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98B1 -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98B1
KR102211498B1 KR1020200048665A KR20200048665A KR102211498B1 KR 102211498 B1 KR102211498 B1 KR 102211498B1 KR 1020200048665 A KR1020200048665 A KR 1020200048665A KR 20200048665 A KR20200048665 A KR 20200048665A KR 102211498 B1 KR102211498 B1 KR 10221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ptical probe
treatment device
rhinit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화
Original Assignee
정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화 filed Critical 정상화
Priority to KR102020004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3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nose, i.e. nasoscopes, e.g. testing of patency of Eustachia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프로브를 벌려 코 안에 삽입하고 광프로브를 놓는 것만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코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고정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없이 비염치료기 자체에서 전원, 작동시간, 강도 등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치료기의 편리한 사용과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A Portable Device for Curing Rhinitis and A System for Caring Rhiniti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프로브를 벌려 코 안에 삽입하고 광프로브를 놓는 것만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코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고정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없이 비염치료기 자체에서 전원, 작동시간, 강도 등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치료기의 편리한 사용과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염(Rhinitis)이란 코 안(비강 내)의 염증을 뜻하는 질병으로,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 비염으로 나뉘며, 두가지 비염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은 없다.
비염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완치가 매우 어려우며, 삶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서양에서는 10~20%, 한국에서는 15%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대기오염이나 식품첨가물의 사용증가, 도시화 등의 환경적인 변화로 인해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비염은 일상생활에서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비염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 비염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코 안에 빛을 조사하여 일상생활에서 비염을 치료하고 비염에 따른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코에 대한 고정이 어려워 사용중 빠지는 문제가 있으며 안정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치료장치를 복잡하고 비대하게 설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휴대 및 착용이 불편하고 제작단가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비염치료장치들은 그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없고 병원에 가야만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적의 상태로 비염치료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 실제로 비염치료장치로 효과를 얻는 환자들이 많치 않은 실정이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5574호(2016.08.11. 공개)"휴대용 비염 치료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광프로브를 벌려 코 안에 삽입하고 광프로브를 놓는 것만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코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고정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없이 비염치료기 자체에서 전원, 작동시간, 강도 등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치료기의 편리한 사용과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보관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염치료기의 청결을 유지하면서 간편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프로브에 카메라부를 설치하여 코 내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비염치료기 사용 전후의 코 속 상태를 파악하여 비염치료기의 사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통해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하여 이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자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라 비염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오염도가 심한 경우뿐만 아니라 일정정도의 오염이 계속되거나 오염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도 이를 알려 예방이 이루어지거나 비염치료기의 작동 준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에 대한 일상생활에서의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비염 상태에 맞는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작동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비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코 속에 삽입되어 비염 치료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한 쌍의 광프로브와; 상기 광프로브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결합부와; 비염치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조절부와; 상기 회전결합부, 광프로브 및 작동조절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결합부는 한 쌍의 광프로브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광프로브 사이에 형성되어 광프로브의 코 속에 삽입되는 측 끝단이 모아지도록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광프로브를 눌러 코 속에 삽입되는 측 끝단이 벌어지도록 하는 누름단을 포함하여, 광프로브를 코 속에 삽입시킨 후 누름단을 놓는 경우 광프로브의 코 속에 삽입되는 측 끝단이 모아져 코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비염치료기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조작부와,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작부와, 광프로브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조작부와, 비염치료기의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모드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광프로브를 수용하여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보관 및 광프로브의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살균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소독부는 광프로브를 수용하는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광프로브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부는 상기 광프로브를 수용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프로브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고정모듈은 수용하우징 내부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어 광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수용단과, 상기 프로브수용단의 양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광프로브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바닥측으로 갈수록 프로브수용단의 중앙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밀착면을 포함하여, 광프로브의 끝단이 프로브수용단의 중앙측으로 모아지는 상태에서 경사밀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프로브수용단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광프로브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부는 광프로브 상의 세균을 측정하는 세균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광살균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살균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조절모듈은 상기 세균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세균의 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세균정보수신모듈과, 광살균모듈의 작동시간 정보를 입력하는 작동시간입력모듈과, 입력된 작동시간에 따라 광살균모듈에서 조사되는 광 강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자동강도설정모듈과, 세균의 양이 일정 정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으로 광살균모듈의 작동을 종료하는 자동작동종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지지본체에 형성되어 광프로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수용하는 건전지수용부와, 상기 건전지수용부에 수용된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교체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알림부는 광프로브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작동정보가 수신된 후 건전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모듈과, 측정된 전류를 건전지의 초기 전류와 비교하는 기본값비교모듈과, 초기 전류와 측정된 전류의 비율에 따라 건전지에 저장된 전기의 잔여정도를 산출하는 잔여율산출모듈과, 잔여정도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교체를 지시하는 교체정보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광프로브에 형성되어 코 안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코에 삽입되는 광프로브의 끝단에 형성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모듈과, 플래쉬를 출력하는 플래쉬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촬영모듈은 광프로브 끝단의 중심 외측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광프로브가 중심으로 모아진 상태에서 코 속의 중심을 향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광프로브의 내측에 형성되어 코 내부와 접촉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카메라작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작동모듈은 상기 압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압력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이미지촬영모듈을 작동시키는 자동촬영모듈과, 촬영과 동시에 플래쉬출력모듈을 작동시키는 플래쉬작동모듈과,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별도의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촬영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지지본체에 형성되어 주변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공기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공기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질에 따라 광프로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맞춤작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공기측정부에 의해 공기의 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공기정보측정모듈과, 측정된 공기정보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오염도판단모듈과,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광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자동작동조절모듈과, 오염도에 따라 광프로브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강도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판단모듈은 오염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작동조절모듈에 의해 광프로브를 즉각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즉시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판단모듈은 