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239B1 -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239B1
KR100832239B1 KR1020080040735A KR20080040735A KR100832239B1 KR 100832239 B1 KR100832239 B1 KR 100832239B1 KR 1020080040735 A KR1020080040735 A KR 1020080040735A KR 20080040735 A KR20080040735 A KR 20080040735A KR 100832239 B1 KR100832239 B1 KR 10083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powder
crushed
palm fi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102008004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C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NATURAL FILAMENTARY OR FIBROUS MATERIAL TO OBTAIN FILAMENTS OR FIBRES FOR SPINNING; CARBONISING RAGS TO RECOVER ANIMAL FIBRES
    • D01C1/00Treatment of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BMECHANICAL TREATMENT OF NATURAL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TO OBTAIN FIBRES OF FILAMENTS, e.g. FOR SPINNING
    • D01B1/00Mechanical separation of fibres from plant material, e.g. seeds, leaves, stalks
    • D01B1/10Separating vegetable fibres from stalks or leaves
    • D01B1/14Breaking or scutching, e.g. of flax; Decortic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ygen, ozone or ozon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6Packings, gaskets, se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은 각종 야자수로부터 채취된 팜섬유를 10~20메시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팜섬유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 분사된 물로 세척하고,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후 오존(O3)농도가 35mg/ℓ이상인 오존수 탱크 내에 투입하여 4∼12시간 동안 폭기하여 오존처리하고, 180∼200℃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하고, 30∼40메시 크기로 파쇄한 다음, 파쇄된 팜섬유를 각기 80∼120메시 및 150∼200메시 크기로 2차에 걸쳐 분쇄하여 팜섬유 분말을 형성하고, 상기 팜섬유 분말 70∼85 중량%, 탄산칼슘(CaCO3) 5∼10 중량%, 전분 4∼8 중량%, 식물성 기름 3∼7 중량%,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 3∼5 중량%으로 배합하여 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배합체를 지름 2~3mm, 길이 5~8mm의 원기둥 모양의 압축 제제(製劑)인 펠릿으로 성형하고, 상기 제조된 펠릿을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틀에 공급하고 180∼200℃온도하의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자외선살균기로 살균하고 건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널, 충전재, 벽지 등의 건축 용품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컵, 접시, 용기 등의 일회용 물품 등의 성형체를 팜섬유를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간단히 성형틀에 주입하고 압착하여 용이하게 성형체를 만들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폐기시 생분해가능하며 환경오염의 유발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친환경 적인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팜섬유, 팜섬유성형체, 환경오염, 무독성, 야자수, 오존

Description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molded article including palm fib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팜섬유를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간단히 성형틀에 주입하고 압착하여 용이하게 패널, 충전재, 벽지 등의 건축 용품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컵, 접시, 용기 등의 일회용 물품 등의 다양한 성형체를 만들 수 있으며,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운반 또는 저장이 가능하여 팜섬유 분말 이동 저장시에 발생하는 분진 또는 먼지를 줄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폐기시 생분해가능하며 환경오염의 유발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새집증후군이라고 일컫을 정도로 신축 건물로부터 각종 유해한 독소가 방출됨에 따라 피부가 약한 어린이들은 물론 성인의 경우에도 피부염을 유발하고 인체에 질병을 초래하는 등 심각한 문제점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관련업계 및 연구단체에서는 내장재 및 충전재, 벽지 등의 각종 건축용품의 개선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그동안 우리의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던 일회용 컵, 접시 등으로부터도 인체에 해로운 독성 물질의 방출과 폐기시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의 발생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함에 따라 그 사용이 금지 내지는 지양되고 있다.
