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481B1 -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 Google Patents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481B1
KR102216481B1 KR1020200079206A KR20200079206A KR102216481B1 KR 102216481 B1 KR102216481 B1 KR 102216481B1 KR 1020200079206 A KR1020200079206 A KR 1020200079206A KR 20200079206 A KR20200079206 A KR 20200079206A KR 102216481 B1 KR102216481 B1 KR 10221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unit
collection vessel
marin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원
김영식
서민국
김남우
김진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7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이나 해변에 버려진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거선 본체;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선 본체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에 설치되어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해양쓰레기를 상기 수거선 본체로 수거하는 수거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수거유닛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서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하는 포장유닛; 및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닛, 수거유닛, 이송유닛 및 포장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닛, 수거유닛, 이송유닛 및 포장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A Collection Vessel For Collecting Marine Debris Using An Extension Crane And A Coll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양쓰레기 수거선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수거가 어려운 부분에 연장크레인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안 환경은 공장 및 도시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는 연안 해저를 크게 오염시킴은 물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또한 연안 양식 어장이 증가하면서 그물, 각종 어구 등과 같은 많은 오물과 같은 퇴적물은 해양 오염을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므로 이들 오염원을 모두 제거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 되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연안 해저 정화를 목적으로 한 수거선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의 수거선의 경우 수거시스템이 해저 폐기물 또는 부유 폐기물의 유형에 따라 이들을 선별적으로 사용 수거하는 방식으로 되고 있어 작업성이 현저히 낮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선박 운항이 불가하여 전방위적이고 지속적인 수질보호라는 근본적인 취지에 부합하지 아니하였다.
특히, 서해와 남해의 얕은 수심에서는 전용장비 또는 수거시스템이 없이 기존의 바지에 크레인을 장착하는 형태로 수거를 수행하여 고비용, 고효율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51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거선을 고정하여 설정된 곳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기능이 구비된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되는 해양쓰레기의 이송이나 포장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해양이나 해변에 버려진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거선 본체;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선 본체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에 설치되어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해양쓰레기를 상기 수거선 본체로 수거하는 수거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수거유닛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서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하는 포장유닛; 및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닛, 수거유닛, 이송유닛 및 포장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닛, 수거유닛, 이송유닛 및 포장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거선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에 매입고정 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승강가이드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폴딩되는 다관절 암; 상기 다관절 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양쓰레기를 파지하여 수거하는 수거 집게; 및 상기 다관절 암과 상기 수거 집게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관절 암과 상기 수거 집게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거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상기 수거선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상부에 상기 수거유닛이 결합되는 연장크레인; 상기 연장크레인에 설치되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 본체로 이송되는 이송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유닛은,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크기나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로 절단된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모양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로 압축된 해양쓰레기를 결속하여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해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수거선 본체의 롤링이나 요동을 감쇄시키는 거동 보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 본체를 계류하여 해상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계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거선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으로 상기 수거선을 고정하는 수거선 고정단계; 상기 수거선 고정단계를 거친 후 상기 수거선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해양쓰레기를 상기 수거선으로 수거하는 수거유닛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해양쓰레기 수거단계;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단계를 거친 후 상기 수거선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유닛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으로 이송하는 해양쓰레기 이송단계; 및 상기 해양쓰레기 이송단계를 거친후 상기 수거선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하는 포장유닛으로 포장하는 해양쓰레기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거선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에 매입고정 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승강가이드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상기 수거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상부에 상기 수거유닛이 결하되는 연장크레인; 상기 연장크레인에 설치되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으로 이송되는 이송 바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수거선을 해양이나 하구에서 원하는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고, 또한 이송유닛의 연장크레인을 이용하여 외진 곳이나 외딴 곳에서도 비교적 수월하게 해양쓰레기의 수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선 본체에 이송유닛의 연장 크레인 및 이송 컨베이어와 포장유닛을 구비하여 수거되는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장소로 이송하거나 설정된 모양으로의 포장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이송유닛의 연장크레인을 펼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고정유닛의 승강가이드를 하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상기 수거선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수거선을 계류방식을 통해서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이송유닛의 연장크레인을 