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13B1 -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13B1
KR102215113B1 KR1020200103689A KR20200103689A KR102215113B1 KR 102215113 B1 KR102215113 B1 KR 102215113B1 KR 1020200103689 A KR1020200103689 A KR 1020200103689A KR 20200103689 A KR20200103689 A KR 20200103689A KR 102215113 B1 KR102215113 B1 KR 10221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st
road
wild animal
w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배석
Original Assignee
임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배석 filed Critical 임배석
Priority to KR102020010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 야생동물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시켜 야생동물 출현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가드 레일부; 및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드 레일부로부터 도로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드 레일부의 외측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휀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ROADWAY ACCESS PREVENTION DEVICE FOR WILD}
본 발명은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 야생동물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시켜 야생동물 출현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랑이나 하천 또는 절벽과 같이 도로로부터 차량이 이탈했을 때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지형에 인접한 도로의 도로변에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설치되며, 이러한 가드레일은 통상적으로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가드레일판으로 이루어지고, 야간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가드레일판에 반사판이나 도로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차량 운전자의 주행을 돕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드레일은 단순하게 도로 가드레일을 이용하여 차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가드레일의 하부로는 고양이, 개, 토끼, 너구리,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통과하여 도로 내로 진입하고 가드레일의 상부로는 고라니, 노루, 사슴 등의 도약력있는 야생동물이 쉽게 뛰어넘어 도로 내로 진입하여 주행중인 차량과 충돌함으로써 각종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99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3929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 야생동물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시키고,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 및 알람을 통해 야생동물의 출현을 인지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함으로써 야생동물 출현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는,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가드 레일부; 및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드 레일부로부터 도로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드 레일부의 외측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휀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휀스부는, 상부가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부가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주; 야생동물이 상기 제1 지부와 상기 제2 지주 사이를 뛰어넘을 수 없도록 상기 제1 지부의 상부와 상기 제2 지주의 상부 사이를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상부 와이어; 및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지부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주는, "H" 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H"형 수직 프레임; "H" 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H"형 경사 프레임; 및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초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석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파일 형태로 제작된 뒤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시켜 그 형태가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벽체는,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 공간에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벽체는, 내측이 철조망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의 하부에 안착되어 하부 벽체를 형성하는 제1 벽체; 내측이 상기 제1 벽체의 철조망보다 덜 촘촘한 철조망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서 상기 제1 벽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중간 벽체를 형성하는 제2 벽체; 및 내측이 상기 제2 벽체의 철조망보다 덜 촘촘한 철조망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서 상기 제2 벽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부 벽체를 형성하는 제3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는,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 유무를 탐지하는 야생동물 탐지부; 및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에서 특정 제1 지주 또는 특정 제2 지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탐지한 경우 야생동물이 출현을 운전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야생동물이 접근하고 있는 특정 제1 지주 또는 특정 제2 지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설치되는 제1 지주 또는 제2 지주에 설치되는 야생동물 접근 알림용 경보 장치를 구동시켜 주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는,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여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 또는 상기 경보 발생부로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는,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에서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탐지한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로부터 전달되는 초음파 발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야생동물이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벽체는, 상기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에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탐지한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충격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벽체를 승강시킨 뒤 자유낙하시키는 충격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발생부는, 상기 제2 벽체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3 벽체를 승강 및 자유낙하시켜 주는 승강 슬라이더; 상기 제2 벽체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벽체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며,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이전 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제2 구동부; 상기 제3 벽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일측 상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3 벽체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다른 일측 상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슬라이더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수직면을 형성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벽체의 일측을 승강시켜 주는 제1 슬로프형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수직면을 형성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벽체의 다른 일측을 승강시켜 주는 제2 슬로프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안착홈은,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여 직각 삼각형 형태로 상기 제3 벽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제3 벽체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홈; 및 상기 승강홈으로부터 이탈한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가 안착되면서 상기 제3 벽체가 자유낙하하여 상기 제2 벽체와의 충격에 따라 충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홈의 다른 일측에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안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하측면과 상기 제3 벽체 사이의 간격보다 긴 바아(Bar)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일단이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 슬라이더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고 다른 일단으로 상기 제3 벽체를 승강시키는 바형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형 기어는, 상기 승강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일측 절반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벽체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 절반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 야생동물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시키고,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 및 알람을 통해 야생동물의 출현을 인지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함으로써 야생동물 출현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휀스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지주와 차단 벽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차단 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벽체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10)는, 가드 레일부(100) 및 휀스부(200)를 포함한다.
