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685B1 -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685B1
KR102216685B1 KR1020200100540A KR20200100540A KR102216685B1 KR 102216685 B1 KR102216685 B1 KR 102216685B1 KR 1020200100540 A KR1020200100540 A KR 1020200100540A KR 20200100540 A KR20200100540 A KR 20200100540A KR 102216685 B1 KR102216685 B1 KR 10221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ustomer
hospital
information
cli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은환
박지헌
진태성
장원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먼트
Priority to KR102020010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685B1/ko
Priority to PCT/KR2021/004987 priority patent/WO2022035018A1/ko
Priority to CN202110603670.2A priority patent/CN11322368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병원진료에 필요한 예약, 접수, 상담, 수납을 처리하고, 진료기록 및 처방전 발행을 요청하여 제공받는 고객단말; 및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진료정보, 처방전을 기록하고, 입고 및 출고된 진료약품, 병원물품의 세부내역을 기록하는 병원단말; 상기 고객단말에서 요청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진료약품 및 상기 병원물품에 대한 재고현황, 병원 근로자의 근로현황관리, 교육관리 및 기존 고객의 처방기록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The Clinic Manager service platform and the system that provides it}
본 발명은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 숫자가 많아지고 병원들간의 경쟁이 높아짐에 따라, 각 병원은 환자를 확보하고 기존의 환자 고객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체계화된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도입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병원에서의 CRM이란 기존 환자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통합하여 이들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환자에 대한 서비스를 증진시키고 우수 환자 고객을 유지하여 평생고객화함과 아울러, 잠재 환자고객 기반을 확충하고 신규 환자 고객을 유치함으로써, 환자 고객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유인하기 위한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병원 CRM은 예컨대 녹내장이나 당뇨병과 같이 발병 원인 중 하나로 가족력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질병을 치료하는 병원에서 도입 필요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응급처치보다는 지속적인 치료나 관리를 위해 환자가 내원하게 되거나, 미용이나 건강관리 등 웰빙 목적의 환자 비중이 높은 진료과, 예컨대 안과, 성형외과, 피부과, 가정의학과 등에서 CRM의 도입 필요성은 매우 높다. 위와 비슷한 이유에서, 치과나 한의원에서도 CRM은 절실히 요구된다.
병원에서 CRM 시스템을 구축해서 기존 환자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케팅 타겟 즉, 잠재 고객을 발굴하여 상담원을 통해 내원을 권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담자는 기존 환자의 진료 이력을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한편, 기존 환자 또는 신규 환자가 CRM 시스템을 통해 상담을 받은 후에 내원한 경우,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 의사 또는 간호사는 CRM 상담정보를 진료 시작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즉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병원 CRM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존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과 CRM을 통한 상담정보가 전자화되어야만 하고, 전자의무기록과 CRM 상담정보가 연동되어 있어서, CRM 상담자가 기존 환자의 의무기록을 접근할 수 있고 의료진이 진료 과정에서 기존의 CRM 상담정보를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17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병원진료에 필요한 예약, 접수, 상담, 수납을 처리하고, 진료기록 및 처방전 발행을 요청하여 제공받는 고객단말;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진료정보, 처방전을 기록하고, 입고 및 출고된 진료약품, 병원물품의 세부내역을 기록하는 병원단말; 및 상기 고객단말에서 요청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진료약품 및 상기 병원물품에 대한 재고현황, 병원 근로자의 근로현황관리, 교육관리 및 기존 고객의 처방기록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병원단말로 병원근로자 및 의료진의 전자근로계약서, 휴무, 직책/직무변경, 급여내역을 관리하고, 병원근로자 및 의료진이 설정한 근로스케줄표와 근무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근무태만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방문자 및 미방문 예약자의 고객단말로 진료 지연시에 지연 대기환자 및 지연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지연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고객별로 진료상황을 촬영한 진료촬영영상을 진료차트에 저장관리하고, 해당 고객단말로부터 해당 진료촬영영상의 다운이 요청될 경우, 해당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전자서명을 통한 실명확인 후, 상기 진료촬영영상의 다운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챗봇 메신저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상담요청을 수신하면, 상담내용 내의 질의어 및 질의어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와 