공기의 오염도가 상기 즉시작동모듈에 의해 광프로브가 작동하는 일정값 이하의 일정 위험범위에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염 예방을 위해 광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예방작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예방작동모듈은 공기의 오염도가 광프로브가 즉각 작동하는 일정값 이하의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범위인지모듈과, 오염도가 위험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지속시간측정모듈과, 오염도와 지속시간을 곱하여 합산함으로써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위험지수산출모듈과, 위험지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광프로브의 작동을 지시하는 예방작동지시모듈과, 위험지수에 따라 광프로브의 작동 강도를 조절하는 예방작동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판단모듈은 상기 즉시작동모듈 또는 예방작동모듈에 의해 광프로브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공기의 오염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이를 알려 대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준비지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준비지시모듈은 공기 오염도의 증가율을 연산하는 증가율산출모듈과, 산출된 증가율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설정값비교모듈과, 증가율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연속시간을 측정하는 연속시간계측모듈과, 연속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작동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염케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코에 장착되어 광의 조사를 통해 비염을 치료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와; 사용자의 비염 상태를 등록하고, 비염 상태에 적합한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작동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작동정보에 따라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프로브를 벌려 코 안에 삽입하고 광프로브를 놓는 것만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코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고정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없이 비염치료기 자체에서 전원, 작동시간, 강도 등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치료기의 편리한 사용과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보관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염치료기의 청결을 유지하면서 간편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광프로브에 카메라부를 설치하여 코 내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비염치료기 사용 전후의 코 속 상태를 파악하여 비염치료기의 사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통해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하여 이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자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라 비염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오염도가 심한 경우뿐만 아니라 일정정도의 오염이 계속되거나 오염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도 이를 알려 예방이 이루어지거나 비염치료기의 작동 준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에 대한 일상생활에서의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비염 상태에 맞는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작동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비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내부구성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회전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살균소독부의 사시도
도 5는 살균소독부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작동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살균조절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교체알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정면도
도 10은 카메라작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10의 오염도판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자동맞춤작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14의 솔루션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4의 효과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도 14의 진단반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도 14의 진단요청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1)는 코 속에 삽입되어 비염 치료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한 쌍의 광프로브(10)와; 상기 광프로브(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결합부(11)와; 회전결합부(11), 광프로브(10) 및 작동조절부(16) 등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지지본체(12)와;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신부(13)와; 광프로브(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수용하는 건전지수용부(14)와; 광프로브(10)를 살균·소독하는 살균소독부(15)와; 비염치료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조절부(16)와;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교체알림부(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1)는 일상생활에서 코 속의 광 조사를 통해 비염에 따른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회전결합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코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염치료기(1)를 코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광의 조사를 통해 비염의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프로브(10)는 광의 조사를 통해 비염을 치료하는 구성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코 속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프로브(10)는 비염에 효과가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색광선(760~650nm) 중 660nm의 가시광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프로브(10)는 광을 출력할 수 있는 led 등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투명한 튜브 등에 의해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프로브(1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결합부(11)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광프로브(10)는 평상시 코에 삽입되는 끝단이 서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며,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을 누르는 경우에만 벌려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광프로브(10)는 코속에 삽입되어 반대측 끝단을 놓는 경우 자연스럽게 코속 끝단이 모여져 코 안에 고정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회전결합부(11)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기 광프로브(10)는 건전지수용부(14)에 수용되는 건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비염치료기(1)의 미사용시 살균소독부(15)에 삽입되어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프로브(10)는 작동조절부(16)에 의해 그 작동이 조절된다. 광프로브(10)는 광을 출력하는 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광프로브(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거나, 또는 광프로브(10)를 복수의 광모듈로 구성하도록 하고 작동되는 광모듈의 개수를 조절하여 출력되는 광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11)는 광프로브(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간단한 구성만으로 광프로브(10)의 코에 대한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결합부(11)는 평상시 코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여진 상태(또는 서로 접촉되도록 붙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을 누르는 경우에만 코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이 벌어지도록 하며,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을 놓으면 다시 광프로브(10)의 끝단이 자동으로 모아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결합부(11)는 광프로브(10)를 벌려 코에 삽입한 후 놓기만 하면 광프로브(10)가 코 속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결합부(11)는 회전축(111), 탄성부재(112), 누름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1)은 한 쌍의 광프로브(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양측 광프로브(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누름단(113)을 누름에 따라 양측 광프로브(10)가 함께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112)는 한 쌍의 광프로브(10) 반대측 끝단 사이에 연결되어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을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12)는 압축된 상태로 한 쌍의 광프로브(10) 사이에 삽입되며, 광프로브(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을 외측으로 미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코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이 서로 모여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광프로브(10)는 코 속에 삽입되어 코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단(113)은 상기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을 누르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본체(12)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113)은 지지본체(12)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눌려져 광프로브(10)의 양측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단(113)은 광프로브(10)를 눌러 코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이 벌어지도록 하여 광프로브(10)를 코에 삽입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누름단(113)을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112)에 의해 자동으로 외측으로 밀려 코 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모아져 고정된다.
한편, 회전결합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11')는 상기 회전결합부(11)와 동일하게 회전축(111'), 탄성부재(112'), 누름단(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작동원리는 회전결합부(11)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탄성부재(112')는 스프링이 아닌 상기 광프로브(10)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단(113')은 광프로브(10)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코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을 모이거나 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도 광프로브(10)는 누름단(113')을 놓는 경우 탄성부재(112')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코 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 끝단이 자동으로 모아지게 된다.
