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157B1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157B1
KR102214157B1 KR1020180122651A KR20180122651A KR102214157B1 KR 102214157 B1 KR102214157 B1 KR 102214157B1 KR 1020180122651 A KR1020180122651 A KR 1020180122651A KR 20180122651 A KR20180122651 A KR 20180122651A KR 102214157 B1 KR102214157 B1 KR 10221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eight
sheet
prism sheet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270A (ko
Inventor
이동철
최진연
오세진
이우종
김민호
김두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12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57B1/ko
Priority to CN201910973368.9A priority patent/CN111045249B/zh
Priority to US16/600,945 priority patent/US11048038B2/en
Priority to JP2019188947A priority patent/JP2020076978A/ja
Publication of KR2020004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광학 필름이 개시된다. 광학 필름은 복수의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된 제1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며, 일 면에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배치되는 확산 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과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에 비해 작으며,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을 확산하는 광학 필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화면 전체에 광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모듈은 램프와 램프의 광을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과 반사되는 광을 면 광원화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도광판의 상 면에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와 확산된 빛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배치된다.
광학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합지(lamination)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름은 1 매의 확산 시트 및 2 매의 프리즘 시트가 합지된 형태일 수 있다.
단순한 합지 형태의 광학 필름은 복수의 시트가 합지되어 강성이 높아져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합지 형태에서 기인하는 휘도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광학 필름을 복수의 시트의 합지 형태로 제작하여 광학필름의 변형을 줄이면서도 동시에 휘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의 확산을 위한 에어갭(air gap)이 확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를 합지하여 휘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강성이 확보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복수의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된 제1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며, 일 면에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배치되는 확산 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과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에 비해 작으며,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필름의 휘도 저하는 최소화되고 광학 필름의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측정을 위한 실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1)는 백라이트 유닛(10)과 액정패널(2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10)은 액정패널(20)에 빛을 조사하도록 액정패널(2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은 광원(11), 반사판(12), 도광판(13), 확산시트(14), 프리즘 시트(15, 16) 및 반사편광시트(17)를 포함한다.
광원(11)에서 방출된 빛은 도광판(13)에의 의해 면광원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1)은 엣지형 또는 직하형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원(11)은 LED(light emitting diode), 형광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판(12)은 도광판(13) 후방에 배치되어 도광판(13) 후방으로 출사된 빛을 도광판(13)으로 반사시켜 입사시킴으로써 빛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확산 시트(14)는 도광판(13)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확산 시트(14)는 광 확산제 비드(beeds)가 첨가되어 있는 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및 라디칼 발생형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택하여 단독 또는 혼합된 것임) 용액을 도포하여 광학산제 비드에 의해 광확산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확산 시트(14)는 균일 또는 불균일한 크기의 형상(예를 들어, 구형)의 돌기 패턴(또는 돌출부)이 형성되어 광의 확산을 촉진한다.
프리즘 시트(15, 16)는 표면에 형성된 광학패턴을 이용해서 입사된 빛을 집광하여 액정 패널(20)로 출사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15, 16)는 투광성 베이스 필름 상부에 정면 방향의 휘도 향상을 위하여 통상 45°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삼각 어레이(array) 형태의 광학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패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편광시트(17)는 프리즘 시트(15, 16) 상부에 구비되어 프리즘 시트(15, 16)로부터 집광된 빛에 대해 일 편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은 하부로 반사시켜 빛을 재순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 패널(20)은 광원(11)에서 조사된 광을 전기 신호에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굴절시킨다. 굴절된 광은 액정 패널(20)의 전면에 배치된 컬러 필터와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도시한다.
광학 필름(200)은 프리즘 시트(210) 및 확산 시트(220)를 포함한다.
프리즘 시트(210)는 확산 시트(220)를 통과한 광을 집광한다. 일 예로, 프리즘 시트(210)는 PET 필름(또는 베이스 필름) 상면에 삼각형의 복수 개의 프리즘을 일 면에 배치할 수 있다.