매칭되는 기 설정된 복수의 시나리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시술 또는 진료 예약한 고객단말로 시술 또는 진료에 필요한 진료물품 중 선택물품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한 선택물품을 적용시의 시술 또는 진료의 절차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진료 및 시술 후의 만족도 및 불만도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진료안내, 진료내역, 처방전, 진료의 절차 및 소요시간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고객의 국적언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고객의 동의 후, 고객의 진료기록을 기초로 맞춤형 진료상품정보를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진료 및 상품판매에 따른 매출을 시술별, 기간별, 시간대별, 고객별로 분류하여 추출하여 병원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진료에 따른 매출은 급여 진료비와 비급여 진료비 항목을 포함하는 매출 통계 파일을 통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결제 내역을 검증하고, 결제 내역 검증 결과에 따라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총 진료비 내역이 급여 진료 총액과 비급여 진료 총액의 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표 및 그래프로 도식화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고객의 진료상담, 진료내역, 처방전 발행, 진찰료 수납 등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한 화면에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예약취소/미방문/대기지연이 발생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제공함으로서, 병원 방문한 고객 또는 방문 예정인 고객에게 병원업무에 따른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 및 시술별로 상담/시술 담당 명단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시술 완료시에 시술대상자의 만족/불만족도를 수집한 후,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특정이력을 집중관리할 수 있고, 또한, 고객의 누적 진료/시술이력을 기초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여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병원 측의 경우, 시술 원재료를 종류 및 특성 등에 따라 구분하여 입고/출고/층간이동/지점 간 이동등을 한눈에 파악함으로써, 병원물품 및 약품에 대한 통합적인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료차트 상에서 처방전을 관리할 수 있고, 처방전 종류에 따라 선택 가능하고, 직인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고, 처방전 발행 내역 등 확인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이점 및 개인정보와 시술에 대한 동의서(시술 종류에 따라 동의서 내용 차이)를 진료차트 내에서 작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카메라를 연동하여 시술 전/후 이미지 정보를 플랫폼 내에 기록할 수 있고, 고객의 연락처와 고객정보를 연동시켜 고객상담 시 해당 고객정보(챠트번호, 이름, 최근받은 시술정보 등)가 자동으로 플랫폼에 표시되도록 함에 따라 관리자의 고객응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병원 내 직원들 간의 메신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응대 및 원내 인력 활용 등을 보다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예약 및 매출에 대하여 시술별, 기간별, 시간대별, 고객별 데이터를 수집한 통계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GUI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예약 및 매출 통계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예약/주의사항/안내사항 등 고객 상황 및 국적별 맞춤형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 예약 신청/마감, 대기 양해, 예약변경 안내, 처방전 발행 알림, 온라인 신청 확인 등 상황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리닉 매니저 통합운영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29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 내지 도 10은 병원운영설정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11 내지 도 17은 고객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18 내지 도 21은 시술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재고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25 내지 도 26은 매출통계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27 내지 도 29는 인사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다.
도 3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리닉 매니저 통합운영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29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 내지 도 10은 병원운영설정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11 내지 도 17은 고객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18 내지 도 21은 시술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재고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25 내지 도 26은 매출통계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고, 도 27 내지 도 29는 인사관리 인터페이스의 실행화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고객단말(200), 병원단말(300) 및 클리닉 매니저 통합운영관리서버(400)를 포함함다.
상기 고객단말(200) 및 상기 병원단말(300)은 클리닉 매니저 통합운영관리서버(400)와 네트워크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할 것이다.