가드 레일부(100)는, 일반적으로 추락이나 중앙선 침범 등으로 인한 사고에서 2차 피해를 예방하고 보행자와 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물로서, 차량(C)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휀스부(200)는, 야생동물(W)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드 레일부(100)로부터 도로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드 레일부(100)의 외측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10)는, 차량(C)이 다니는 도로에 야생동물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시키고,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 및 알람을 통해 야생동물의 출현을 인지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함으로써 야생동물 출현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휀스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휀스부(200)는, 제1 지주(210), 제2 지주(220), 상부 와이어(230) 및 차단 벽체(240)를 포함한다.
제1 지주(210)는, 제2 지주(220)로부터 기 설정 거리(예를 들어, 100cm 내지 300cm 등)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가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야생동물((W)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제2 지주(220)와의 사이에 상부 와이어(230) 및 차단 벽체(240)가 설치된다.
제2 지주(220)는, 제1 지주(210)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부가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 지주(21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0cm 내지 300cm 등)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제1 지주(210)와 제2 지주(220)는, 차단 벽체(240)가 반복적으로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야생동물(W)의 진입을 막는 차단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와이어(230)는, 야생동물(W)이 제1 지부와 제2 지주(220) 사이를 뛰어넘을 수 없도록 제1 지부의 상부와 제2 지주(220)의 상부 사이를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차단 벽체(240)는, 야생동물(W)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제1 지부와 제2 지주(220)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휀스부(200)는, 야생동물(W)이 차도로 뛰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차량(C)이 다니는 도로에 야생동물(W)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지주와 차단 벽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주(210)는, "H"형 수직 프레임(211), "H"형 경사 프레임(212), 및 기초석(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주(210)의 각각의 구성은 제2 지주(2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제2 지주(220)의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형 수직 프레임(211)은, "H" 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석(213)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측에 "H"형 경사 프레임(212)이 형성되고,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차단 벽체(24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 공간(2111)이 형성된다.
"H"형 경사 프레임(212)은, "H" 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H"형 수직 프레임(211)의 상측으로부터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와이어(230)가 설치된다.
기초석(213)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설치되어 "H"형 수직 프레임(211)의 하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초석(213)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파일 형태로 제작된 뒤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시켜 그 형태가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형" 수직 프레임은 굴삭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면에 직접 바로 박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 벽체(240)는, "H"형 수직 프레임(21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 공간(2111)에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H"형 수직 프레임(21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 벽체(240)는, 제1 벽체(241), 제2 벽체(242) 및 제3 벽체(243)를 포함한다.
제1 벽체(241)는, 내측이 철조망(M1)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주(210)와 제2 지주(220) 사이의 하부에 안착되어 하부 벽체를 형성한다.
제2 벽체(242)는, 내측이 제1 벽체(241)의 철조망보다 덜 촘촘한 철조망(M2)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주(210)와 제2 지주(220) 사이에서 제1 벽체(241)의 상측에 안착되어 중간 벽체를 형성한다.
제3 벽체(243)는, 내측이 제2 벽체(242)의 철조망보다 덜 촘촘한 철조망(M3)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주(210)와 제2 지주(220) 사이에서 제2 벽체(242)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부 벽체를 형성한다.
이때, 제1 벽체(241), 제2 벽체(242) 및 제3 벽체(243)의 철조망의 형태를 달리 함은, 하측에 위치하는 벽체일수록 보다 작은 야생동물(예를 들어, 쥐, 토끼 또는 족제비 등)의 진입을 저지하고, 상측에 위치하는 벽체일수록 보다 큰 야생동물(예를 들어, 고라니 또는 멧돼지 등)의 진입을 저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철조망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벽체의 모듈화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20)는, 가드 레일부(100), 휀스부(200), 야생동물 탐지부(300) 및 경보 발생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드 레일부(100) 및 휀스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야생동물 탐지부(300)는, 제1 지주(210) 또는 제2 지주(220)에 설치되며, 제1 지주(210) 또는 제2 지주(220)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지주(210) 또는 제2 지주(220)로 접근하는 야생동물 유무를 탐지하며, 야생동물(W)이 탐지된 경우 야생동물(W)의 출현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경보 발생부(400)로 전달한다.