상기 지지본체(12)는 광프로브(10), 회전결합부(11), 작동조절부(16) 등의 구성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육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12)의 외측면에는 비염치료기(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전원조작부(121), 시간조작부(122), 강도조작부(123), 모드결정부(124) 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조작부(121)는 비염치료기(1), 특지 광프로브(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누름에 따라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조작부(122)는 광프로브(1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 +로 형성되어 작동시간을 줄이거나 늘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작부(123)는 광프로브(1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강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의 형태로 형성되어 강도를 낮추거나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작부(123)는 그 조작에 따라 광프로브(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광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프로브(10)가 복수의 광모듈로 형성되는 경우 작동되는 광모듈의 개수를 조절하여 광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결정부(124)는 비염치료기(1)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누름에 따라 작동 모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결정부(124)는 비염치료기(1)의 수동 조작에 따라 광프로브(10)가 작동하는 수동모드, 비염치료기(1)와 연결된 사용자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광프로브(10) 작동하는 원격조작모드, 후술할 관리서버(3)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자동모드 등 다양한 작동모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3)는 무선으로 작동정보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비염치료기(1)와 연결된 사용자단말기(5)와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3)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모듈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방식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전지수용부(14)는 비염치료기(1)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지지본체(12)의 일측에 건전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건전지수용부(14)는 교체알림부(17)와 연결되어 건전지에 남아있는 전기의 양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교체시기를 미리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살균소독부(15)는 비염치료기(1)의 미사용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보관 중 광프로브(10)를 살균·소독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코 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로부터 세균, 콧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살균소독부(15)는 자외선 등의 광 조사를 통해 세균을 제거하고, 광프로브(10) 상의 세균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살균 등의 시간과 광 조사의 강도 등의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살균소독부(15)는 수용되는 광프로브(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비염치료기(1)의 안정적인 보관과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소독부(15)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하우징(151), 광살균모듈(152), 프로브고정모듈(153), 세균측정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하우징(151)은 광프로브(1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광프로브(1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하며, 그 상측에는 비염치료기(1)의 지지본체(12)가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하우징(151)은 지지본체(12)가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광프로브(10)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비염치료기(1)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하우징(151) 내에는 광살균모듈(152)이 형성되어 광프로브(10)를 살균·소독할 수 있도록 하고, 프로브고정모듈(153)을 통해 광프로브(10)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하우징(151) 내에는 광프로브(10) 상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측정센서(154)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광살균모듈(152)은 빛의 조사를 통해 광프로브(10) 상의 세균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살균모듈(152)은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하우징(151)의 내벽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고정모듈(153)은 수용하우징(151) 내로 삽입되는 광프로브(1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결합부(11)에 의해 끝단이 모여지는 광프로브(10)가 수용하우징(15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고정모듈(153)은 광프로브(10)가 코 속에 고정되는 것과 같이 광프로브(10)를 수용하우징(151) 내에 삽입한 후 누름단(113)을 높으면 자동으로 수용하우징(151) 내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브고정모듈(15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수용단(153a), 삽입홈(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수용단(153a)은 광프로브(10)가 수용되는 수용하우징(151) 내부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프로브수용단(153a) 상에는 삽입홈(153b)이 형성되어 광프로브(10)를 수용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프로브수용단(153a)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경사밀착면(153b-1)에 광프로브(10)가 밀착되면서 눌리도록 하여 광프로브(10)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홈(153b)은 광프로브(1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프로브수용단(153a) 상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광프로브(10)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153b)의 양측은 개방되어 광프로브(10)가 삽입홈(153b)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중심에는 경사밀착면(153b-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밀착면(153b-1)은 상기 삽입홈(153b)의 중심에 형성되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53b)의 바닥측으로 갈수록 중앙측으로 모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누름단(113)을 놓음에 따라 수용하우징(151) 내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이 모아지게 되고, 경사지는 형태로 모아지는 광프로브(10)의 끝단이 경사밀착면(153b-1)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광프로브(10)는 경사밀착면(153b-1)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균측정센서(154)는 광프로브(10) 상의 세균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광프로브(10)에 대한 별도의 빛 조사를 통해 세균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하우징(151) 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광프로브(10)의 다양한 방향에 부착된 세균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균측정센서(154)에 의해 측정된 세균의 양에 따라 상기 광살균모듈(152)의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작동조절부(16)의 후술할 살균조절모듈(165)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조절부(16)는 비염치료기(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광프로브(10) 및 살균소독부(15)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조절부(16)는 전원조절모듈(161), 시간조절모듈(162), 강도조절모듈(163), 모드설정모듈(164), 살균조절모듈(1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조절모듈(161)은 비염치료기(1)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조작부(121)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조절모듈(161)은 상기 건전지수용부(14)에 수용되는 건전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시간조절모듈(162)은 광프로브(1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시간조작부(122)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광프로브(10)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조절모듈(162)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사용자단말기(5)에 의한 조절이 이루어지거나 관리서버(3)에서 제공된 치료 솔루션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시간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강도조절모듈(163)은 광프로브(10)의 빛 조사 강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강도조작부(123)에 의한 조작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강도의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5)에 의한 조절, 치료 솔루션에 의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모듈(164)은 비염치료기(1)의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모드결정부(124)에 의한 조작에 따라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설정모듈(16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모드, 원격조작모드, 자동모드 등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조절모듈(165)은 살균소독부(15)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세균측정센서(154)에 의해 측정되는 세균의 양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조절모듈(165)은 사용자가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을 먼저 입력받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살균 강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살균 강도를 최대로 올리는 경우에도 입력된 시간내에 살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살균이 필요함을 알리도록 하고, 이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살균조절모듈(165)은 작동시간이 설정된 경우에도 세균이 일정정도 이하로 제거된 경우에는 살균소독부(15)의 작동을 자동으로 멈추도록 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조절모듈(165)은 세균정보수신모듈(165a), 작동시간입력모듈(165b), 자동강도설정모듈(165c), 추가살균요구모듈(165d), 작동시간재설정모듈(165e), 자동작동종료모듈(165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균정보수신모듈(165a)은 상기 세균측정센서(154)에 의해 측정되는 세균의 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광프로브(10)가 수용하우징(151) 내에 삽입되어 프로브고정모듈(153)에 고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세균의 양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프로브(10)에는 경사밀착면(153b-1)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하여 경사밀착면(153b-1)과의 접촉과 동시에 세균측정센서(154)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시간입력모듈(165b)은 살균·소독을 실시할 시간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소독부(15)의 작동시간은 세균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비염치료기(1)의 사용을 위해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이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살균소독이 가능한 시간을 먼저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강도설정모듈(165c)은 입력된 작동시간과 세균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광살균모듈(152)의 작동 강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광살균모듈(152) 중 작동될 광살균모듈(152)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강도설정모듈(165c)은 각 광살균모듈(152)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각 광살균모듈(152)에 대한 개별적인 광 조사 강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가살균요구모듈(165d)은 최대의 