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440B1 - 탄산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440B1
KR102213440B1 KR1020130162441A KR20130162441A KR102213440B1 KR 102213440 B1 KR102213440 B1 KR 102213440B1 KR 1020130162441 A KR1020130162441 A KR 1020130162441A KR 20130162441 A KR20130162441 A KR 20130162441A KR 102213440 B1 KR102213440 B1 KR 10221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ic acid
cartridge
gas
carbonated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551A (ko
Inventor
문유진
서영주
원량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4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수의 농도나 기포의 크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물과 탄산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탄산 카트리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체결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물과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체 분리막;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각각 상기 기체 분리막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pore size)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수의 농도나 기포의 크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수기는 단순히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유용한 성분이 추가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한 예로서, 정수기에 탄산이 공급되도록 하여 물의 음용시 탄산 음용수를 수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일반적으로 초기 탄산가스를 저장하는 탄산가스 압력용기와, 오리피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로 구성되어 용기내에 오리피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기포를 물에 녹여 탄산수를 제조한다.
하지만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항상 이산화탄소 즉 탄산 가스가 동일한 경로에 의해 물과 혼합되므로 물에 녹은 탄산의 기포의 상태도 항상 동일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음용자가 부드러운 탄산수를 원하거나 거친 탄산수를 원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상태의 탄산수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용자에게 다양한 상태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는 탄산수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교체식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물과 탄산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탄산 카트리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체결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물과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체 분리막;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각각 상기 기체 분리막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pore size)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상기 기체 분리막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유체 유입 공간과 가스 유입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 공간은 상기 기체 분리막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공급부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스 유입 공간은 상기 기체 분리막의 외부 공간과 상기 공급부에 형성되는 가스 유입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공간에 유입된 탄산 가스는, 미세 기포 형태로 상기 기체 분리막을 투과하여 상기 기체 분리막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물과 혼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기체가 투과 가능한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삭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는, 원판의 다이얼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 구멍에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의 상기 체결 구멍들은,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물과 탄산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탄산 카트리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체결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물과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급부가 체결되는 커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도어가 상기 보호 커버에 결합될 때, 상기 공급부는 상기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탄산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일면에 실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는, 다수의 탄산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체결부에 배치하고, 음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탄산 카트리지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어 음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얼식으로 카트리지 체결부를 회전시키며 원하는 탄산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작과 선택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탄산 카트리지 내에서 탄산 가스가 물에 용해되어 배출되므로, 저장 용기를 밀폐식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특정 저장 용기만을 사용할 필요 없이 다양한 용기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저장 탱크(100), 탄산 주입부(200), 저장 탱크(100)의 냉수를 탄산 주입부(200)로 공급하는 펌프(300), 저장 탱크(100)와 탄산 주입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냉수 공급관(120), 냉수 공급관(120)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260), 탄산 주입부(200)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탱크(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저장한다.
체크밸브(260)는 탄산 주입부(200)의 유입구에 배치되어 원수의 유입을 제어하고, 탄산 주입부(200)로부터 역류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체크밸브(260)로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밸브 등 다양한 공지의 밸브가 적용 가능하다
펌프(300)는 저장 탱크(100)와 탄산 주입부(200)를 연결하는 냉수 공급관(120)에 설치되어 저장 탱크(100)내의 원수를 탄산 주입부(200)로 펌핑시킨다.
