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589B1 -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589B1
KR102335589B1 KR1020180116136A KR20180116136A KR102335589B1 KR 102335589 B1 KR102335589 B1 KR 102335589B1 KR 1020180116136 A KR1020180116136 A KR 1020180116136A KR 20180116136 A KR20180116136 A KR 20180116136A KR 102335589 B1 KR102335589 B1 KR 102335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inorganic
organic
wall
reinforc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468A (ko
Inventor
김지문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1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 단열재로서, 벽체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무기 보드; 무기 보드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 무기 보드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고정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장 보드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COMPLEX INSULATION MATERIAL AND OUTSIDE INSUL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층을 두어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내단열 공법에 비해 에너지 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아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단열 공법에는 건축물의 외벽(벽체)에 단열재층(외단열재)을 고정시키는 방법에 따라, 크게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식 공법은 물을 사용하는 공법으로서,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체에 외단열재를 고정하는 공법이다. 건식 공법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 공법으로서, 화스너(패스너)를 이용하여 벽체에 외단열재를 결속하는 공법이다.
최근 에너지 절감 기준의 강화와 더불어 외단열재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고, 사용되는 재료 또한 폴리스틸렌 폼을 위주로 하는 유기계 단열재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외단열재에 사용되는 유기계 단열재는 화재에 취약한데, 외부가 시멘트계 마감재료로 불에 타지 않도록 마감되었다 하더라도 공법상의 부주의나 외부로 노출된 창이나 개구부를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경우 단열층에 사용된 유기계 단열재에 쉽게 화재가 옮겨간 후 화재의 전파 통로로 이용되면서 급속히 확산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기계 재료의 대신 무기계 재료를 외단열재로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무기계 재료의 경우, 내화성은 우수하지만, 단열성이 떨어지고, 또한, 외단열 규격에 맞는 인장강도, 무게 또는 두께 등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가격 단가도 비싸므로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최근 건식 공법에 따라 무기계 재료를 외단열재로 이용하는 몇몇 사례가 보고 된바 있었다. 그러나, 건식 공법은 벽체에 외단열재를 고정시키는 화스너에 의해 열교(thermal bridge)가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 및 결로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벽체에 외단열재를 고정하면서 형성된 공기층이 화재의 전파 통로로 이용됨에 따라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기 보드, 무기 보드, 고정 프레임, 보강 프레임 및 외장 보드로 구성됨에 따라, 외단열재에 적용 시 벽체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고, 우수한 단열성 및 내화성이 구현 가능한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 단열재에 있어서,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 단열재로서, 벽체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무기 보드; 무기 보드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 무기 보드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고정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장 보드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합 단열재는 단열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와의 고정력이 향상되고,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도입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복합 단열재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복합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단열재의 공간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무기 보드의 x-y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복합 단열재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복합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단열재의 내부 공간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외단열 공법에 따라, 건물의 외벽(벽체, 10)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건식 공법에 따라 벽체(10)에 설치되는 외단열재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 무기 보드(200), 고정 프레임(300), 보강 부재, 연결 프레임(500) 및 외장 보드(600)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보드(100)는 벽체(10)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다. 상기 유기 보드(100)는 벽체(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내부의 열 교환을 차단하는 기능(단열성)을 한다. 상기 유기 보드(100)는 유기계 소재로 형성되며, 그 소재의 종류는 우수한 단열성을 나타내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보드(100)는 발포 폼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 폼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페놀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가공성, 비용 및 단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바람직하게 페놀을 포함하는 발포 페놀 폼(PF-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보드(200)는 유기 보드(100)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다. 