광살균강도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입력된 작동시간 내에 세균을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살균소독 시간이 필요함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 작동시간재설정모듈(165e)은 상기 추가살균요구모듈(165d)에 의해 추가 살균소독 시간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그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 세균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시간으로 광살균모듈(152)의 작동시간을 재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작동종료모듈(165f)은 상기 세균정보수신모듈(165a)에 의해 수신되는 세균의 양에 따라 광살균모듈(152)의 작동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구성으로, 상기 세균측정센서(154)는 광살균모듈(152)의 작동 중에 세균의 양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며, 설정된 작동시간이 종료되기 전이라도 세균이 일정정도 이하로 제거되는 경우에는 광살균모듈(152)의 작동을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체알림부(17)는 상기 건전지수용부(14)에 수용된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구성으로, 건전지의 수명이 다하기전에 교체시기를 알리도록 하여 비염치료기(1)의 전원 소진으로 비염치료가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체알림부(17)는 작동정보수신모듈(171), 전류측정모듈(172), 기본값비교모듈(173), 잔여율산출모듈(174), 교체정보알림모듈(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수신모듈(171)은 광프로브(10)의 작동이 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광프로브(10)가 작동되는 강도 정보 등에 관한 작동정보를 함께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측정모듈(172)은 건전지로부터 광프로브(10)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동정보수신모듈(171)에 의해 광프로브(10)의 작동이 개시되는 경우 전류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본값비교모듈(173)은 건전지의 초기 상태에서의 전류와 상기 전류측정모듈(172)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를 비교하는 구성으로, 초기 상태에서의 전류는 건전지의 미사용시 초기 상태의 전류를 의미하며, 별도로 설정되거나 또는 건전지의 교체후 초기 작동에서의 전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값비교모듈(173)은 광프로브(10)의 작동 강도에 따른 초기 전류값과 측정된 전류값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잔여율산출모듈(174)은 건전지의 잔여 수명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본값비교모듈(173)에서 비교되는 초기 전류값과 측정 전류값의 비율에 따라 잔여 수명을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교체정보알림모듈(175)은 상기 잔여율산출모듈(174)에서 산출되는 잔여수명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교체를 지시하는 구성으로, 비염치료기(1) 자체에서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단말기(5) 등으로 교체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체정보알림모듈(175)은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미리 알려 방전에 의해 비염치료기(1)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1)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1)는 광프로브(10)에 형성되어 코 안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8)와, 상기 지지본체(12)에 형성되어 주변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공기측정부(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1)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부(18)는 사용자의 비염 상태를 확인하고 비염치료기(1)의 사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 안을 촬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코 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8)는 코 안의 정확한 촬영을 위해 플래쉬를 함께 출력하도록 하며, 지지본체(12)에 형성되는 카메라조작부(125)의 조작을 통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8)는 광프로브(10)를 코 안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 자동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부(18)는 이미지촬영모듈(181), 플래쉬출력모듈(182), 압력측정센서(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촬영모듈(181)은 코 안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코 속에 삽입되는 광프로브(10)의 끝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미지촬영모듈(181)은 광프로브(10) 끝단에서 중심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광프로브(10)는 탄성부재(112)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지는 상태에서 코 속에 고정되므로, 상기 이미지촬영모듈(181)을 중심 외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광프로브(10)가 코 속에 고정되었을 때 코 안의 중심을 향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미지촬영모듈(181)은 카메라조작부(125)나 사용자단말기(5), 또는 후술할 카메라작동모듈(166)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출력모듈(182)은 이미지의 정확한 촬영을 위해 플래쉬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미지촬영모듈(181)과 같이 광프로브(10) 끝단에 형성되도록 하며, 이미지촬영모듈(181)의 작동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압력측정센서(183)는 광프로브(10)의 끝단 내측에 형성되어 광프로브(10)와 접촉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압력이 일정정도 이상이 되어 광프로브(10)가 코 속에 장착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이미지촬영모듈(181)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측정부(19)는 비염치료기(1) 주변의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지지본체(12)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측정부(19)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비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유해 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측정부(19)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 오염도에 따라 비염치료기(1)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측정부(19)는 특정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물질별로 비염치료기(1)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비염을 심화시키는 물질의 측정이 가능한 공기측정부(19)가 장착된 비염치료기(1)를 사용하여 비염의 더욱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염치료기(1)에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본체(12)는 상기 카메라부(18)를 조작할 수 있는 카메라조작부(12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조작부(125)를 누름에 따라 이미지촬영모듈(181) 및 플래쉬출력모듈(182)이 작동하여 코 안의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조절부(16)는 카메라부(18)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카메라작동모듈(166)과,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광프로브(10)를 자동으로 작동하는 자동맞춤작동모듈(16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작동모듈(166)은 상기 카메라부(18)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광프로브(10)를 코에 장착하는 경우 자동으로 카메라부(18)가 작동하도록 하여 비염치료기(1)의 사용전 사용자의 코속 상태를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비염치료기(1)에 대한 효과 확인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작동모듈(166)은 압력정보수신모듈(166a), 기준값비교모듈(166b), 자동촬영모듈(166c), 플래쉬작동모듈(166d), 촬영정보전송모듈(166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정보수신모듈(166a)은 상기 압력측정센서(18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수신되는 압력값에 따라 카메라부(18)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기준값비교모듈(166b)은 압력정보수신모듈(166a)에 의해 수신된 압력값을 기준 압력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광프로브(10)가 코 안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값비교모듈(166b)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값은 광프로브(10)가 탄성부재(112)에 의해 코 안에 밀착된 상태에서의 압력측정센서(18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촬영모듈(166c)은 수신된 압력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이미지촬영모듈(181)을 작동시켜 코 속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촬영모듈(166c)은 광프로브(10)가 코 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코 안의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염치료기(1) 사용에 따른 효과 확인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조작 없이도 편리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촬영모듈(166c)은 상기 관리서버(3)에 의해 제공되는 치료 솔루션에 따른 비염치료기(1)의 작동 개시시와 종료시에 자동으로 사용자의 코 속을 촬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래쉬작동모듈(166d)은 상기 자동촬영모듈(166c)에 의해 이미지촬영모듈(181)이 작동할 때 플래쉬작동모듈(166d)을 자동으로 함께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정확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촬영정보전송모듈(166e)은 상기 이미지촬영모듈(18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5) 등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송되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치료 솔루션의 제공 또는 진단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167)은 상기 공기측정부(19)에 의해 측정되는 주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비염치료기(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광프로브(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167)은 사용자가 광프로브(10)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없이 비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주변 공기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광프로브(10)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편리한 일상생활에서의 비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167)은 공기의 일정 오염도 이상에서는 즉시 광프로브(10)가 작동하도록 하면서 그 이하의 오염도 범위에서 일정시간 오염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예방적인 광프로브(1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오염도가 위험범위에 있지 않더라도 급격한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비염치료기(1)를 미리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167)은 사용자가 비염치료기(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프로브(10)를 즉시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비염치료기(1)를 착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비염치료기(1) 또는 사용자단말기(5) 등을 통해 작동 필요 여부를 즉시 알려 공기 상태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작동모드는 상기 모드결정부(124)에 의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167)은 공기정보측정모듈(167a), 오염도판단모듈(167b), 자동작동조절모듈(167c), 자동강도조절모듈(167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보측정모듈(167a)은 비염치료기(1) 주변의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측정부(19)를 통해 주변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을 측정하도록 하며, 상기 모드결정부(124)에 의해 공기측정부(19)를 가동시키는 모드를 설정하도록 하여 공기의 질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판단모듈(167b)은 