경보 발생부(400)는, 야생동물 탐지부(300)에서 특정 제1 지주(210) 또는 특정 제2 지주(220)로 접근하는 야생동물(W)을 탐지한 경우 야생동물(W)이 출현을 운전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야생동물(W)이 접근하고 있는 특정 제1 지주(210) 또는 특정 제2 지주(22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700m 내지 800m 등)에 설치되는 제1 지주(210) 또는 제2 지주(220)에 설치되는 야생동물(W) 접근 알림용 경보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켜 준다.
이때, 알림용 경보 장치는, 빨간색 등으로 점등하는 점등 장치, 또는 전광판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야생동물(W)의 접근을 인지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20)는, 초음파 발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600)는, 제1 지주(210) 또는 제2 지주(220)에 설치되며 야생동물 탐지부(300)에서 제1 지주(210) 또는 제2 지주(220)로 접근하는 야생동물(W)을 탐지한 경우 경보 발생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초음파 발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야생동물(W)이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초음파 발생부(600)는, 도로 반대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혼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청경보와 초음파를 전환하면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청경보는 야생동물이 듣고 놀라도록 강력한 혼소리를 출력하고, 초음파는 조류들을 대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양광 발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500)는, 제1 지주(210)와 제2 지주(220) 사이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여 야생동물 탐지부(300) 또는 경보 발생부(400)로 공급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차단 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벽체(240a)는, 제1 벽체(241), 제2 벽체(242), 제3 벽체(243) 및 충격 발생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 벽체(240)는, 제1 벽체(241), 제2 벽체(242) 및 제3 벽체(243)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충격 발생부(700)는, 제3 벽체(243)와 제2 벽체(242) 사이에 설치되며, 야생동물 탐지부(300)에서 접근하는 야생동물(W)을 탐지한 경우 경보 발생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3 벽체(243)와 제2 벽체(242)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충격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제3 벽체(243)를 승강시킨 뒤 자유낙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 발생부(700)는, 승강 슬라이더(710), 제1 구동부(720), 제2 구동부(730), 제1 안착홈(740), 제2 안착홈(750) 및 슬라이딩홈(7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벽체(243)는, 제1 구동부(720) 및 제2 구동부(7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구동부(720) 및 제2 구동부(7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 구간(2431)이 형성되며, 절곡 구간(2431)의 하측에 제1 구동부(720) 및 제2 구동부(730)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2432)를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760)은, 승강 슬라이더(71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벽체(242)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승강 슬라이더(710)는, 슬라이딩홈(760)의 형태에 대응하여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홈(760)에 안착되며, 제1 구동부(720) 및 제2 구동부(730)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딩홈(76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제3 벽체(243)를 승강 및 자유낙하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슬라이더(71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711), 제1 슬로프형 돌기(712) 및 제2 슬로프형 돌기(71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711)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홈(760)에 안착되어 제1 구동부(720) 또는 제2 구동부(730)에 의해 슬라이딩홈(76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1 슬로프형 돌기(712)는, 슬라이딩 플레이트(711)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수직면을 형성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711)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이용하여 제2 벽체(242)의 일측을 승강시켜 준다.
제2 슬로프형 돌기(713)는, 슬라이딩 플레이트(711)의 다른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수직면을 형성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711)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이용하여 제2 벽체(242)의 다른 일측을 승강시켜 준다.
제1 구동부(720)는, 제2 벽체(242)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슬라이더(7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승강 슬라이더(710)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렉기어(R)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721)를 회전시켜 준다.
제2 구동부(730)는, 제2 벽체(242)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며,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720)에 의해 이동된 승강 슬라이더(710)의 이전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동부(730)는, 승강 슬라이더(710)의 하측면과 제3 벽체(243) 사이의 간격(2431)보다 긴 바아(Bar)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일단(7311)이 승강 슬라이더(710)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승강 슬라이더(71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고 다른 일단(7312)으로 제3 벽체(243)를 승강시키는 바형 기어(731)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형 기어(731)는, 승강 슬라이더(710)와 대향하는 일측 절반(7311)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3 벽체(243)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 절반(7312)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형 기어(731)의 일측 절반(7311)은 탄성적으로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승강 슬라이더(710)와 밀착되고, 바형 기어(731)의 다른 일측 절반(7312)은 경질로 제작되어 제3 벽체(243)를 승강시켜 줌으로써, 고정 설치되는 제2 구동부(730)의 움직임 없이도 승강 슬라이더(710)의 이동 및 제3 벽체(243)를 승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제1 안착홈(740)은, 제3 벽체(243)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승강 슬라이더(710)의 일측 상부가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안착홈(740)은, 승강홈(741) 및 안착 공간(742)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홈(741)은, 제1 슬로프형 돌기(7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슬로프형 돌기(712)의 형태에 대응하여 직각 삼각형 형태로 제3 벽체(243)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제1 슬로프형 돌기(712)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어 제3 벽체(243)가 승강되도록 한다.