먼저, 고객단말(200)은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고객의 맞춤형 시술종류, 상품(이벤트)정보, 진료 대기자 현황, 진료/시술내역, 진료/시술절차 및 취소 등에 대한 안내메시지 등을 요청 및 제공받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즉, 진료/시술 전과정(예약-접수-상담-수납-진료)과 관련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200)은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의 챗봇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병원단말의 병원관계자와 진료/시술상담을 채팅으로 안내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고객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고객단말(200) 및 병원단말(300)에 설치되는 플랫폼으로, 병원운영정보, 고객관리정보, 시술관리정보, 재고관리정보, 실적통계관리정보 및 인사관리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플랫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26을 참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병원운영설정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 상기 병원운영설정 인터페이스는 장소별 의료기계, 침대, 단말 및 직원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예약가능 날짜/시간 설정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고객 환불/외국인 세금/미수금/외상관리 등 비용처리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처방전 설정(성분, 용법, 보험, 사용기간 등)/약품 등록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고객 및 의료진, 시술기계 대기 등 병원 내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현황을 실시간 체크 및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 시술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술관리 인터페이스는 개별시술의 가격/시술 주기/주의사항/성분/용량 등을 설정하는 기능, 체계적 관리를 위해 개별시술을 대분류로 카테고리화하여 표시하는 기능, 등록되는 최소시술 단위를 원재료, 사용기계, 횟수, 용량 등에 따라 체계화하여 표시 및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도 25 및 도 26을 참조, 매출통계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매출통계관리 인터페이스는 진료 및 상품판매에 따른 매출을 시술별, 기간별, 시간대별, 고객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매출통계관리 인터페이스는 진료에 따른 매출에 대해 급여 진료비와 비급여 진료비 항목을 포함하는 매출 통계 파일을 통계 분석한 분석 결과 및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검증된 결제 내역 및 결제 내역 검증 결과의 오류 발생 유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총 진료비 내역이 급여 진료 총액과 비급여 진료 총액의 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도표 및 그래프로 도식화하여 표시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 고객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고객관리 인터페이스는 예약-접수-수납-시술완료를 한 화면에서 원스톱 처리하여 표시하는 기능, 관리고객에 대한 고객정보(예컨대, 고객이력, 특이사항 등)을 표시하는 기능 및 해피콜, 만족/불만족을 수집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주의사항 및 설문 조사 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 재고 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재고관리 인터페이스는 시술 원재료 및 약품을 용량, 가격 등에 따라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 재고운영을 위해 사용자의 재고 출/반입을 체크하는 기능, 장소별 재고 입출고, 장소 이동(층, 지역) 현황을 체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은 도 27 내지 도 29 참조, 인사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인사관리 인터페이스는 직원이 해피콜 결과를 점수화한 결과를 등급화하여 표시하는 기능, 직원의 휴무 및 근무현황을 표시하는 기능, 직원별 매출현황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400)는 병원의 진료상황, 진료예약, 고객상담, 진료차트 관리, 고객관리, 병원 근로자의 교육관리, 근로/인사관리 등을 포함하는 병원업무를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샤인챠트)을 통해 관리 및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400)는 클리닉 운영부(410), 근로 관리부(420), 마케팅 관리부(430), 교육관리부(440), 상담관리부(450), 재고관리부(460), 발행부(470), 커뮤니티부(480)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부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닉 운영부(410)는 방문자 및 미방문 예약자의 고객단말로(200) 진료 지연시에 지연 대기환자 및 지연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지연 안내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클리닉 운영부(410)는 고객별로 진료상황을 촬영한 진료촬영영상을 진료차트에 저장관리하고, 해당 고객단말로부터 해당 진료촬영영상의 다운이 요청될 경우, 해당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전자서명을 통한 실명확인 후, 상기 진료촬영영상의 다운을 허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닉 운영부(410)는 시술 또는 진료 예약한 고객단말로 시술 또는 진료에 필요한 진료물품 중 선택물품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한 선택물품을 적용시의 시술 또는 진료의 절차 및 대략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로부터 진료 및 시술 후의 만족도 및 불만도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진료안내, 진료내역, 처방전, 진료의 절차 및 대략소요시간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고객의 국적언어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근로관리부(420)는 병원 내의 근로자의 전자근로계약서, 연,월차 등의 휴무, 인사, 급여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근로관리부(420)는 병원단말로 병원근로자 및 의료진의 전자근로계약서, 휴무, 직책/직무변경, 급여내역을 관리하고, 병원근로자 및 의료진이 설정한 근로 스케줄표와 근무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근무태만도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다음으로, 마케팅 관리부(430)는 고객의 동의 후, 고객의 진료기록을 기초로 맞춤형 진료상품정보를 필터링하여 고객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마케팅 관리부(430)는 기 설정된 카테고리 범주를 갖는 상품설문지에 체크된 설문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진료 또는 시술과 관련된 맞춤형 진료상품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마케팅 관리부(430)는 진료 및 시술과 관련된 상품호응도를 SNS, 설문등을 통해 수집한 메타정보를 통해 진료 및 시술과 유사한 진료 및 시술을 받은 고객들의 상품호응도를 기초로 해당 고객에게 맞춤형 상품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마케팅 관리부(430)는 수집된 연관정보들 중 정보공개처(웹 주소 등, SNS ID 등등)가 불명확 또는 부정확한 정보를 자체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외부서버의 API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관리부(430)는 필터링되어 수집된 연관정보를 시술/진료 종류, 시술/진료 만족도, 구매욕구도, 검색량, 상품판매량, 시장노출 빈도수 등을 기초로 맞춤형 진료/시술 상품을 필터링한다.