상기 공기측정부(19)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질, 더욱 정확하게는 유해물질의 양에 따라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비염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의 양에 따라 기준값을 설정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광프로브(1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오염도판단모듈(167b)은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기준값 이하의 위험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에는 예방적인 광프로브(10)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며, 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위험범위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비염치료기(1) 사용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오염도판단모듈(167b)은 즉시작동모듈(167b-1), 예방작동모듈(167b-2), 작동준비지시모듈(167b-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즉시작동모듈(167b-1)은 공기의 오염도가 설정된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광프로브(10)를 즉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비염치료기(1)를 코에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작동조절모듈(167c)을 통해 광프로브(10)를 즉시 작동시키도록 하며, 비염치료기(1)를 착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비염치료기(1) 또는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비염치료기(1)의 즉시 사용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방작동모듈(167b-2)은 광프로브(10)를 예방적으로 미리 작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공기의 오염도가 광프로브(10)가 즉시 작동될 만큼 일정값을 초과하지는 않으나 일정값 이하의 위험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에는 비염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있고, 유해물질이 누적되어 곧 일정값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미리 광프로브(10)를 작동시켜 유해환경에 대한 선제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예방작동모듈(167b-2)은 위험범위인지모듈(167b-21), 지속시간측정모듈(167b-22), 위험지수산출모듈(167b-23), 예방작동지시모듈(167b-24), 예방작동조절모듈(167b-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범위인지모듈(167b-21)은 상기 공기측정부(19)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공기의 오염도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위험범위란 즉시작동모듈(167b-1)에 의해 광프로브(10)가 즉시 작동되는 설정된 일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를 말하며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비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오염도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위험범위인지모듈(167b-21)은 공기의 오염도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그 값을 저장하도록 하며, 그 지속시간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속시간측정모듈(167b-22)은 상기 위험범위인지모듈(167b-21)에서 공기의 오염도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하며, 공기의 오염도가 위험범위에 머무르는 동안 그 지속시간을 계속 측정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지수산출모듈(167b-23)은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공기 오염도 및 그 지속시간을 곱하여 합산함으로써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비염에 악영향을 끼치는 위험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위험지수산출모듈(167b-23)은 공기 오염도가 위험범위에서 지속되는 동안 위험지수를 합산하도록 하고, 위험지수가 높을수록 비염에 끼치는 악영향이 큰 것을 의미하며, 이와 동시에 광프로브(10)가 즉시작동하는 설정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예방작동지시모듈(167b-24)은 산출되는 위험지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광프로브(10)의 예방적인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작동조절모듈(167c)에 의해 광프로브(10)의 작동이 자동으로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예방작동지시모듈(167b-24)은 사용자가 비염치료기(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곧바로 광프로브(10)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며,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비염치료기(1) 또는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예방 작동이 필요함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 예방작동조절모듈(167b-25)은 상기 예방작동지시모듈(167b-24)에 의해 광프로브(10)의 작동이 개시되는 경우 그 작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강도조절모듈(167d)에 의해 광프로브(10)의 광 조사 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예방작동조절모듈(167b-25)은 위험지수에 따라 그 구간을 나누어 광프로브(10)의 작동 강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의 오염도가 위험범위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험지수에 따라 광프로브(10)의 강도를 조절하면서 작동이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준비지시모듈(167b-3)은 상기 즉시작동모듈(167b-1) 또는 예방작동모듈(167b-2)에 의해 광프로브(10)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공기의 오염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려 비염치료기(1)의 사용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준비지시모듈(167b-3)은 유해물질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미리 비염치료기(1)를 착용하여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해물질에 의해 비염의 상태가 심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준비지시모듈(167b-3)은 증가율산출모듈(167b-31), 설정값비교모듈(167b-32), 연속시간계측모듈(167b-33), 작동알림모듈(167b-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가율산출모듈(167b-31)은 공기 오염도의 증가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측정부(19)에 의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유해물질의 양에 따라 공기 오염도의 증가율을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값비교모듈(167b-32)은 산출된 증가율과 설정된 증가율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산출된 증가율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이 측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속시간계측모듈(167b-33)은 산출된 증가율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알림모듈(167b-34)은 연속시간계측모듈(167b-33)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염이 악화될 환경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비염치료기(1) 작동의 필요성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상기 작동알림모듈(167b-34)은 비염치료기(1) 자체에서 별도의 점등 또는 소리의 출력을 통해 작동의 필요성을 알리도록 하거나,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5) 등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작동조절모듈(167c)은 공기 오염도에 따라 비염치료기(1)의 작동여부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즉시작동모듈(167b-1)에 의해 비염치료기(1)가 즉시 작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예방작동모듈(167b-2)의 예방작동지시모듈(167b-24)에 의한 지시에 따라 비염치료기(1)의 예방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강도조절모듈(167d)은 공기 오염도에 따라 비염치료기(1)가 작동하는 경우 광프로브(10)의 광 조사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성으로, 공기 오염도에 따라 강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강도조절모듈(167d)은 즉시작동모듈(167b-1)에 의해 비염치료기(1)가 작동하는 경우 공기오염도에 따라 구간을 구분하여 공기오염도에 따른 강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예방작동모듈(167b-2)에 의해 비염치료기(1)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방작동조절모듈(167b-25)에 의한 제어에 따라 위험지수에 따른 강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조절부(16)의 모드설정모듈(164)은 비염치료기(1)에 대한 수동, 원격조작모드, 치료 솔루션 등에 의한 작동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측정부(19)에 의한 자동 작동 모드, 비염치료기(1) 미착용시의 공기 측정 모드 등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는 상기 모드결정부(124)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단말기(5) 등의 조작에 따라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염치료기(1)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에 관하여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비염케어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1)와, 사용자의 비염 상태를 등록하고, 비염 상태에 적합한 휴대용 비염치료기(1)의 작동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3)와;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1) 및 관리서버(3)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1)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작동정보에 따라 휴대용 비염치료기(1)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사용자단말기(5);를 포함한다.
종래 비염치료기는 사용자마다 비염 상태가 모두 다름에도 그 상태에 적합한 작동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가 되고 있지 못하며, 비염치료기를 통한 치료의 효과도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휴대 및 착용이 편리한 비염치료기(1)를 마련하면서 사용자의 비염 상태에 맞게 비염치료기(1) 작동 강도와 횟수 등을 설정하여 제공(이하 '치료 솔루션'이라 함)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비염치료기(1)의 자동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비염치료기(1)의 사용에 따른 체감효과도 검증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비염케어시스템은 치료 솔루션을 통한 비염치료기(1)의 작동과 그 치료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치료 솔루션을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치료 솔수션에 따른 비염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비염치료기(1)의 사용에 따른 효과의 검증시 비염치료기(1)에 의해 촬영된 코 속 사진을 이용하여 전문 의료인에 의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치료효과에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효과의 검증과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염케어시스템은 주변 의사를 연결하여 비염에 대한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연계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서버(3)는 사용자에 대한 비염 상태를 등록하고, 이에 따른 치료솔루션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치료 솔루션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여 비염치료기(1)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향상시키고 비염에 대한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비염치료기(1)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5)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며, 이에 관한 정보가 각 비염치료기(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는 각 비염치료기(1)의 정보와 각 비염치료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비염 상태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3)는 사용자등록부(31), 기기등록부(32), 상태등록부(33), 