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35B1 -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 Google Patents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035B1
KR102216035B1 KR1020190072609A KR20190072609A KR102216035B1 KR 102216035 B1 KR102216035 B1 KR 102216035B1 KR 1020190072609 A KR1020190072609 A KR 1020190072609A KR 20190072609 A KR20190072609 A KR 20190072609A KR 102216035 B1 KR102216035 B1 KR 10221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printer
weight
part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662A (ko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철 filed Critical 박종철
Priority to KR102019007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0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e.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3D 프린팅하여 새로운 추모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첨가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Filament composition for 3D printer containing bone powder for manufacturing shape for memorial, method of manufacturing filament for 3D printer using the same, and filament for 3D printer manufactured from this}
본 발명은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3D 프린팅하여 새로운 추모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는 사람 또는 애완동물이 사망한 후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이 대다수였으며, 과거에는 화장에 의한 장례문화가 널리 보급되지 않았었다.
최근에서야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화장에 의한 장례문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화장률이 84.6%에 달하고, 부산광역시의 경우도 화장률이 93%로 장례문화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화장함에도 불구하고, 유골은 주위의 습기를 강하게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유골을 장기간 보존하기 어렵고, 관리를 조금만 소홀히 하면 변질이 시작되고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며, 해충의 침입으로 유골이 훼손당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므로, 더러는 불법적으로 산골(散骨)을 하는 형태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 종전까지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어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사체를 넣어 폐기처리하기도 하였으나,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사체를 일반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리는 것은 반려동물 소유주의 심적 거부감을 발생시키고, 사체를 보게 되는 일반인에게도 심한 거부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에 착안하여 고인 또는 애완동물을 추모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유골을 형상화하는 방법(등록번호: 10-1700874)'에서는 유골 30~60중량wt%, 무기물 재료 10~30중량wt% 및 바인더로 사용되는 유기물 재료 20~50중량wt%로 혼합되는 슬러리로 유골의 원본 모형을 제조한 후, 원본 모형으로 소프트 몰드를 제조한 다음 소프트 몰드에 슬러리를 넣고 경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유골을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형상화된 유골의 원본 모형을 이용하여 별도의 소프트 몰드를 만들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썩어 장기간 보관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고인 또는 애완동물을 오랫동안 추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왔다.
따라서 고인이나 반려동물에 대한 생전의 좋은 추억을 보다 의미있고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게 원하는 형상으로 만듦으로써, 장소 및 비용에 구애받지 않고 편안하게 추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 후 골분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00874호, 2017.01.23.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3D 프린팅하여 새로운 추모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상기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상기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준비하는 제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압출하여 와이어 형태의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상기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압출하여 형성되는 와이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숯이 첨가됨으로써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이 부패하거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인 또는 반려동물을 화장한 후 생성된 골분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고인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이 함유된 필라멘트로 원하는 형상으로 3D 프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추모문화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
본 발명은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과, 이러한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압출하여 와이어 형태의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분자수지, 골분, 숯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압출하여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이루는 각각의 단계에 대한 특징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고자 한다.
먼저, 제1단계는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S10).
우선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루는 고분자수지, 골분, 숯 및 첨가제 각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첫째, 고분자수지는 필라멘트 조성물의 베이스를 이루는 성분으로써, 필라멘트 조성물이 압출기(100)의 본체(110) 내부를 통과하면서 스크루(120)에 의해 압출될 때 필라멘트를 유연한 와이어 형태로 만들어주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분자수지는 공기 중에 노출되어도 산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고, 필라멘트로의 압출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고분자수지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폴리락틱액시드(Polylactic acid, PLA),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나일론(Nylon) 중 어느 하나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상술된 종류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3D 프린팅할 수 있는 고분자수지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둘째, 골분은 유골을 분쇄화한 분말 형태로써, 사람 또는 반려동물이 사망한 후 화장함으로 인해 남은 재를 의미하는 구성이다.
