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86B1 - 제초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86B1
KR102215786B1 KR1020167010325A KR20167010325A KR102215786B1 KR 102215786 B1 KR102215786 B1 KR 102215786B1 KR 1020167010325 A KR1020167010325 A KR 1020167010325A KR 20167010325 A KR20167010325 A KR 20167010325A KR 102215786 B1 KR102215786 B1 KR 10221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s
compound
sodium
herbicidal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522A (ko
Inventor
류 야마다
히로유키 오카모토
다카시 데라다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제의 대상이 되는 잡초를 포함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하기 위한 고활성의 제초 조성물을 제공하는, 티아페나실 또는 그의 염과, 플라자술푸론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제초 조성물 {HERBICID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제초 조성물 및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티아페나실을 포함하는 식(I)의 우라실계 화합물이 개시되고, 이들은 다른 제초제와 혼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티아페나실을 포함하는 식(1)의 우라실계 화합물과, 제초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A) 티아페나실과 (B) 플라자술푸론을 조합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인 기재는 일절 보이지 않는다.
또한, 그들을 조합한 경우에 상승적인 제초 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관한 개시는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플라자술푸론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2343284호 국제 공개 제2013/154396호
현재, 수많은 제초 조성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방제의 대상이 되는 잡초를 비롯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하는 데에는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은 경우가 있어, 고활성의 제초 조성물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단독의 유효 성분이 나타내는 제초 활성을 뛰어넘는 고활성을 갖는, 2종의 유효 성분을 조합한 제초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사용한 제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검토를 거듭하여, 특정한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고활성의 제초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지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A) 티아페나실 또는 그의 염(이하, 화합물 A로 약기함)과 (B) 플라자술푸론 또는 그의 염(이하, 화합물 B로 약기함)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그들이 생육하는 장소에 시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 또는 그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제초 유효량과, 화합물 B의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그들이 생육하는 장소에 시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 또는 그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활성의 제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2종의 유효 성분을 조합한 경우의 제초 활성이, 그 2종의 유효 성분 각각의 제초 활성의 단순한 합계(기대되는 활성)보다 커지는 경우, 이것을 상승 작용이라고 한다. 2종의 유효 성분의 조합에 의해 기대되는 활성은 다음과 같이 하여 계산할 수 있다(Colby S.R., 「Weed」 15권, 20 내지 22 페이지, 1967년을 참조).
E=α+β-(α×β÷100)
a; 제초제 X를 x g/ha의 양으로 처리했을 때의 생육 억제율
β; 제초제 Y를 y g/ha의 양으로 처리했을 때의 생육 억제율
E; 제초제 X를 x g/ha 및 제초제 Y를 y g/ha의 양으로 처리했을 때에 기대되는 생육 억제율
즉, 실제의 생육 억제율(실측값)이 상기 계산에 의한 생육 억제율(계산값)보다 큰 경우에는, 조합에 의한 활성은 상승 작용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상기 식으로 계산했을 경우, 상승 작용을 나타낸다.
화합물 A 또는 화합물 B는 염을 형성하는 경우나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농업상 허용되는 것이면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화합물 A에 있어서, 티아페나실(일반명, tiafenacil)은 메틸3-((2RS)-2-{2-클로로-4-플루오로-5-[1,2,3,6-테트라히드로-3-메틸-2,6-디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1(6H)-일]페닐티오}프로피온아미드)프로피오네이트이다.
화합물 B에 있어서, 플라자술푸론(일반명, flazasulfuron)은 1-(4,6-디메톡시 피리미딘-2-일)-3-(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술포닐)우레아이다.
화합물 A와 화합물 B의 혼합 비율은 제제 형태, 기상 조건,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종류나 생육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어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중량비로 500:1 내지 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1:33.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1 내지 1:2이다.
화합물 A와 화합물 B의 제초 유효량은 화합물 A와 화합물 B의 혼합 비율, 제제 형태, 기상 조건,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종류나 생육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어,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화합물 A는 5 내지 500g/ha,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50g/ha,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50g/ha이고, 화합물 B는 1 내지 500g/h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g/ha,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g/ha이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의 시용은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에의 시용 또는 그들이 생육하는 장소에의 시용의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발생 전후 어떤 시기에 시용해도 된다. 