그래서, 왕겨, 톱밥, 짚, 갈대, 야자 열매껍질, 폐지, 황토 등의 천연 소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은 원료가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품의 색상이 탁하고 오염도가 심하고, 성형이 어려워 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건축용품의 표준 물성의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을 정도로 탄력성, 경도, 인장강도 및 파열강도 등이 약하여 내구성의 측면에서 부적합하며, 제조에 비용이 많이 들어 비록 천연소재여서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더라도 실내 패널 등의 건축용품으로 사용되기에는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특히, 야자수로부터의 팜섬유의 경우 탄력성은 풍부하나 질기고 누런 갈색의 탈색이 어려워 예전에는 거의 이용가치고 없고 연료로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 천연 신소재의 개발에 힘입어 침대매트리스, 충전재 등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팜섬유의 탈색이 어렵고 그에 비용이 많이 들므로 다양한 색상이 요구되는 고가의 제품으로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자수 껍질 등에서 채취한 팜섬유를 배합하기 위하여 분쇄하여 팜 나무 자체 보다는 팜섬유를 분쇄하여 팜섬유분말을 만들고, 상기 팜섬유 분말을 저장고에 저장하여 수출입하거나 이송하여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때는 팜섬유 분말에서 발생되는 먼지, 분진 등에 의하여 이동이 상당히 불편하였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팜섬유를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간단히 성형틀에 주입하고 압착하여 용이하게 다양한 성형체를 만들 수 있으며,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운반 또는 저장이 가능하여 팜섬유 분말 이동 저장시에 발생하는 분진 또는 먼지를 줄일 수 있으며, 내장용 패널 등의 건축용품으로서 충분한 강도 등의 물성과 방음성, 보온성 및 내구성를 겸비하면서도 화학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또한 폐기시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으며 땅속 매립시 자연분해될 수 있는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연 팜나무의 줄기 및 열매의 껍질로부터 채취된 팜섬유(palm fiber)를 주원료로 하면서, 팜섬유를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간단히 성형틀에 주입하고 압착하여 용이하게 패널, 충전재, 벽지 등의 건축 용품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컵, 접시, 용기 등의 일회용 물품 등의 다양한 성형체를 만들 수 있으며,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운반 또는 저장이 가능하여 팜섬유 분말 이동 저장시에 발생하는 분진 또는 먼지를 줄일 수 있으며, 또 오염되고 착색도가 심한 천연 팜섬유를 오존수로 처리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팜나무를 단시간에 피브릴(fibril)화하여 섬유화하면서 탄력성 및 강도 등의 물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고, 팜섬유를 세척, 살균, 탈색 및 탈취시킬 수 있어서 저가의 팜섬유 의 질을 향상시켜 고급 성형체로 적용될 수 있도록, 각종 야자수로부터 채취된 팜섬유를 10~20메시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팜섬유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 분사된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후 오존(O3)농도가 35mg/ℓ이상인 오존수 탱크 내에 투입하여 4∼12시간 동안 폭기하여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단계; 180∼200℃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30∼40메시 크기로 파쇄한 다음, 파쇄된 팜섬유를 각기 80∼120메시 및 150∼200메시 크기로 2차에 걸쳐 분쇄하여 팜섬유 분말을 형성하는 분쇄단계; 상기 팜섬유 분말 70∼85 중량%, 탄산칼슘(CaCO3) 5∼10 중량%, 전분 4∼8 중량%, 식물성 기름 3∼7 중량%,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 3∼5 중량%으로 배합하여 배합체를 형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체를 지름 2~3mm, 길이 5~8mm의 원기둥 모양의 압축 제제(製劑)인 펠릿으로 성형하는 펠릿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펠릿을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틀에 공급하고 180∼200℃온도하의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자외선살균기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성형체를 상온에서 2시간~4시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팜섬유 성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팜섬유 성형체는 패널, 충전재, 벽지 등의 건축 용품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컵, 접시, 용기 등의 일회용 물품 등의 성형체를 팜섬유를 펠릿 형태로 제조하여 간단히 성형틀에 주입하고 압착하여 용이하게 다양한 성형체를 만들 수 있으며, 펠릿형태로 제조하여 운반 또는 저장이 가능하여 팜섬유 분말 이동 저장시에 발생하는 분진 또는 먼지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그 폐기시 땅에 매립될 경우 완전 분해되며 또 동물들이 먹어도 해가 없어 매우 친환경적이며,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팜섬유 성형체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탄력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연하고 또 각종 색상으로 착색가능하므로 값싼 원료를 사용하여도 수려한 색상의 고가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어, 건축용 내장 및 간막이용 패널, 충전재, 단열재 등의 보드, 또는 벽지 등의 건축 용품 등 그 두께 및 길이 등을 적용 용도에 맞추어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의 특징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팜섬유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각종 야자수로부터 채취된 팜섬유를 10~20메시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팜섬유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 분사된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후 오존(O3)농도가 35mg/ℓ이상인 오존수 탱크 내에 투입하여 4∼12시간 동안 폭기하여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단계; 180∼200℃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30∼40메시 크기로 파쇄한 다음, 파쇄된 팜섬유를 각기 80∼120메시 및 150∼200메시 크기 로 2차에 걸쳐 분쇄하여 팜섬유 분말을 형성하는 분쇄단계; 상기 팜섬유 분말 70∼85 중량%, 탄산칼슘(CaCO3) 5∼10 중량%, 전분 4∼8 중량%, 식물성 기름 3∼7 중량%,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 3∼5 중량%으로 배합하여 배합체를 형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체를 지름 2~3mm, 길이 5~8mm의 원기둥 모양의 압축 제제(製劑)인 펠릿으로 성형하는 펠릿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펠릿을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틀에 공급하고 180∼200℃온도하의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자외선살균기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성형체를 상온에서 2시간~4시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팜섬유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코코야자, 빈랑야자, 기름야자, 대왕야자, 북야자, 공작야자 카나리아야자 등으로부터 채취된 각종 야자수의 껍질 및 그 열매의 껍질과 줄기로부터 채취된 것이다.