앞서 설명된 고분자수지로만 필라멘트를 제조하게 되면 강도 구현에 단점이 있으나, 강도 부여가 가능한 골분이 필라멘트 조성물에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필라멘트로의 형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골분은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40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는데, 1중량부 미만이면 고분자수지에 강도를 부여해주지 못해 필라멘트로의 안정적인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골분이 40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라멘트 조성물에 변질이 시작되고 부패되면서 악취를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분이 너무 많은 양으로 혼합되면 압출기(100)의 본체(110) 내부에서 필라멘트 조성물이 액상화되는데 방해를 하기 때문에 유연한 필라멘트로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상기의 이유로 골분은 1~40중량부(바람직하게는 1~8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로 포함되어야만 하는 중요한 임계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때 골분의 입자 크기는 1~100㎛인 것이 좋은데, 1㎛ 미만이면 입자가 너무 작아 공정상에서 입자 흩날림이 발생해 골분의 유실률이 높아질 우려가 있고, 100㎛를 초과하면 오히려 골분의 입자 크기가 너무 커서 필라멘트로 압출될 때 필라멘트의 표면이 울퉁불퉁해질 수 있기 때문에 골분의 입자가 너무 커져서는 안된다.
이렇게 골분이 준비되면, 고분자수지와 혼합되기 전에 골분 자체에 살균처리를 한다. 골분의 살균처리는 환경적인 안전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써, 골분 자체가 살균처리되어야지만 숯으로 인한 골분의 방부에 시너지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골분을 살균소독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한데, 예컨대 자외선 소독, 오존살균 등이 있으며, 살균제 분무도 가능하다.
셋째, 숯은 참나무, 대나무 등의 목재를 대기 중에서 가열/연소하면 탄소, 산소 및 수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탄산가스와 물로 휘산하고 미량의 회분만이 남게 되는데, 가스배출구를 갖춘 용기 중에서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면 연소를 일으키지 않고 훈소(공기의 공급 부족이나 가연성 증기의 농도 저하로 인해 불꽃이 발생하지 못하고 연소하는 형태)하면서 각 구성원소가 상호 결합하여 각종 화합물을 생성하고, 다시 결합과 복분해를 통하여 복잡한 화합물이 되어 휘산하고 남은 고형물질의 탄소함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됨에 따른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고체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습 및 습도 조절을 통해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숯은 탄소가 약 80~90%를 차지하며, 그외 산소, 수소 및 무기성분인 회분을 함유하는 복잡한 탄소질의 고분자 물질로써, 표면적이 1g 중 약 100~300㎡으로 아주 크고 다공성이기 때문에 흡착능력이 큰데, 이러한 숯의 흡착능력은 탄화되며 생성되는 미세한 기공들로 인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즉 숯은 그 내부가 다공질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골분에서의 부패균 발생을 억제하여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악취를 흡착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필라멘트 조성물에 골분이 함유되게 되더라도 변질 또는 부패가 진행되지 않게 된다.
내용인즉 숯은 미생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그 자체로 자연친화적인 물질이어서 독성과 자극성이 적고, 스스로 수분을 흡착해 습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부 및 항균 작용을 하여 곰팡이와 악취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므로, 골분의 방부를 위해 인위적인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숯은 분말 형태로 첨가되는데,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숯이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골분에 방부효과를 기여하는 바가 적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이하의 양이 첨가된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탁월한 방부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굳이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1~10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어야 생산 측면에서 유리하다.
특히 숯은 골분과 함께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골분과 혼합되어도 물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하면서 골분을 효율적으로 방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넷째, 첨가제는 고분자수지에 골분과 숯의 혼화력을 위해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첨가제는 고분자수지, 골분 및 숯과의 혼화력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는데, 1중량부 미만이면 고분자수지, 골분 및 숯과의 혼화력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골분과 숯이 고분자수지에 안정적으로 접착 또는 유화될 수 있게 해주지 못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필라멘트 조성물의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첨가제는 1~1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이민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되는 양에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단,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이민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중 어느 하나 단독만으로 사용될 때도 1~10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접착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접착성질로 인해 고분자수지에 골분과 숯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해준다.