또한, 토양 처리, 경엽 처리, 관수 처리, 침수 처리와 같은 다양한 살포 형태를 선택할 수 있고, 밭, 과수원, 수전 등의 농경지, 또는 두렁, 휴경전, 운동장, 골프장, 공터, 삼림, 공장 부지, 선로 옆, 도로 옆 등의 비농경지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일년생 잡초나 다년생 잡초 등의 광범위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파대가리(green kyllinga; 킬링가 브레비폴리아 로트브. 변종 레이올레피스(Kyllinga brevifolia Rottb. var. leiolepis)), 방동사니속 잡초(sedge; 시페루스 종(Cyperus spp.))〔방동사니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향부자(purple nutsedge; 시페루스 로툰두스 엘.(Cyperus rotundus L.)), 알방동사니(smallflower umbrella sedge; 시페루스 디포르미스 엘.(Cyperus difformis L.)), 키향부자(yellow nutsedge; 시페루스 에스쿨렌투스 엘.(Cyperus esculentus L.)), 금방동사니(amur cyperus; 시페루스 미크로이리아 스테우드.(Cyperus microiria Steud.)) 등을 들 수 있음〕와 같은 금방동사니과 잡초(시페라세아에(cyperaceae)); 강피(barnyardgrass; 에키노클로아 크루스-갈리 엘., 에키노클로아 오리지콜라 바싱.(Echinochloa crus - galli L., Echinochloa oryzicola vasing.)), 백색 피(Japanese millet; 에키노클로아 우틸리스 오위 엣 야부노(Echinochloa utilis Ohwi et Yabuno)), 바랭이속 잡초(crabgrass; 디기타리아 종(Digitaria spp.))〔바랭이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바랭이(summergrass; 디기타리아 실리아리스 (레츠.) 코엘(Digitaria ciliaris (Retz.) Koel)), 좀바랭이(large crabgrass; 디기타리아 산구이날리스 엘.(Digitaria sanguinalis L.))), 민바랭이(violet crabgrass; 디기타리아 비올라센스 린크(Digitaria violascens Link)), 떼바랭이(jamaican crabgrass; 디기타리아 호리존탈리스 윌드.(Digitaria horizontalis Willd.)) 등을 들 수 있음〕, 강아지풀(green foxtail; 세타리아 비리디스 엘.(Setaria viridis L.)), 왕바랭이(goosegrass; 엘레우시네 인디카 엘.(Eleusine indica L.)), 존슨 그래스(johnson grass; 소르굼 할레펜세 (엘.) 페르스.(Sorghum halepense(L.) Pers.)), 버뮤다 그래스(bermuda grass; 시노돈 닥틸론 (엘.) 페르스.(Cynodon dactylon (L.) Pers.)), 메귀리(wild oat; 아베나 파투아 엘.(Avena fatua L.)), 새포아풀(annual bluegrass; 포아 안누아 엘.(Poa annua L.)), 기장속 잡초(panic grass; 파니쿰 종(Panicum spp.))〔기장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기니아 그래스(guinea grass; 파니쿰 막시뭄 자크.(Panicum maximum Jacq.)), 미국개기장(fall panicum; 파니쿰 디코토미플로룸 (엘.) 믹스.(Panicum dichotomiflorum (L.) Michx.)) 등을 들 수 있음〕, 시그널 그래스속 잡초(signal grass; 브라키아리아 종(Bvrachiaria spp.))〔시그널 그래스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플란테인 시그널 그래스(plantain signal grass; 브라키아리아 플란타기네아 (린크) 히치크.(Brachiaria plantaginea (LINK) Hitchc.)), 팔리세이드 시그널 그래스(palisade signal grass; 브라키아리아 데쿰벤스 스타프(Brachiaria decumbens Stapf)), 마우리티우스 시그널 그래스(mauritius signal grass; 브라키아리아 무티카 (포르스크.) 스타프(Brachiaria mutica (Forssk.) Stapf)) 등을 들 수 있음〕, 참새피(paspalum; 파스팔룸 종(Paspalum spp.)), 이치 그래스(itchgrass; 로트보엘리아 코킨키넨시스 (로우르.) 더블유.디.클레이톤(Rottboellia cochinchinensis (LOUR.) W.D.CLAYTON)), 대청가시풀(southern sandbur; 센크루스 에키나투스 엘.(Cenchrus echinatus L.)), 수수(shattercane; 소르굼 비콜로르 (엘.) 모엔크.(Sorghum bicolor (L.) Moench.)), 쥐보리(italian ryegrass; 롤리움 물티플로룸 람.(Lolium multiflorum Lam.)), 띠(cogon grass; 임페라타 실린드리카 (엘.) 피.베아우브(Imperata cylindrica (L.) P.Beauv.))와 같은 벼과 잡초(그라미네아에(gramineae)); 개불알풀(persian speedwell; 베로니카 페르시카 포이르.(Veronica persica Poir.)), 선개불알풀(corn speedwell; 베로니카 아르벤시스 엘.(Veronica arvensis L.))과 같은 현삼과 잡초(스크로풀라리아세아에(scrophulariaceae)); 서양 도깨비바늘속 잡초(beggar ticks; 비덴스 종(Bidens spp.))〔서양 도깨비바늘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울산 도깨비바늘(hairy beggarticks; 비덴스 필로사 엘.(Bidens pilosa L.)), 미국 도깨비바늘(devils berggarticks; 비덴스 프론도사 엘.(Bidens frondosa L.)), 털도깨비바늘(비덴스 비테르나타 (로우르.) 메르.엣 쉐르프(Bidens biternata (Lour.) Merr.et Sherff)), 서양 도깨비바늘(beggarticks; 비덴스 수발테르난스 디씨.(Bidens subalternans DC.)) 등을 들 수 있음〕, 털개망초(hairy fleabane; 코니자 보나리엔시스 (엘.) 크론크.(Conyza bonariensis (L.) Cronq.)), 망초(horseweed; 에리게론 카나덴시스 엘.(Erigeron canadensis L.)), 서양민들레(dandelion; 타락사쿰 오피시날레 웨버(Taraxacum officinale Weber)), 도꼬마리(common cocklebur; 크산티움 스트루마리움 엘.(Xanthium strumarium L.))와 같은 국화과 잡초(콤포시타에(compositae )); 활나물속 잡초(rattlepod 또는 rattlebox; 크로탈라리아 종(Crotalaria spp.))〔활나물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숙마(sunn-hemp; 크로탈라리아 준세아 엘.(Crotalaria juncea L.)) 등을 들 수 있음〕, 콩과속 잡초(poison bean; 세스바니아 종(Sesbania spp.))〔콩과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세스바니아(rostrate sesbania; 세스바니아 로스트라타 브레메크. & 오베름.(Sesbania rostrata Bremek. & Oberm.)), 전청(sesbania pea; 세스바니아 칸나비나 (레츠.) 페르스.(Sesbania cannabina(Retz.) Pers.)) 등을 들 수 있음〕, 흰토끼풀(white clover; 트리폴리움 레펜스 엘.(Trifolium repens L.))과 같은 콩과 잡초(레구미노사에(leguminosae)); 유럽점나도나물(sticky chickweed; 세라스티움 글로메라툼 투일.(Cerastium glomeratum Thuill.)), 별꽃(common chickweed; 스텔라리아 메디아 엘.(Stellaria media L.))과 같은 패랭이꽃과 잡초(카료필라세아에(caryophyllaceae)); 혹대극(garden spurge; 유포르비아 히르타 엘.(Euphorbia hirta L.)), 깨풀(threeseeded copperleaf; 아칼리파 아우스트랄리스 엘.(Acalypha australis L.)), 아메리카대극(fireplant; 유포르비아 헤테로필라 엘.(Euphorbia heterophylla L.))와 같은 대극과 잡초(유포르비아세아에(euphorbiaceae)); 질경이(asiatic plantain; 플란타고 아시아티카 엘.(Plantago asiatica L.))와 같은 질경이과 잡초(플란타기나세아에(plantaginaceae)); 괭이밥(creeping woodsorrel; 옥살리스 코르니쿨라타 엘.(Oxalis corniculata L.))과 같은 괭이밥과 잡초(옥살리다세아에(oxalidaceae)); 피막이풀(lawn pennywort; 히드로코틸레 시브토르피오이데스 람.