이산화탄소 공급부(400)는, 이산화탄소 저장 용기(410), 이산화탄소 공급관(420), 개폐밸브(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폐밸브(430)의 조작에 따라 이산화탄소 저장 용기(410) 내의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공급관(420)을 통해 탄산 주입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탄산 주입부(200)는 공급부(210)와 탄산 카트리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210)는 탄산 카트리지(220)와 결합되어 물이나 가스가 유입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공급부(210)는 캡(cap)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분리된 2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부(210)에는 유체 즉 물이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212)와, 탄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구(214)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유입구(212)와 가스 유입구(214)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공급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독립적인 각각의 공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공급부(210)는 후술되는 탄산 카트리지(220)의 일단에 접촉하며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공급부(210)의 일단 즉 탄산 카트리지(22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견고한 밀폐를 위해 실링 부재(216)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부재(216)는 고무 재질의 링(ring)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산 카트리지(220)는 기체 분리막(230)과 결합 부재(240), 및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 분리막(230)은 기체가 투과할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일 수 있다. 기체 분리막(230)은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다수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은 물이 통과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체 즉 탄산 가스는 기체 분리막(230)의 외부에서 내경 방향으로 기체 분리막(230)의 내부에 침투하여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이때, 기체 분리막(230)에 의해 탄산 가스는 작은 크기의 미세 기포들로 분해되어 물와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와 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이산화탄소가 물에 쉽게 용해되므로 효과적으로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 분리막(230)은 중공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 분리막(230)은, 최소량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사용하여 적절한 농도의 탄산수를 얻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1 kgf/cm의 압력에서 0.55 내지 4.6 LPM(Liter Per Minute),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LPM 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기체 분리막(230)의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탄산수 내에 용존 탄산량이 0.2%를 넘을 수 없어 탄산수로 사용하기 어렵다. 이와 반대로 이산화탄소 투과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 투입량과 비교하여 높은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없어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기체 분리막(230)의 재질은 상기한 이산화탄소 투과량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으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라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다.
또한 기체 분리막(230)은 막 표면 및 내부에 친수성 고분자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 이용될 수 있다.
기체 분리막(230)의 일단에는 하우징(250)과 결합되는 결합 부재(240)가 체결될 수 있다.
결합 부재(240)는 기체 분리막(230)의 일단을 연장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블록(24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블록(242)은 결합 부재(240)와 하우징(250) 사이에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결합 부재(240)를 하우징(25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돌출 블록(242)들이 결합 부재(240)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250)은 전체적인 외형이 긴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개방되어 전술한 공급부(210)가 결합된다. 또한 타단은 탄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56)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50)의 내부에는 기체 분리막(23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50)의 내부에는 걸림 돌기(252)와 고정 돌기(254)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252)는 결합 부재(240)의 돌출 블록(242)의 하부에 배치되어 돌출 블록들(242)을 지지한다. 따라서 기체 분리막(230)은 돌출 블록(242)과 걸림 돌기(252)에 의해 하방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고정 돌기(254)는 기체 분리막(230)의 타단 측에서 돌출되어 기체 분리막(230)에 고정 체결된다.
또한 하우징(250) 내에 기체 분리막(230)이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250) 내부의 공간은 가스 유입 공간(280)과 유체 유입 공간(27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들(270, 280)은 전술한 공급부(210)에 의해 완전하게 구획될 수 있다.
유체 유입 공간(270)은 기체 분리막(230) 내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들(미도시)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공급부(210)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2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유입 공간(270)은 물이 이동하는 통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유체 유입구(212)를 통해 공급부(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기체 분리막(230)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 기체 분리막(230)의 타단을 통해 배출구(256)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물은 기체 분리막(230)의 내부에서 탄산 가스가 혼합되어 탄산수로 형성된다.