상기 마케팅 관리부(430)는 상술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정보수집 구성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Array)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마케팅 관리부(430)는 유사 상품을 분류하기 위하여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관리부(430)는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분산저장소를 포함하고, 신규 종류의 상품생성 또는 기존의 상품이 소멸될 경우, 기존의 뉴럴 네트워크의 연계망의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케팅 관리부(430)는 분류된 연관정보들 간의 객체 종속성을 분석한다.
이때,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연관정보들 간의 객체 종속성을 분석한다.
[식 1]
Figure 112020084345910-pat00001
여기서, r은 두 변수 간의 종속성을 수치적으로 나타낸 인자, Xi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집된 구매욕구도, 검색빈도 수 중 어느 하나이고,
Figure 112020084345910-pat00002
는 평균 임계치이고, yi는 시술/진료 만족도이고,
Figure 112020084345910-pat00003
는 평균 임계치이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종속값(dependengy)은 제1 연관정보(구매욕구도, 검색빈도 수)와 제2 연관정보(기타 정보, 상품종류, 상품판매량, 시장노출 빈도수 등) 간의 연관성의 크기를 표시한다.
상기 마케팅 관리부(430)는 고객단말에서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된 분류정보를 추출한 후, 구매욕구도, 검색빈도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반비례하는 객체 종속성을 갖는 복수 개의 상품 또는 상품군 중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에 가장 적합한 상품 또는 상품군을 추천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집된 연관정보의 갱신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키워드에 가장 적합한 상품 또는 상품군을 예측하도록 학습한다.
한편, 상기 마케팅 관리부(43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ur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거래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빅데이터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ur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관리부(440)는 병원 관리자를 대상으로 고객상담, 고객응대, 시술 및 클리닉에 대한 절차교육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 및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테스트 결과는 인사평가에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담관리부(450)는 온/오프라인으로 상담을 요청한 고객의 시술/진료에 대한 상담문의를 기록하고, 상담문의에 대한 응대정보를 기록 관리한다.
상담관리부(450)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의 지능형 챗봇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지능형 챗봇에 입력된 고객의 시술/진료에 대한 상담문의 메시지 내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술어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반하여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 및 분석한다. 이때, 형태소 분석을 하기 이전에, 입력문장을 정규화하는 전처리를 시작(즉, 입력문장 정규화는 발화에 존재하는 띄어쓰기 오류 및 철자오류의 제거, 과도한 반복어구의 제거, 분해된 음소의 조합, 이모티콘의 인식과 같은 정규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다음 단계인 형태소 분석으로 이어지는 오류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함)한다.
여기서, 띄어쓰기 오류 교정을 하기 위하여 HMM(Hidden Markov Models)기반의 띄어쓰기 모형을 이용할 수 있고, 입력문장의 각 음절이 띄어쓰기 태그(1로 표시)와 붙여쓰기 태그(0으로 표시)를 가진다고 가정하며, 같은 음절/태그 확률을 최대로 하는 태그열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철자 오류 교정 기술도 적용할 수 있는데, 자소단위와 음절단위 규칙을 이용하여 규칙기반 오류 교정을 수행하고, 이는 사용자 입력 발화와 교정 발화로 구성된 학습 말뭉치에서 문자열 수정 규칙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용자 입력 발화에 대해 문자열을 수정하게 된다.