(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과 같은 미나리과 잡초(아피아세아에(apiaceae)); 제비꽃(violet; 비올라 만드슈리카 더블유. 베커(Viola mandshurica W. Becker))과 같은 제비꽃과 잡초(비올라세아에(violaceae)); 등심붓꽃(blue-eyedgrass; 시시린키움 로술라툼 비크넬(Sisyrinchium rosulatum Bicknell))과 같은 붓꽃과 잡초(이리다세아에(iridaceae)); 미국쥐손이(carolina geranium; 게라니움 카롤리니아눔 엘.(Geranium carolinianum L.))와 같은 쥐손이풀과 잡초(게라니아세아에(geraniaceae)); 자주광대나물(purple deadnettle; 라미움 푸르푸레움 엘.(Lamium purpureum L.)), 광대나물(henbit; 라미움 암플렉시카울레 엘.(Lamium amplexicaule L.))과 같은 꿀풀과 잡초(라비아타에(labiatae)); 어저귀(velvetleaf; 아부틸론 테오프라스티 메딕.(Abutilon theophrasti MEDIC.)), 공단풀(prickly sida; 시다 스피노사 엘.(Sida spinosa L.))과 같은 아욱과 잡초(말바세아에(Malvaceae)); 미국나팔꽃(ivy-leaved morningglory; 이포모에아 헤데라세아 (엘.) 자크.(Ipomoea hederacea(L.) Jacq.)), 둥근잎나팔꽃(common morningglory; 이포모에아 푸르푸레아 로트(Ipomoea purpurea ROTH)), 애기나팔꽃(cypressvine morningglory; 이포모에아 쿠아모클리트 엘.(Ipomoea quamoclit L.)), 이포모에아 그란디폴리아 (담메르만) 오도넬(Ipomoea grandifolia (DAMMERMANN) O'DONNELL), 털 메레미아(hairy merremia; 메레미아 아에깁티아 (엘.) 우르반(Merremia aegyptia (L.) URBAN)), 서양메꽃(field Bindweed; 콘볼불루스 아르벤시스 엘.(Convolvulus arvensis L.))과 같은 메꽃과 잡초(콘볼불라세아에(convolvulaceae)); 흰명아주(common lambsquarters; 케노포디움 알붐 엘.(Chenopodium album L.))와 같은 명아주과 잡초(케노포디아세아에(chenopodiaceae)); 쇠비름(common purslane; 포르툴라카 올레아세아 엘.(Portulaca oleracea L.))과 같은 쇠비름과 잡초(포르툴라카세아에(portulacaceae)); 비름속 잡초(pigweed; 아마란투스 종(Amaranthus spp.))〔비름속 잡초로서는, 예를 들어 미국비름(prostrate pigweed; 아마란투스 블리토이데스 에스. 와츠.(Amaranthus blitoides S. Wats.)), 개비름(livid amaranth; 아마란투스 리비두스 엘.(Amaranthus lividus L.), 퍼플 애머랜스(purple amaranth; 아마란투스 블리툼 엘.(Amaranthus blitum L.)), 비름(smooth pigweed; 아마란투스 히브리두스 엘.(Amaranthus hybridus L.), 아마란투스 파툴르스 베르톨.(Amaranthus patulus Bertol.)), 파우얼 애머랜스(powell amaranth; 아마란투스 포웰리이 에스. 와츠.(Amaranthus powellii S. Wats.)), 청비름(slender amaranth; 아마란투스 비리디스 엘.(Amaranthus viridis L.)), 긴이삭비름(palmer amaranth; 아마란투스 팔메리 에스. 와츠.(Amaranthus palmeri S. Wats.)), 털비름(redroot pigweed; 아마란투스 레트로플렉수스 엘.(Amaranthus retroflexus L.)), 큰키 물대마(tall waterhemp; 아마란투스 투베르쿨라투스 (모크.) 사우어.(Amaranthus tuberculatus(Moq.) Sauer.)), 코먼 워터헴프(common waterhemp; 아마란투스 타마리스키노스 누트.(Amaranthus tamariscinus Nutt.)), 가시비름(thorny amaranth; 아마란투스 스피노수스 엘.(Amaranthus spinosus L.)), 아타코(ataco; 아마란투스 쿠이텐시스 쿤트.(Amaranthus quitensis Kunth.)), 세엽 개비름(roughfruit amaranth; 아마란투스 루디스 사우어(Amaranthus rudis Sauer)) 등을 들 수 있음〕와 같은 비름과 잡초(아마란타세아에(amaranthaceae)); 까마종이(black nightshade; 솔라눔 니그룸 엘.(Solanum nigrum L.))와 같은 가지과 잡초(솔라나세아에(solanaceae)); 큰개여뀌(spotted knotweed; 폴리고눔 라파티폴리움 엘.(Polygonum lapathifolium L.)), 흰여뀌(green smartweed; 폴리고눔 스카브룸 모엔크(Polygonum scabrum MOENCH))과 같은 마디풀과 잡초(폴리고나세아에(polygonaceae); 황새냉이(flexuous bittercress; 카르다민 플렉수오사 위트.(Cardamine flexuosa WITH.))와 같은 겨자과 잡초(크루시페라에(cruciferae)); 가시박(burcucumber; 시시오스 안굴라투스 엘.(Sicyos angulatus L.))과 같은 박과 잡초(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닭의장풀(common dayflower; 코멜리나 콤무니스 엘.(Commelina communis L.))과 같은 닭의장풀과 잡초(코멜리나세아에(commelinaceae)); 뱀딸기(mock strawberry; 두케스네아 크리산타(졸. 엣 모르.) 미크.(Duchesnea chrysantha(Zoll. et Mor.) Miq.))와 같은 장미과 잡초(로사세아에(rosaceae)); 큰석류풀(carpetweed; 몰루고 베르티실라타 엘.(Mollugo verticillata L.))과 같은 석류풀과 잡초(몰루기나세아(molluginacea)); 갈퀴덩굴(false cleavers; 갈리움 스푸리움 변종. 에키노스페르몬 (왈르.) 하예크(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팔선초(stickywilly; 갈리움 아파리네 엘.(Galium aparine L.))과 같은 꼭두서니과 잡초(루비아세아에(rubiaceae)); 쇠뜨기(common horsetail; 에퀴세툼 아르벤세(Equisetum arvense))와 같은 속새과 잡초(에퀴세타세아에(equisetacea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상기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중에서도 바랭이속 잡초(디기타리아 종(Digitaria spp.)), 닭의장풀과 잡초(코멜리나세아에(commelinaceae)) 또는 속새과 잡초(에퀴세타세아에(equisetaceae))의 방제에 특히 유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좀바랭이(large crabgrass; 디기타리아 산구이날리스 엘.(Digitaria sanguinalis L.)), 닭의장풀(common dayflower; 코멜리나 콤무니스 엘.(Commelina communis L.)) 또는 쇠뜨기(common horsetail; 에퀴세툼 아르벤세(Equisetum arvense))의 방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실용 장면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같은 경우가 있다.
(1)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현저한 상승 효과를 발휘하여, 화합물 A 및 화합물 B의 양쪽의 시용량이 소량이어도 양호한 제초 효과를 발휘하므로, 주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2) 화합물 A, 또는 화합물 B 각각을, 단독으로 시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초 효과의 지속성이 긴, 즉 장기 잔효성을 가진 제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3) 화합물 A, 또는 화합물 B 각각을, 단독으로 시용하는 경우에 비해, 벼과 풀종 및 활엽 풀종의 양쪽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넓은 스펙트럼의 제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4) 화합물 A와 화합물 B는 작용성이 다른 조합이므로, 제초제 저항성 잡초나 저감수성 잡초의 출현이 억제되는 경우가 있다.
