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70B1 -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370B1
KR102215370B1 KR1020200124616A KR20200124616A KR102215370B1 KR 102215370 B1 KR102215370 B1 KR 102215370B1 KR 1020200124616 A KR1020200124616 A KR 1020200124616A KR 20200124616 A KR20200124616 A KR 20200124616A KR 102215370 B1 KR102215370 B1 KR 10221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discharge pipe
volume
us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20012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6Means for indicating refill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부 보다 단면적이 좁은 연결부로 구성된 케이싱; 및 상기 연결부 단면과 대응하고, 상기 연결부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액상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A LIQUID CASE WITH IMPROVED UTILITY}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쉽게 정량 및 사용할 수 있는 액상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부를 개폐하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를 아래 방향으로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구강세척을 위한 가글액을 수용하는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시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캡에 남아있는 잔류물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있다.
가글액 뿐만 아니라 사용시 정량이 필요한 용액의 경우 실제로 어느 정도의 내용물이 토출되는지 쉽게 알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용기의 구조가 필연적으로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액상 용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별도의 도구가 결합되는 경우라면, 용기의 단가 상승으로 인해 가격이 저렴한 상품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와 사용성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액상 용기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474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2135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액상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부 보다 단면적이 좁은 연결부로 구성된 케이싱; 및 상기 연결부 단면과 대응하고, 상기 연결부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액상 용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연결부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고, 상기 제1저장부의 부피가 수축할 때, 상기 제1저장부의 유체가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제2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단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사용자의 파지(把持)에 의해 부피가 수축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고, 외측면을 따라 링(ring)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상단 지지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사용자의 파지(把持)에 따른 수축 부피를 나타내는 정량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부 말단에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캡(cap)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저장된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눈금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용기는 상기 제1저장부의 몸통부 외측면을 커버하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상 용기는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의 말단에 캡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 후 내용물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용기는 구조가 단순하므로, 생산 단가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케이싱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구현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결합 형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제2저장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배출관을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저장부(110), 상기 제1저장부(110) 상단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120), 및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부(110) 보다 단면적이 좁은 연결부(130)로 구성된 케이싱; 및 상기 연결부(130) 단면과 대응하고, 상기 연결부(130)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스토퍼(141)를 구비하는 배출관(1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액상 용기(100)를 제공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액상 용기(1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배출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용기(100)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해 내부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가요성(flexibility)이 있어 외력에 의해 수축 및 복원될 수 있고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합성 수지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는 사용 후 재활용(리사이클)이 용이하고 빛 투과도가 높아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미장성 및 보향성이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은 제1저장부(110), 상기 제1저장부(110) 상단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120), 및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부(110) 보다 단면적이 좁은 연결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은 상단 및 하단에 별도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110)는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하단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통상적으로 상기 제2저장부(120) 대비 상대적으로 부피가 클 수 있고,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120)는 상기 제1저장부(110) 상단에 위치하고,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뚜껑(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제1저장부(110)에서 이동한 내용물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저장부(110)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시켜 정량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용기(100)는 상기 제1저장부(110)의 내용물을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를 연결하는 배출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110)의 내용물은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 상기 제1저장부(110)에서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연결부(130) 단면과 대응하고, 상기 연결부(130)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스토퍼(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스토퍼(141)를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부(110) 보다 단면적이 좁은 