무기 보드(200)는 무기계 소재로 형성되며, 무기계 소재의 특성 상 내화성이 우수하며, 복합 단열재는 무기 보드(200)를 포함함에 따라, 내화성 및 화재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다만, 무기 보드(200)의 경우, 소재의 특성상 내화성 및 화재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경량화 및 슬림형의 제조가 제한되며, 이로 인해 외단열재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조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외단열 시공에 적합한 무기 보드(200)의 경우, 내화성, 화재 안정성, 압축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경량화 및 슬림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무기 보드(200)의 소재 선택 및 물성 조절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무기 보드(200)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를 벽체(10)에 고정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300)은 길이 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이용하여 벽체(10)에 유기 보드(100)와 무기 보드(200)를 고정시킴에 따라, 후술하는 고정용 화스너(700)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고정용 화스너(700)의 사용 개수를 줄임으로써, 화스너(700)에 의한 에너지 손실 및 결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400)은 무기 보드(200)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400)은 무기 보드(200)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됨에 따라,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S)은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층일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400)은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건식 공법의 규격에 따르며, 예를 들어, 10mm 내지 200mm, 20mm 내지 150mm 또는 30mm 내지 100mm 범위 내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500)은 고정 프레임(300)과 보강 프레임(400)을 연결한다. 연결 프레임(500)은 복합 단열재의 경량화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프레임(500)은 무기 보드(200)의 제2 면의 양 측에서 고정 프레임(300)과 보강 프레임(40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500)은 고정 프레임(300)과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00)과 연결 프레임(500)이 일체형인 경우,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장 보드(600)는 마감재 역할을 하며, 보강 프레임(400)에 고정된다. 상기 외장 보드(600)는 보강 프레임(400)의 격자의 일면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보강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외장 보드(600)는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 CRC 보드) 또는 목모 시멘트보드(Cemented Excelsior Borard)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마감재를 외장 보드(600)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보드(600)는 시멘트 보드, 금속 재질의 보드(예를 들어, 메탈 판넬, 알루미늄 복합 패널, 컬러 강판(갈바륨), 징크 패널), 사이딩, 샌드위치 패널, 인조 대리석, 타일 또는 벽돌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보강 프레임(400)은 무기 보드(200)와 외장 보드(600) 사이 공간(S)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4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410)는 상기 공간(S)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1 유동 공간(S1)을 형성한다. 제1 유동 공간(S1)이 형성됨에 따라, 공간(S)의 구조적 복잡성을 구현되고,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화재의 전파 속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410)의 돌출 길이(W1)는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제1 유동 공간(S1)을 형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10)의 돌출 길이는 5 내지 50mm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돌출부(410)는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410)는 인접하는 두 개의 고정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고정 프레임(300)은 소정 두께를 갖고, 그 두께만큼, 무기 보드(200)의 제2 면에서 공간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3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310)는 상기 공간(S) 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2 유동 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돌출부(310)의 돌출 길이(W2)는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제2 유동 공간(S2)을 형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10)의 돌출 길이는 5 내지 70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410)가 두 개의 고정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공간(S)은 제1 유동 공간(S1)과 제2 유동 공간(S2)이 연속적으로 교번하는 형태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 복잡성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흐름(F)은 제1 돌출부(410)에 의해 형성된 제1 유동 공간(S1)과 제2 돌출부(310)에 의해 형성된 제2 유동 공간(S2)을 번갈아 가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 흐름(F)은 파형을 가지며, 위로 볼록한 형태 및 아래로 볼록한 형태가 교번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공기 흐름(F)은 제1 유동 공간(S1)을 통과하면서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제2 유동 공간(S2)을 통과하면서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공기 흐름이 파형을 가짐에 따라, 공간(S)을 통과하는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보드(200)의 다른 일면에 복수 개의 고정용 화스너(7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용 화스너(700)는 인접한 두 개의 고정 프레임(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복합 단열재는 복수의 고정용 화스너(700)를 매개로 벽체(10) 상에 보강 고정됨에 따라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일차적으로 고정 프레임(300)에 의해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가 벽체(10)에 고정되고, 상기 무기 보드(200)는 후술하는 특정 구조가 도입되어 인장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최소한의 고정용 화스너(7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보드(200)의 제2 면에 설치되는 고정용 화스너(700)는 단위 면적(m2) 당 1 내지 2개 정도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용 화스너(700)의 사용 개수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시공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고정용 화스너(700)에 의한 에너지 손실 및 결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무기 보드(200)는 경량화 및 슬림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고, 이는 무기 보드(200) 내 특정 구조가 도입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특정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무기 보드(200)의 x-y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무기 보드(200)는 두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측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무기 보드(200)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의 접합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A)과 극소점(B)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보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층(201)에서 인접하는 극대점(A1)과 극소점(B1)의 두께 방향 간격이 0.5cm 이상인 제1 영역(210); 및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 중 5cm×5cm로 이루어진 단면 내 적어도 하나의 층(201)의 극대점(A2, A3..) 