이들 천연 팜섬유는 먼저 이동과 운반이 용이하고, 이물질 제거와 세척이 용이하도록 10~20메시로 파쇄한다.
상기와 같이 파쇄한 팜섬유는 상기 파쇄된 팜섬유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한 후, 오존(O3)농도가 35mg/ℓ이상인 오존수 탱크 내에 투입하여 일정 시간동안 침지된다. 침지 시간이 적어도 4시간이 지나야 탈색이 이루어지며 하루 정도 침지하여도 그 물성에 큰 지장은 없으나 12시간 이상 침지할 경 우 제조 효율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4∼12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 좋다.
침지중에는 폭기시켜 침지된 팜섬유를 지속적으로 혼합시켜 일정한 탈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천연 팜섬유를 오존수에 침지하면 수중에 공기 및 산소와 함께 미세한 기포로 되어 용해되어 있는 오존의 작용으로 팜섬유의 탄력성 등 기타 물성은 보존되면서 그에 내포된 리그닌(lignin)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고 그 본래의 누런 갈색이 탈색됨과 동시에 탈취되고, 또한 단시간에 피브릴(fibril)화 되어 섬유가 유연하게 되어 기존 팜섬유에서의 탈색이 어려워 이용가치가 적고 고가품으로의 제조가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하게 된다.
또한 이때 오존수 탱크내의 오존(O3)농도는 35mg/ℓ이상이 되어야 팜섬유의 살균 및 탈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처리시 탱크내 오존 농도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오존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려면 오존함유 기포의 크기가 작고 탱크 내 오존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설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오존수 탱크에 침지되었던 팜섬유 분말(A)과 일반 수도물 탱크에 침지되었던 팜섬유 분말(B)을 동일한 통상의 시험법에 따라 색상, 시료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지수-탁도의 ABS(흡광도) 측정 및 대장균(E.Coli)의 수를 측정하여 탈색 및 살균 정도를 각기 시험하였다.
색상 시험에서 흰색에 가까운 정도를 1, 검은 색에 가까운 정도의 진한 색상을 100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1에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
시료 색상(color) ABS(흡광도) 대장균 수(cfu/㎖) 전/후
팜섬유 분말(A) 5 0.061 10,000,000/0
팜섬유 분말(B) 91 0.196 10,000,000/변화없음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오존수 탱크에 침지되었던 팜섬유 분말(A)은 색상이 거의 흰색에 가까운 아이보리색을 나타냈으나, 일반 수도물 탱크에 침지되었던 팜섬유 분말(B)은 별로 탈색되지 않은 채 본래의 누런 갈색 그대로여서, 오존수 처리될 경우 살균효과는 물론 탈색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 팜섬유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오존처리한 다음, 180∼200℃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한다.
