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178B1 -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178B1
KR102216178B1 KR1020200111385A KR20200111385A KR102216178B1 KR 102216178 B1 KR102216178 B1 KR 102216178B1 KR 1020200111385 A KR1020200111385 A KR 1020200111385A KR 20200111385 A KR20200111385 A KR 20200111385A KR 102216178 B1 KR102216178 B1 KR 10221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uring
cutt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엽
신동우
Original Assignee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1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roughening, profiling, corru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8Iron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04B20/0064Ground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2Selection of the hardening environment
    • C04B40/024Steam hardening, e.g. in an autocla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말 폴리머와 방수제인 분말수지를 세라믹 데크 혼합물에 첨가시켜 압출방식으로 제조함과 아울러 제조 공정중에 고온 고압 양생 후, 쇼트볼로 표면처리를 하여 미끄러짐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흡수율을 저하로 인해 내동결성을 향상시켜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deck with enhanced strength}
본 발명은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폴리머와 방수제인 분말수지를 세라믹 데크 혼합물에 첨가시켜 압출방식으로 제조함과 아울러 제조 공정중에 고온 고압 양생 후, 쇼트볼로 표면처리를 하여 미끄러짐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흡수율 저하로 인해 내동결성을 향상시켜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등산로, 호수 주변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사람들의 방문이 잦은 곳에 자연을 보다 가까이 접하면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크를 이용한 보행로나 계단 등의 시설물이 설치된 풍경을 자주 보게 된다.
자연 속에서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주택의 전면 또는 후면측에 데크를 이용한 테라스 또는 발코니를 시공하여 미관상 건물의 안정감이나 정원과의 조화 등을 꾀하고, 동시에 일광욕이나 옥외 식사, 다과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데크는, 천연목재를 사용하여 시공하였으나, 천연목재 자원의 감소와 그로 인한 자재비용 증가, 실외시공시 천연목재는 내후성(耐候性) 및 내구성 부족으로 인하여 오일스테인 도포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 등의 이유로 이미 오래전부터 합성목재로 대체되어 시공되고 있다.
합성목재는 목분과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혼합하여 용융하고 여기에 각종 첨가제를 투입한 후 압출 성형하여 형성한 판재 또는 각재의 자재인데, 천연목재의 질감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도 천연목재 이상의 내구성과 내수성을 갖추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색이나 뒤틀림이 없는 우수한 자재이다.
그러나, 합성목재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목분을 50중량% 이상 혼합하는데, 이처럼 목분의 함량이 크기 때문에, 천연목재에 비해서는 특성이 우수하다고 할지라도, 현재 시점에서 합성데크에 대해 시공자나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기준 또는 조건으로 볼 때에는 수분에 취약하고, 방부, 방충 효과도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목재에서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이 검출됨으로써 인체 유해성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어 합성목재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자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9-0051130호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은, 시멘트, 규석분, 첨가물을 배합한 혼합물을 제조혼합탱크에 넣어 소정마력으로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원료공급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공급기에 투입된 혼합물이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데크로 성형되도록 압출하우징으로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압출하우징을 통해 압출된 혼합물을 1차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절단된 압출된 혼합물을 소정온도 및 소정시간동안 1,2차에 걸쳐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1,2차 양생을 거친 압출된 혼합물의 상부면을 면가공하고, 면가공을 마친 상기 압출된 혼합물의 사방 외둘레면을 각치기하며, 상기 각치기를 마친 압출된 혼합물을 직사각형태로 2차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압출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그 중심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소정 깊이의 홈에 인입장착되는 압출성형구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압출성형구가 끼움결합되도록 양 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압출성형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단에 복수개의 성형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성형발에 의해 상기 홈으로 유입된 혼합물은 그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소정 크기의 홀이 복수개가 형성된 콘크리트데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성형발은 상기 베이스의 상단부터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1직선구와, 상기 혼합물의 흐름을 유도하고, 와류에 의한 흐름 차단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직선구에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로부터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2직선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2직선구의 단면형상인 직육면체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제1직선구의 단면형상인 직육면체의 가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직선구의 단면형상인 직육면체의 세로 길이는 상기 제1직선구의 단면형상인 직육면체의 세로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혼합물은, 시멘트 45 이상 49 이하 중량부, 규석분 42 이상 46 이하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첨가물은, 인조섬유제, 증점제, 무기질 색소, 펄프, 