(5) 화합물 A, 또는 화합물 B 각각을, 단독으로 시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용 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이하에 열거하는 공지 제초성 화합물(일반명 등)을 혼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적용 풀종의 범위, 약제 처리의 시기, 제초 활성 등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라도, 이들 화합물에 염, 알킬에스테르, 수화물, 다른 결정 형태, 각종 구조 이성체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그들도 포함된다.
(1) 2,4-D, 2,4-D부토틸(2,4-D-butotyl), 2,4-D부틸(2,4-D-butyl), 2,4-D디메틸암모늄(2,4-D-dimethylammonimum), 2,4-D디올아민(2,4-D-diolamine), 2,4-D에틸(2,4-D-ethyl), 2,4-D-2-에틸헥실(2,4-D-2-ethylhexyl), 2,4-D이소부틸(2,4-D-isobutyl), 2,4-D이소옥틸(2,4-D-isoctyl), 2,4-D이소프로필(2,4-D-isopropyl), 2,4-D이소프로필암모늄(2,4-D-isopropylammonium), 2,4-D나트륨(2,4-D-sodium), 2,4-D이소프로판올암모늄(2,4-D-isopropanolammonium), 2,4-D트롤아민(2,4-D-trolamine), 2,4-DB, 2,4-DB부틸(2,4-DB-butyl), 2,4-DB디메틸암모늄(2,4-DB-dimethylammonium), 2,4-DB이소옥틸(2,4-DB-isoctyl), 2,4-DB칼륨(2,4-DB-potassium), 2,4-DB나트륨(2,4-DB-sodium), 디클로르프로프(dichlorprop), 디클로르프로프부토틸(dichlorprop-butotyl), 디클로르프로프디메틸암모늄(dichlorprop-dimethylammonium), 디클로르프로프이소옥틸(dichlorprop-isoctyl), 디클로르프로프칼륨(dichlorprop-potassium), 디클로르프로프-P(dichlorprop-P), 디클로르프로프-P디메틸암모늄(dichlorprop-P-dimethylammonium), 디클로르프로프-P칼륨(dichlorprop-P-potassium), 디클로르프로프-P나트륨(dichlorprop-P-sodium), MCPA, MCPA부토틸(MCPA-butotyl), MCPA디메틸암모늄(MCPA-dimethylammonium), MCPA-2-에틸헥실(MCPA-2-ethylhexyl), MCPA칼륨(MCPA-potassium), MCPA나트륨(MCPA-sodium), MCPA티오에틸(MCPA-thioethyl), MCPB, MCPB에틸(MCPB-ethyl), MCPB나트륨(MCPB-sodium), 메코프로프(mecoprop), 메코프로프부토틸(mecoprop-butotyl), 메코프로프나트륨(mecoprop-sodium), 메코프로프-P(mecoprop-P), 메코프로프-P부토틸(mecoprop-P-butotyl), 메코프로프-P디메틸암모늄(mecoprop-P-dimethylammonium), 메코프로프-P-2-에틸헥실(mecoprop-P-2-ethylhexyl), 메코프로프-P칼륨(mecoprop-P-potassium),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클로메프로프(clomeprop)와 같은 페녹시계 화합물; 2,3,6-TBA, 디캄바(dicamba), 디캄바부토틸(dicamba-butotyl), 디캄바디글리콜아민(dicamba-diglycolamine), 디캄바디메틸암모늄(dicamba-dimethylammonium), 디캄바디올아민(dicamba-diolamine), 디캄바이소프로필암모늄(dicamba-isopropylammonium), 디캄바칼륨(dicamba-potassium), 디캄바나트륨(dicamba-sodium), 피클로람(picloram), 피클로람디메틸암모늄(picloram-dimethylammonium), 피클로람이소옥틸(picloram-isoctyl), 피클로람칼륨(picloram-potassium), 피클로람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picloram-triisopropanolammonium), 피클로람트리이소프로필암모늄(picloram-triisopropylammonium), 피클로람트롤라민(picloram-trolamin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클로피르부토틸(triclopyr-butotyl), 트리클로피르트리에틸암모늄(triclopyr-triethylammonium), 클로피랄리드(clopyralid), 클로피랄리드올아민(clopyralid-olamine), 클로피랄리드칼륨(clopyralid-potassium), 클로피랄리드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clopyralid-triisopropanolammonium), 아미노피랄리드(aminopyralid),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aminocyclopyrachlor), 할라우시펜(halauxifen)과 같은 방향족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그 밖에, 나프탈람(naptalam), 나프탈람나트륨(naptalam-sodium), 베나졸린(benazolin), 베나졸린에틸(benazolin-ethyl),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nmerac), 다이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다이플루펜조피르나트륨(diflufenzopyr-sodium), 플루옥시피르(fluroxypyr), 플루옥시피르-2-부톡시-1-메틸에틸(fluroxypyr-2-butoxy-1-methylethyl), 플루옥시피르멥틸(fluroxypyr-meptyl), 클로르플루레놀(chlorflurenol), 클로르플루레놀메틸(chlorflurenol-methyl) 등과 같이 식물의 호르몬 작용을 교란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2)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디우론(diuron), 플루오메투론(fluometuron), 리누론(linuron), 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메토벤주론(metobenzuron), 테부티우론(tebuthiuron), 디메푸론(dimefuron), 이소우론(isouron), 카르부틸레이트(karbutilate),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톡수론(metoxuron), 모놀리누론(monolinuron), 네부론(neburon), 시두론(siduron), 테르부메톤(terbumeton), 트리에타진(trietazine)과 같은 요소계 화합물; 시마진(simazine), 아트라진(atrazine), 아트라톤(atratone), 시메트린(simetryn), 프로메트린(prometryn),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헥사지논(hexazinone), 메트리부진(metribuzin), 테르부티라진(terbuthylazine), 시아나진(cyanazine), 아메트린(ametryn), 시부트린(cybutryne), 테르부트린(terbutryn), 프로파진(propazine), 메타미트론(metamitron), 프로메톤(prometon)과 같은 트리아진계 화합물; 브로마실(bromacil), 브로마실리튬(bromacyl-lithium), 레나실(lenacil), 테르바실(terbacil)과 같은 우라실계 화합물; 프로파닐(propanil), 시프로미드(cypromid)와 같은 아닐리드계 화합물; 스웹(swep), 데스메디팜(desmedipham), 펜메디팜(phenmedipham)과 같은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부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목시닐옥타노에이트(bromoxynil-octanoate), 브로목시닐헵타노에이트(bromoxynil-heptanoate), 아이옥시닐(ioxynil), 아이옥시닐옥타노에이트(ioxynil-octanoate), 아이옥시닐칼륨(ioxynil-potassium), 아이옥시닐나트륨(ioxynil-sodium)과 같은 히드록시벤조니트릴계 화합물; 그 밖에, 피리데이트(pyridate), 벤타존(bentazone), 벤타존나트륨(bentazone-sodium), 아미카르바존(amicarbazone), 메타졸(methazole),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펜메디팜(phenmedipham) 등과 같이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3) 그 자신이 식물체 중에서 자유 라디칼이 되고, 활성 산소를 생성시켜 속효적인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파라쿼트(paraquat), 디쿼트(diquat)와 같은 4급 암모늄염계 화합물.