안착 공간(742)은, 승강홈(741)으로부터 이탈한 제1 슬로프형 돌기(712)가 안착되면서 제3 벽체(243)가 자유낙하하여 제2 벽체(242)와의 충격에 따라 충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승강홈(741)의 다른 일측에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한다.
제2 안착홈(750)은, 제3 벽체(243)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승강 슬라이더(710)의 다른 일측 상부가 안착된다.
여기서, 제2 안착홈(750)은, 제1 안착홈(740)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벽체(240a)는, 우선 1)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720)가 구동되어 승강 슬라이더(710)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3 벽체(243)를 승강시키게 되며, 다음으로,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로프형 돌기(712) 및 제2 슬로프형 돌기(713)가 안착 공간(742)에 안착되면 제1 슬로프형 돌기(712) 및 제2 슬로프형 돌기(713)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제3 벽체(243)가 자유낙하하게 되어 제2 벽체(242)와 충돌하여 충격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접근하던 야생동물이 깜짝 놀라 더이상 접근하지 못하고 도망가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730)가 구동되어 제3 벽체(243)를 승강시켜 주는 동시에 제1 슬로프형 돌기(712)를 도 8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켜 주어 다음 구동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100: 가드 레일부
200: 휀스부
300: 야생동물 탐지부
400: 경보 발생부
500: 태양광 발전부
600: 초음파 발생부
700: 충격 발생부

Claims (15)

  1.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가드 레일부; 및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드 레일부로부터 도로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드 레일부의 외측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휀스부;
    상기 휀스부는, 상부가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부가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주;
    야생동물이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를 뛰어넘을 수 없도록 상기 제1 지주의 상부와 상기 제2 지주의 상부 사이를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상부 와이어; 및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 벽체;
    상기 차단 벽체는, 제3 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 설치되며, 야생동물 탐지부에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탐지한 경우 경보 발생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벽체와 상기 제2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충격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벽체를 승강시킨 뒤 자유낙하시키는 충격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는,
    "H" 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상측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H"형 수직 프레임;
    "H" 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도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H"형 경사 프레임; 및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초석;을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파일 형태로 제작된 뒤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시켜 그 형태가 제작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차단 벽체는,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 공간에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H"형 수직 프레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차단 벽체는,
    내측이 철조망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주와 제2 지주 사이의 하부에 안착되어 하부 벽체를 형성하는 제1 벽체;
    내측이 상기 제1 벽체의 철조망보다 덜 촘촘한 철조망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서 상기 제1 벽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중간 벽체를 형성하는 제2 벽체; 및
    내측이 상기 제2 벽체의 철조망보다 덜 촘촘한 철조망에 의한 벽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서 상기 제2 벽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부 벽체를 형성하는 제3 벽체;를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 유무를 탐지하는 야생동물 탐지부; 및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에서 특정 제1 지주 또는 특정 제2 지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탐지한 경우 야생동물이 출현을 운전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야생동물이 접근하고 있는 특정 제1 지주 또는 특정 제2 지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설치되는 제1 지주 또는 제2 지주에 설치되는 야생동물 접근 알림용 경보 장치를 구동시켜 주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와 상기 제2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여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 또는 상기 경보 발생부로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야생동물 탐지부에서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탐지한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로부터 전달되는 초음파 발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야생동물이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발생부는,
    상기 제2 벽체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3 벽체를 승강 및 자유낙하시켜 주는 승강 슬라이더;
    상기 제2 벽체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벽체의 상부 후단에 설치되며, 충격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이전 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제2 구동부;