규회석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인조섬유제, 증점제, 무기질 색소, 펄프, 규회석의 첨가물은 7 이상 11 이하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을 제조혼합탱크에 넣어 소정 마력으로 30분 이상 60분 이하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정 간격으로 소정 크기의 홀이 복수개가 형성된 콘크리트데크에서, 상기 소정 크기의 홀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홀의 가로길이는 1.7cm이고, 그 세로 길이는 1.2cm 이고, 상기 홀간의 간격은 0.9cm이며 상기 홀의 갯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5개의 홀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데크의 가로길이는 16cm, 세로길이는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홀이 5개로 구성된 콘크리트데크는,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비중이 1.77이고, 크리프변형이 0.02%이고, 뒤틀림성이 0.2%이고, 미끄럼저항성이 0.62이고, 수분흡수율이 4.5%이고, 길이선열팽창계수는 4.9×10-5/℃이고, 폼알데하이드 방산량이 0.1mg/L 미만인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은, 흡수율을 낮출 수 있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지 않아 겨울철 수분 흡수로 인해 결빙시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은,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지 않아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9-0051130호, 출원일; 2019년05월01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말 폴리머와 방수제인 분말수지를 세라믹 데크 혼합물에 첨가시켜 압출방식으로 제조함과 아울러 제조 공정중에 고온 고압 양생 후, 쇼트볼로 표면처리를 하여 미끄러짐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흡수율 저하로 인해 내동결성을 향상시켜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강화된 강도를 갖는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은, 시멘트와, 규석분과, 산화철과, 증점제와, 펄프와, 폴리프로펠린섬유와, 분말폴리머와, 방수제 분말수지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믹싱기에 투입시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성형기로 공급시켜 압출성형 하는 단계와,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 의해 압출 성형된 압출성형체를 수압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압 절단단계에 의해 절단된 절단체를 양생을 위해 팔레트에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적재단계에 의해 절단체가 적재된 팔레트를 양생실에 투입시켜 증기로 양생하는 1차 양생단계와, 상기 1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1차 양생체를 2차 양생을 위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에 적재시키기 위한 탈판단계와, 상기 탈판단계에 의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로 탈판되어 적재된 1차 양생체를 고온 고압용 팔레트와 함께 고온 고압용 양생실에 투입시켜 고온 고압으로 양생하는 2차 양생단계와, 상기 2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를 제품규격에 맞게 다이어몬드 톱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단계에 의해 절단된 규격품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성도료로 도포시키는 발수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2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가 쇼트볼 처리기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2차 양생체의 표면을 쇼트볼로 쇼트시켜 논슬립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논슬립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분말 폴리머와 방수제인 분말수지를 세라믹 데크 혼합물에 첨가시켜 압출방식으로 제조함과 아울러 제조 공정중에 고온 고압 양생 후, 쇼트볼로 표면을 처리하여 세라믹 데크를 제조하므로 인해 충격강도 및 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흡수율 저하로 인해 내동결성을 향상시켜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은, 시멘트와, 규석분과, 산화철과, 증점재와, 펄프와, 폴리프로펠린섬유와, 분말폴리머와, 방수제 분말수지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믹싱기에 투입시켜 혼합하는 단계(S110)와, 상기 혼합단계(S110)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성형기로 공급시켜 압출성형 하는 단계(S120)와, 상기 압출성형 단계(S120)에 의해 압출 성형된 압출성형체를 수압으로 절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수압 절단단계(S130)에 의해 절단된 절단체를 양생을 위해 팔레트에 적재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적재단계(S140)에 의해 절단체가 적재된 팔레트를 양생실에 투입시켜 증기로 양생하는 1차 양생단계(S150)와, 상기 1차 양생단계(S150)에 의해 양생된 1차 양생체를 2차 양생을 위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에 적재시키기 위한 탈판단계(S160)와, 상기 탈판단계(S160)에 의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로 탈판되어 적재된 1차 양생체를 고온 고압용 팔레트와 함께 고온 고압용 양생실에 투입시켜 고온 고압으로 양생하는 2차 양생단계(S170)와, 상기 2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를 제품규격에 맞게 다이어몬드 톱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180)와, 상기 절단단계(S180)에 의해 절단된 규격품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성도료로 도포시키는 발수 처리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차 양생단계(S170)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가 쇼트볼 처리기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2차 양생체의 표면을 쇼트볼로 쇼트시켜 논슬립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논슬립 처리단계(S17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의 혼합단계(S110)는, 믹싱기를 통하여 시멘트 45중량부~49중량부와, 규석분 42중량부~46중량부와, 산화철 0.1중량부~15.8중량부와, 증점제 0.5중량부~0.9중량부와, 펄프 1.5중량부~11중량부와, 인조섬유제 0.1중량부~15.8중량부와, 분말폴리머 2중량부~5중량부와, 방수제 분말수지 2중량부~6중량부 및 물 22중량부~26중량부 이루어진 조성물을 혼합하기 위한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한 시멘트는 통상적인 포틀랜트 시멘트로, 해당 시멘트는 비표면적(Blaine:/g)인 Blaine값이 클수록(분말이 미세할수록) 초기강도의 발생이 빠르며 강도 증진율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Blaine값이 2800/g 이상인 것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한 규석분은 SiO2 함량이 90% 이상인 것을 시멘트에 혼합한다.