폴리에틸렌이민은 접착효과와 더불어 습윤 강도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숯의 다공성 구조에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 등의 물질이 흡착되도록 유도하여 골분의 방부 효과를 도와준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알칼리 셀룰로오스에 클로로초산염을 반응시켜 셀룰로오스의 수산기를 카르복시메틸화시킨 것으로, 화학적으로 굉장히 안정적이어서 무해/무독하여 폴리우레탄과 폴리에틸렌이민과 더불어 접착효과를 부여하고, 골분을 방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접착효과라 함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유화분산제로써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분자수지에 골분과 숯이 안정적으로 혼화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유화안정화를 통해 고분자수지에 골분과 숯의 접착성 향상에 기여하는 작용을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와이어 형태의 필라멘트를 압출하여 제조하는 단계이다(S2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100)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고분자수지, 골분, 숯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A1)이 와이어 형태의 필라멘트(A2)로 제조되도록 하는 압출기(1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압출기(100)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압출기(10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단계는 앞선 제1단계에서 준비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기(100)를 이루는 본체(110)에 투입하여 200~300℃ 온도조건으로 열을 가해 필라멘트 조성물(A1)이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스크루(120)에 의해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착되어 본체(110)의 타측에 형성된 노즐(130)을 통하여 필라멘트(A2)가 인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압출기(100)의 본체(110) 내부온도가 200℃ 미만이면 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펠릿을 액상화시키기에 낮은 온도여서 고분자수지에 골분, 숯 및 첨가제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라멘트가 노즐(130)을 통해 견고한 모양으로 인출되는 못한다. 이와 달리, 300℃를 초과하면 너무 높은 온도로 인하여 본체(110) 내부에 투입된 필라멘트 조성물의 물성에 변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200~300℃ 온도조건으로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할 때만 견고한 물성의 필라멘트가 제조된다.
이렇게 노즐(130)을 통하여 인출되는 필라멘트는 1.5~3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필라멘트의 직경이 1.5mm 미만이면 노즐(130)에서 필라멘트를 밀어주는 압력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고, 3mm를 초과하면 정밀한 3D 프린팅을 하는데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1.5~3mm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필라멘트로 압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필라멘트에 색상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완성된 필라멘트에 채색하는 후가공을 거치는 방법과, 압출기(100)의 본체(110)에 필라멘트 조성물을 투입할 때 색소를 함께 넣는 방법으로 나뉘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필라멘트에 색상 부여가 가능하다.
상술된 과정을 통해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기(100)를 통하여 200~300℃에서 압출함으로써, 와이어 형태의 필라멘트가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ABS로 이루어진 펠릿 200g, 유골을 화장한 후 남은 재로 이루어진 골분 60g, 숯 분말 16g, 첨가제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16g으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예열된 압출기에 투입한 후 압출하여 직경이 2mm인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이되, 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펠릿 200g만으로만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예열된 압출기에 투입한 후 압출하여 직경이 2mm인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이되, 숯 분말만을 제외한 필라멘트 조성물을 예열된 압출기에 투입한 후 압출하여 직경이 2mm인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을 다음의 표 1에 정리해 보았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ABS 200g 200g 200g
골분 60g 60g
숯 분말 16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16g 16g
전체적인 평가 부패가 일어나지 않고, 경도가 안정적임 경도가 좋지 않음 악취가 발생하고, 부패가 15% 이상 발생됨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필라멘트는 숯으로 인해 부패가 일어나지도 않고 골분으로 인해 경도가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비교예 1은 고분자수지인 ABS로만 이루어져 있어 실시예 1에 비해 경도가 다소 안정적이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2는 골분의 방부를 막아줄 성분이 없어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악취가 나기 시작하면서 필라멘트의 부패가 15%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에 따르면, 고분자수지에다가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숯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압출하여 와이어 형태의 필라멘트를 얻을 수 있는데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숯으로 인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이 부패하거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효율적인 방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인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이 함유된 필라멘트로 원하는 형상으로 3D 프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추모문화를 조성할 수 있는데에 의미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압출기
110: 본체
120: 스크루
130: 노즐
A1: 필라멘트 조성물
A2: 필라멘트

Claims (4)