    상기 제3 벽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일측 상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3 벽체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다른 일측 상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슬라이더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수직면을 형성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벽체의 일측을 승강시켜 주는 제1 슬로프형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수직면을 형성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벽체의 다른 일측을 승강시켜 주는 제2 슬로프형 돌기;를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안착홈은,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여 직각 삼각형 형태로 제3 벽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제3 벽체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홈; 및
    상기 승강홈으로부터 이탈한 상기 제1 슬로프형 돌기가 안착되면서 상기 제3 벽체가 자유낙하하여 제2 벽체와의 충격에 따라 충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승강홈의 다른 일측에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하는 안착 공간;을 포함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하측면과 상기 제3 벽체 사이의 간격보다 긴 바아(Bar)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일단이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 슬라이더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고 다른 일단으로 상기 제3 벽체를 승강시키는 바형 기어를 구비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기어는,
    상기 승강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일측 절반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벽체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 절반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KR1020200103689A 2020-08-19 2020-08-19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KR10221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89A KR102215113B1 (ko) 2020-08-19 2020-08-19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89A KR102215113B1 (ko) 2020-08-19 2020-08-19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113B1 true KR102215113B1 (ko) 2021-02-10

Family

ID=7456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89A KR102215113B1 (ko) 2020-08-19 2020-08-19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6631Y (zh) * 1991-10-22 1993-01-27 北京市建筑五金科研实验厂 公路隔离栅
JP2002315496A (ja) * 2001-04-20 2002-10-29 Goko Kensetsu Kk 有害獣の侵入防止柵
KR101137072B1 (ko) * 2009-09-21 2012-04-19 우성안전 주식회사 마감재를 갖는 가드펜스
KR101489661B1 (ko) * 2014-01-15 2015-02-04 (주)오티에스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 및 차단시스템
KR101639291B1 (ko) 2016-02-22 2016-07-13 (주)청림건설조경 야생동물차단용 펜스설치구조물
KR101649932B1 (ko) 2014-09-17 2016-08-22 금은스틸 주식회사 동물 차단용 가드레일 겸용 펜스
KR101788543B1 (ko) * 2017-05-22 2017-10-20 양국승 동초방지용 펜스
KR102070378B1 (ko) * 2019-07-24 2020-01-28 주식회사 거원 도로변 동물보호 펜스 구조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6631Y (zh) * 1991-10-22 1993-01-27 北京市建筑五金科研实验厂 公路隔离栅
JP2002315496A (ja) * 2001-04-20 2002-10-29 Goko Kensetsu Kk 有害獣の侵入防止柵
KR101137072B1 (ko) * 2009-09-21 2012-04-19 우성안전 주식회사 마감재를 갖는 가드펜스
KR101489661B1 (ko) * 2014-01-15 2015-02-04 (주)오티에스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 및 차단시스템
KR101649932B1 (ko) 2014-09-17 2016-08-22 금은스틸 주식회사 동물 차단용 가드레일 겸용 펜스
KR101639291B1 (ko) 2016-02-22 2016-07-13 (주)청림건설조경 야생동물차단용 펜스설치구조물
KR101788543B1 (ko) * 2017-05-22 2017-10-20 양국승 동초방지용 펜스
KR102070378B1 (ko) * 2019-07-24 2020-01-28 주식회사 거원 도로변 동물보호 펜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835A (en) Vehicle barrier
KR100646846B1 (ko) 조립식 패널로 설치되는 야생동물 보호 가드레일
US11758878B2 (en) Wildlife exclusion systems and methods for railway tracks
KR101969782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611058B1 (ko) 도로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동물의침입방지장치
KR102215113B1 (ko) 야생동물 도로 출입 방지 장치
KR200275255Y1 (ko) 동물침입방지책
KR100774956B1 (ko) 야생동물 보호 겸용 잡초 방지 펜스
KR101364422B1 (ko) 도로사면을 이용한 경사각이 구비된 로드킬 방지 펜스
KR101649932B1 (ko) 동물 차단용 가드레일 겸용 펜스
GB2023695A (en) Crash barriers
KR102262865B1 (ko) 동물 차단구조가 설치된 철망 울타리
CN214401464U (zh) 预制吊装的行人安全岛
JP4596161B2 (ja) 侵入防止器
ES2564039B2 (es) Cerramiento de seguridad para animales y personas en vías de comunicación y otros espacios
KR101563540B1 (ko)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JP5197514B2 (ja) 動物侵入防止柵
JP2001008604A (ja) 防獣フェンスとそのためのフェンス体
KR20150133412A (ko) 동물과 식물의 도로침입을 차단하는 가드레일 보완 철제 구조물 및 그의 설치방법
JP7480022B2 (ja) 車両捕捉装置、覆蓋部材、及び、車両捕捉方法
RU174311U1 (ru) Защитный барьер-блокиратор
CN215801162U (zh) 一种多列式激光路桩装置
JPH0712412Y2 (ja) 高速道路用防獣フェンス構造体
JP6494722B2 (ja) 注意喚起用保安部品及び注意喚起用保安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道路防護施設
KR102178339B1 (ko) 도로용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