규석분이 함께 혼합되어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세라믹 데크를 생산하는데 입자형태의 규사에 의한 다양한 표면질감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규석분에 의해 내부구조의 치밀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규석분이 42중량부 보다 적게 혼합되는 경우에는, 생산되는 콘크리트데크의 강도가 작게 되고, 규석분이 46중량부 보다 큰 경우에는 규석분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 비율이 맞지 않아 원하는 정도의 강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이미 설명한 시멘트의 경우, 47중량부, 규석분4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경우 생산된 세라믹 데크의 강도가 원하는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산화철은 무기질 재료로써 철강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용광로 등에서 채취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산화철에는 흑색 가루인 산화제일철, 적색 가루인 산화제이철, 흑색가루인 사산화삼철이 있으며, 산화염 소성에서는 갈색 내지 적갈색을, 환염염 소성에서는 청록색, 회청색, 암회색 등을 나타낸다.
아울러, 철분 함유량이 많은 점토를 소성하면 붉은 벽돌색을, 알칼리가 함유된 붕산유약에 산화철을 가하면 검붉은 색조를 띠게 되고, 상기 합성 안료산화철은 산화철과 함께 산화코발트 또는 망간화합물, 구리화합물 등을 섞은 유약은 검은색을, 기타 유약의 조성이나 가열온도에 따라 다양한 색조를 띠게 된다. 아울러, 유색 산화철 및 합성안료 산화철은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착색재로 사용할 경우 분산성이 좋고, 입자가 미세해야만 착색력이 우수한 요구성능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요구성능을 충족하기 위해 입자크기가 325~1200메쉬(mesh)인 것을 적용한다.
상기한 증점제는 세라믹 데크의 물리적 성질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증점제는 바람직하게 35,000~75,000의 점도로 지닌다.
상기한 펄프는, 천연섬유로서 온도편차에 따른 길이변화가 적고 내수성, 내화성, 차음성이 우수한 소재로 본 발명에 역시 적용된다.
상기한 인조섬유는 합성섬유, 예컨대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비닐론 섬유(PVA(polyvinyl acohol)섬유)와 같은 합성섬유 및 금속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를 적용할 수 있다. 이중 세라믹 데크에 적합하도록 내 알칼리성과 인장력을 지니며, 친수성과, 화학적 물리적으로 우수한 접착성을 지닌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분말폴리머는 본 발명의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데크의 휨강도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혼합되는 것으로, 2중량부 보다 적게 혼합되는 경우에는, 생산되는 세라믹 데크의 휨강도가 작게 되고, 5중량부 보다 큰 경우에는 분말폴리머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 비율이 맞지 않아 원하는 정도의 휨강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방수제 분말수지는 본 발명의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데크의 내동결성을 향상시켜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혼합되는 것으로, 2중량부 보다 적게 혼합되는 경우에는, 생산되는 세라믹 데크의 내동결성이 떨어지게 되고, 6중량부 보다 큰 경우에는 방수제 분말수지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 비율이 맞지 않아 원하는 정도의 내동결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한 분말폴리머는, 바커(Wacker Chemie AG)사의 대표 브렌드 중의 하나인 비나파스(VINNAPAS ) 제품군에 속하는 것으로, VINNAPAS  5010N이고, 방수제 분말수지는 VINNAPAS  4042H이다.
상기한 압출 성형단계(S120)는 상기 혼합단계(S110)에 의해 만들어진 혼합물을 압출성형기로 공급시켜 압출성형체로 만들기 위한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한 압출 성형단계(S120)에 의해 성형된 압출성형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원형의 단면을 갖는 강도보강 홀이 일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 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수압 절단단계(S130)는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 의해 압출 성형된 압출성형체를 수압으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한 압출성형체를 수압으로 절단하는 것은, 양생되지 않은 상태의 압출성형체를 절단시킬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깔끔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도록 수압으로 절단한다.