확산 시트(220)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킨다. 확산 시트(220)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210) 및 확산 시트(220)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접착제는 프리즘 시트(210)의 타 면에 도포될 수 있다. 확산 시트(220)의 일 면은 접착제가 도포된 프리즘 시트(210)의 타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200)은 프리즘 시트(210) 및 확산 시트(220)가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광학 필름(200)이 프리즘 시트(210) 및 확산 시트(220)의 합지 형태인 경우, 프리즘 시트(210) 및 확산 시트(220) 간의 접착면에 의해 휘도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후술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휘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리즘 시트(210) 및 확산 시트(220) 간에 에어 갭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2에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도시한다.
광학 필름(300)은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를 포함한다.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는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리즘 시트(320)의 프리즘 배치 방향은 제1 프리즘 시트(310)의 프리즘 배치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300)은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가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광학 필름(300)이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의 합지 형태인 경우,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 간의 접착면에 의해 휘도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후술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휘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 간에 에어 갭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400)은 제1 프리즘 시트(410), 제2 프리즘 시트(420) 및 확산 시트(43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프리즘 시트(410)의 일 면에는 복수의 프리즘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리즘 시트(410)의 타 면에는 제2 프리즘 시트(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리즘 시트(420)의 일 면에는 복수의 프리즘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리즘 시트(420)의 타 면에는 확산 시트(4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430)의 일 면에는 광 확산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확산 패턴은 복수의 돌기부(430-1) 및 복수의 돌기부(43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부(430-1) 및 복수의 돌기부(430-2)는 확산 시트(430)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아크릴의 일종인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투명한 우레탄, 레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리즘 시트(410) 및 제2 프리즘 시트(420)는 접착제 층(440)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리즘 시트(420) 및 확산 시트(430)는 접착제 층(450)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확산 시트(430) 일 면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430-1)의 상단부 중 일부는 접착제 층(450)에 인입되어 고정/접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500)은 제1 프리즘 시트(510), 제2 프리즘 시트(520) 및 확산 시트(530)를 포함한다.
확산 시트(530)는 제1 돌기부(530-1), 제2 돌기부(530-2) 및 베이스필름(53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돌기부(530-1) 및 제2 돌기부(530-2) 각각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530)의 일 면에는 제1 돌기부(530-1) 및 제2 돌기부(530-2)가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부(530-1) 및 제2 돌기부(530-2) 각각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돌기부(530-1)는 제2 프리즘 시트(520)의 타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부(530-1)의 상단부의 일부는 접착제(540) 층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돌기부(530-2)는 제2 프리즘 시트(520)의 상기 타 면과 소정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제1 돌기부(530-1)는 제2 프리즘 시트(520)의 타 면에 접착되어 확산 시트(530)를 제2 프리즘 시트(520)에 지지하고, 제2 돌기부(530-2)는 제2 프리즘 시트(520)의 타 면과 소정의 거리에 배치됨으로써 소정의 거리만큼의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갭은 광의 확산을 촉진함으로써 광학 필름(5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대한 휘도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리즘 시트(520) 및 확산 시트(530) 간에 배치되는 접착제 층(540)은 확산 시트(530)로 조사되는 광의 확산을 방해함으로써 광의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프리즘 시트(520) 및 확산 시트(530) 간에 배치되는 에어 갭은 광의 확산을 촉진하여 광의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확산 시트(530)의 타면에 광의 확산을 위한 복수의 돌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돌기부(530-1)는 제2 돌기부(530-2)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 사이에 일부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확산 시트(600)는 제1 돌기부(610) 및 제2 돌기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돌기부(6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1
)는 제1 돌기부(6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2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부(6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3
)는 제1 돌기부(6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4
)에 대한 비율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부(6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5
) 및 제2 돌기부(6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6
) 간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8
은 제1 돌기부(6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09
는 제2 돌기부(6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0
이다. 여기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1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2