(4) 니트로펜(nitrofen),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비페녹스(bifenox),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 아시플루오르펜나트륨(acifluorfen-sodium), 포메사펜(fomesafen), 포메사펜나트륨(fomesafen-sodium),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락토펜(lactofen), 아클로니펜(aclonifen), 에톡시펜에틸(ethoxyfen-ethyl),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fluoroglycofen-ethyl), 플루오로글리코펜(fluoroglycofen)과 같은 디페닐에테르계 화합물; 클로르프탈림(chlorphthalim),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플루미클로락(flumiclorac), 플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시니돈에틸(cinidon-ethyl), 플루티아세트메틸(fluthiacet-methyl)과 같은 환상 이미드계 화합물; 그 밖에,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디아존(oxadiazon), 술펜트라존(sulfentrazone), 카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티디아지민(thidiazimin), 펜톡사존(pentoxazone), 아자페니딘(azafenidin), 이소프로파졸(isopropazole), 피라플루펜에틸(pyraflufen-ethyl),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부타펜아실(butafenacil),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플루아졸레이트(fluazolate),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플루펜피르에틸(flufenpyr-ethyl), 벤카르바존(bencarbazone), 피라클로닐(pyrachlonil) 등과 같이 식물의 클로로필 생합성을 저해하고, 광 증감 과산화 물질을 식물체 중에 이상 축적시킴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5)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클로리다존(chloridazon), 메트플루라존(metflurazon)과 같은 피리다지논계 화합물;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피라족시펜(pyrazoxyfen), 벤조페나프(benzofenap), 토프라메존(topramezone), 피라술포톨(pyrasulfotole)과 같은 피라졸계 화합물; 그 밖에, 아미트롤(amitrole),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디플루페니칸(diflufenican), 메톡시페논(methoxyphenone), 클로마존(clomazone), 술코트리온(sulcotrione), 메소트리온(mesotrione), 템보트리온(tembotrione), 테푸릴트리온(tefuryltrione), KUH-110, SW-065,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디펜조쿼트(difenzoquat), 디펜조쿼트메틸설페이트(difenzoquat-metilsulfate),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비시클로피론(bicyclopyron), 피콜리나펜(picolinafen), 비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등과 같이 카로티노이드 등의 식물의 색소 생합성을 저해하고, 백화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6) 디클로포프메틸(diclofop-methyl), 디클로포프(diclofop), 피리페노프나트륨(pyriphenop-sodium), 플루아지포프부틸(fluazifop-butyl), 플루아지포프(fluazifop), 플루아지포프-P(fluazifop-P), 플루아지포프-P-부틸(fluazifop-P-butyl), 할록시포프메틸(haloxyfop-methyl), 할록시포프(haloxyfop), 할록시포프에토틸(haloxyfop-etotyl), 할록시포프-P(haloxyfop-P), 할록시포프-P-메틸(haloxyfop-P-methyl), 퀴잘로포프에틸(quizalofop-ethyl), 퀴잘로포프-P(quizalofop-P), 퀴잘로포프-P-에틸(quizalofop-P-ethyl), 퀴잘로포프-P-테푸릴(quizalofop-P-tefuryl), 시할로포프부틸(cyhalofop-butyl), 페녹사프로프에틸(fenoxaprop-ethyl), 페녹사프로프-P(fenoxaprop-P), 페녹사프로프-P-에틸(fenoxaprop-P-ethyl), 메타미포프프로필(metamifop-propyl), 메타미포프(metamifop), 클로디나포프프로파르길(clodinafop-propargyl), 클로디나포프(clodinafop), 프로파퀴자포프(propaquizafop)와 같은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계 화합물; 알록시딤나트륨(alloxydim-sodium), 알록시딤(alloxydim), 클레토딤(clethodim), 세톡시딤(sethoxydim), 트랄콕시딤(tralkoxydim), 부트록시딤(butroxydim), 테프랄옥시딤(tepraloxydim), 프로폭시딤(profoxydim), 시클록시딤(cycloxydim)과 같은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피녹사덴(pinoxaden)과 같은 페닐피라졸린계 화합물; 등과 같이 지방산의 생합성을 저해하고,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7) 클로리무론에틸(chlorimuron-ethyl), 클로리무론(chlorimuron), 술포메트론메틸(sulfometuron-methyl), 술포메트론(sulfometuron), 프리미술푸론메틸(primisulfuron-methyl), 프리미술푸론(primisulfuron), 벤술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술푸론(bensulfuron), 클로르술푸론(chlorsulfuron), 메트술푸론메틸(metsulfuron-methyl), 메트술푸론(metsulfuron), 시노술푸론(cinosulfuron), 피라조술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조술푸론(pyrazosulfuron), 림술푸론(rimsulfuron), 니코술푸론(nicosulfuron),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 플루세토술푸론(flucetosulfuron),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프로술푸론(prosulfuron), 플루피르술푸론메틸나트륨(flupyrsulfuron-methyl-sodium), 플루피르술푸론(flupyrsulfuron), 트리플루술푸론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술푸론(triflusulfuron), 할로술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할로술푸론(halosulfuron), 디펜술푸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디펜술푸론(thifensulfuron), 에톡시술푸론(ethoxysulfuron), 옥사술푸론(oxasulfuron), 에타메트술푸론(ethametsulfuron), 에타메트술푸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요오도술푸론(iodosulfuron), 요오도술푸론메틸나트륨(iodosulfuron-methyl-sodium), 술포술푸론(sulfosulfuron), 트리아술푸론(triasulfuron), 트리베누론메틸(tribenuron-methyl), 트리베누론(tribenuron), 트리토술푸론(tritosulfuron), 포람술푸론(foramsulfuron), 트리플록시술푸론(trifloxysulfuron), 트리플록시술푸론나트륨(trifloxysulfuron-sodium), 메소술푸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술푸론(mesosulfuron), 오르토술파무론(orthosulfamuron), 아미도술푸론(amidosulfuron), 아짐술푸론(azimsulfuron), 프로피리술푸론(propyrisulfuron), 메타조술푸론(metazosulfuron), 메티오피르술푸론(methiopyrsulfuron), 모노술푸론메틸(monosulfuron-methyl), 오르소술푸론(orsosulfuron)과 같은 술포닐우레아 화합물; 플루메트술람(flumetsulam), 메토술람(metosulam), 디클로술람(diclosulam), 클로란술람메틸(cloransulam-methyl), 플로라술람(florasulam), 페녹스술람(penoxsulam), 피록스술람(pyroxsulam)과 같은 트리아졸피리미딘술폰아미드계 