가스 유입 공간(280)은 기체 분리막(230)의 외측 공간으로 형성되며, 공급부(210)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214)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유입 공간(280)은 밀폐된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유입구(214)를 통해 가스 유입 공간(280)으로 유입되는 탄산 가스는 돌출 블록(242)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기체 분리막(230)의 외측으로 이동한 후, 기체 분리막(230)을 투과하여 기체 분리막(230)의 관통 구멍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50)은 후술되는 카트리지 체결부(40)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 돌기(258)가 외부면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1)는 저장 탱크(100)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탄산 카트리지(220)의 유체 유입구(212)를 통해 유체 유입 공간(27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기체 분리막(230)의 관통 구멍을 지난 후 탄산 카트리지(2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공급부(210)로부터 탄산 가스가 가스 유입구(214)를 통해 가스 유입 공간(28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탄산 가스는 기체 분리막(230)을 투과하며 작은 기포들로 분해되며 기체 분리막(230)의 관통 구멍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체 분리막(230)의 관통 구멍 내에서, 작은 기포들로 분해된 탄산 가스는 관통 구멍을 흐르는 물 속으로 스며들어 물과 혼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탄산을 포함하는 탄산수가 탄산 카트리지(2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1)는 다수개의 탄산 카트리지(22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탄산 카트리지(220)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 탄산 주입부(200)가 배치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1)는, 몸체부(11), 적어도 하나의 탄산 카트리지(220)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체결부(40), 브라켓(50), 보호 커버(20), 및 커버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탄산수 제조 장치(1)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몸체부(11)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여러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의 일측에는 탄산 주입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탄산 주입부(200)는 카트리지 체결부(40)와 브라켓(50)을 통해 몸체부(11)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 체결부(40)는 원반 형태의 다이얼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체결부(40)는 수직 회전축을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다수의 체결 구멍(4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구멍(42)은 전술한 탄산 카트리지(220)가 결합되며 체결될 수 있다. 탄산 카트리지(220)는 하우징(250)에 형성된 지지 돌기(258)가 카트리지 체결부(4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체결 구멍(4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산 카트리지(22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체결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3 개의 체결 구멍(42)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체결 구멍(42)은 카트리지 체결부(40)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체결부(40)를 회전시키는 경우, 동일한 위치에 반복적으로 체결 구멍(4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체결부(40)는 사용자가 카트리지 체결부(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체결부(40)의 하부에는 저장 용기(2)가 배치된다. 저장 용기(2)는 탄산 카트리지(220)로부터 배출되는 탄산수가 담기는 용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2)는 공급부(210)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 구멍(4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1)는 브라켓(50)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50)은 몸체부(11)에 체결된다. 또한 카트리지 체결부(40)는 회전 가능하도록 브라켓(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체결부(40)의 하부에 저장 용기(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용기(2)는 브라켓(50)과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보호 커버(20)는 내부에 상기한 탄산 카트리지(220)와 카트리지 체결부(40), 브라켓(50) 등을 수용하며 몸체부(11)에 체결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한다.
또한 보호 커버(20)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 구멍(2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 구멍(22)을 통해 카트리지 체결부(40)는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체결부(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이얼 식으로 카트리지 체결부(40)를 회전시키며 원하는 탄산 카트리지(220)를 공급부(210)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해당 탄산 카트리지(220)를 이용할 수 있다.
커버 도어(30)는 보호 커버(20)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보호 커버(20)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 도어(30)의 내부면에는 전술한 공급부(210)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도어(30)가 보호 커버(20)에 완전하게 결합되어 닫히는 경우, 공급부(210)는 탄산 카트리지(220)와 결합되어 전술한 유체 유입 공간(270)와 가스 유입 공간(280)을 완성한다. 그러나 커버 도어(30)가 열리는 경우, 공급부(210)는 커버 도어(30)와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공급부(210)는 탄산 카트리지(220)와 분리된다. 이 경우, 탄산 카트리지(220)를 카트리지 체결부(40)에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탄산 카트리지(220)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다수의 탄산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체결부에 배치하고, 음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탄산 카트리지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체 분리막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pore size)가 서로 다른 탄산 카트리지들을 카트리지 체결부에 결합함으로써, 음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탄산 카트리지를 선택하여 원하는 형태의 탄산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음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얼식으로 카트리지 체결부를 회전시키며 원하는 탄산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작과 선택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탄산 카트리지 내에서 탄산 가스가 물에 용해되어 배출되므로, 저장 용기를 밀폐식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특정 저장 용기만을 사용할 필요 없이 다양한 용기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탄산수 제조 장치
