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228B1 -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 Google Patents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228B1
KR102216228B1 KR1020190103450A KR20190103450A KR102216228B1 KR 102216228 B1 KR102216228 B1 KR 102216228B1 KR 1020190103450 A KR1020190103450 A KR 1020190103450A KR 20190103450 A KR20190103450 A KR 20190103450A KR 102216228 B1 KR102216228 B1 KR 102216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ewage
discharge pipe
flow rate
sew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102019010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관거(貫渠)시설 중 우오수를 배수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택, 상업 및 공업 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를 모아서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유하(流下)시키되, 평상시 오수를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강우시 빗물 즉, 우수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된 오수(이하, '우오수'라 한다.)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우오수를 상기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우오수를 방류수역 혹은 상기 처리장과 다른 처리장으로 이동시켜 오수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Rain and sewage drain manhole due to flow rate change}
본 발명은 관거(貫渠)시설 중 우오수를 배수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택, 상업 및 공업 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를 모아서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방류시키되, 평상시 오수를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강수시 빗물 즉, 우수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된 오수(이하 '우오수'라 한다.)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우오수를 상기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우오수를 방류수역 혹은 상기 처리장과 다른 처리장으로 이동시켜 오수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관거시설은 관거, 맨홀, 물받이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총칭으로서, 주택, 상업 및 공업 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를 모아서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방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도시 전체로 연결되는 상하수도나 통신용 선로 또는 가스관로 등의 시설물은 지하로 매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시설물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관경의 변화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길이가 긴 직관부의 중간 등 설정된 지역에 관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맨홀이 설치된다.
상기 맨홀은 통상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뚜껑이 구비되며, 배출관이 각각 연결되는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로 이루어져 지중에 매설되는데, 특히,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폐수를 집수 및 배출하도록 하는 하수관 맨홀의 경우, 평상시 즉, 강우가 없을 때 상기 오폐수를 처리장으로 방류시켜 정화한 후 방류수역으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오폐수를 정화하는 처리장의 능력은 오폐수의 오염정도와 오폐수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데, 특히 오폐수의 양이 많은 경우 상기 오폐수의 정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상기 오폐수는 강우시 빗물, 즉 우수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처리장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수를 이동시키는 하수관은 강우시 우수의 배수를 위해 하수관으로 우수가 유입되어 오수와 혼합되어 우오수의 유량이 크게 증가하여 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장에서 과하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95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2707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70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강우시 우수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된 오수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오수를 메인처리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우오수를 보조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방류시켜 처리장의 정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입연결관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후방을 오수배출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전방을 우오수배출구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몸체의 측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오수배출구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오수배출관 및 상기 몸체의 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우오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몸체의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상부면 및 상기 결합홀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상부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측상부면은 외측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상부면은 상기 구획판으로 구획된 오수배출구역에 위치되고, 오수배출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구획판으로 구획된 우오수배출구역에 위치되고, 우오수배출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수배출관과 우오수배출관은 각각 내측 하부면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연결관은 상기 오수배출관과 우오수배출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높이는 상기 유입연결관의 하부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연결관은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조절홀이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를 상기 길이조절부에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판은 상기 오수배출구역이 상기 오수배출관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은 평상시 즉, 강우가 없을 때 오수를 정화시설로 이동시켜 정화되도록 하고, 강우시 우수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오수만을 메인처리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메인처리장으로 이동되는 오수의 양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처리장의 능력이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오폐수의 정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시 우수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 중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우오수를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오수를 처리하는 메인처리장이 아닌 보조처리장 혹은 방류수역으로 방류시켜 상기 메인처리장에서의 오폐수 정화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처리장의 정화 효율 또는 방류수역에서의 자연 정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맨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맨홀의 다른 각도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맨홀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본 발명은 관거(貫渠)시설 중 우오수를 배수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택, 상업 및 공업 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빗물을 모아서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방류시키되, 강우가 