화합물;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피르이소프로필암모늄(imazapyr-isopropylammonium),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제타피르암모늄(imazethapyr-ammonium),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퀸암모늄(imazaquin-ammonium),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자목스암모늄(imazamox-ammonium), 이마자메타벤즈(imazamethabenz),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픽(imazapic)과 같은 이미다졸리논계 화합물; 피리티오박나트륨(pyrithiobac-sodium), 비스피리박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트리아파몬(triafamone)과 같은 피리미디닐살리실산계 화합물; 플루카르바존(flucarbazone), 플루카르바존나트륨(flucarbazone-sodium), 프로폭시카르바존나트륨(propoxycarbazone-sodium), 프로폭시카르바존(propoxycarbazone), 티엔카르바존메틸(thiencarbazone-methyl)과 같은 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트리아졸리논계 화합물; 그 밖에,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리포세이트나트륨(glyphosate-sodium), 글리포세이트칼륨(glyphosate-potassium), 글리포세이트암모늄(glyphosate-ammonium), 글리포세이트디암모늄(glyphosate-diammonium),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glyphosate-isopropylammonium), 글리포세이트트리메시움(glyphosate-trimesium), 글리포세이트세스퀴나트륨(glyphosate-sesquisodium), 글리포시네이트(glufosinate), 글리포시네이트암모늄(glufosinate-ammonium), 글리포시네이트-P(glufosinate-P), 글리포시네이트-P암모늄(glufosinate-P-ammonium), 글리포시네이트-P나트륨(glufosinate-P-sodium), 빌라나포스(bilanafos), 빌라나포스나트륨(bilanafos-sodium), 신메틸린(cinmethylin) 등과 같이 식물의 아미노산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8)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오리잘린(oryzalin), 니트랄린(nitrali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에탈플루랄린(ethalfluralin), 벤플루랄린(benfluralin), 프로디아민(prodiamine), 부트랄린(butralin), 디니트라민(dinitramine)과 같은 디니트로아닐린계 화합물; 벤술리드(bensu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나미드(pronamide))와 같은 아미드계 화합물;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fos-methyl), 부타미포스(butamifos), 아닐로포스(anilofos), 피페로포스(piperophos)와 같은 유기 인계 화합물; 프로 팜(propham),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바르벤(barban), 카르베타마이드(carbetamide)와 같은 페닐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다이무론(daimuron), 쿠밀론(cumyluron),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메틸다임론(methyldymron)과 같은 쿠밀아민계 화합물; 그 밖에, 아술람(asulam), 아술람나트륨(asulam-sodium), 디티오피르(dithiopyr), 티아조피르(thiazopyr), 클로르탈디메틸(chlorthal-dimethyl), 클로르탈(chlorthal), 디페나미드(diphenamid), 플람프로프-M-메틸(flamprop-M-methyl), 플람프로프-M(flamprop-M), 플람프로프-M-이소프로필(flamprop-M-isopropyl) 등과 같이 식물의 세포 유사 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9) 알라클로르(alachlor),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부타클로르(butachlor),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S-메톨라클로르(S-metolachlor), 테닐클로르(thenylchlor), 페톡스아미드(pethoxamid),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디메텐아미드(dimethenamid), 디메텐아미드-P(dimethenamid-P),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와 같은 클로르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 몰리네이트(molinate),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EPTC, 부틸레이트(butylate), 베르놀레이트(vernolate), 페불레이트(pebulate), 시클로에이트(cycloate), 프로술포카르브(prosulfocarb), 에스프로카르브(esprocarb), 티오벤카르브(thiobencarb), 디알레이트(diallate), 트리알레이트(tri-allate), 오르벤카르브(orbencarb)와 같은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그 밖에,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메페나세트(mefenacet), 플루페나세트(flufenacet), 트리디판(tridiphane), 카펜스트롤(cafenstrole),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인다노판(indanofan),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페녹사술폰(fenoxasulfone), 메티오졸린(methiozolin), 달라폰(dalapon), 달라폰나트륨(dalapon-sodium), TCA나트륨(TCA-sodium),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등과 같이 식물의 단백질 생합성 또는 지질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10) 디클로베닐(dichlobenil),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인다지플람(indaziflam), 플루폭삼(flupoxam) 등과 같이 식물의 셀룰로오스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
(11) MSMA, DSMA, CMA, 엔도탈(endothall), 엔도탈디칼륨(endothall-dipotassium), 엔도탈나트륨(endothall-sodium), 엔도탈모노(N,N-디메틸알킬암모늄)(endothall-mono(N,N-dimethylalkylammonium)),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소듐클로레이트(sodium chlorate),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노난산(nonanoic acid)), 포스아민(fosamine), 포스아민암모늄(fosamine-ammonium), 이프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아크롤레인(aclolein), 술파민산암모늄(ammonium sulfamate), 붕사(borax), 클로로아세트산(chloroacetic acid), 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sodium chloroacete), 시아나미드(cyanamide), 메틸아르손산(methylarsonic acid), 디메틸아르손산(dimethylarsinic acid), 디메틸아르손산나트륨(sodium dimethylarsinate), 디노테르브(dinoterb), 디노테르브암모늄(dinoterb-ammonium), 디노테르브디올아민(dinoterb-diolamine), 디노테르브아세테이트(dinoterb-acetate), DNOC,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플루프로파네이트(flupropanate), 플루프로파네이트나트륨(flupropanate-sodium), 이속사벤(isoxaben), 메플루이디드(mefluidide), 메플루이디드디올아민(mefluidide-diolamine), 메탐(metam), 메탐암모늄(metam-ammonium), 메탐칼륨(metam-potassium), 메탐나트륨(metam-sodium), 이소티오시안산메틸(methyl isothiocyanate),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펜타클로로페놀나트륨(sodium pentachlorophenoxide), 펜타클로로페놀라우레이트(pentachlorophenol laurate),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황산(sulfuric acid), 우레아술페이트(urea sulfate) 등의 그 밖의 제초제.