상기한 적재단계(S140)는 상기 수압 절단단계(S130)에 의해 절단된 절단체를 상기 1차 양생단계를 통하여 양생을 위해 팔레트에 적재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1차 양생단계(S150)는 상기 적재단계에 의해 절단체가 적재된 팔레트를 양생실에 투입시켜 증기로 양생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한 절단체의 양생은 크랙방지를 위해 60℃ ~ 75℃의 온도에서 10 ~ 18시간 동안 양생실에서 양생한다.
상기한 탈판단계(S160)는 상기 1차 양생단계(S150)에 의해 양생된 1차 양생체를 상기 2차 양생단계(S170)에서 2차 양생시키기 위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에 적재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한 2차 양생단계(S170)는 상기 탈판단계(S160)에 의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로 탈판되어 적재된 1차 양생체를 고온 고압용 팔레트와 함께 고온 고압용 양생실에 투입시켜 고온 고압으로 양생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한 2차 양생체는 상기 1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1차 양생체가 세라믹화되도록 140℃ ~ 180℃의 온도와, 7kg/cm2 ~ 10kg/cm2의 압력환경에서 10 ~ 18시간 동안 고온 고압용 양생실에 2차 양생한다.
상기한 논슬립 처리단계(S170)는 상기 2차 양생단계(S160)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가 쇼트볼 처리기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2차 양생체의 표면을 쇼트볼로 쇼트시켜 논슬립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논슬립 처리단계이다.
이때, 상기한 2차 양생체가 쇼트볼 처리기를 지나가는 속도는 1.5m~2.5m/분이고, 쇼트볼은 0.4mm~0.8mm 크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2차 양생체가 쇼트볼 처리기를 지나가는 속도가 2.5m/분 이상이면서, 쇼트볼은 0.4mm 크기 이하일 경우, 상기 2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의 표면에 논슬립을 위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속도가 1.5m/분 이하이면서, 쇼트볼은 0.8mm 크기 이상일 경우, 2차 양생체의 상면에 대한 쇼트볼 처리가 너무 많이 이루어져 요홈부가 없어지게 되므로, 쇼트볼 처리는 상기한 속도와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절단단계(S180)는 상기 논슬립 처리단계에 의해 표면이 논슬립된 논슬립체를 다이어몬드 톱으로 제품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단계이고, 상기한 발수 처리단계(S190)는 상기 절단단계(S180)에 의해 절단된 규격품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성도료로 도포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데크는, 사각 형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에는 타면까지 관통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강도보강용 홀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면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홈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세라믹 데크는, 쇼트볼 처리로 인해 표면이 거친 미끌림 방지면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데크에 대한 휨강도를 실험한 결과 종래의 일반적인 세라믹 데크보다 휨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92630185-pat00001
(종래의 일반적인 세라믹 데크)
Figure 112020092630185-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데크)
즉, 위 시험 성적서에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말폴리머가 배제되어 제조된 세라믹 데크보다 분말폴리머가 혼합되어 제조된 세라믹 데크의 휨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데크에 대한 미끄럼 저항성에 대한 실험결과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92630185-pat00003
즉, 위 시험 성적서에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라믹 데크의 표면을 쇼트볼로 쇼트시킨 결과,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바닥판의 미끄럼 저항성의 기준인 0.4보다 높은 미끄럼 저항성을 얻어 세라믹 데크 설치에 따른 표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Claims (4)

  1.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은,
    시멘트와, 규석분과, 산화철과, 증점제와, 펄프와, 폴리프로펠린섬유와, 분말폴리머와, 방수제 분말수지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믹싱기에 투입시켜 혼합하는 단계(S110)와;
    상기 혼합단계(S110)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성형기로 공급시켜 압출성형 하는 단계(S120)와;
    상기 압출성형 단계(S120)에 의해 압출 성형된 압출성형체를 수압으로 절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수압 절단단계(S130)에 의해 절단된 절단체를 양생을 위해 팔레트에 적재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적재단계(S140)에 의해 절단체가 적재된 팔레트를 양생실에 투입시켜 증기로 양생하는 1차 양생단계(S150)와;
    상기 1차 양생단계(S150)에 의해 양생된 1차 양생체를 2차 양생을 위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에 적재시키기 위한 탈판단계(S160)와;
    상기 탈판단계(S160)에 의해 고온 고압용 팔레트로 탈판되어 적재된 1차 양생체를 고온 고압용 팔레트와 함께 고온 고압용 양생실에 투입시켜 고온 고압으로 양생하는 2차 양생단계(S170)와;
    상기 2차 양생단계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를 제품규격에 맞게 다이어몬드 톱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180)와;
    상기 절단단계(S180)에 의해 절단된 규격품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성도료로 도포시키는 발수 처리단계(S190)를 포함하되,
    상기 2차 양생단계(S170)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가 쇼트볼 처리기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2차 양생체의 표면을 쇼트볼로 쇼트시켜 논슬립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논슬립 처리단계(S17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S110)에서 혼합물은, 시멘트 45중량부~49중량부와, 규석분 42중량부~46중량부와, 산화철 0.1중량부~15.8중량부와, 증점제 0.5중량부~0.9중량부와, 펄프 1.5중량부~11중량부와, 인조섬유제 0.1중량부~15.8중량부와, 분말폴리머 2중량부~5중량부와, 방수제 분말수지 2중량부~6중량부 및 물 22중량부~26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논슬립 처리단계(S175)는 상기 2차 양생단계(S170)에 의해 양생된 2차 양생체를 쇼트볼 처리기에 1.5m~2.5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쇼트볼 처리기를 2차 양생체가 지나는 중에 0.4mm~0.8mm 크기의 쇼트볼로 쇼트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11385A 2020-09-02 2020-09-02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KR10221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85A KR102216178B1 (ko) 2020-09-02 2020-09-02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85A KR102216178B1 (ko) 2020-09-02 2020-09-02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178B1 true KR102216178B1 (ko) 2021-02-17

