌지축(도면부호 미부여)과 같이 제1고정치(411a)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가로방향을 사이에 두고 제1고정치(411a)가 세로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 치합되도록 제 2 집게부(411)의 제2고정치(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집게부(41)는 집게 고정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 고정부(42)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게 고정부(42)는 제2 집게부(411)를 향해 회전되면 제2 집게부(411)가 제1 집게부(412)측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집게 고정부(42)가 제2 집게부(411)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같이 제2 집게부(411)을 회전시켜서 제1 집게부(412) 와 서로 멀어져 원단부(3)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집게 고정부(42)의 상면으로는 미관이나 재미를 위하여 캐릭터 등이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되거나, 캐릭터 형상이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 형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은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윗살(221)은 방사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받침살(222)은 윗살(221)에 결합된다. 윗살(221)은 방사방향 기준으로 받침살(222)이 연결된 부분의 전단 부분인 제1 윗살(2211) 및 받침살(222)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후단 부분인 제2 윗살(22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우산살(22)이 부러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우산살(22) 중 일부만 부러지더라도 우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일부만 부러지더라도 우산을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경제적 낭비가 수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100)은 제1 윗살(2211)과 제2 윗살(2212)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4)는 본체부(241) 및 커버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41)는 제1 윗살(2211)과 제2 윗살(2212)이 곧게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본체부(241)는 우산살(22)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241)는 우산살(22), 구체적으로 제1 윗살(2211)과 제2 윗살(2212)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241)의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우산살(22)이 수용되어야 하므로 우산살(22)의 너비보다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41)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241)는 제1 윗살(221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윗살(22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241)는 우산살(22)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부(2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41)는 제1 고정부(2411)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2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411)는 우산살(22), 구체적으로 제1 윗살(2211) 및 제2 윗살(2212)이 곧게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고정부(2411)는 제1 윗살(2211) 및 제2 윗살(2212)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411)의 양단에는 제1 연결부(24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412)는 제1 고정부(2411)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연결부(2412)는 제1 고정부(2411)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412)는 제1 고정부(2411)와 함께 제1 윗살(2211) 및 제2 윗살(2212)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412)는 말단이 고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커버부(242)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412)는 제1 고정부(2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우산살(22)의 어느 부분이 망가진 경우에도 곧바로 연장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242)는 본체부(241)에 연결되어 우산살(22), 구체적으로 제1 윗살(2211)과 제2 윗살(221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242)는 제2 고정부(2421) 및 제2 연결부(2422)를 포함할 수있다.
제2 고정부(2421)는 제1 고정부(2411)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2421)는 본체부(241)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일부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421)는 제1 고정부(2411)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2421)가 제1 고정부(2411)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는 경우 커버부(24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242)는 본체부(241)에 수용되는 우산살(2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커버부(242)는 반드시 본체부(241)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필요는 없다.
제2 연결부(2422)는 제2 고정부(2421)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422)는 제1 연결부(2412)와 연결되도록 제1 연결부(2412)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422)는 제1 연결부(2412)의 외측에서 본체부(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부(241)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자유로워 우산살(22)의 파손지점에 따라 자유롭게 커버부(2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우산살(22)이 우산살 고정장치(연결부재)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연결부(2422)는 제1 연결부(2412)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연결부(2422)의 말단은 제1 연결부(2412)와 마찬가지로 고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연결부(2422)의 말단은 제1 연결부(2412)의 말단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연결부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4)가 우산살(22)을 곧게 연장하는 방식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제1 윗살(2211)의 경우 받침살(222)에 의해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이탈되기 쉽지 않다. 또한 이탈되더라도 받침살(22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본래의 위치로 쉽게 회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윗살(2212)은 파손되는 경우 제1 윗살(2211)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부재(24) 중 본체부(241)에 제1 윗살(2211) 및 제2 윗살(2212) 중 하나를 먼저 삽입하고, 나머지 하나를 본체부(241)에 삽입함으로써 우산살(22)이 곧게 연장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우산살(22)이 모두 본체부(241)에 끼워진 경우 커버부(242)를 결합하여 우산살(2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우산
1: 손잡이부
11: 버튼부
12: 걸림부
2: 봉부재
21: 러너부
22: 우산살
221: 윗살
2211: 제1 윗살
2212: 제2 윗살
222: 받침살
23: 캡부
24: 연결부재
241: 본체부
242: 커버부
2411: 제1 고정부
2412: 제1 연결부
2421: 제2 고정부
2422: 제2 연결부
3: 원단부
4: 원단 고정부
40: 결합부
41: 집게부
411: 제1 집게부
412: 제2 집게부
42: 집게 고정부

