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20B1 -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720B1
KR102211720B1 KR1020200084745A KR20200084745A KR102211720B1 KR 102211720 B1 KR102211720 B1 KR 102211720B1 KR 1020200084745 A KR1020200084745 A KR 1020200084745A KR 20200084745 A KR20200084745 A KR 20200084745A KR 102211720 B1 KR102211720 B1 KR 10221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loor panel
panel assembly
boiler pip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호
Original Assignee
엔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7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the air layer being enclosed by one or more layers of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보일러 배관이 고정되는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의 열이 상기 바닥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진 에어패드; 및 상기 에어패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에어패드의 상면에 위치하고,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바(Bar)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발이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중앙 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모듈과, 상기 복수의 제1고정모듈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발의 상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제1고정모듈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연결발은,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에어패드에는 복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에는 상기 각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단부는 상기 각 제1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각 제2관통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각 제1관통홀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실리콘층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르타르의 균열을 방지하고, 보온 효율이 개선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MULTI FUNCTION FLOOR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바닥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과 모르타르 마감면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 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슬래브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닥 패널과, 바닥 패널에 설치되는 보일러 배관과, 바닥 패널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와, 모르타르 상면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닥 구조는 아파트, 주택 등의 일반 건물에 흔하게 시공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 상측에 보일러 배관을 설치해야 하므로 보일러 배관의 고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보일러 배관을 콘크리트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보일러 배관을 고정할 때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로워지고 시공 시간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충격이 흡수되지 않아 층간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닥구조는 모르타르의 수분이 빠른 속도로 소진되어 건조 수축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보일러 배관에서 방출되는 열기의 단열 성능이 떨어져, 바닥구조의 온도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430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모르타르의 균열을 방지하고, 보온 효율이 개선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보일러 배관이 고정되는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의 열이 상기 바닥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진 에어패드; 및 상기 에어패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에어패드의 상면에 위치하고,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와 상기 에어패드를 관통하는 복수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모듈의 내부에는 에어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모듈은, 복수의 연결발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모듈과, 상기 제1고정모듈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2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패드에는 복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에는 상기 각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단부는 상기 각 제1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각 제2관통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의하면, 모르타르의 균열을 방지하고, 보온 효율이 개선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고정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제1고정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기둥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C-C'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바닥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고정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제1고정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기둥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C-C'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100)는 단열부(110)와, 에어패드(120)와,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100)는 건물의 바닥면(20)에 설치되며 보일러 배관(1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110)는 상기 바닥면(20)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10)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바닥면(2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100)는 건물의 바닥면(20)의 단열 성능을 높여 난방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단열부(110)는 직사각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열부(110)의 형상이 직사각의 플레이트(Plate)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110)는 열의 이동이 차단되는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열부(110)는 스티로폼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스티로폼은, 폴리스틸렌을 발포제로 하여, 탄화수소를 함유시킨 발포성 비드(Beed)를 몰드(Mold)에 넣고 50 내지 100배 정도로 가열발포 시킨 후 압출하여 진공 성형하는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스티로폼은 매우 가벼우면서도 내부에 다량의 기포가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을 기포안에 가두어 열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열부(110)의 재질은 스티로폼으로 한정되지 않고, EPS(Ewpanded Poly-styrol), 글라스울(Glass Wool), 수성연질폼(Spray Polyutethane Foam), 셀룰로오스(Cellulose), PVC(Polyvinyl Chloride), 나일론, 수성아크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VA(Polyvinyl Alcoho) 등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110)는 상기 보일러 배관(10)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바닥면(20)으로 이동하여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패드(120)는 상기 단열부(1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에어패드(120)는 PE폼(Poly Ethylene Foam)과 같이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어패드(120)는 펄라이트(Perlite) 분말 85%, 셀룰로오스3%, 카올린 7%, 염화칼슘 5% 를 포함하는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술한 상기 다공성 물질의 조성비에 따르면, PE폼을 성형할 때, 균일한 형태의 기포가 다량으로 고르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패드(120)에 형성된 기공은, 다량으로 패드 전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에어패드(120)의 다공에는 에어가 머무를 수 있다. 