이후, 먼저 30∼40메시 크기로 파쇄하여 조각을 낸 다음 파쇄기에 투입하여 팜섬유를 각기 80∼100메시 및 120∼150메시 크기가 되도록 2차에 걸쳐 분쇄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2차례에 걸쳐 나눠 분쇄하는 것이 분쇄효과가 높으며, 추후 염색시 발색(發色)이 원활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체는 상기 팜섬유 분말 70∼85 중량%, 탄산칼슘(CaCO3) 5∼10 중량%, 전분 4∼8 중량%, 식물성 기름 3∼7 중량%,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 3∼5 중량%으로 배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전분으로는 팜나무 등 목재로부터 채취된 전분 또는 옥수수, 감자 등의 곡물로부터 채취된 전분 등 모든 종류의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전분은 팜섬유 분말이 성형체로의 형성시 잘 엉기도록 하는 역할 을 한다. 그러므로, 그 양이 상기 하한보다 적으면 형성된 성형체의 인장 강도가 다소 약하게 되며 또 상기 상한보다 많이 적용될 경우 성형체의 제조단가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가 적당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성형체의 응고제의 역할을 하며, 인장강도를 높여주고 섬유질이 많은 팜섬유의 공극을 메꿔주는 충진재 역할을 한다.
또 본 발명의 팜섬유 성형체의 하나의 성분으로서 식물성 기름은 성형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성형체에 내수성을 부여하여 성형체로의 수분 침투를 막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코코넛유, 야자유 등 모든 공지의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양이 상기 상한 보다 많이 첨가되면 조성물의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는 반면 그 하한 보다 양이 적게 첨가되면 형성된 성형체의 내수성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은 본 발명의 팜섬유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에 견고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별도의 향료를 투입하지 않아도 향긋한 향기를 발산하므로 성형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3∼5%의 범위 내에서 첨가되는데, 그 양이 상기 상한을 넘을 경우 성형 작업이 어려워지며 또 상기 하한을 하회할 경우에는 성형물의 다소 무르게 되고 천연분말의 향의 발산이 적고 효과를 나타낼 수 없어 부적당하다. 상기 천연분말은 재료를 건조시켜 분말을 만들어 형성한다. 상기 감귤분말과 잣봉우리분말은 향과 색소를 첨가시키는 기능을 하고, 선인장분말은 원적외선을 발산시켜 전자파를 차단 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펠릿(pellet)은 배합체를 지름 2~3mm, 길이 5~8mm의 원기둥 모양의 압축 제제(製劑)로 성형하여 형성한다. 상기 배합체를 타공된 성형기에 넣고 압력을 가하여 배출되는 배합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 크기의 단위체인 펠릿으로 성형하여 수출입과 같은 이동이 편리하고, 필요한 중량을 측정하기 매우 용이하며, 운반이나 저장시에 먼지나 분진이 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펠릿을 건축자재 또는 일회용 용기의 성형틀에 주입하고 180∼200℃온도하의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성형체를 만든다. 열을 가하면 펠릿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 기름이 흘러나오면서 각 펠릿을 혼합하여 응집력 및 결합력을 높여주어 완전한 성형체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성형체는 자외선 살균기로 살균하여 제조공정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원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성형체를 완성한다.
위와 같은 특정 성분 및 비율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팜섬유 성형체는 비록 값싼 원료들을 사용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상호 상승작용으로 응집력 및 결합력이 우수하므로 성형체에 적당한 견고성, 강도 등의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팜섬유 성형체는 판상(板狀) 시이트(sheet)로 성형될 경우 그 성형 두께에 따라 건축용 내장 및 칸막이용 패널(panel), 충전재, 단열재 등의 보드(board) 또는 벽지 등의 건축 용품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또 일회용 컵, 접시, 상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성형 될 수 있다.

Claims (2)

  1. 각종 야자수로부터 채취된 팜섬유를 10~20메시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팜섬유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 분사된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후 오존(O3)농도가 35mg/ℓ이상인 오존수 탱크 내에 투입하여 4∼12시간 동안 폭기하여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단계;
    180∼200℃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30∼40메시 크기로 파쇄한 다음, 파쇄된 팜섬유를 각기 80∼120메시 및 150∼200메시 크기로 2차에 걸쳐 분쇄하여 팜섬유 분말을 형성하는 분쇄단계;
    상기 팜섬유 분말 70∼85 중량%, 탄산칼슘(CaCO3) 5∼10 중량%, 전분 4∼8 중량%, 식물성 기름 3∼7 중량%,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 3∼5 중량%으로 배합하여 배합체를 형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체를 지름 2~3mm, 길이 5~8mm의 원기둥 모양의 압축 제제(製劑)인 펠릿으로 성형하는 펠릿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펠릿을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틀에 공급하고 180∼200℃온도하의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자외선살균기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성형체를 상온에서 2시간~4시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섬유 성형체 제조방법.