없는 평상시 오폐수를 구획판(40)에 의해 메인처리장으로만 방류시켜 정화되도록 하고, 강우시 우수와 혼합되어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우오수를 구획판(40)에 의해 상기 메인처리장으로 방류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우오수를 보조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방류시킴으로써, 강우시 우수에 의해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 중 일부를 상기 메인처리장으로 방류시켜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입연결관(30);과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 후방을 오수배출구역(11)으로 구획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 전방을 우오수배출구역(1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40);과 상기 몸체(10)의 측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오수배출구역(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오수배출관(50); 및 상기 몸체(10)의 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우오수배출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몸체(2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21);과 상기 결합홀(21)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상부면(22); 및 상기 결합홀(21)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상부면(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측상부면(22)은 외측상부면(23)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상부면(22)은 상기 구획판(40)으로 구획된 오수배출구역(11)에 위치되고,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22a);과 상기 구획판(40)으로 구획된 우오수배출구역(12)에 위치되고, 우오수배출관(60)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면(2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은 각각 내측 하부면이 상기 제1경사면(22a)과 상기 제2경사면(22b)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10)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연결관(30)은 상기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0)의 높이는 상기 유입연결관(30)의 하부 높이와 같거나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연결관(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결합부(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31)는 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조절홀(31a-1)이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부(31a);와 상기 길이조절부(31a)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되는 연장부(31b); 및 상기 연장부(31b)와 상기 조절홀(31a-1)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31b)를 상기 길이조절부(31a)에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3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판(40)은 상기 오수배출구역(11)이 상기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이하, '맨홀'이라 한다.)은 평상시 즉, 강우가 없을 때 주택, 상업 및 공업 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이동되는 하수관(100)으로부터 오수가 유입되어 메인처리장으로 오수를 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맨홀은 강우시 상기 하수관(100)으로부터 우수가 포함된 오수 즉, 우오수가 유입되어 메인처리장으로 우오수를 방류시키고, 유입되는 상기 우오수의 유량이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될 구획판(40)의 높이보다 높게 유입되는 경우 상기 구획판(40)을 범람하는 우오수를 보조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맨홀은 유량이 적은 강우가 없는 평상시 메인처리장으로 오수가 이동되도록 하여 정화하도록 하고, 우수가 포함되어 유량이 많은 강우시 메인처리장으로 우오수가 모두 이동되지 않고 보조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분기(分岐)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처리장의 처리 능력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화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몸체(10)는
중공이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폐가능한 덮개가 결합되고, 앞서 설명된 오수가 이동되는 하수관(100)과 연결되어 오수가 중공에 유입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오수배출관(50) 또는 우오수배출관(60)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오수 또는 우오수가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부몸체(2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몸체(10)가 지중에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매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부몸체(2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21)과, 상기 결합홀(21)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상부면(22) 및 상기 결합홀(21)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상부면(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홀(21)은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가 결합된 후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몸체(20)의 상부면이 내측상부면(22)이 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부몸체(20)의 상부면이 외측상부면(23)이 된다.
이때, 상기 내측상부면(22)은 외측상부면(23)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의 내측 하부가 상기 내측상부면(22)과 수평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부몸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판은 몸체(10)가 결합된 하부몸체(20)가 더욱더 안정적으로 지중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유입연결관(30)은
상기 몸체(10)의 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된 주택, 상업 및 공업 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또는 강우시 우수가 오수에 포함된 우오수가 이동되는 하수관(100)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오수 또는 우오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유입연결관(30)은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거나 상기 몸체(10)에 용접 또는 융착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접 또는 융착에 의한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유입연결관(30)이 결합될 수 있는 유입홀이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입연결관(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즉,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부(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31)는 하수관(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획판(40)에 부딪힌 후 오수배출관(50)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3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40)에 유입된 오수 또는 우오수가 부딪힌 후 오수배출관(50)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을 통해 몸체(10) 내부에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31)는 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조절홀(31a-1)이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부(31a)와, 상기 길이조절부(31a)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되는 연장부(31b) 및 상기 연장부(31b)의 상기 조절홀(31a-1)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31b)를 상기 길이조절부(31a)에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31c)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하수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몸체(1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길이조절부(31a)는 후방에 상기 