즉, 에어가 균일하게 분포된 에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패드(120)에 소음 진동 및 충격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위치에 관계없이 소음 진동 및 충격 하중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다공에는 열이 저장될 수 있으므로, 열전도를 통해 열이 상기 바닥면(20)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에어패드(1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30)는 베이스(131)와 고정모듈(132)과 기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30)의 상면에는 모르타르(30)가 타설되는데, 여기서 상기 모르타르(30)는, 물 69 내지 71 중량부와, 시멘트 140 내지 150 중량부와, 모래 370 내지 380 중량부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2 내지 3 중량부가 초음파 처리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Dispersing agent) 1.1 내지 1.3 중량부와, 기포발생방지제 1.1 내지 1.3 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기포발생방지제는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가 1:3 내지 5 비로 홈합되고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만들어진 상기 기포발생방지제는 모르타르(30)의 경화시 기포수를 현저하게 줄여, 모르타르(30)의 수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물기질의 결합경화제로,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와, 하이벨라이트 시멘트(High Belite Sulphur Aluminate Cement)와, 프롬 시멘트(Prompt C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와, 하이벨라이트 시멘트(High Belite Sulphur Aluminate Cement)와, 프롬 시멘트가 1: 0.2 내지 0.4: 0. 35 내지 0.45 비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와, 하이벨라이트 시멘트(High Belite Sulphur Aluminate Cement)와, 프롬 시멘트가 1: 0.3: 0.3 비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시멘트는, 모르타르(30)의 보습성을 장시간 유지시켜 경화시 모르타르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이산화 규소(SiO2) 20내지 23 중량부와, 산화 알루미늄(Al2O3) 5.1 내지 5.3 중량부와, 산화철(Fe2O3) 3.4 내지 3.6 중량부와, 산화칼슘(CaO) 62 내지 6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래는 이산화 규소(SiO2) 99.5내지 99.9 중량부와, 산화 알루미
늄(Al2O3) 0.03내지 0.05 중량부와, 산화철(Fe2O3) 0.007 내지 0.01 중량부와, 산화칼슘(CaO) 0.007 내지 0.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비에 따른 상기 모르타르(30)는, 경화될 때 균열이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르타르(30)는, 상술한 조성비에 따른 상기 모르타르(30)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조성비에 따라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31)는 수분 흡수율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1)는 상기 모르타르(30)의 수분이 상기 바닥면(2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르타르(30)가 경화될 때, 상기 모르타르(30)의 수분이 빠른 속도로 소진되어 건조 수축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1)는 상기 에어패드(120)의 상면에 위치되고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11)는 상기 베이스(13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131)와 상기 모르타르(30)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31)와 상기 모르타르(30)의 사이의 마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모듈(132)은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10)을 서로 평행하거나 수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일러 배관(10)에서 방출되는 열은 후술하는 상기 모르타르(30) 또는 바닥재(40)를 통해 실내로 이동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모듈(132)은 제1고정모듈(1321)과 제2고정모듈(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모듈(132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의 사이에는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은 복수의 연결발(1321a)이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발(1321a)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보일러 배관(10)은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에 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만곡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발(1321a)의 외면에는 복수의 함몰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 함몰홈(g)은 상기 모르타르(30)와 상기 각 연결발(1321a)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르타르(30)와 상기 각 연결발(1321a) 사이의 마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발(1321a)의 상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b)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b)는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의 사이에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각 연결발(1321a)의 단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발(1321a)의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경우,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S1)에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삽입되면, 상기 절곡부(b)는 상기 보일러 배관(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일러 배관(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상기 삽입공간(S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b)는 상기 보일러 배관(10)에 유동되는 온수로 인한 상기 보일러 배관(10)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의 사이에는 상기 제2고정모듈(13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모듈(1322)은 상기 제1고정모듈(1321)과 인접한 곳에 형성되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보일러 배관(10)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제2고정모듈(1322)은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에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만곡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보일러 