병목(bottleneck) 구조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141)는 상기 연결부(130)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상기 연결부(130)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스토퍼(141)에 의해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1)는 상기 연결부(130)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의 유체는 상기 스토퍼(141)를 관통하는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연결부(130)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상기 스토퍼(141)를 관통하므로, 상기 제1저장부(110)의 부피가 수축할 때, 상기 제1저장부(110)의 유체가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저장부(110) 외측에 힘을 가해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1저장부(110)의 내용물을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쉽게 상기 케이싱을 가압하여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싱의 두께가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0.2 내지 0.3mm 두께, 0.03 내지 0.2mm 두께,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5mm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mm 두께일 수 있으며, 내용물의 특성이나 저장량, 상기 소재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케이싱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저장부(110)는 상기 액상 용기(100)의 기능을 더욱 적절하게 구현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저장부(110)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111, 112)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가압에 의해 부피가 쉽게 수축 및 복원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111, 112)는 상기 몸통부의 상하단에 위치하여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상기 케이싱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통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단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구조를 이루며, 가요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파지(把持)에 의해 부피가 수축할 수 할 수 있고, 힘을 제거하는 경우 본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지지부(111, 112)는 상기 몸통부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고, 외측면을 따라 링(ring)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측면이 편평(flat)한 몸통부에 비해 응력(應力)이 강하며, 사용자가 가압하더라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저장부(110)의 몸통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111, 112)는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상기 몸통부를 이루는 영역의 부피가 축소되어 상기 제1저장부(110)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110)는 상기 상단 지지부(111)에서 상기 연결부(130)까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110)의 몸통부는 원통 또는 다각통형 구조를 이루는 반면,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고,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외부에서 가압하더라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부피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저장부(110)의 상단부는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이므로 상기 연결부(130)와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고, 상기 스토퍼(141)가 끼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저장부(110)는 사용자의 파지(把持)에 따른 수축 부피를 나타내는 정량선(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선(113)은 사용자가 상기 액상 용기(100)를 사용할 때 토출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부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 선으로, 상기 제1저장부(110)의 외측면을 일정한 영역으로 나누어 구분하고 해당 영역을 가압했을 때 토출되는 내용물의 부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110)는 몸통부 및 지지부(111, 112) 구조를 가지며, 상단부의 단면적이 점차 형태로서, 상기 몸통부의 부피만 특이적으로 축소 및 복원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부피만 수축 및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구조상 일정한 힘으로 가압한다고 가정할 때, 상단 및 하단을 기준으로 중심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몸통부 부피의 축소율이 가장 크고, 상기 지지부(111, 112) 쪽으로 근접할수록 상기 몸통부 부피의 축소율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량선(113)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외측 영역을 분할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가압하는 힘이나, 부피, 두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부피의 변화량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평균 특성(예컨대, 성인의 평균 악력, 사용자의 연령대)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정량선(113)에 표시된 용량 및 상기 몸통부의 특성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평균 악력을 고려하여, 통상의 힘으로 가압했을 때 소정의 특성을 가지는 몸통부의 부피 변화량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정량선(11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량선(113)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프린팅 하거나, 양각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관(140)은 상부 말단에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캡(cap)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연결부(130)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상기 스토퍼(141)를 관통하고, 상기 제1저장부(110)의 유체가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저장부(120)는 임시적으로 내용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의 토출구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있는 영역이므로 통상의 경우 상기 제1저장부(110)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저장부(120)에 보관된 내용물이 외부 물질에 의해 오염된 경우 상기 배출관(140)을 통해 상기 제1저장부(110)로 흘러간다면 상기 제1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cap) 부재는 상기 배출관(140)은 상부 말단에 위치하여 상부를 폐쇄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압하여 상기 제1저장부(11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캡 부재(142)는 상기 배출관(140)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배출관(140)의 관통공보다 대응 면적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부재(142)는 통상의 경우에는 상기 배출관(140) 상단에 올려진 채로 배출관(140)의 관통공을 폐쇄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제1저장부(110)를 가압하는 경우 개방과 함께 내용물이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142)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상기 배출관(140)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첩 구조나 중심부에 연결된 봉 형상의 지지대 구조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저장부(120)는 