솔루션제공부(34), 효과검증부(35), 진단반영부(36), 진단요청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등록부(31)는 비염치료기(1)를 통해 비염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5) 번호, 비염치료기(1) 정보들이 함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등록부(31)는 비염치료기(1)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 사용자에 대한 비염 상태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기등록부(32)는 비염치료기(1)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각 비염치료기(1)의 식별정보를 등록하여 각 비염치료기(1)에 대한 치료솔루션 정보를 생성하고 효과의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태등록부(33)는 각 사용자의 비염 상태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비염에 관한 각종 질문을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제공하여 이에 대한 답변에 따라 비염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태등록부(33)는 질문정보제공모듈(331), 답변저장모듈(332), 비염지수산출모듈(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문정보제공모듈(331)은 사용자의 비염 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치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들을 사용자단말기(5)에 대해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나이, 콧물, 재채기, 코막힘, 기침, 가래, 코가려움의 정도와 냄새를 못맡는 정도, 생활에 지장이 생기는 정도 등을 일정구간에 따라 점수, 숫자로 기재(선택)하도록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답변저장모듈(332)은 상기 질문정보제공모듈(331)에 의해 제공되는 질문에 대해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입력되는 답변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점수, 숫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비염지수산출모듈(333)은 상기 답변저장모듈(332)에 의해 저장되는 정보에 따라 비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염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의 점수를 합산하여 비염지수를 나타내도록 하고, 높을수록 비염정도가 심한 것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솔루션제공부(34)는 사용자의 비염 상태에 따른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비염치료기(1)의 작동시간, 횟수, 강도 등을 설정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솔루션제공부(34)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비염치료기(1)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해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비염치료기(1)의 사용이 가능한 시간정보를 먼저 입력받도록 하며, 이에 따른 치료 솔루션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솔루션제공부(34)는 상기 효과검증부(35)에 의해 각 사용자들의 비염치료기(1) 사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 치료 효과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치료 솔루션의 제공에 반영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솔루션제공부(34)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비염 치료 효과가 높은 비염치료기(1)의 작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솔루션제공부(34)는 비염지수수신모듈(341), 사용정보입력모듈(342), 치료솔루션생성모듈(343), 치료솔루션전송모듈(344), 치료솔루션갱신모듈(3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염지수수신모듈(341)은 사용자의 비염지수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염지수산출모듈(333)에 의해 산출되는 비염지수를 수신하도록 하며, 비염지수에 따른 치료 솔루션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사용정보입력모듈(342)은 사용자가 비염치료기(1)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정보입력모듈(342)은 일 단위 또는 주단위로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시간범위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입력된 시간 내에서 적절한 치료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정보입력모듈(342)은 사용자가 실제가 비염치료기(1)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치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비염에 대한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치료솔루션생성모듈(343)은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치료 솔루션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비염 지수 및 비염치료기(1)의 사용가능시간에 따른 치료 솔루션을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치료솔루션생성모듈(343)은 비염치료기(1)의 사용가능시간 내에서 비염지수에 따른 비염치료기(1)의 작동시간, 횟수, 강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여 치료 솔루션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치료솔루션생성모듈(343)는 각 조건에 따라 치료 효과가 높은 치료 솔루션을 미리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인공신경망 등의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상관관계의 분석을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치료솔루션전송모듈(344)은 치료솔루션생성모듈(343)에 의해 생성된 치료솔루션을 사용자단말기(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송된 치료 솔루션에 따라 비염치료기(1)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사용자단말기(5)의 조작을 통해 비염치료기(1)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치료솔루션갱신모듈(345)은 상기 효과검증부(35)에 의한 비염치료기(1)에 대한 효과 검증에 따라 치료 솔루션을 업데이트하는 구성으로, 비염 치료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치료 솔루션으로 지속적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효과검증부(35)는 비염치료기(1)의 사용에 따른 비염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구성으로, 상기 솔루션제공부(34)에 의해 제공되는 치료 솔루션에 따른 치료 효과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효과검증부(35)는 상기 상태등록부(33)에 의해 제공되는 질물과 동일한 질문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사용자의 코 속 사진에 대해 전문 의료인의 진단결과를 효과 검증에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효과 검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효과검증부(35)는 효과의 개선정도와 치료 솔루션의 각종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하고 이를 솔루션제공부(34)에 의해 제공되는 치료 솔루션에 반영되도록 하여 치료 솔루션에 의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효과검증부(35)는 작동정보저장모듈(351), 효과정보질문모듈(352), 답변수신모듈(353), 결과지수산출모듈(354), 상관분석모듈(355), 가중치적용모듈(3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저장모듈(351)은 비염치료기(1)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염치료기(1)가 실제 작동한 시간, 횟수, 강도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효과정보질문모듈(352)은 비염치료기(1)의 작동 후 그 효과에 대한 질문을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제공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치료 솔루션이 제공되는 단위로 치료 솔루션의 종료 후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효과정보질문모듈(352)은 상기 질문정보제공모듈(331)에 의해 제공되는 질문과 동일한 질문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역시 답변도 동일한 형태로 그 정도에 따라 숫자로 입력 또는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답변수신모듈(353)은 상기 효과정보질문모듈(352)에 의해 제공되는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질문에 대한 수치정보를 저장하여 결과지수가 산출되도록 한다.
상기 결과지수산출모듈(354)은 답변수신모듈(353)에 의해 수신되는 답변정보들을 합산하여 비염의 정도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염지수산출모듈(333)에 의해 산출되는 비염지수와 동일한 형태로 산출되도록 하여 그 비교를 통해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관분석모듈(355)은 치료 솔루션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치료 솔루션의 작동시간, 강도, 횟수, 비염지수 등의 입력변수와 비염 치료 효과에 대한 출력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한다. 여기서 비염 치료 효과는 치료 전 비염지수와 결과지수산출모듈(354)에 의해 산출되는 결과지수를 비교하여 그 비율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상관관계는 일 예로 인공신경망 등을 통해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관분석모듈(355)은 입력변수들과 출력변수간의 상관관계가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하며, 상관관계를 통해 비염지수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갖는 입력변수들을 찾도록 하여 이를 치료솔루션갱신모듈(345)을 통해 치료 솔루션의 생성에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 가중치적용모듈(356)은 효과의 검증에 전문 의료인에 의한 진단정보를 반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진단반영부(36)에 의해 전문 의료인에 의해 산출되는 개선지수가 상관관계에 반영되도록 한다. 개선지수는 코 안의 상태를 보고 전문 의료인이 그 개선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값으로, 상기 가중치적용모듈(356)은 개선지수를 비염지수와 결과지수의 비율에 따른 출력변수에 곱하여 전문 의료인의 진단결과를 치료에 의한 효과에 반영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효과의 검증 및 치료 솔루션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반영부(36)는 효과의 검증에 전문 의료인, 바람직하게는 이비인후과 의사의 진단결과를 반영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중치적용모듈(356)을 통해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출력변수에 전문 의료인의 진단에 의한 개선지수를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반영부(36)는 상기 비염치료기(1)의 카메라부(18)를 통한 촬영정보를 전문 의료인에게 전송하여 효과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치료 솔루션에 의한 비염치료기(1)의 작동시 그 작동 전후에 자동으로 카메라부(18)를 작동시켜 코 속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반영부(36)는 촬영정보수신모듈(361), 촬영정보전송모듈(362), 진단정보수신모듈(363), 진단정보비교모듈(364), 개선지수산출모듈(3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수신모듈(361)은 상기 카메라부(18)를 통해 촬영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치료 솔루션의 진행 전후에 사용자의 코 속을 촬영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전송모듈(362)은 수신된 촬영정보를 전문 의료인에게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진단요청부(37)를 통해 주변의 이비인후과 의사를 선택하여 촬영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수신모듈(363)은 촬영정보를 전송한 전문 의료인으로부터 사용자의 비염 상태에 대한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촬영정보를 기반으로한 치료 솔루션 전후의 비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정보수신모듈(363)은 비염의 상태에 따른 비염지수를 일정구간으로 나누어 전문 의료인에 의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비염지수 및 결과지수를 산출하는 질문정보에 맞추어 이에 상응하는 비염지수가 전문 의료인으로부터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비교모듈(364)은 치료 솔루션 전후의 전문 의료인에 의한 진단결과를 비교하는 구성으로, 전문 의료인에 의해 산출되는 비염지수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개선지수산출모듈(365)은 진단정보비교모듈(364)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비염이 개선된 정도를 나타내는 개선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개선지수는 치료 솔루션 전 전문 의료인에 의해 산출되는 비염지수와 치료 솔루션 후 전문 의료인에 의해 산출되는 비염지수의 비율에 따라 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산출된 개선지수는 상기 가중치적용모듈(356)에 의해 상관관계의 분석에 반영되도록 한다.