펼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고정유닛의 승강가이드를 하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5는 상기 수거선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수거선을 계류방식을 통해서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이나 해변에 버려진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서, 수거선 본체(100), 고정유닛(200), 수거유닛(300), 이송유닛(400), 포장유닛(500) 및 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선 본체(100)는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유닛(200)은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수거선 본체(10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200)은 승강가이드(210) 및 승강구동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210)는 수거선 본체(10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에 매입고정 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재(220)는 승강가이드(210)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210)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유닛(200)의 승강구동부재(220)는 유압모터인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유압을 제거하면 승강가이드(21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와 랙기어의 사이에 클러치를 구비하여 클러치의 연결을 해제하므로써, 기어드모터와 같은 다른 종류의 모터를 구동모터로 활용하고 필요에 따라 수거선 본체(10)가 승강가이드(210)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가이드(210)는 봉강이나 각관 등으로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200)의 또 다른 예로 유압잭의 방식을 사용항 수 있다. 생각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유압잭의 예로는 공기압실린더(pneumatic cylinder), 유압실린더(hydraulic cylinder)방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 공기압실린더란 압축공기실린더라고도 불리우며, 압축공기가 갖는 에너지를 기계적인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유압실린더란 유압을 이용하여 큰 출력, 추력의 직선운동을 실현하는 기계이며, 공작기계나 토목, 건설기계에 흔히 쓰인다. 공기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는 펌프나 컨트롤벌브 등과 조합되어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유압실린더는 각종 산업분야에 쓰이는 크레인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거유닛(300)은 수거선 본체(100)에 설치되어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해양쓰레기를 수거선 본체(100)로 수거할 수 있다.
수거유닛(300)은 다관절 암(310) 수거 집게(320) 및 수거 구동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암(310)은 이송유닛(400)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폴딩될 수 있다.
수거 집게(320)는 다관절 암(3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양쓰레기를 파지하여 수거할 수 있다.
수거 구동기(330)는 다관절 암(310)과 수거 집게(320)에 각각 연결되어 다관절 암(310)과 수거 집게(320)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거유닛(300)에는 수거 집게(320)와 교체하여 설치되며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압력 등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수거유닛(3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거유닛(300)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연장크레인(410), 이송 컨베이어(420) 및 이송 바스켓(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크레인(410)은 일단이 수거선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상부에 수거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크레인(410)은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며 설정된 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보통 180도나 360도로 180도로 펼치면서 멀리 있거나 구석에 있는 해양쓰레기의 원활한 수거를 유도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420)는 연장크레인(410)에 설치되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 바스켓(430)은 수거유닛(300)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수용되고 이송 컨베이어(420)에 의해 수거선 본체(100)로 이송될 수 있다.
포장유닛(500)은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이송유닛(400)을 통해서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할 수 있다.
포장유닛(500)은 절단기(510), 압축기(520) 및 포장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기(510)는 수거유닛(300)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크기나 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다.
압축기(520)는 절단기(510)로 절단된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모양으로 압축할 수 있다.
포장기(530)는 압축기(520)로 압축된 해양쓰레기를 결속하여 포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고정유닛(200), 수거유닛(300), 이송유닛(400) 및 포장유닛(500)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유닛(200), 수거유닛(300), 이송유닛(400) 및 포장유닛(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600)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은 거동 보상유닛(610), 계류유닛(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동 보상유닛(610)은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600)에 연결되어 해류에 의해 발생하는 수거선 본체(100)의 롤링이나 요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계류유닛(620)은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수거선 본체(100)를 계류하여 해상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계류유닛(620)은 계류선(30), 윈치(40), 고정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류선(30)은 강선 와이어로 제작되며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다수 개가 연결되어 수거선 본체(100)를 해저나 해양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윈치(40)는 수거건 본체(100)에 구비되며 계류선(30)이 연결되어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계류선(30)을 감겨나 펼칠 수 있다.
고정체(50)는 계류선(30)의 말단에 설정된 자중을 가지면서 연결되며 윈치(40)로부터 펼쳐지는 계류선(30)을 해저나 해양의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계류유닛(620)은 단독으로 수심이 깊은 해저나 해양에서 수거선 본체(10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계류가 가능하며 또한, 고정유닛(200)과 병행사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수거선 본체(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 방법에 있어서, 수거선 고정단계(S100), 해양쓰레기 수거단계(S200), 해양쓰레기 이송단계(S300) 및 해양쓰레기 포장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거선 고정단계(S100)는 수거선(1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수거선(1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200)으로 수거선(30)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고정유닛(200)은 수거선(1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수거선(1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200)은 승강가이드(210) 및 승강구동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210)는 수거선 본체(10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에 매입고정 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재(220)는 승강가이드(210)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210)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해양쓰레기 수거단계(S200)는 수거선 고정단계(S100)를 거친 후 수거선(10)에 설치되며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해양쓰레기를 수거선(10)으로 수거하는 수거유닛(300)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단계이다.