결합부(31)의 전방이 내입되어 부착, 융착, 용접 등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연장부(31b)는 상기 길이조절부(31a)의 내측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3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부(31a)에 내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31c)는 상기 연장부(31b)가 작업자에 의해 이동된 후 즉, 오수 또는 우오수가 배출되는 위치가 결정된 후 상기 연장부(31b)를 상기 길이조절부(31a)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결합부(31)는 강우가 적어 오수 또는 우오수의 유량이 적은 경우가 대부분인 동절기에 연장부(31b)를 전방 즉,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여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획판(40)에 원활하게 부딪혀 오수배출관(50)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강우에 의해 우오수의 유량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인 하절기에 연장부(31b)를 후방 즉, 몸체(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여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구획판(40)에 원활하게 부딪혀 오수배출관(50) 또는 우오수배출관(60)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오수 또는 우오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1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나비너트 등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도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장부(31b)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유입연결관(3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오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후에 설명될 구획판(40)에 부딪혀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구획판(40)은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 후방을 오수배출구역(11)으로 구획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 전방을 우오수배출구역(12)으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면 즉, 내측상부면(22)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오수배출구역(11)과 우오수배출구역(12)으로 구획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오수배출구역(1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오수배출관(50)을 통해 평상시에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강우시에는 우오수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우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우오수배출구역(12)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우오수배출관(60)을 통해 강우시에 우오수 중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우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구획판(40)은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을 오수배출구역(11)과 우오수배출구역(12)으로 구획함으로써, 유입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오수배출관(50)으로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강우시 오수에 우수가 포함되어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가 이후에 설명될 우오수배출관(60)으로 분기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획판(4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입연결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부딪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몸체(10)의 측방에 설치되는 오수배출관(50)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획판(40)은 상기 오수배출구역(11)이 상기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유입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구획판(40)에 부딪혀 상기 오수배출관(50)으로 더욱더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유입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을 통해 더욱더 원활하게 이동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부몸체(20)의 상부면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부몸체(20)의 내측상부면(22)은 상기 구획판(40)으로 구획된 오수배출구역(11)에 위치되고,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22a)과, 상기 구획판(40)으로 구획된 우오수배출구역(12)에 위치되고, 우오수배출관(60)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면(22b)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경사면(22a)과 제2경사면(22b)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오수가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경사면(22a)과 제2경사면(22b)은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오수가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획판(40)은 높이가 앞서 설명된 유입연결관(30)의 하부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앞서 유입연결관(30)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오수가 포물선을 그리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오수 또는 우오수가 원활하게 부딪혀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오수배출관(50)은
상기 몸체(10)의 측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오수배출구역(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오수가 배출되어 메인처리장으로 이동되도록 오수관(200)이 연결되고, 강우시 우오수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우오수가 메인처리장으로 이동되도록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오수배출관(50)은 평상시에 유입연결관(30)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가 구획판(40)에 부딪힘으로써, 몸체(10)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오수관(200)을 통해 메인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강우시에 우오수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우오수가 구획판(40)에 부딪혀 오수관(200)을 통해 메인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처리장에서 오염도가 높은 오수 또는 우오수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오수배출관(50)은 몸체(10)의 측방 즉, 좌측 또는 우측 중 상기 오수배출구역(11)과 연통되는 곳에 형성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우오수배출관(60)은
상기 몸체(10)의 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오수가 구획판(40)에 의해 오수배출관(50)으로만 배출되므로 오수가 배출되지 않고, 강우시에는 오수에 우수가 포함되어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가 구획판(40)을 범람하게 되므로 우오수가 배출되되, 상기 구획판(40)에 의해 우오수 중 이물질이 적은 우오수가 보조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배출되도록 우오수관(30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우오수배출관(60)은 강우시에 오수에 우수가 포함되어 유량이 증가된 오수 즉, 우오수가 분기되어 우오수관(300)을 통해 보조처리장 또는 방류수역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처리장으로 이동된 오수 또는 우오수의 유량이 대폭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처리장의 능력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메인처리장에서의 정화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은 각각 내측 하부면이 상기 하부몸체(20)의 제1경사면(22a)과 제2경사면(22b)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10)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은 앞선 설명에서 내측 하부가 하부몸체(20)의 내측상부면(22)과 수평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기재하였으나, 이는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상부면(22)이 구획판(40)에 의해 구획된 구역에서 제1경사면(22a)과 제2경사면(22b)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오수 