이렇게 전처리가 끝나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을 하게 되는데,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 기술은 어절 단위 분석 모형과 형태소 단위 분석 모형의 결합을 통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고객의 질의내용 및 질의어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와 가장 매칭 또는 유사도가 높은 기 설정된 복수의 질의 시나리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즉, 질의어가 일치하거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의 시나리오를 챗봇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대응하는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챗봇 데이터베이스는, 검색 기반 모델인 Retrieval-based 모델과,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인 Generative 모델에 기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재고관리부(460)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되며, 전사적 자원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시술 원재료를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입고/출고/층간이동/지점 간 이동 등을 산출한 산출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10)에 업데이트한다.
상기 재고관리부(460)는 병원단말을 통해 입력된 시술 원재료, 병원물품 등의 전산코드를 입력받고, 전산코드에 기록된 물품종류, 관리기간, 시술항목 등의 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하고, 소진된 시술 원재료 양을 파악하여 생산업체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재고관리부(460)는 소진된 물품에 대한 유효기간을 관리하기 위해, 현재 재고량이 남아 있는 소진물품 중 유효기간이 현재일로부터 한계시간 이내에 포함되는 소진물품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다음으로, 발행부(470)는 시술 및 진료를 기록한 진료정보(진료차트)에 기초하여 고객단말로 해당 시술 및 진료에 따른 처방내역이 포함된 처방전을 생성하여 발행한다.
또한, 발행부(470)는 개인정보와 시술에 대한 동의서를 진료차트 내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동의서는 시술 및 진료종류에 따라 선택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동의서에 대한 효력은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전자서명을 통해 발생된다.
또한, 발행부(470)는 번역지원 기능을 제공하며, 고객이 선택한 언어로 처방전 및 동의서를 발행한다.
다음으로, 커뮤니티부(480)는 병원 내의 의료진 및 병원근로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내원 고객(환자)의 만족도 및 의료경험을 향상시키며, 의료진에게는 업무 프로세스 정립과 정보화 환경 개선을 통한 업무수행의 효율성을 증대하며, 축적된 고객경험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병원운영 전략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고객의 진료상담, 진료내역, 처방전 발행, 진찰료 수납 등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한 화면에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예약취소/미방문/대기지연이 발생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제공함으로서, 병원 방문한 고객 또는 방문 예정인 고객에게 병원업무에 따른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 및 시술별로 상담/시술 담당 명단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시술 완료시에 시술대상자의 만족/불만족도를 수집한 후,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특정이력을 집중관리할 수 있고, 또한, 고객의 누적 진료/시술이력을 기초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여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병원 측의 경우, 시술 원재료를 종류 및 특성 등에 따라 구분하여 입고/출고/층간이동/지점 간 이동등을 한눈에 파악함으로써, 병원물품 및 약품에 대한 통합적인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료차트 상에서 처방전을 관리할 수 있고, 처방전 종류에 따라 선택 가능하고, 직인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고, 처방전 발행 내역 등 확인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이점 및 개인정보와 시술에 대한 동의서(시술 종류에 따라 동의서 내용 차이)를 진료차트 내에서 작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카메라를 연동하여 시술 전/후 이미지 정보를 플랫폼 내에 기록할 수 있고, 고객의 연락처와 고객정보를 연동시켜 고객상담 시 해당 고객정보(챠트번호, 이름, 최근받은 시술정보 등)가 자동으로 플랫폼에 표시되도록 함에 따라 관리자의 고객응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병원 내 직원들 간의 메신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응대 및 원내 인력 활용 등을 보다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예약 및 매출에 대하여 시술별, 기간별, 시간대별, 고객별 데이터를 수집한 통계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GUI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예약 및 매출 통계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예약/주의사항/안내사항 등 고객 상황 및 국적별 맞춤형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 예약 신청/마감, 대기 양해, 예약변경 안내, 처방전 발행 알림, 온라인 신청 확인 등 상황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200: 고객단말
300: 병원단말
400: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
410: 클리닉 운영부
420: 근로관리부
430: 마케팅관리부
440: 교육관리부
450: 상담관리부
460: 재고관리부
470: 발행부
480: 커뮤니티부

Claims (10)

  1.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병원진료에 필요한 예약, 접수, 상담, 수납을 처리하고, 진료기록 및 처방전 발행을 요청하여 제공받는 고객단말; 및
    상기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진료정보, 처방전을 기록하고, 입고 및 출고된 진료약품, 병원물품의 세부내역을 기록하는 병원단말; 및