해양쓰레기 이송단계(S300)는 해양쓰레기 수거단계(S200)를 거친 후 수거선(1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수거유닛(3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400)으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송유닛(400)은 수거선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수거유닛(3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거유닛(300)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연장크레인(410), 이송 컨베이어(420) 및 이송 바스켓(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크레인(410)은 일단이 수거선(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상부에 수거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420)는 연장크레인(410)에 설치되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 바스켓(430)은 수거유닛(300)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수용되고 이송 컨베이어(420)에 의해 수거선 본체(100)로 이송될 수 있다.
해양쓰레기 포장단계(S400)는 해양쓰레기 이송단계(S300)를 거친후 수거선(10)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하는 포장유닛(500)으로 포장하는 단계이다.
이하, 본 발명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의 수거 방법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유닛(200)을 이용하여 수거선(10)을 해양이나 하구에서 원하는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고, 또한 이송유닛(400)의 연장크레인(410)을 이용하여 외진 곳이나 외딴 곳에서도 비교적 수월하게 해양쓰레기의 수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선 본체(100)에 이송유닛(400)의 연장 크레인(410) 및 이송 컨베이어(420)와 포장유닛(500)을 구비하여 수거되는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장소로 이송하거나 설정된 모양으로의 포장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수거선
30 : 계류선
40 : 윈치
50 : 고정체
100 : 수거선 본체
200 : 고정유닛
210 : 승강가이드
220 : 승강구동부재
300 : 수거유닛
310 : 다관절 암
320 : 수거 집게
330 : 수거 구동기
400 : 이송유닛
410 : 연장크레인
420 : 이송 컨베이어
430 : 이송 바스켓
500 : 포장유닛
510 : 절단기
520 : 압축기
530 : 포장기
600 : 컨트롤러
610 : 거동 보상유닛
620 : 계류유닛

Claims (10)

  1. 해양이나 해변에 버려진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거선 본체;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선 본체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에 설치되어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해양쓰레기를 상기 수거선 본체로 수거하는 수거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수거유닛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서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하는 포장유닛; 및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닛, 수거유닛, 이송유닛 및 포장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닛, 수거유닛, 이송유닛 및 포장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거선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에 매입고정 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승강가이드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상기 수거선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상부에 상기 수거유닛이 결합되는 연장크레인;
    상기 연장크레인에 설치되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 본체로 이송되는 이송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 본체를 계류하여 해상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계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유압모터나 기어드모터인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가이드가 승강되고,
    상기 연장크레인은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며 180도나 360도회전하고,
    상기 계류유닛은,
    강선 와이어로 제작되며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다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수거선 본체를 해저나 해양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계류선;
    상기 수거선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계류선을 감겨나 펼치는 윈치; 및
    상기 계류선의 말단에 설정된 자중을 가지면서 연결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펼쳐지는 상기 계류선을 해저나 해양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폴딩되는 다관절 암;
    상기 다관절 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양쓰레기를 파지하여 수거하는 수거 집게; 및
    상기 다관절 암과 상기 수거 집게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관절 암과 상기 수거 집게의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거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유닛은,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크기나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로 절단된 해양쓰레기를 설정된 모양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로 압축된 해양쓰레기를 결속하여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해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수거선 본체의 롤링이나 요동을 감쇄시키는 거동 보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선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 본체를 계류하여 해상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계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8. 청구항 1, 3 및 5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거선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으로 상기 수거선을 고정하는 수거선 고정단계;
    상기 수거선 고정단계를 거친 후 상기 수거선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해양쓰레기를 상기 수거선으로 수거하는 수거유닛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해양쓰레기 수거단계;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단계를 거친 후 상기 수거선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거유닛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으로 이송하는 해양쓰레기 이송단계; 및