배관(10)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일러 배관(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보일러 배관(10)이 상기 각 제1고정모듈(132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고정모듈(132)의 내부에는 에어포켓(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포켓(P)에는 에어가 머무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30)에는 에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33)는 복수개로 만들어지고 상기 베이스(131)의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기둥부(13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 기둥부(133)의 형상은 상술한 원기둥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기둥부(133)는 상기 단열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패드(1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패드(120)에는 상기 각 기둥부(133)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1관통홀(h1)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110)에는 상기 각 제1관통홀(h1)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는 서로 결합되는 경우 동일한 위치에 상기 각 제1관통홀(h1)과 상기 각 제2관통홀(h2)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와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각 제1관통홀(h1)과 상기 각 제2관통홀(h2)에 상기 각 기둥부(133)가 관통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기둥부(133)의 단부는 상기 각 제1관통홀(h1)을 통과하여 상기 각 제2관통홀(h2)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133)는 상기 바닥면(20)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단열부(110)의 상기 각 제2관통홀(h2)에는 에어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둥부(133)에 의하여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가 눌리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기둥부(133)는 상기 각 제1관통홀(h1)과 상기 각 제2관통홀(h2)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둥부(133)는 상기 베이스(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기둥부(133)가 위치되지 않은 상기 각 제1관통홀(h1)과 상기 각 제2관통홀(h2)에는 에어가 머무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단열부(110)와 에어패드(120)와 상기 고정부(130)에는 모두 에어가 머무르는 에어층이 형성 될 수 있으므로, 단열성 및 충격완화의 효과가 매우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기둥부(133)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130)에 상기 모르타르(30)가 타설되어 상기 기둥부(133)의 내부공간에서 경화되는 경우, 상기 경화된 모르타르(30)가 상기 기둥부(133)의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130)와 상기 모르타르(3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기둥부(133)의 외주면에는 실리콘층(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층(134)은, 상기 각 기둥부(133)가 상기 각 제1관통홀(h1)과 상기 각 제2관통홀(h2)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에 접촉되어 상기 각 기둥부(133)와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층(134)의 외면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돌기는 상기 각 기둥부(133)와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간의 마찰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있다.
이에 따르면,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가 상기 각 기둥부(133)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실리콘층(134)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각 기둥부(133)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일면이 접착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3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130)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13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고정부(130)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측결합부와, 상기 고정부(130)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좌측결합부와, 상기 고정부(130)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우측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하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결합부는 상기 하측결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결합부는 상기 우측결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결합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단열부(110)와, 상기 에어패드(120)와, 상기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상기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상기 모르타르(30)의 균열이 예방되고 보온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의 모르타르의 조성비에 따른 균열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_ 모르타르 제조
물 69 내지 71 중량부와, 시멘트 140 내지 150 중량부와, 모래 370 내지 380 중량부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2 내지 3 중량부가 초음파 처리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Dispersing agent) 1.1 내지 1.3 중량부와, 기포발생방지제 1.1 내지 1.3 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비교예 1
물 69 내지 71 중량부와, 시멘트 140 내지 150 중량부와, 모래 370 내지 380 중량부와, 분산제(Dispersing agent) 1.1 내지 1.3 중량부와, 기포발생방지제 1.1 내지 1.3 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비교예 2
물 69 내지 71 중량부와, 시멘트 140 내지 150 중량부와, 모래 370 내지 380 중량부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4 내지 5 중량부가 초음파 처리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Dispersing agent) 1.1 내지 1.3 중량부와, 기포발생방지제 1.1 내지 1.3 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비교예 3
물 59 내지 61 중량부와, 시멘트 150 내지 160 중량부와, 모래 370 내지 380 중량부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2 내지 3 중량부가 초음파 처리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Dispersing agent) 1.1 내지 1.3 중량부와, 기포발생방지제 1.1 내지 1.3 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비교예 4
물 79 내지 81 중량부와, 시멘트 150 내지 160 중량부와, 모래 370 내지 380 중량부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2 내지 3 중량부가 초음파 처리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Dispersing agent) 1.1 내지 1.3 중량부와, 기포발생방지제 1.1 내지 1.3 중량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실험예 1_표면 균열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의해 제조된 모르타르를 20℃ 내지 24℃에서 2주간 습윤 양생을 한 후, 다시 2주간 온도 20℃ 내지 24℃, 습도 40% 내지 50% 에서 양생한 후 표면 균열을 관찰하였다. 관찰된 균열은 아래 표 1과 같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표면
균열
지수