11: 몸체부
20: 보호 커버
30: 커버 도어
40: 카트리지 체결부
50: 브라켓
200: 탄산 주입부
210: 공급부
220: 탄산 카트리지
230: 기체 분리막

Claims (12)

  1. 물과 탄산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탄산 카트리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체결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물과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체 분리막;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각각 상기 기체 분리막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pore size)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상기 기체 분리막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유체 유입 공간과 가스 유입 공간으로 구획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 공간은 상기 기체 분리막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공급부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스 유입 공간은 상기 기체 분리막의 외부 공간과 상기 공급부에 형성되는 가스 유입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공간에 유입된 탄산 가스는,
    미세 기포 형태로 상기 기체 분리막을 투과하여 상기 기체 분리막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상기 물과 혼합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막은
    기체가 투과 가능한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로 형성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는,
    원판의 다이얼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 구멍에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삽입되며 결합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의 상기 체결 구멍들은,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11. 물과 탄산 가스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탄산 카트리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카트리지 체결부;
    다수개의 상기 탄산 카트리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물과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상기 카트리지 체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급부가 체결되는 커버 도어;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도어가 상기 보호 커버에 결합될 때, 상기 공급부는 상기 탄산 카트리지에 결합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탄산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일면에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0130162441A 2013-12-24 2013-12-24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21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41A KR102213440B1 (ko) 2013-12-24 2013-12-24 탄산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41A KR102213440B1 (ko) 2013-12-24 2013-12-24 탄산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51A KR20150074551A (ko) 2015-07-02
KR102213440B1 true KR102213440B1 (ko) 2021-02-08

Family

ID=5378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441A KR102213440B1 (ko) 2013-12-24 2013-12-24 탄산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48295B (en) * 2016-10-10 2018-02-28 Strauss Water Ltd Carbonation unit, system and method
KR20180056177A (ko) * 2016-11-18 2018-05-28 조영훈 탄산수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04B1 (ko) * 2011-12-13 2013-05-06 컨벡스코리아(주)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A (ja) * 1993-02-04 1995-01-06 Mitsubishi Rayon Co Ltd 炭酸ガス溶解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04B1 (ko) * 2011-12-13 2013-05-06 컨벡스코리아(주)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51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551B1 (ko) 제거가능하고 교체가능한 스핀들을 구비한 모듈식 음용수 여과시스템
JP4570830B2 (ja) 再利用可能な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及び圧力容器
US10011499B2 (en) Water filter cartridge
KR20110007146A (ko) 하부 적재 카트리지를 구비한 모듈식 음용수 여과시스템
US9339056B2 (en) Seal and anti foam device
KR20110015520A (ko) 교체가능한 카트리지용 접속링을 구비한 모듈식 음용수 여과시스템
JP2004243151A (ja) 水素溶存水製造具
KR102213440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US20130153480A1 (en) Water Filter With Inwardly Sloping Top
EP11951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istivity of ultra pure water
KR20060093137A (ko) 거치형 정수기
WO2003086596A1 (fr) Dispositif de production d'eau gazeuse, purificateur d'eau equipe de ce dispositif, et purificateur d'eau fixe
JP5413726B2 (ja) 気液混合装置
JP2010115614A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JP2010115613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US20220017383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eliminating filter air locks
KR102491971B1 (ko) 캡슐모듈 및 캡슐모듈을 포함하는 음용수공급장치
ES2934416T3 (es) Dispositivo de purificación de fluidos
KR101333159B1 (ko) 산소수 발생기
TWI642472B (zh) Negative hydrogen ion living water generating device
JP5587362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US8770554B2 (en) Generator of oxygen-rich water
TWM549230U (zh) 免插電富氫負離子活水機濃度穩定持久產生裝置
JP3191001U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用浄水カートリッジ
WO2019146394A1 (ja) 薬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