    상기 고객단말에서 요청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진료약품 및 상기 병원물품에 대한 재고현황, 병원 근로자의 근로현황관리, 교육관리 및 기존 고객의 처방기록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병원단말로 병원근로자 및 의료진의 전자근로계약서, 휴무, 직책/직무변경, 급여내역을 관리하고, 병원근로자 및 의료진이 설정한 근로스케줄표와 근무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근무태만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방문자 및 미방문 예약자의 고객단말로 진료 지연시에 지연 대기환자 및 지연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지연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고객별로 진료상황을 촬영한 진료촬영영상을 진료차트에 저장관리하고, 해당 고객단말로부터 해당 진료촬영영상의 다운이 요청될 경우, 해당 고객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전자서명을 통한 실명확인 후, 상기 진료촬영영상의 다운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챗봇 메신저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상담요청을 수신하면, 상담내용 내의 질의어 및 질의어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와 매칭되는 기 설정된 복수의 시나리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시술 또는 진료 예약한 고객단말로 시술 또는 진료에 필요한 진료물품 중 선택물품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한 선택물품을 적용시의 시술 또는 진료의 절차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진료 및 시술 후의 만족도 및 불만도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진료안내, 진료내역, 처방전, 진료의 절차 및 소요시간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고객의 국적언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고객의 동의 후, 고객의 진료기록을 기초로 맞춤형 진료상품정보를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매니저 통합관리서버는
    진료 및 상품판매에 따른 매출을 시술별, 기간별, 시간대별, 고객별로 분류하여 추출하여 병원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진료에 따른 매출은 급여 진료비와 비급여 진료비 항목을 포함하는 매출 통계 파일을 통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결제 내역을 검증하고, 결제 내역 검증 결과에 따라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총 진료비 내역이 급여 진료 총액과 비급여 진료 총액의 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표 및 그래프로 도식화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00100540A 2020-08-11 2020-08-11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21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40A KR102216685B1 (ko) 2020-08-11 2020-08-11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PCT/KR2021/004987 WO2022035018A1 (ko) 2020-08-11 2021-04-21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CN202110603670.2A CN113223688B (zh) 2020-08-11 2021-05-31 门诊管理服务平台及提供其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40A KR102216685B1 (ko) 2020-08-11 2020-08-11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685B1 true KR102216685B1 (ko) 2021-02-17

Family

ID=7473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40A KR102216685B1 (ko) 2020-08-11 2020-08-11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16685B1 (ko)
CN (1) CN113223688B (ko)
WO (1) WO20220350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18A1 (ko) * 2020-08-11 2022-02-17 주식회사 메먼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503260B1 (ko) * 2022-03-31 2023-02-23 유대건 고객상담 및 사후관리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고객별 병원의 대응을 개선하는 병원고객관리시스템
KR102551123B1 (ko) * 2022-06-20 2023-07-05 주식회사 리치닥 사용자 맞춤형 병원 홈페이지 자동 생성 및 ai crm과 연동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07272A (zh) * 2023-05-17 2023-06-23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儿童医院 基于深度学习的儿科互联网+门诊爽约预测方法及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890A (ko) * 2000-07-10 2002-01-18 박인출 병원진료 관리시스템
JP2011043898A (ja) * 2009-08-19 2011-03-03 Toshiba Corp 医用情報表示装置
KR20130033176A (ko) 2011-09-26 2013-04-03 배희철 병원 고객관리를 위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127280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플래토 병원업무 관리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16317A (ko) *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제이디아이앤에스 중소 병원의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0934B1 (ko) * 2015-08-31 2016-03-09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4377A (ko) * 2014-11-06 2016-05-16 김웅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5582A (ko) * 2018-01-11 2019-07-19 강병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162A (ja) * 2001-02-15 2002-08-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医療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医療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50108052A1 (en) * 2003-11-03 2005-05-19 Omaboe Nortey J. Proces for diagnosic system and method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to a patient medical record and that combine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oftware in a revolutionary way to provide a unique-and uniquely powerful and easy-to-use-tool to manage veterinary or human medical clinics and hospitals
KR101333262B1 (ko) * 2013-03-19 2013-11-27 주식회사 아이펫브랜드 온라인 처방에 따른 동물 용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8074641A (zh) * 2016-11-09 2018-05-25 哈尔滨光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医疗服务的门诊预约挂号系统