보다 작은 경우, 제2 돌기부(620)의 확산 기능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다.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3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4
보다 큰 경우, 제2 돌기부(620)와 접착제 층 간의 거리가 가까워 짐에 따라 LCD 장치의 화면에 얼룩(흑점 및 백점)이 질 수 있다. 또한, 에어갭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확산 및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5
를 만족하는 경우, 광의 확산이 촉진되어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LCD 장치의 깨끗한 화면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예들에서, 제1 돌기부(610) 및 제2 돌기부(62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확산 시트(600)의 일 면은 제3 돌기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돌기부의 높이는 제1 돌기부(6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6
)에 대한 비율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확산 시트(700)는 제1 돌기부(710), 제2 돌기부(720) 및 베이스필름(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돌기부(710) 및 베이스필름(730)의 일 면이 접하는 제1 면(710-1)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부(720) 및 확산 시트(700)의 베이스필름(730)의 상기 일 면이 접하는 제2 면(720-1)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부(7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7
)는 제1 면(710-1) 및 베이스필름(730)의 상기 일 면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제1 돌기부(710)의 최상단까지의 거리이고, 제2 돌기부(7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8
)는 제2 면(720-1) 및 베이스필름(730)의 상기 일 면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상기 제2 돌기부(720)의 최상단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부(7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19
) 및 제2 돌기부(7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0
)는 확산 시트(700)의 제조 공정 상에서 제1 면(710-1) 및 제2 면(720-1)에 발생할 수 있는 레진 잔류층을 제외한 높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돌기부(7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의 높이 각각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부(7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의 높이 각각은 동일할 수 있다. 단, 여기서 동일하다는 의미는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 각각의 높이 차이가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1
이내인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710)부와 제2 돌기부(720)는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돌기부(710)의 제1 면(710-1)의 직경(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2
) 및 제1 돌기부(7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3
)는 아래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4
여기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5
은 제1 돌기부(710)의 제1 면(710-1)의 직경,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6
은 제1 돌기부(71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7
이다. 여기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8
Figure 112018101308859-pat00029
보다 큰 경우 광의 휘도와 광의 확산 효과가 감소한다.
일 예로, 제2 돌기부(720)의 제2 면(720-1)의 직경(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0
) 및 제2 돌기부(7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1
)는 아래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2
여기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3
는 제2 돌기부(720)의 제2 면(720-1)의 직경,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4
는 제2 돌기부(720)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5
이다. 이 경우,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6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7
보다 작은 경우 광의 휘도와 광의 확산 효과가 감소한다. 일 예로,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8
Figure 112018101308859-pat00039
가 같은 경우,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0
는 상기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측정을 위한 실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휘도 측정을 위한 실험의 구성(800)은 SR3(색체 휘도계)(810) 및 백라이트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SR3(810)은 휘도 측정 장치로 고속 분광 측정 시스템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820)은 도 1의 일 예일 수 있으며, 도 1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백라이트 유닛(820)은 3매 접합 시트(821), 도광판(light guide panel)(822), 광원(823), 반사 필름(reflect film)(824), 차광 테이프(825) 및 섀시(chassis)(8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매 접합 시트(광학 필름)(821)는 상부 프리즘 시트(821-1), 하부 프리즘 시트(821-2) 및 확산시트(821-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부 프리즘 시트(821-1) 및 하부 프리즘 시트(821-2) 각각에 배치된 프리즘은 직교할 수 있다.
휘도 측정을 위한 실험의 구성(800)에서 실험 조건은, (1) 백라이트 유닛(820)은 6인치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이고, (2) 3매 접합 시트(광학 필름)(821)는 상부 프리즘 시트(821-1), 하부 프리즘 시트(821-2) 및 확산 시트(821-3)의 합지 형태이고, (3) SR3(810) 및 3매 접합 시트(821) 간의 거리는 50cm이고, (4) 확산 시트(821-3)의 일 면에 배치된 제1 돌기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및 제2 돌기부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는 복수의 실험 케이스를 설정한다. 일 예로, 도 4의 광학 필름과 같이, 확산 시트(821-3)의 일 면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의 높이가 일정한 경우의 3매 접합 시트를 이용한 경우를 복수의 실험 케이스 중 비교 대상이 되는 레퍼런스 케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확산 시트(821-3)의 일 면에 배치된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2
)과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3
) 간의 비율을 달리하여 백라이트 유닛(820)에 전류를 인가하여 휘도를 측정한 결과는 이하의 도 9 및 10에 도시된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다.