저장된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눈금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저장부(120)는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2저장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의 부피를 인식할 수 있도록 눈금선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눈금선을 통해 상기 제2저장부(120)로 이동한 내용물의 부피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용기(100)는 상기 제1저장부(110)의 몸통부 외측면을 커버하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상기 그립부는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맞닿는 상단면에 연질의 패드가 적층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연질의 소재는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탄성을 가진 연질의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질의 소재는 친환경적이고 복원력 및 상품성이 우수하며 마찰력이 높아 운동시 미끄러짐을 최소활 수 있는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110)의 몸통부 외측면에 그립부가 형성된 경우라면,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저장부(110)의 수축 부피를 나타내는 정량선(11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액상 용기(100)는 상기 취지에 부합하는 다양한 부피, 형태, 두께, 소재 등로 구현될 수 있으나, 내구성이나 사용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저장부(110) 및 제2저장부(120)의 단면적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상 용기
110: 제1저장부
111: 상단 지지부
112: 하단 지지부
113: 정량선
120: 제2저장부
130: 연결부
140: 배출관
141: 스토퍼
142: 캡 부재
150: 뚜껑

Claims (8)

  1.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부 보다 단면적이 좁은 연결부로 구성된 케이싱; 및 상기 연결부 단면과 대응하고, 상기 연결부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상 용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저장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단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사용자의 파지(把持)에 의해 부피가 수축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고, 외측면을 따라 링(ring)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 및 사용자의 파지(把持)에 따른 수축 부피를 나타내는 정량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부의 상부는 상기 상단의 지지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이고,
    상기 정량선은 사용자가 가압시 토출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부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 선으로, 상기 제1저장부의 외측면을 일정한 영역으로 나누어 구분하고 해당 영역을 가압했을 때 토출되는 내용물의 부피를 표시하기 위해 중심부에서 상단 또는 하단으로 갈수록 표시된 용량이 점차 감소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연결부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고, 상부 말단에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캡(cap) 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저장부의 몸통부를 가압하는 경우 개방과 함께 내용물이 상기 제2저장부로 이동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배출관의 관통공에 도입된 봉 형상의 지지대와 연결된 것인, 액상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저장된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눈금선;을 포함하는 액상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의 몸통부 외측면을 커버하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액상 용기.
KR1020200124616A 2020-09-25 2020-09-25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KR10221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616A KR102215370B1 (ko) 2020-09-25 2020-09-25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616A KR102215370B1 (ko) 2020-09-25 2020-09-25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370B1 true KR102215370B1 (ko) 2021-02-15

Family

ID=7456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616A KR102215370B1 (ko) 2020-09-25 2020-09-25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3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179A (ko) * 2002-12-16 2003-01-24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KR20040040998A (ko) * 2003-05-19 2004-05-13 김정근 정량공급용 용기
JP2006298386A (ja) * 2005-04-15 2006-11-02 Raisuke Shimamura 押出容器
JP2009298426A (ja) * 2008-06-11 2009-12-24 Kao Corp スクイズ容器
KR20100012135U (ko) 2009-06-03 2010-12-13 박소연 정량공급용 용기
KR20100012540U (ko) * 2009-06-09 2010-12-17 박철홍 정량물약병
JP2011105360A (ja) * 2009-11-19 2011-06-02 Kao Corp 定量吐出スクイズ容器
KR101454748B1 (ko) 2013-05-24 2014-10-2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179A (ko) * 2002-12-16 2003-01-24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KR20040040998A (ko) * 2003-05-19 2004-05-13 김정근 정량공급용 용기
JP2006298386A (ja) * 2005-04-15 2006-11-02 Raisuke Shimamura 押出容器
JP2009298426A (ja) * 2008-06-11 2009-12-24 Kao Corp スクイズ容器
KR20100012135U (ko) 2009-06-03 2010-12-13 박소연 정량공급용 용기
KR20100012540U (ko) * 2009-06-09 2010-12-17 박철홍 정량물약병
JP2011105360A (ja) * 2009-11-19 2011-06-02 Kao Corp 定量吐出スクイズ容器
KR101454748B1 (ko) 2013-05-24 2014-10-2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648A (en) Package for free-flowing products
RU2678684C1 (ru) Контейнер
TWI495602B (zh) Quantitative discharge of extruded containers
EP3206526B1 (en) Device comprising a screen comprising a cellular material
EP3015020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102215370B1 (ko)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액상 용기
KR102621212B1 (ko) 접착제 및/또는 실런트를 도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343446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US20080314405A1 (en) Structure of a make-up container
EP4327693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utomatic dropper
US7621423B2 (en) Deformable container
KR200474796Y1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CN201260473Y (zh) 化妆品容器
KR102382964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EP3718433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handling portion
JP5554613B2 (ja) 内容物押出容器
JP5930772B2 (ja) 内容物押出容器
JP4429651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3603110B2 (ja) 液体注出容器
JP6739196B2 (ja) 広口容器
KR200437803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15000Y1 (ko) 스퀴즈 용기
KR102208030B1 (ko) 에코 펌프 방식 화장품 용기
JP6935109B2 (ja) 広口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