10

3

4

6

7
표 1에서 표면 균열 지수는 10에 가까울 수록 균열이 거의 발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의 콘크리트에서는 균열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초음파를 통한 모르타르 조성물의 혼합과 제2아라미드 섬유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110: 단열부
120: 에어패드
130: 고정부

Claims (5)

  1.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보일러 배관이 고정되는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의 열이 상기 바닥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진 에어패드; 및
    상기 에어패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에어패드의 상면에 위치하고,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바(Bar)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발이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중앙 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모듈과,
    상기 복수의 제1고정모듈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배관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발의 상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제1고정모듈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연결발은,
    상기 보일러 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에어패드에는 복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에는 상기 각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단부는 상기 각 제1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각 제2관통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각 제1관통홀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실리콘층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모듈의 내부에는 에어포켓이 형성된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4745A 2020-07-09 2020-07-09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KR10221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45A KR102211720B1 (ko) 2020-07-09 2020-07-09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45A KR102211720B1 (ko) 2020-07-09 2020-07-09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720B1 true KR102211720B1 (ko) 2021-02-03

Family

ID=7457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45A KR102211720B1 (ko) 2020-07-09 2020-07-09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47B1 (ko) * 2022-02-18 2022-08-30 엔엘에스 주식회사 건축용 바닥 패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797Y1 (ko) * 2003-12-05 2004-03-12 주식회사 동양하이켐 난방관 배관용 판넬
KR20130016570A (ko) * 2011-08-08 2013-02-18 주식회사 디알하이텍 퍼라이트 보드 난방 시스템
KR20180008092A (ko) * 2016-07-15 2018-01-24 엔엘에스 주식회사 진동 흡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바닥 구조
KR20200048175A (ko) * 2018-10-29 2020-05-08 종 환 안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797Y1 (ko) * 2003-12-05 2004-03-12 주식회사 동양하이켐 난방관 배관용 판넬
KR20130016570A (ko) * 2011-08-08 2013-02-18 주식회사 디알하이텍 퍼라이트 보드 난방 시스템
KR20180008092A (ko) * 2016-07-15 2018-01-24 엔엘에스 주식회사 진동 흡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바닥 구조
KR20200048175A (ko) * 2018-10-29 2020-05-08 종 환 안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47B1 (ko) * 2022-02-18 2022-08-30 엔엘에스 주식회사 건축용 바닥 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2622A1 (en) Floor system
KR102210028B1 (ko)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11720B1 (ko) 다기능 바닥 패널 어셈블리
KR101932135B1 (ko)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성 표면마감재의 조성물 및 시공방법
KR20190079758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KR102012484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20140101523A (ko)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1921728B1 (ko) 순환자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건식 온돌 시스템
KR101863704B1 (ko) 단열 보완형 복합 방수구조
KR100804088B1 (ko) 경량 단열블록
KR102438047B1 (ko) 건축용 바닥 패널 조립체
KR100491188B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102166241B1 (ko) 단열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2010008622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3558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KR20230141233A (ko) 강섬유 보강 방통 모르타르를 적용한 층간 소음 저감 시스템 및 바닥 난방 시스템
KR200339209Y1 (ko) 온돌패널구조
CN215254260U (zh) 一种楼地面隔音减振垫
CN215368208U (zh) 装配式自保温水泥聚苯颗粒混凝土砌块
KR102296468B1 (ko) 알루미늄-마그네슘 온돌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식 난방
KR101896737B1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KR200309344Y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장치
KR200422307Y1 (ko)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부재
KR102541568B1 (ko) 황토 구들 시스템
KR100750491B1 (ko) 바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