또는 우오수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입연결관(30), 오수배출관(50), 우오수배출관(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수관(100), 오수관(200), 우오수관(30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맨홀은 강우가 없는 평상시에 하수관(100)을 통해 유하되는 오수가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되, 결합부(31)에 의해 구획판(40)에 후면에 부딪히도록 유입됨으로써, 오수배출관(50)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맨홀은 강우시 오수에 우수가 포함되어 상기 오수의 유량이 증가된 우오수가 구획판(40)에 의해 구획된 오수배출구역(11)에서 먼저 오수배출관(50)을 통해 배수되고, 구획판(40)을 범람한 우오수가 우오수배출구역(12)으로 이동되면 우오수배출관(60)을 통해 배수되며, 유량이 증가된 오수 즉, 우오수가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을 통해 분기되어 배수됨으로써, 유량에 변화에 의해 처리장의 능력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맨홀은 하수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유량 변화에 따라 배수가 분기되지 않거나 분기되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양이 많아 처리장의 능력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 11 : 오수배출구역
12 : 우오수배출구역 20 : 하부몸체
21 : 결합홀 22 : 내측상부면
22a : 제1경사면 22b : 제2경사면
23 : 외측상부면 30 : 유입연결관
31 : 결합부 31a : 길이조절부
31a-1 : 조절홀 31b : 연장부
31c : 결합부재 40 : 구획판
50 : 오수배출관 60 : 우오수배출관

Claims (7)

  1.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입연결관(30);과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 후방을 오수배출구역(11)으로 구획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 전방을 우오수배출구역(1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40);과
    상기 몸체(10)의 측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오수배출구역(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오수배출관(50); 및
    상기 몸체(10)의 전방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우오수배출관(60);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연결관(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결합부(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1)는
    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조절홀(31a-1)이 관통형성되는 길이조절부(31a);와
    상기 길이조절부(31a)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되는 연장부(31b); 및
    상기 연장부(31b)와 상기 조절홀(31a-1)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31b)를 상기 길이조절부(31a)에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3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21);과
    상기 결합홀(21)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상부면(22); 및
    상기 결합홀(21)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상부면(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측상부면(22)은
    외측상부면(23)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상부면(22)은
    상기 구획판(40)으로 구획된 오수배출구역(11)에 위치되고,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22a);과
    상기 구획판(40)으로 구획된 우오수배출구역(12)에 위치되고, 우오수배출관(60)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면(2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은
    각각 내측 하부면이 상기 제1경사면(22a)과 상기 제2경사면(22b)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10)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연결관(30)은
    상기 오수배출관(50)과 우오수배출관(6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0)의 높이는
    상기 유입연결관(30)의 하부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40)은
    상기 오수배출구역(11)이 상기 오수배출관(50)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KR1020190103450A 2019-08-23 2019-08-23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KR102216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50A KR102216228B1 (ko) 2019-08-23 2019-08-23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50A KR102216228B1 (ko) 2019-08-23 2019-08-23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228B1 true KR102216228B1 (ko) 2021-02-17

Family

ID=7473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450A KR102216228B1 (ko) 2019-08-23 2019-08-23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2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95B1 (ko) 1996-09-30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액정을 이용한 자동차의 글라스
KR20060023182A (ko) * 2006-02-08 2006-03-13 주식회사 퍼팩트 조립식 인버터 및 유도관을 구비한 맨홀
JP4009929B2 (ja) * 2000-11-29 2007-11-2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処理装置
KR20090009546A (ko) 2007-07-20 2009-01-23 우창정기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KR101827077B1 (ko) 2016-01-12 2018-02-07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오수받이 겸 맨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95B1 (ko) 1996-09-30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액정을 이용한 자동차의 글라스
JP4009929B2 (ja) * 2000-11-29 2007-11-2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処理装置
KR20060023182A (ko) * 2006-02-08 2006-03-13 주식회사 퍼팩트 조립식 인버터 및 유도관을 구비한 맨홀
KR20090009546A (ko) 2007-07-20 2009-01-23 우창정기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KR101827077B1 (ko) 2016-01-12 2018-02-07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오수받이 겸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04247B (zh) 具有初期雨水弃流功能的混合流非下凹生物滞留池
CN107747345B (zh) 一种用于合流制排水管网系统的面污染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804222A (zh) 景观水体下调蓄池
WO2019085186A1 (zh) 一种包含调蓄池和在线处理池的系统
EP0924356B1 (de) Vorrichtung zum Auffangen von Regenwasser
CN107761896B (zh) 一种用于分流制排水管网系统的面污染控制系统与方法
KR102216228B1 (ko) 유량 변화에 따른 우오수 배수 맨홀
CN111535416B (zh) 基于延时调节技术的海绵城市雨水源头控制的系统和工艺
KR101788120B1 (ko) 우수용 저류 및 배수 시스템
RU2634952C1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очистки ливневой сточной воды
CN105113606A (zh) 一种市政雨水处理系统
US10060117B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CN110029721A (zh) 一种具有排污及初雨调蓄功能的管涵结合截污结构
CN214363918U (zh) 一种溢流雨水井结构
CN105239659A (zh) 一种市政排水系统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CN107605003A (zh) 一种控制污水和初期雨水污染的不完全分流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656668B1 (ko)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KR101715378B1 (ko)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CN216891841U (zh) 狭窄街道的排水系统
CN218814193U (zh) 村镇雨污合流渠道分流改造系统
KR20210013515A (ko)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CN104047359B (zh) 跳跃堰式截污雨水口
CN217811449U (zh) 一种雨污截行分流系统
CN216142148U (zh) 一种可用于初期雨水弃流的截污挂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