    상기 해양쓰레기 이송단계를 거친후 상기 수거선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이송된 해양쓰레기를 압축하여 포장하는 포장유닛으로 포장하는 해양쓰레기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거선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에 매입고정 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승강가이드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상기 수거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상부에 상기 수거유닛이 결하되는 연장크레인;
    상기 연장크레인에 설치되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수거유닛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수거선으로 이송되는 이송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유압모터나 기어드모터인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가이드가 승강되며,
    상기 연장크레인은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며 180도나 360도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의 수거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79206A 2020-06-29 2020-06-29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KR10221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06A KR102216481B1 (ko) 2020-06-29 2020-06-29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06A KR102216481B1 (ko) 2020-06-29 2020-06-29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481B1 true KR102216481B1 (ko) 2021-02-17

Family

ID=7473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06A KR102216481B1 (ko) 2020-06-29 2020-06-29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4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118A (zh) * 2021-04-23 2021-07-09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登陆舰用柱式定位装置
CN113277018A (zh) * 2021-05-30 2021-08-2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系统的控制方法
KR102321130B1 (ko) 2021-05-20 2021-1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미지 분석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방법
KR102324684B1 (ko) 2021-05-20 2021-1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인관측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방법
KR102506141B1 (ko) * 2022-01-03 2023-03-03 김대모 건설 폐기물 해상 재처리선
GB2615079A (en) * 2022-01-26 2023-08-02 John Mcloughlin Stephen An active system for the recovery and disposal of ocean borne plasti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199Y1 (ko) 2002-11-12 2003-02-25 한국해양연구원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101235835B1 (ko) *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20190089569A (ko) * 2018-01-23 2019-07-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용 수륙양용보트
KR102031828B1 (ko) * 2019-06-27 2019-10-16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해양 쓰레기 일괄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및 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199Y1 (ko) 2002-11-12 2003-02-25 한국해양연구원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101235835B1 (ko) *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20190089569A (ko) * 2018-01-23 2019-07-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용 수륙양용보트
KR102031828B1 (ko) * 2019-06-27 2019-10-16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해양 쓰레기 일괄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및 그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118A (zh) * 2021-04-23 2021-07-09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登陆舰用柱式定位装置
KR102321130B1 (ko) 2021-05-20 2021-1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미지 분석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방법
KR102324684B1 (ko) 2021-05-20 2021-1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인관측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방법
CN113277018A (zh) * 2021-05-30 2021-08-2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系统的控制方法
CN113277018B (zh) * 2021-05-30 2022-08-09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系统的控制方法
KR102506141B1 (ko) * 2022-01-03 2023-03-03 김대모 건설 폐기물 해상 재처리선
GB2615079A (en) * 2022-01-26 2023-08-02 John Mcloughlin Stephen An active system for the recovery and disposal of ocean borne plast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481B1 (ko) 연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선 및 그 수거방법
CN203357446U (zh) 一种钻杆排放机械手
CN107130575B (zh) 一种水面漂浮物自动聚料及打捞装置及其方法
CN102146686B (zh) 斗轮挖掘机
CN210012512U (zh) 一种壳体调运用转运装置
CN104941089A (zh) 多功能救援属具
CN213743298U (zh) 海洋钻井平台用管柱移运装置
CN207890935U (zh) 一种垃圾抓斗起重机
CN115094853B (zh) 一种分体式清洁工程船及清洁方法
CN205257460U (zh) 大型龙门吊式夹砖机
CN101660324B (zh) 城市窨井清掏机的抓取装置
CN201372452Y (zh) 抓斗式液压自动抓掏机
CN208121846U (zh) 自回转式液压抓斗成槽机
CN206815507U (zh) 一种管道垃圾清理装置及其系统
CN105366361A (zh) 大型龙门吊式夹砖机
RU92744U1 (ru) Складное антенно-мач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8018840A (zh) 塔式水利清污机
CN201385983Y (zh) 起重机的工业碎钢抓具
CN213202079U (zh) 一种人造岗石板体装箱吊具
CN2937069Y (zh) 自走电站用液压全驱动快速伸缩悬臂吊
CN110834705B (zh) 一种海底抓缆装置及抓缆方法
CN210769338U (zh) 一种可快速组合的手提式潜水泵
CN210176337U (zh) 抓举装置及具有其的抓举车
CN207828943U (zh) 塔式水利清污机
CN207890908U (zh) 一种抓斗起重机的抓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