Family

ID=7473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85A KR102216178B1 (ko) 2020-09-02 2020-09-02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1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36B1 (ko) * 2021-02-15 2021-07-26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파손방지가 강화된 세라믹데크
KR102415054B1 (ko) * 2022-02-15 2022-07-04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무기복합체 압출성형콘크리트 차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16396101A (zh) * 2023-04-24 2023-07-07 大冶有色金属有限责任公司 一种再生铜精炼反射炉还原管养护方法
KR102654388B1 (ko) * 2023-10-27 2024-04-04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폐자원을 활용한 경량 방음판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068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콘크리트미학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수 및 복원용 시멘트몰탈
KR100884355B1 (ko) * 2008-06-10 2009-02-17 양희용 섬유혼입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20130115075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이노블록 코팅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20190051130A (ko) 2017-11-06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1626B1 (ko) * 2019-05-01 2019-08-19 (주)익성텍린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068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콘크리트미학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수 및 복원용 시멘트몰탈
KR100884355B1 (ko) * 2008-06-10 2009-02-17 양희용 섬유혼입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20130115075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이노블록 코팅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20190051130A (ko) 2017-11-06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1626B1 (ko) * 2019-05-01 2019-08-19 (주)익성텍린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36B1 (ko) * 2021-02-15 2021-07-26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파손방지가 강화된 세라믹데크
KR102415054B1 (ko) * 2022-02-15 2022-07-04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무기복합체 압출성형콘크리트 차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16396101A (zh) * 2023-04-24 2023-07-07 大冶有色金属有限责任公司 一种再生铜精炼反射炉还原管养护方法
KR102654388B1 (ko) * 2023-10-27 2024-04-04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폐자원을 활용한 경량 방음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178B1 (ko) 강화된 강도를 갖는 세라믹 데크의 제조방법
KR102216175B1 (ko) 세라믹 데크 및 그 제조방법
US510867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building products
KR100873391B1 (ko)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2011626B1 (ko)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데크 생산 방법
CA2854366A1 (en) Lightweight extruded cementitious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352295B2 (en) Composite blast furnace mineral powder and synthetic material made from same
KR102212066B1 (ko) 친환경 칼라골재를 이용한 일체형 불연성 건축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0969308B1 (ko) 숯이 함유된 석고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석고보드
KR100982653B1 (ko)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KR101155439B1 (ko) 컬러형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 및 컬러형 압출성형 콘트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KR102280936B1 (ko) 파손방지가 강화된 세라믹데크
KR102415054B1 (ko) 무기복합체 압출성형콘크리트 차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76295B1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석재 제조방법
KR101168247B1 (ko) 이중 바닥재용 압출성형시멘트패널의 제조방법
CN115043640A (zh) 一种户外地板用陶木材料及其使用方法
KR1009377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0937777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0937778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CN107352911A (zh) 一种抗裂保温砂浆
KR1011408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KR20120108684A (ko) 콘크리트 블록의 표층 강화 및 보호용 수용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의 표층 강화 공법
KR100874883B1 (ko) 난연성 바닥 마감재 조성물
KR102557506B1 (ko) 생칠을 이용한 건축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CN213296704U (zh) 一种建筑用酚醛保温板外墙保温隔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