및 극소점(B2, B3..)의 개수의 합이 4개 이상인 제2 영역(22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복수 개의 극대점은 A1, A2, A3?순으로 나타내고, 복수 개의 극소점은 B1, B2, B3..순으로 나타내며, 상기 극대점 및 극소점을 일괄적으로 나타낼 때는 각각 A, B로 표기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용어 「무기보드(200)의 두께방향 단면」은, 도 4을 참조하면, C1축(두께 방향(x) 및 길이 방향(z)에 각각 직교), C2축(두께 방향(x) 및 폭 방향(y)에 각각 직교) 및 C1축 또는 C2축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임의의 축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면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무기보드(200)의 두께방향 단면은, 도 4에서, y-z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때, 전술한 제1 영역(210) 및/또는 제2 영역(220)은 특정 축을 기준으로 절단한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x-y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는 전술한 제1 영역(210) 및/또는 제2 영역(220)이 나타나고, x-z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는 전술한 제1 영역(210) 및/또는 제2 영역(220)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극대점(A) 및 극소점(B)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201)은 접합 라인(101)을 따라 파형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 및 아래로 볼록한 형태가 교번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위로 볼록한 형태는, 접합라인(101)으로부터 두께방향 간격(t1)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영역에 대응하고, 아래로 볼록한 형태는, 접합라인(101)으로부터 두께방향 간격(t2)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이때, 극대점(A)은, 하나의 위로 볼록한 형태에서, 두께 방향의 간격(t1)이 최대값을 나타내고, 극소점(B)은 하나의 아래로 볼록한 형태에서 두께방향의 간격(t2)이 최소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층(201)은 접합 라인(10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 및 아래로 볼록한 형태가 교번하는 형태를 가지며, 접합 라인(101)을 따라 복수 개의 극대점(A) 및 극소점(B)을 갖는다.
상기 제1 영역(210)의 두께방향의 간격(X)은 예를 들어, 0.5cm 이상, 1cm 이상, 또는 1.5c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X)의 상한은 5cm 이하, 4cm 이하 또는 3cm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X)은 0.5cm 내지 5cm, 1cm 내지 5cm, 1.5cm 내지 5cm, 0.5cm 내지 4cm, 1cm 내지 4cm, 1.5cm 내지 4cm, 1.5cm 내지 3cm, 1cm 내지 3cm 또는 1.5cm 내지 3cm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220)의 개수의 합의 상한은 25개 이하, 20개 이하, 15개 이하, 10개이하, 9개 이하, 8개 이하, 또는 7개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개수의 합은 4개 내지 25개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보드(200)는 제1 및 제2 영역(210, 22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구현된다. 상기 제1 영역(210)의 최저점 및 최고점 사이의 간격, 및 제2 영역(220)의 최고점(A) 및 최저점(B)의 개수의 조절은 크림핑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무기 보드(200)의 소재의 선택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보드는 변형 글라스울 또는 변형 미네랄울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변형 미네랄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미네랄울의 경우 전술한 제1 영역(210)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미네랄울의 경우 전술한 제1 영역(210)의 두께방향 간격(X)이 0.5cm 이하이거나, 제2 영역(220)의 개수의 합이 4개 미만이다. 이러한 공지된 미네랄 울의 경우, 밀도를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이는 외단열 공법에 적합한 인장 강도, 압축 강도 및 두께 조절이 제한되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반해, 변형 미네랄 울은 크림핑 공정이 적용되어 제1 영역(210)에서의 두께방향의 간격(X) 및 제2 영역(220)의 개수의 합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한다. 따라서, 변형 미네랄 울의 경우, 공지된 미네랄 울에 비해 향상된 밀도를 갖고, 이로 인해 외단열 공법에 적합한 인장 강도, 압축 강도 및 두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의 두께 및 밀도를 하기 수치 범위 내로 조절하여 외단열 공법 시 요구되는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 보드(100)의 제1 두께는 50mm 내지 200mm, 80mm 내지 170mm 또는 100mm 내지 13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보드(200)의 제2 두께는 50mm 내지 200mm, 80mm 내지 170mm 또는 100mm 내지 130mm일 수 있다. 복합 단열재는, 상기 범위 내에서 유기 보드(10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또는 무기 보드(200)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복합 단열재의 밀도 및 열전도도가 낮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무기 보드(200)의 두께에 따라 유기 보드(100)의 발화 및 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보드(200)의 두께가 60 mm 이상일 때, 유기 보드(100)의 발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70mm 이상일 때, 유기 보드(100)의 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 보드(100)의 밀도는 10 kg/m3 내지 110 kg/m3, 15 kg/m3 내지 100 kg/m3, 또는 20 kg/m3 내지 80 kg/m3이고, 무기 보드(200)의 밀도는 100 kg/m3 내지 300kg/m3, 120 kg/m3 내지 250kg/m3, 또는 130 kg/m3 내지 200kg/m3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 내의 밀도를 만족하는 무기 보드(200)의 경우, 얇은 두께에서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구현됨에 따라, 외단열 공법에 적용 가능하다.