상기 진단요청부(37)는 상기 진단반영부(36)에 의해 전문 의료인의 진단 결과를 반영하기 위해 전문 의료인에게 진단을 요청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주변의 이비인후과 의사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실제 진료와도 연계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비염케어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단요청부(37)는 위치정보수신모듈(371), 이비인후과검색모듈(372), 검색정보제공모듈(373), 선택정보수신모듈(374), 촬영정보송신모듈(375), 예약정보전송모듈(3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371)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5)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이비인후과검색모듈(372)은 사용자 위치 주변의 이비인후과 정보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병원정보가 저장된 별도 서버와 연결하여 일정거리 내의 이비인후과 정보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색정보제공모듈(373)은 이비인후과검색모듈(372)에 의해 검색된 이비인후과 정보를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비인후과의 위치, 의사, 진료시간 등 다양한 정보들이 함께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정보수신모듈(374)은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선택된 이비인후과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이비인후과에 대해 촬영정보 및 예약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송신모듈(375)은 치료 솔루션 전후의 카메라부(18)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코속 이미지를 선택된 이비인후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의사에 의해 비염의 상태를 진단받고 이에 대한 정보가 효과 검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약정보전송모듈(376)은 선택된 이비인후과 의사에 대해 진료 예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치료 솔루션에 따른 효과를 해당 의사에게 진단 받음과 함께 진료 예약을 진행하여 비염에 대한 직접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의사에 대해 환자의 평상시 비염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일상생활에서의 비염 관리와 함께 병원에서의 진료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관리서버(3) 및 비염치료기(1)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비염케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비염치료기(1)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고, 비염치료기(1)의 작동에 관한 치료 솔루션의 제공과 효과의 검증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비염 상태의 등록을 위해 상기 질문정보제공모듈(331)에 의해 질문을 제공받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등록할 수 있으며, 비염치료기(1)의 사용 가능한 시간을 입력하고 치료 솔루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치료 솔루션에 따른 효과의 검증을 위해 효과정보질문모듈(352)에 의한 질문을 제공받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비염치료기(1)로부터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전문 의료인에게 전송하도록 하고, 전문 의료인으로부터의 진단정보를 관리서버(3)로 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상기 검색정보제공모듈(373)에 의해 표시되는 이비인후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염에 대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해당 이비인후과에 대한 예약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비염치료기(1)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비염치료기(1)의 전원, 작동시간, 강도, 작동모드, 카메라부(18) 등을 원격에서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5)는 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된 치료 솔루션에 관한 정보를 비염치료기(1)로 전달하여 이에 따른 자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공기 오염도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비염치료기
11: 회전결합부 111: 회전축 112: 탄성부재 113: 누름단
12: 지지본체 121: 전원조작부 122: 시간조작부
123: 강도조작부 124: 모드결정부 125: 카메라조작부
13: 무선통신부 14: 건전지수용부
15: 살균소독부 151: 수용하우징 152: 광살균모듈
153: 프로브고정모듈 153a: 프로브수용단 153b: 삽입홈
153b-1: 경사밀착면 154: 세균측정센서
16: 작동조절부 161: 전원조절모듈 162: 시간조절모듈
163: 강도조절모듈 164: 모드설정모듈 165: 살균조절모듈
166: 카메라작동모듈 167: 자동맞춤작동모듈 17: 교체알림부
3: 관리서버
31: 사용자등록부 32: 기기등록부 33: 상태등록부
34: 솔루션제공부 35: 효과검증부 36: 진단반영부
37: 진단요청부
5: 사용자단말기

Claims (12)

  1. 코 속에 삽입되어 비염 치료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한 쌍의 광프로브와;
    상기 광프로브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결합부와;
    비염치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조절부와;
    상기 회전결합부, 광프로브 및 작동조절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광프로브에 형성되어 코 안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결합부는, 한 쌍의 광프로브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광프로브 사이에 형성되어 광프로브의 코 속에 삽입되는 측 끝단이 모아지도록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광프로브를 눌러 코 속에 삽입되는 측 끝단이 벌어지도록 하는 누름단을 포함하여, 광프로브를 코 속에 삽입시킨 후 누름단을 놓는 경우 광프로브의 코 속에 삽입되는 측 끝단이 모아져 코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코에 삽입되는 광프로브의 끝단에 형성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모듈과, 플래쉬를 출력하는 플래쉬출력모듈과, 광프로브의 내측에 형성되어 코 내부와 접촉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촬영모듈은 광프로브 끝단의 중심 외측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광프로브가 중심으로 모아진 상태에서 코 속의 중심을 향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카메라작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작동모듈은, 상기 압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압력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이미지촬영모듈을 작동시키는 자동촬영모듈과, 촬영과 동시에 플래쉬출력모듈을 작동시키는 플래쉬작동모듈과,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별도의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촬영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비염치료기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조작부와,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작부와, 광프로브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조작부와, 비염치료기의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모드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광프로브를 수용하여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보관 및 광프로브의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살균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소독부는,
    광프로브를 수용하는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광프로브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부는
    상기 광프로브를 수용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프로브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고정모듈은,
    수용하우징 내부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어 광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수용단과, 상기 프로브수용단의 양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광프로브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바닥측으로 갈수록 프로브수용단의 중앙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밀착면을 포함하여, 광프로브의 끝단이 프로브수용단의 중앙측으로 모아지는 상태에서 경사밀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프로브수용단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광프로브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부는
    광프로브 상의 세균을 측정하는 세균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광살균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살균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조절모듈은,
    상기 세균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세균의 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세균정보수신모듈과, 광살균모듈의 작동시간 정보를 입력하는 작동시간입력모듈과, 입력된 작동시간에 따라 광살균모듈에서 조사되는 광 강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자동강도설정모듈과, 세균의 양이 일정 정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으로 광살균모듈의 작동을 종료하는 자동작동종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지지본체에 형성되어 광프로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수용하는 건전지수용부와, 상기 건전지수용부에 수용된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교체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알림부는,