  2. 각종 야자수로부터 채취된 팜섬유를 10~20메시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팜섬유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 분사된 물로 세척하고, 상기 세척단계를 거친 후 오존(O3)농도가 35mg/ℓ이상인 오존수 탱크 내에 투입하여 4∼12시간 동안 폭기하여 오존처리하고, 180∼200℃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하고, 30∼40메시 크기로 파쇄한 다음, 파쇄된 팜섬유를 각기 80∼120메시 및 150∼200메시 크기로 2차에 걸쳐 분쇄하여 팜섬유 분말을 형성하고, 상기 팜섬유 분말 70∼85 중량%, 탄산칼슘(CaCO3) 5∼10 중량%, 전분 4∼8 중량%, 식물성 기름 3∼7 중량%, 감귤분말, 잣봉우리 분말, 선인장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복합체로 형성된 천연분말 3∼5 중량%으로 배합하여 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배합체를 지름 2~3mm, 길이 5~8mm의 원기둥 모양의 압축 제제(製劑)인 펠릿으로 성형하고, 상기 제조된 펠릿을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틀에 공급하고 180∼200℃온도하의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자외선살균기로 살균하고, 상기 살균된 성형체를 상온에서 2시간~4시간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
KR1020080040735A 2008-04-30 2008-04-30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735A KR100832239B1 (ko) 2008-04-30 2008-04-30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735A KR100832239B1 (ko) 2008-04-30 2008-04-30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239B1 true KR100832239B1 (ko) 2008-05-23

Family

ID=3966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735A KR100832239B1 (ko) 2008-04-30 2008-04-30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383A (zh) * 2015-11-12 2016-01-20 六安市华龙麻纺工艺制品有限公司 一种黄麻脱胶方法
CN109537064A (zh) * 2019-01-23 2019-03-29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棕叶纤维的制取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750A (ko) * 2006-07-28 2008-01-31 (주)에코브라운 팜 섬유를 이용한 고기능성 산업용 신소재 시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750A (ko) * 2006-07-28 2008-01-31 (주)에코브라운 팜 섬유를 이용한 고기능성 산업용 신소재 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383A (zh) * 2015-11-12 2016-01-20 六安市华龙麻纺工艺制品有限公司 一种黄麻脱胶方法
CN109537064A (zh) * 2019-01-23 2019-03-29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棕叶纤维的制取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492B1 (ko) 생분해성 친환경 배변 패드
CN103113753A (zh) 植物纤维环保材料及其制造方法以及应用
KR101877016B1 (ko) 바이오매스를 함유하는 복합분해 항균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복합분해 항균성 시트
KR101167070B1 (ko) 항균력 강화된 주방 도마 및 주방 도마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34116B1 (ko) 항균성 레진과 그 제조방법
CN107653752A (zh) 一种可降解环保抗菌餐具及其制备方法
KR100832239B1 (ko)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9377B1 (ko) 생분해성 전분 용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전분 용기
CN105800103B (zh) 活性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45815B1 (ko) 항균필름이 결합된 가구 제작용 패널
KR20090058685A (ko) 일회용 생분해성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91647B1 (ko) 패류 껍질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포장용 항균 필름
KR101697514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KR100863218B1 (ko) 팜섬유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성형체
KR102000708B1 (ko) 미생물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고춧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102167839B1 (ko) 바이오매스 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바이오매스 시트
KR101607073B1 (ko) 천연 성분이 함유된 비닐위생장갑의 제조방법
KR101545288B1 (ko) 신선도 기능이 부여된 친환경 원료 펠릿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54639A (zh) 一次性可降解筷子及其制备方法
KR102216035B1 (ko)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JP2010106056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KR100561234B1 (ko) 펄프 몰드를 이용한 난좌(卵座)의 제조방법
KR20030012511A (ko) 숯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플라스틱 제품
CN101036800A (zh) 抗菌除臭卫生巾及其生产方法
KR102575807B1 (ko) 시금치, 녹차, 굴패각 및 송진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