본 출원은 또한 벽체에 복합 단열재가 설치되는 외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단열재의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벽체(10); 상기 벽체(10)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유기 보드(100); 유기 보드(100)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무기 보드(200); 무기 보드(200)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를 벽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300); 무기 보드(200)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400); 고정 프레임(300)과 보강 프레임(40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500); 및 보강 프레임(400)에 고정되는 외장 보드(600)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벽체
100: 유기 보드
200: 무기 보드
300: 고정 프레임
400: 보강 프레임
500: 연결 프레임
600: 외장 보드
700: 고정용 화스너

Claims (11)

  1.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 단열재로서,
    벽체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무기 보드;
    무기 보드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
    무기 보드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고정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장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무기 보드와 외장 보드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를 갖는 복합 단열재.
  2. 삭제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는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고정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단열재.
  4.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보드의 제2 면에 설치되는 고정용 화스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5.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보드는 제1 면에서 제2 면을 향한 두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고,
    무기 보드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과 극소점을 가지는 복합 단열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보드는,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인접하는 극대점과 극소점의 두께 방향 간격이 0.5cm 이상인 제1 영역; 및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 중 5cm×5cm로 이루어진 단면 내 적어도 하나의 층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개수의 합이 4개 이상인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보드의 두께는 50mm 내지 200mm이고,
    무기 보드의 두께는 50mm 내지 200mm인 복합 단열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보드의 밀도는 10kg/m3 내지 110kg/m3 이고,
    무기 보드의 밀도는 100 kg/m3 내지 300 kg/m3인 복합 단열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외장 보드는 섬유 강화 시멘트보드 또는 목모 시멘트보드인 복합 단열재.
  10. 벽체;
    상기 벽체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무기 보드;
    무기 보드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
    무기 보드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고정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장 보드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11.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 단열재로서,
    벽체와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제2 면을 갖는 무기 보드;
    무기 보드의 제2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
    무기 보드의 제2 면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고정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장 보드를 포함하고,
    무기 보드는 제1 면에서 제2 면을 향한 두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고,
    무기 보드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과 극소점을 가지는 복합 단열재.
KR1020180116136A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KR10233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36A KR102335589B1 (ko)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36A KR102335589B1 (ko)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68A KR20200036468A (ko) 2020-04-07
KR102335589B1 true KR102335589B1 (ko) 2021-12-06

Family

ID=7029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36A KR102335589B1 (ko)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818B1 (ko) * 2023-05-23 2023-08-11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플랜트 강재 방호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82B1 (ko) * 2009-12-15 2011-08-29 손병율 차수패널이 구비된 벽체용 단열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80B1 (ko) * 2014-12-30 2017-05-22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복합내화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302B1 (ko) * 2017-01-04 2019-08-16 백종균 에이 빔을 이용한 친환경 벽체구조와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82B1 (ko) * 2009-12-15 2011-08-29 손병율 차수패널이 구비된 벽체용 단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818B1 (ko) * 2023-05-23 2023-08-11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플랜트 강재 방호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68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4528A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1988975B1 (ko) 건축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3558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CN104563313A (zh) 防火复合保温板
KR102275607B1 (ko) 내화성 및 단열성, 흡음성을 가지는 삼중 패널 구조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22974A (ko) 방음 방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5801B1 (ko) 복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KR20150041273A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타입의 단열재 구조물
KR20170065040A (ko) 하지겸용 단열패널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패널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2383307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RU65920U1 (ru) Сэндвич-панель
KR101927987B1 (ko) 철골 조립식 중공벽 패널구조
CN106013507A (zh) 一种预制混凝土夹芯保温板与eps模块复合墙体
KR102098757B1 (ko) 우수한 난연성 및 단열성과 열변형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 외벽 마감구조
CN104763097A (zh) 一种预制大型外挂墙板
KR102365453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5078B1 (ko) 단열층과 열저항층을 갖는 지붕 내화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396010B1 (ko) 무기섬유 집속체를 포함하고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스킨재로 이용한 건축용 단열 기능성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215519288U (zh) 防火隔离式免拆保温模板
RU276963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наружной стены здания
GB2436338A (en) Thermal insulation system
CN216552670U (zh) 一种保温复合混凝土预制构件
KR20120026763A (ko) 벽체의 복합 단열 구조
KR102480357B1 (ko)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