  1.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상기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3.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상기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압출하여 와이어 형태의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4.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골을 분쇄화한 골분 1~40중량부, 상기 골분의 방부를 위한 숯 1~10중량부 및 첨가제 1~10중량부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조성물을 200~300℃에서 압출하여 형성되는 와이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20190072609A 2019-06-19 2019-06-19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221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09A KR102216035B1 (ko) 2019-06-19 2019-06-19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09A KR102216035B1 (ko) 2019-06-19 2019-06-19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62A KR20200144662A (ko) 2020-12-30
KR102216035B1 true KR102216035B1 (ko) 2021-02-16

Family

ID=7408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609A KR102216035B1 (ko) 2019-06-19 2019-06-19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406A (ko) 2021-12-28 2023-07-05 이강우 3d 프린팅을 이용한 생분해성 추모 조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72B1 (ko) 2008-06-04 2010-09-07 강재윤 숯을 이용한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389B1 (ko) 2012-05-11 2012-08-27 박세환 황토옻조성물을 이용한 화장 유골 친환경 결정체 제조방법
KR101818049B1 (ko) 2016-03-25 2018-01-12 황규수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KR101860388B1 (ko) 2017-03-10 2018-05-24 (주)티엘씨코리아 내충격성 및 저수축성이 향상된 3d 프린터 필라멘트용 abs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라멘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866B1 (ko) * 2003-03-26 2007-02-05 배재열 유골 고형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80838A1 (en) * 2007-12-27 2011-11-17 Advanced Technologies And Regenerative Medicine, Llc Treatment of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using human umbilical cord tissue-derived cells
KR100820011B1 (ko) * 2006-09-26 2008-04-07 황영일 납골 항아리
KR20120006009U (ko) * 2011-02-18 2012-08-28 심요섭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KR20150092467A (ko) * 2014-02-05 2015-08-13 조영태 3d프린터를 활용한 골분재 흉상
KR101700874B1 (ko) 2014-05-26 2017-01-31 이충석 유골을 형상화하는 방법
KR101823564B1 (ko) * 2016-01-29 2018-01-30 조현목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KR20160140526A (ko) * 2016-11-17 2016-12-07 (주)유케이비 애완동물 기념 동상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72B1 (ko) 2008-06-04 2010-09-07 강재윤 숯을 이용한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389B1 (ko) 2012-05-11 2012-08-27 박세환 황토옻조성물을 이용한 화장 유골 친환경 결정체 제조방법
KR101818049B1 (ko) 2016-03-25 2018-01-12 황규수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KR101860388B1 (ko) 2017-03-10 2018-05-24 (주)티엘씨코리아 내충격성 및 저수축성이 향상된 3d 프린터 필라멘트용 abs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라멘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406A (ko) 2021-12-28 2023-07-05 이강우 3d 프린팅을 이용한 생분해성 추모 조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62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04B1 (ko)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KR101834116B1 (ko) 항균성 레진과 그 제조방법
WO2011040424A1 (ja) 除菌機能付き脱臭剤、除菌機能付き脱臭材料、除菌機能付き脱臭剤の滴下供給装置、除菌機能付き脱臭剤の噴霧方法
KR102216035B1 (ko)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CN105111752A (zh) 一种能有效吸附和自动降解甲醛的环保竹炭板材及其制备工艺
KR100686616B1 (ko) 잉크 제조용 천연 바인더의 제조 방법
CA3137108A1 (en) Hemp-based char or oils and polymers formed as fibers or films having enhanced properties
KR101072923B1 (ko) 기능성 천연염색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6143B1 (ko) 항균성 바이오매스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4161A (ko)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항균성 포장재의 제조방법
KR100854730B1 (ko) 은 나노 항균 플라스틱 펠렛 및 그 제조방법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8401B1 (ko) 항균 및 수성 소거 기능을 지닌 천연 잉크 조성물
CN205637481U (zh) 一种木塑复合地板
WO2019161678A1 (zh) 一种抗菌杀菌释放负离子可清洗垫及其制备方法
KR102169080B1 (ko) 탄소 저감 및 미세먼지 포집이 용이한 인조잔디용 파일원사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되는 파일원사
KR101545288B1 (ko) 신선도 기능이 부여된 친환경 원료 펠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7839B1 (ko) 바이오매스 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바이오매스 시트
KR102132978B1 (ko) 피톤치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2239B1 (ko)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287604A (zh) 一种生物质抗菌防霉剂、包含其的卫生香及制备方法
KR20080091944A (ko) 항균성을 갖는 고무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0518960B1 (ko) 숯이 함유된 플라스틱 수도관
KR20030012511A (ko) 숯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플라스틱 제품
KR20210081516A (ko)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