상술한 실험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레퍼런스 케이스는 확산 시트(821-3)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부(spacer)의 높이(또는 단차)(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4
)가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5
이고, 확산 시트(821-3)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2 돌기부(base)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6
)가 13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7
로 설정된 경우로 가정한다.
또한, 확산 시트(821-3)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부의 높이 (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8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49
로 설정됨을 가정한다.
실험 케이스 1은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0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1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2
)는 3.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3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99.2%이다.
실험 케이스 2는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4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5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6
)는 3.8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7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104.8%이다.
실험 케이스 3은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8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59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0
)는 4.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1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106.0%이다.
실험 케이스 4는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2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3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4
)는 8.1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5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106.9%이다.
실험 케이스 5는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6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7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8
)는 9.0
Figure 112018101308859-pat00069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104.6%이다.
실험 케이스 6은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0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1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2
)는 9.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3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99.9%이다.
실험 케이스 7은 제1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4
)는 15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5
이고, 제2 돌기부의 높이(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6
)는 11.6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7
인 경우로, 레퍼런스 케이스 대비 측정된 휘도의 상대 값은 99.7%이다.
상술한 실험 케이스 1 내지 실험 케이스 7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실험 케이스 2 내지 실험 케이스 4에서 레퍼런스 케이스에 비해 높은 휘도가 측정되었다.
실험 케이스 2에서의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8
Figure 112018101308859-pat00079
의 높이 비율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0
는 0.25이고, 실험 케이스 4에서의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1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2
의 높이 비율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3
는 0.60이다. 즉, 실험 케이스 2에서의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4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5
의 높이 비율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6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7
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는 상술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한다.
본 실험을 통해, 하부 프리즘 시트(821-2) 및 확산시트(821-3) 간의 에어 갭은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8
Figure 112018101308859-pat00089
의 높이 비율
Figure 112018101308859-pat00090
Figure 112018101308859-pat00091
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광의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매 접합 시트의 경우 휘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에어 갭은 광의 확산을 촉진하여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에 동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들에 있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1 백라이트 유닛: 10
액정패널: 20 광학 필름: 200, 300, 400, 500, 821
프리즘 시트: 15, 16, 210, 310, 320, 410, 420, 510, 520, 821-1, 821-2
확산 시트: 14, 220, 330, 430, 500-1, 600, 821-3

Claims (13)

  1. 광학 필름에 있어서,
    복수의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된 제1 프리즘 시트;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일 면에 배치되는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며, 일 면에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배치되는 확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2 프리즘 시트는 돌기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접착제만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과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에 비해 작으며,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는 수학식 h1 : h2 = 1 : x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여기서, h1은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 h2는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 0.3≤x≤0.6 이고,
    상기 제1 돌기부의 제1 면의 직경 및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는 수학식 d1 : h1 = 1 : y 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여기서, d1 은 상기 제1 돌기부에서 상기 확산 시트의 베이스필름에 접하는 상기 제1 면의 직경, h1 은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 y≤0.5 이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제2 면의 직경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는 수학식 d2 : h2 = 1 : z 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여기서, d2 는 상기 제2 돌기부에서 상기 확산 시트의 상기 베이스필름에 접하는 상기 제2 면의 직경, h2 는 상기 제2 돌기부의 높이, z≥0.15 인,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제1 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제2 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 광학 필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높이
    Figure 112021000865107-pat00096
    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확산 시트의 베이스필름의 일 면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상기 제1 돌기부의 최상단까지의 거리이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높이
    Figure 112021000865107-pat00097
    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확산 시트의 베이스필름의 일 면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최상단까지의 거리인, 광학 필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트의 상기 일 면은 제3 돌기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돌기부의 높이에 대한 비율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광학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 돌기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의 높이는 동일한, 광학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는 랜덤하게 배치되는, 광학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트의 타면에 광의 확산을 위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2 돌기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 사이에 일부가 중첩되어 형성되는,광학 필름.