(12)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에피코코시루스 네마토소루스(Epicoccosirus nematosorus), 에피코코시루스 네마토스페루스(Epicoccosirus nematosperus), 엑세로힐룸 모노세라스(Exserohilum monoseras), 드레크스렐라 모노세라스(Drechsrela monoceras) 등과 같이 식물에 기생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화합물 A, 화합물 B를, 통상의 농약 제제 방법에 준하여 각종 보조제와 배합하고, 분제, 입제, 과립 수화제, 수화제, 정제, 환약, 캡슐제(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하는 형태를 포함함), 수성 현탁제, 유성 현탁제, 마이크로에멀전 제제, 서스포에멀전 제제, 수용제, 유제, 액제, 페이스트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 제조하고, 시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한, 통상의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제제 형태로 할 수 있다.
제제 제조 시에는,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함께 혼합하여 제제 제조해거나, 또는 그것들을 따로따로 제제 제조하여 시용 시에 혼합할 수 있다.
제제에 사용하는 보조제로서는, 카올리나이트, 세리사이트, 규조토, 소석회,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 카본, 카올린, 벤토나이트, 클레이, 탄산나트륨, 중조, 황산나트륨, 제올라이트, 전분과 같은 고형 담체; 물,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디옥산,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알코올과 같은 용제; 지방산염, 벤조산염, 폴리카르복실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염, 알킬아릴황산염, 알킬디글리콜에테르 황산염,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아릴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인산염, 스티릴아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아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염과 같은 음이온계의 계면 활성제;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알코올폴리글리콜에테르,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알코올, 옥시알킬렌 블록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계의 계면 활성제; 올리브유, 케이폭유, 피마자유, 종려유, 동백기름, 야자유, 호마유, 옥수수유, 미강유, 낙화생유, 면실유, 대두유, 채종유, 아마인유, 동유, 액상 파라핀과 같은 식물유이나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조제의 각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보조제 이외에도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증량제, 증점제, 침강 방지제, 동결 방지제, 분산 안정제, 약해 경감제, 방미제, 발포제, 붕괴제, 결합제 등 통상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과 각종 보조제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0.001:99.999 내지 95:5, 바람직하게는 0.005:99.995 내지 90:10 정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의 시용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시용 장소, 제제 형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종류나 생육 상황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1.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함께 혼합하고, 제제 제조한 것을 그대로 시용한다.
2.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함께 혼합하고, 제제 제조한 것을 물 등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전착제(계면 활성제, 식물유, 광물유 등)를 첨가하여 시용한다.
3.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따로따로 제제 제조하고, 각각을 그대로 시용한다.
4.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따로따로 제제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각각을 물 등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전착제(계면 활성제, 식물유, 광물유 등)를 첨가하여, 각각 시용한다.
5. 화합물 A와 화합물 B를 따로따로 제제 제조한 것을, 물 등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할 때에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전착제(계면 활성제, 식물유, 광물유 등)를 첨가하여 시용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1) (A) 티아페나실 또는 그의 염과 (B) 플라자술푸론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
(2) (A)와 (B)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500:1 내지 1:100인, 상기 (1)에 기재된 조성물.
(3) (A)와 (B)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20:1 내지 1:10인, 상기 (1)에 기재된 조성물.
(4) (A)와 (B)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8:1 내지 1:2인, 상기 (1)에 기재된 조성물.
(5) (A) 티아페나실 또는 그의 염의 제초 유효량과 (B) 플라자술푸론 또는 그의 염의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그들이 생육하는 장소에 시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 또는 그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
(6) (A)를 5 내지 500g/ha, (B)를 1 내지 500g/ha 시용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방법.
(7) (A)를 10 내지 200g/ha, (B)를 10 내지 100g/ha 시용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방법.
(8) (A)를 12.5 내지 150g/ha, (B)를 20 내지 40g/ha 시용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방법.
실시예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1/1,000,000ha 배트에 밭농사 토양을 채우고, 좀바랭이(large crabgrass; 디기타리아 산구이날리스 엘.(Digitaria sanguinalis L.))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7엽령에 달한 좀바랭이에, 티아페나실을 통상의 제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한 유제(EC제), 플라자술푸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과립 수화제(WG제/상품명: 시바겐DF,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소정량을, 1헥타르당 300리터 상당의 물에 희석하고,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약제 처리 후, 24일째에 좀바랭이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조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생육 억제율(%)〔실측값〕 및 콜비(Colby)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생육 억제율(%)〔계산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생육 억제율(%)=0(무처리구 동등) 내지 100(완전 고살)의 억초(抑草)율(%)
Figure 112016037848102-pct00001
시험예 2
1/500,000ha 포트에 밭농사 토양을 채우고, 좀바랭이(large crabgrass; 디기타리아 산구이날리스 엘.(Digitaria sanguinalis L.))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파종 다음날에 티아페나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EC제(시험예 1과 동일함), 플라자술푸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WG제(시험예 1과 동일함)의 소정량을, 1헥타르당 300리터 상당의 물에 희석하고, 소형 스프레이로 토양 처리하였다.
약제 처리 후, 14일째에 좀바랭이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조사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생육 억제율(%)〔실측값〕 및 콜비(Colby)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생육 억제율(%)〔계산값〕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37848102-pct00002
시험예 3
과수포장을 일 시험구당 0.5평방미터로 구분하였다. 그 후 자연 발생한 닭의장풀(common dayflower; 코멜리나 콤무니스 엘.(Commelina communis L.))이 35-40㎝에 달했을 때, 티아페나실을 통상의 제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한 마이크로에멀전 제제(ME제), 플라자술푸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WG제(시험예 1과 동일함)의 소정량을, 농업용 전착제(상품명: Destiny HC, Winfield Solutions LLC.사제)를 0.5vol% 포함하는 물(1헥타르당 300리터 상당)로 희석하고,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약제 처리 후, 23일째에 닭의장풀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조사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생육 억제율(%)〔실측값〕 및 콜비(Colby)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생육 억제율(%)〔계산값〕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37848102-pct00003
시험예 4
과수포장을 일 시험구당 0.5평방미터로 구분하였다. 그 후 자연 발생한 좀바랭이(large crabgrass; 디기타리아 산구이날리스 엘.(Digitaria sanguinalis L.))가 50-55㎝에 달했을 때, 티아페나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ME제(시험예 3과 동일함), 플라자술푸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WG제(시험예 1과 동일함)의 소정량을, 농업용 전착제(상품명: Destiny HC, Winfield Solutions LLC.사제)를 0.5vol% 포함하는 물(1헥타르당 300리터 상당)로 희석하고,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약제 처리 후, 23일째에 좀바랭이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조사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생육 억제율(%)〔실측값〕 및 콜비(Colby)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생육 억제율(%)〔계산값〕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37848102-pct00004
시험예 5
과수포장을 일 시험구당 0.5평방미터로 구분하였다. 그 후 자연 발생한 쇠뜨기(common horsetail; 에퀴세툼 아르벤세(Equisetum arvense))가 15-20㎝에 달했을 때, 티아페나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ME제(시험예 3과 동일함), 플라자술푸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WG제(시험예 1과 동일함)의 소정량을, 농업용 전착제(상품명: Destiny HC, Winfield Solutions LLC.사제)를 0.5vol% 포함하는 물(1헥타르당 300리터 상당)로 희석하고,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약제 처리 후, 23일째에 쇠뜨기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조사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생육 억제율(%)〔실측값〕 및 콜비(Colby)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생육 억제율(%)〔계산값〕을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37848102-pct00005
본 발명은 바랭이속 잡초(디기타리아 종(Digitaria spp.)), 닭의장풀과 잡초(코멜리나세아에(commelinaceae)) 또는 속새과 잡초(에퀴세타세아에(equisetaceae))와 같은 방제, 생육의 억제가 요망되는 잡초를 비롯하여, 농원예 분야에 있어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생육의 억제에 유용하다.