Claims (5)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너부;
    상기 봉부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윗살;
    상기 윗살과 연결되며 상기 윗살을 덮도록 구비되는 원단부;
    상기 러너부 및 상기 윗살에 연결되어 상기 러너부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윗살이 펼쳐지거나 모아지도록 구비되는 받침살; 및
    상기 윗살은 방사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부분의 전단 부분인 제1 윗살 및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부분의 후단 부분인 제2 윗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윗살과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윗살 및 상기 제2 윗살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태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일부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으로 삽입되거나, 상방에서부터 압착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우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우산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우산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우산살이 곧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우산살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태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일부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으로 삽입되거나, 상방에서부터 압착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우산살 고정장치.
KR1020200116692A 2020-09-11 2020-09-11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10221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92A KR102217029B1 (ko) 2020-09-11 2020-09-11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1020210018915A KR102359981B1 (ko) 2020-09-11 2021-02-10 우산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92A KR102217029B1 (ko) 2020-09-11 2020-09-11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915A Division KR102359981B1 (ko) 2020-09-11 2021-02-10 우산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029B1 true KR102217029B1 (ko) 2021-02-18

Family

ID=746886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92A KR102217029B1 (ko) 2020-09-11 2020-09-11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1020210018915A KR102359981B1 (ko) 2020-09-11 2021-02-10 우산살 고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915A KR102359981B1 (ko) 2020-09-11 2021-02-10 우산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70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50U (ko) * 1998-05-18 1999-12-27 김순곤 살대를 간이 교환하는 우산
JP3154724U (ja) * 2009-08-10 2009-10-22 政泰洋傘有限公司 生布が着脱自在なエコ傘
KR20170041000A (ko) * 2015-10-06 2017-04-14 윤용수 조립형 철근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608U (ko) * 1997-10-10 1998-03-30 석정애 전선보호몰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50U (ko) * 1998-05-18 1999-12-27 김순곤 살대를 간이 교환하는 우산
JP3154724U (ja) * 2009-08-10 2009-10-22 政泰洋傘有限公司 生布が着脱自在なエコ傘
KR20170041000A (ko) * 2015-10-06 2017-04-14 윤용수 조립형 철근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981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144B2 (en) Protective cover for umbrellas and umbrella with the protective cover fixed thereto
MXPA06012418A (es) Mexanismo electrico de sombrilla y telamen.
US5615698A (en) Umbrella folding and unfolding device
KR102217029B1 (ko) 우산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US20080149152A1 (en) Umbrella having uneven cover or canopy
US5255696A (en) Walker release button
KR102226269B1 (ko) 원단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WO2021015956A1 (en) Handle extension for stroller
KR200448498Y1 (ko) 우산
US20060207639A1 (en) Umbrella frame having secure main branch rib
CA3154950C (en) Umbrella case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US20160120278A1 (en) Deformable handle-case for umbrella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JP2003102527A (ja) 傘用保護カバー及び該保護カバーを取着してなる雨傘
KR200210347Y1 (ko) 우산 살대고정구에 부착되는 피부 보호 안전장치
JP3227678U (ja) ハンドカバー
JP3093948U (ja) ペット用傘
KR20220124836A (ko) 우산 형상 구조체
US7484516B1 (en) Oval umbrella system
US6095170A (en) Automatically spreading and collapsing umbrella
JP2003024116A (ja) 雨 傘
KR200205054Y1 (ko) 머리에 쓰는 우산
KR20160002728U (ko) 우산
US20070283989A1 (en) Safe umbrella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