    광프로브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작동정보가 수신된 후 건전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모듈과, 측정된 전류를 건전지의 초기 전류와 비교하는 기본값비교모듈과, 초기 전류와 측정된 전류의 비율에 따라 건전지에 저장된 전기의 잔여정도를 산출하는 잔여율산출모듈과, 잔여정도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교체를 지시하는 교체정보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상기 지지본체에 형성되어 주변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공기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공기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질에 따라 광프로브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맞춤작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맞춤작동모듈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공기측정부에 의해 공기의 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공기정보측정모듈과, 측정된 공기정보에 따라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오염도판단모듈과,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광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자동작동조절모듈과, 오염도에 따라 광프로브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강도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판단모듈은 오염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작동조절모듈에 의해 광프로브를 즉각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즉시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판단모듈은
    공기의 오염도가 상기 즉시작동모듈에 의해 광프로브가 작동하는 일정값 이하의 일정 위험범위에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염 예방을 위해 광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예방작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예방작동모듈은,
    공기의 오염도가 광프로브가 즉각 작동하는 일정값 이하의 위험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범위인지모듈과, 오염도가 위험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지속시간측정모듈과, 오염도와 지속시간을 곱하여 합산함으로써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위험지수산출모듈과, 위험지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광프로브의 작동을 지시하는 예방작동지시모듈과, 위험지수에 따라 광프로브의 작동 강도를 조절하는 예방작동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판단모듈은
    상기 즉시작동모듈 또는 예방작동모듈에 의해 광프로브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공기의 오염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이를 알려 대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준비지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준비지시모듈은,
    공기 오염도의 증가율을 연산하는 증가율산출모듈과, 산출된 증가율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설정값비교모듈과, 증가율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연속시간을 측정하는 연속시간계측모듈과, 연속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작동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
  12. 사용자의 코에 장착되어 광의 조사를 통해 비염을 치료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와;
    사용자의 비염 상태를 등록하고, 비염 상태에 적합한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작동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휴대용 비염치료기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작동정보에 따라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비염치료기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용 비염치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케어시스템.
KR1020200048665A 2020-04-22 2020-04-22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KR10221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65A KR102211498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65A KR102211498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498B1 true KR102211498B1 (ko) 2021-02-04

Family

ID=7455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65A KR102211498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8359A (zh) * 2021-03-30 2021-07-16 广州华藏民族医药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草本濞舒膏疗效的图像特征识别系统
CN113332609A (zh) * 2021-06-08 2021-09-03 王维虎 一种可调式红光鼻炎治疗仪
CN113332608A (zh) * 2021-06-08 2021-09-03 王维虎 一种便携式红光鼻炎治疗仪
CN113332611A (zh) * 2021-06-08 2021-09-03 王维虎 一种便携式智能化红光鼻炎治疗仪
KR102365916B1 (ko) * 2021-07-08 2022-02-23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귀의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648A (ko) * 2001-12-10 2004-08-18 메딕4올 에이지 손목에서 생리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114974A (ko) * 2012-04-10 2013-10-21 이중민 비염 치료기기
KR101611231B1 (ko) * 2015-02-06 2016-04-11 김용호 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KR101610896B1 (ko) * 2015-12-17 2016-04-20 김용호 비염치료기 및 비염치료기 보호캡
KR20180054071A (ko) * 2016-11-14 2018-05-24 (주)미린트 비염치료기 및 비염치료기 제어방법
KR102033422B1 (ko) * 2018-04-19 2019-10-17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648A (ko) * 2001-12-10 2004-08-18 메딕4올 에이지 손목에서 생리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114974A (ko) * 2012-04-10 2013-10-21 이중민 비염 치료기기
KR101611231B1 (ko) * 2015-02-06 2016-04-11 김용호 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KR101610896B1 (ko) * 2015-12-17 2016-04-20 김용호 비염치료기 및 비염치료기 보호캡
KR20180054071A (ko) * 2016-11-14 2018-05-24 (주)미린트 비염치료기 및 비염치료기 제어방법
KR102033422B1 (ko) * 2018-04-19 2019-10-17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 치료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8359A (zh) * 2021-03-30 2021-07-16 广州华藏民族医药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草本濞舒膏疗效的图像特征识别系统
CN113128359B (zh) * 2021-03-30 2021-11-16 广州华藏民族医药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草本濞舒膏疗效的图像特征识别系统
CN113332609A (zh) * 2021-06-08 2021-09-03 王维虎 一种可调式红光鼻炎治疗仪
CN113332608A (zh) * 2021-06-08 2021-09-03 王维虎 一种便携式红光鼻炎治疗仪
CN113332611A (zh) * 2021-06-08 2021-09-03 王维虎 一种便携式智能化红光鼻炎治疗仪
KR102365916B1 (ko) * 2021-07-08 2022-02-23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귀의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498B1 (ko) 휴대용 비염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케어시스템
US10588486B2 (en) Multi-function video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edical tool
KR101051927B1 (ko) 치아 탈회 검출용 핸드피스
US20200205652A1 (en) Self-Illuminated Handheld Lens for Retinal Examination and Photography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9770168B2 (en) Device for imaging an eye
EP2322077A1 (en) Identifying the status of a reusable instrument
US20110176106A1 (en) Portable ey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2211499B1 (ko) 휴대용 비염치료기를 이용한 비염케어시스템
CN101166471B (zh) 具有可操作的指示器组件的超声探头
US20090214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Analysis And Capture
US11452446B2 (en) Ophthalmoscope using natural pupil dilation
EP3870026A1 (en) Portable screening devices and systems for remote opthalmic diagnostics
TWI556127B (zh) 用於監測鏡片狀態及其對geo-social現象之反應的一種具可程式化及通信元件的鏡片儲存單元
US20170202487A1 (en) Diagnostic tool for measuring ossicular chain compliance
US10143371B2 (en) Eye examination device
KR20220022952A (ko) 휴대용 소변분석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12759A1 (en) Ophthalmic device
TWI583424B (zh) 光療機
KR20180089934A (ko) 치아 관리용 칫솔
WO2023195091A1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及び処理方法
KR20210136199A (ko) 당뇨병성 합병증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당뇨병성 합병증 관리 시스템
Levitan et al. Light intensity of curved laryngoscope blades in Philadelphia emergency departments
KR102318805B1 (ko)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KR101191455B1 (ko) 휴대용 검이경
EP4295769A1 (en) A monitoring unit and a medical examin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