또한, 2013년 10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3-220680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9)

  1. (A) 티아페나실 또는 그의 염과, (B) 플라자술푸론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이며, (A)와 (B)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8:1 내지 1:2인 제초 조성물.
  2. 제1항에 기재된 제초 조성물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그들이 생육하는 장소에 시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 또는 그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바랭이속 잡초(디기타리아 종(Digitaria spp.)), 닭의장풀과 잡초(코멜리나세아에(commelinaceae)) 또는 속새과 잡초(에퀴세타세아에(equisetaceae))인 방법.
  4. (A) 티아페나실 또는 그의 염의 제초 유효량과, (B) 플라자술푸론 또는 그의 염의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그들이 생육하는 장소에 시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을 방제 또는 그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A)를 12.5 내지 150g/ha, (B)를 20 내지 40g/ha 시용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바랭이속 잡초(디기타리아 종(Digitaria spp.)), 닭의장풀과 잡초(코멜리나세아에(commelinaceae)) 또는 속새과 잡초(에퀴세타세아에(equisetaceae))인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7010325A 2013-10-23 2014-10-17 제초 조성물 KR102215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0680 2013-10-23
JP2013220680 2013-10-23
PCT/JP2014/077735 WO2015060221A1 (ja) 2013-10-23 2014-10-17 除草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522A KR20160075522A (ko) 2016-06-29
KR102215786B1 true KR102215786B1 (ko) 2021-02-16

Family

ID=5299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325A KR102215786B1 (ko) 2013-10-23 2014-10-17 제초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814238B2 (ko)
EP (1) EP3061347B1 (ko)
JP (1) JP6696107B2 (ko)
KR (1) KR102215786B1 (ko)
CN (1) CN105658060B (ko)
AR (1) AR098122A1 (ko)
AU (1) AU2014337723B2 (ko)
BR (1) BR112016008603B1 (ko)
CA (1) CA2926330C (ko)
CL (1) CL2016000955A1 (ko)
ES (1) ES2703226T3 (ko)
HU (1) HUE042482T2 (ko)
MX (1) MX357514B (ko)
MY (1) MY176372A (ko)
PE (1) PE20160668A1 (ko)
PH (1) PH12016500522A1 (ko)
PT (1) PT3061347T (ko)
TW (1) TWI625098B (ko)
WO (1) WO2015060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45B1 (ko) * 2018-03-06 2020-01-14 주식회사 팜한농 피리미딘다이온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WO2024024489A1 (ja) * 2022-07-29 2024-02-01 石原産業株式会社 望ましくない植物を防除し、かつ有用植物の成長を促進す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9202A (ja) 2011-04-11 2012-11-22 Ishihara Sangyo Kaisha Ltd 除草組成物
WO2013154396A1 (en) * 2012-04-12 2013-10-17 Dongbu Farm Hannong Co., Ltd.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uraci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3284A (en) 1942-07-04 1944-03-07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Radio equipment and method of assembly
WO2000027203A1 (en) 1998-11-10 2000-05-18 Syngenta Participations Ag Herbicidal composition
EP1429609B1 (en) * 2001-09-14 2007-03-07 Basf Aktiengesellschaft Herbicidal mixtures based on 3-phenyluracils
DE10159659A1 (de) * 2001-12-05 2003-06-26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e auf Basis von substituierten Carbonsäureaniliden
UA90757C2 (ru) * 2005-10-12 2010-05-25 Басф Се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осевов от фитотоксичного действия 3-фенилурацилов
MY158047A (en) * 2008-10-02 2016-08-30 Korea Res Inst Chem Tech Uracil compounds and a herebicide comprising the same
UY32838A (es) * 2009-08-14 2011-01-31 Basf Se "composición activa herbicida que comprende benzoxazinon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9202A (ja) 2011-04-11 2012-11-22 Ishihara Sangyo Kaisha Ltd 除草組成物
WO2013154396A1 (en) * 2012-04-12 2013-10-17 Dongbu Farm Hannong Co., Ltd.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uraci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4238B2 (en) 2017-11-14
CA2926330C (en) 2021-01-19
MX2016005345A (es) 2016-08-11
TW201528953A (zh) 2015-08-01
PE20160668A1 (es) 2016-07-15
TWI625098B (zh) 2018-06-01
EP3061347A4 (en) 2017-05-17
CL2016000955A1 (es) 2016-11-25
ES2703226T3 (es) 2019-03-07
PH12016500522B1 (en) 2016-05-16
CN105658060B (zh) 2018-01-30
MY176372A (en) 2020-08-04
AU2014337723A1 (en) 2016-04-07
BR112016008603B1 (pt) 2020-10-13
CA2926330A1 (en) 2015-04-30
WO2015060221A1 (ja) 2015-04-30
AR098122A1 (es) 2016-05-04
EP3061347A1 (en) 2016-08-31
PH12016500522A1 (en) 2016-05-16
PT3061347T (pt) 2018-12-27
CN105658060A (zh) 2016-06-08
US20160242417A1 (en) 2016-08-25
HUE042482T2 (hu) 2019-06-28
KR20160075522A (ko) 2016-06-29
MX357514B (es) 2018-07-12
JPWO2015060221A1 (ja) 2017-03-09
EP3061347B1 (en) 2018-12-05
AU2014337723B2 (en) 2018-01-25
JP6696107B2 (ja)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7007B2 (ja) 除草組成物
JP5927055B2 (ja) 除草組成物
JP5770114B2 (ja) 除草組成物
US20170202221A1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nicosulfuron or its salt and s -metolachlor or its salt
JP5875924B2 (ja) 除草組成物
WO2012070688A1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nicosulfuron
WO2013133287A1 (ja) 除草組成物
KR102215786B1 (ko) 제초 조성물
JP6951650B2 (ja) 除草組成物
NZ617467B2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an inhibitor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