KR1020180122651A 2018-10-15 2018-10-15 광학 필름 KR10221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51A KR102214157B1 (ko) 2018-10-15 2018-10-15 광학 필름
CN201910973368.9A CN111045249B (zh) 2018-10-15 2019-10-14 光学薄膜
US16/600,945 US11048038B2 (en) 2018-10-15 2019-10-14 Optical film for improving light diffusion and preventing brightness deterioration
JP2019188947A JP2020076978A (ja) 2018-10-15 2019-10-15 光学フィル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51A KR102214157B1 (ko) 2018-10-15 2018-10-15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270A KR20200042270A (ko) 2020-04-23
KR102214157B1 true KR102214157B1 (ko) 2021-02-10

Family

ID=7015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651A KR102214157B1 (ko) 2018-10-15 2018-10-15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8038B2 (ko)
JP (1) JP2020076978A (ko)
KR (1) KR102214157B1 (ko)
CN (1) CN1110452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96B1 (ko) * 2018-11-16 2021-03-03 주식회사 엘엠에스 차폐 성능이 향상된 확산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7160863B2 (ja) * 2020-06-26 2022-10-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光拡散シート積層体
KR102222663B1 (ko) * 2020-07-15 2021-03-04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지주 설치용 태양광패널 각도 조절장치
KR102599217B1 (ko) * 2021-09-23 2023-11-08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2440A (ja) * 2014-12-05 2016-12-15 サンテックオプト株式会社 拡散シートおよび積層光学シート
KR101691541B1 (ko) 2015-06-04 2016-12-30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패턴을 가지는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710097B1 (ko) * 2015-04-03 2017-02-27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07132U (en) * 2006-09-22 2007-03-01 Eternal Chemical Co Ltd Optic film
JP5217370B2 (ja) * 2007-11-12 2013-06-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58885B1 (ko) 2008-03-06 2015-10-15 미래나노텍(주) 단일의 다층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90096295A (ko) * 2008-03-06 2009-09-10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 및 그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JP2010066309A (ja) * 2008-09-08 2010-03-25 Optmate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デバイス
US20120268964A1 (en) * 2011-04-20 2012-10-2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Diffuser film with controlled light collimation
CN102162868B (zh) * 2011-05-04 2013-05-22 凯鑫森(上海)功能性薄膜产业有限公司 一种光学片及具备光学片的背光模组
KR101269190B1 (ko) * 2012-05-10 2013-05-30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유닛
KR101407440B1 (ko) * 2013-09-03 2014-06-16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복합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TWI494624B (zh) * 2014-01-29 2015-08-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包含其之顯示器及導光板之製備方法
US20170199309A1 (en) * 2016-01-12 2017-07-13 Optivision Technology Inc. Optical device and diffusion film
CN205299271U (zh) * 2016-01-12 2016-06-08 光耀科技股份有限公司 整合型光学薄膜及其扩散片
CN209460443U (zh) * 2018-12-12 2019-10-01 苏州乐贸星光电有限公司 光学薄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2440A (ja) * 2014-12-05 2016-12-15 サンテックオプト株式会社 拡散シートおよび積層光学シート
KR101710097B1 (ko) * 2015-04-03 2017-02-27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691541B1 (ko) 2015-06-04 2016-12-30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패턴을 가지는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45249A (zh) 2020-04-21
US20200116919A1 (en) 2020-04-16
JP2020076978A (ja) 2020-05-21
US11048038B2 (en) 2021-06-29
KR20200042270A (ko) 2020-04-23
CN111045249B (zh)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157B1 (ko) 광학 필름
US7360937B2 (en) White light generat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97335B1 (ko) 가요성 도광필름을 이용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US7674029B2 (en) Light guide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using the same
US10222537B2 (en) Display device with edge light guide
US20060238881A1 (en) Optical lens, optical package having the sam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00246210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unit
US2012015471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KR2017008079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4423933B2 (ja)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TWI395020B (zh) 表面光源裝置及影像顯示裝置
US11314128B2 (en) Diffusion sheet and a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diffusion sheet
JP5736957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7159556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513442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5217447B2 (ja) 光源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098575B2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047232B1 (ko) 확산용 도광필름, 백라이트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02283777B1 (ko) 좁은 시야각을 가지는 광학필름
CN209460443U (zh) 光学薄膜
KR10193119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102343050B1 (ko) 핫스팟을 저감하는 광학필름
KR201900448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044799A (ja) 透過型画像表示装置
KR102009855B1 (ko) 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