CN106934244B (zh) * 2017-03-20 2019-08-09 龚昕 一种基于智能终端的医疗护理云平台
CN107292119A (zh) * 2017-08-03 2017-10-24 徐天昊 一种辅助医疗服务系统、方法及终端
KR20190135692A (ko) * 2018-05-29 2019-12-09 (주)성민네트웍스 의료 emr 데이터를 이용한 병원 crm 시스템
KR102217457B1 (ko) * 2018-10-31 2021-02-19 박해유 채팅로봇이 탑재되어 고객의 니즈에 따라 의료상담이 가능한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477306A (zh) * 2019-01-24 2020-07-31 上海杰航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医疗信息化服务系统
KR102216685B1 (ko) * 2020-08-11 2021-02-17 주식회사 메먼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890A (ko) * 2000-07-10 2002-01-18 박인출 병원진료 관리시스템
JP2011043898A (ja) * 2009-08-19 2011-03-03 Toshiba Corp 医用情報表示装置
KR20130033176A (ko) 2011-09-26 2013-04-03 배희철 병원 고객관리를 위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127280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플래토 병원업무 관리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16317A (ko) *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제이디아이앤에스 중소 병원의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4377A (ko) * 2014-11-06 2016-05-16 김웅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0934B1 (ko) * 2015-08-31 2016-03-09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5582A (ko) * 2018-01-11 2019-07-19 강병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18A1 (ko) * 2020-08-11 2022-02-17 주식회사 메먼트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503260B1 (ko) * 2022-03-31 2023-02-23 유대건 고객상담 및 사후관리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고객별 병원의 대응을 개선하는 병원고객관리시스템
KR102551123B1 (ko) * 2022-06-20 2023-07-05 주식회사 리치닥 사용자 맞춤형 병원 홈페이지 자동 생성 및 ai crm과 연동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23688A (zh) 2021-08-06
CN113223688B (zh) 2023-11-21
WO2022035018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685B1 (ko) 클리닉 매니저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11586613B2 (en) Managing data objects for graph-based data structures
US11562143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document processor
US11232365B2 (en) Digital assistant platform
Waitman et al. Expressing observations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 flowsheets in an i2b2 based clinical data repository to support research and quality improvement
US20100076786A1 (en) Computer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for Multiple Patients and Caregivers
US86667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mantically coding data providing authoritative terminology with semantic document map
Drewes et al. More than 20 years of research into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HIV and AIDS—a descriptive review of study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published empirical studies
Santos et al. A data mining system for providing analytical information on brain tumors to public health decision makers
US20200311610A1 (en) Rule-based feature engineering, model creation and hosting
Stichler Research, research-informed design, evidence-based design: What is the difference and does it matter?
Fong et al. Identifying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related safety event reports from patient safety event report databases
US20220114346A1 (en) Multi case-based reasoning by syntactic-semantic alignment and discourse analysis
US20220035998A1 (en) Obtaining supported decision trees from text for medical health applications
Peeples et al. Integration of a mobile-integrated therapy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s: lessons learned
US10586615B2 (en) Electronic health record quality enhancement
Shoaib et al. Simulation modeling and analysis of primary health center operations
Lamberti et al. The use of real-world evidence and data in clinical research and postapproval safety studies
JP2008537811A (ja) リスティング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Harst et al. An empirically sound telemedicine taxonomy–applying the CAFE methodology
Liu et al. Requirements engineering for health data analytics: Challenges and possible directions
Liu et al. DQueST: dynamic questionnaire for search of clinical trials
Erdogan et al. Multi-perspective process mining for emergency process
CA3118095C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document processor
Osamor et al. Tuberculosis–Diagnostic Expert System: An architecture for translating patients information from the web for use in tuberculosis diagn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