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05B1 -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 Google Patents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05B1
KR102318805B1 KR1020210076168A KR20210076168A KR102318805B1 KR 102318805 B1 KR102318805 B1 KR 102318805B1 KR 1020210076168 A KR1020210076168 A KR 1020210076168A KR 20210076168 A KR20210076168 A KR 20210076168A KR 102318805 B1 KR102318805 B1 KR 10231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iometric data
data
zon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새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1007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61B5/4331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of the cerv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61B5/4337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of the vagi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Y존 관리 시스템과 헬스케어시스템을 포함하며, Y존 관리 시스템은 여성의 Y존에 부착되는 Y존 관리 장치와, Y존 관리장치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폰이 각각 일대일 대응하여 연계된 각각의 Y존 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며, 헬스케어시스템은 Y존 관리 시스템이 전송하는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의료데이터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System and businesee model for acquring, analyzing and transmitting Y zone bio-data of male}
본 발명은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강과 청결이 중요한 여성의 Y존의 생체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병원 등의 의료 기관으로 전송하여 유용한 의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것이다.
여성용 Y존의 건강과 청결을 위한 많은 의료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특허 공개 제10-2020-0039996호는, 질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내에 발광부와 온열 발생부를 설치하여 살균 효과를 통해 냉대하증과 요실금 및 생리통을 완화 및 해소시킬 수 있는 여성용 질 관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제10-2010862호는 훈증용 카트리지 및 열 발생부를 포함하여 훈증용 카트리지로부터 훈증을 발생시켜 질 앞에 배치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편리하게 질의 염증, 피부 트러블 방지, 악취 등을 개선할 수 있는 Y존 미용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는 Y존의 건강과 청결을 위한 확실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한 단점이 있다.
출원인은 특허 제10-2222388호에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Y존 관리장치에서, UV LED와 적외선 LED를 포함하여 이들을 발광시키는 구동회로부(300'), Y존에 접촉하여 LED 광을 발산하는 접촉부(100'), 접촉부(100')를 지지하는 전면커버(200'), 전면커버(200')와 결합하여 상기 구동회로부(300')가 실장되는 후면커버(400')로 이루어지는 Y존 관리장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신체, 특히 여성의 Y존의 경우, 건강과 청결의 관점에서 산도와 습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산도와 습도의 모니터링은 세균과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고 내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다. 또, 출원인의 상기 특허와 같이, 온열요법과 광선요법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산도와 습도 데이터를 같이 고려하여 최적의 강도와 방사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Y존 관리장치는 획득하는 생체데이터에 한계가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분석된 데이터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하여 유용한 의료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비즈니스 모델은 제안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성의 Y존 관리장치와 스마트폰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Y존 관리 시스템과 헬스케어시스템을 포함하며, Y존 관리 시스템은 여성의 Y존에 부착되는 Y존 관리 장치와, Y존 관리장치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폰이 각각 일대일 대응하여 연계된 각각의 Y존 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며, 헬스케어시스템은 Y존 관리 시스템이 전송하는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의료데이터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Y존 관리장치가 획득하는 생체데이터는 온도, 습도 및 산도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전송된 생체데이터 정보의 전송자가 사용자 등록부에 저장된 사용자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소정의 가입 절차를 거쳐 신규 사용자를 인증받은 정식 사용자로 사용자DB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생체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생체데이터판독부 및 사용자생체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사용자가 전송한 생체데이터를 레코드로 저장한 생체데이터DB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데이터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생체데이터 DB를 토대로 헬스케어기관이 원하는 의료 정보를 검색, 추출 및 분석하는 의료데이터분석부와, 의료데이터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레코드로 저장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리포트로 출력하는 의료데이터생성부로 이루어지는 의료데이터구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헬스케어시스템은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의 서버에 구축될 수 있다.
헬스케어시스템은 복수의 헬스케어시스템일 수 있다.
헬스케어시스템은 중개서버를 소유한 회사, 공공기관 또는 공공단체에 구축되며, 헬스케어시스템의 정보는 복수의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많은 여성의 Y존 생체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여 유용한 의료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데이터를 의료기관에 제공하여 유용한 의료 또는 임상 정보의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빅데이터를 토대로 인공지능 학습을 통하여 생체데이터 정보를 갱신하고 업데이트하여 최신의 의료데이터를 구축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선행기술의 여성의 Y존 관리장치의 전체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Y존 관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빅데이터 학습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헬스케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헬스케어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헬스케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헬스케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1)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1)은 Y존 관리 시스템(2)과 헬스케어시스템(3)을 포함한다.
Y존 관리 시스템(2)은 여성의 Y존에 부착되는 Y존 관리 장치(21)와, Y존 관리장치(21)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폰(22)이 각각 일대일 대응하여 연계된 각각의 Y존 모듈(20)을 복수 개 포함한다.
헬스케어시스템(3)은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 등 어떠한 기관에도 구현될 수 있다. 헬스케어시스템(3)은 Y존 관리 시스템(2)이 전송하는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여 유용한 의료데이터로 구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Y존 관리 장치(21)의 구성도이다.
Y존 관리장치(21)는 UV LED(202), 적외선 발광부(204)와 산도 센서(206) 및 습도 센서(208)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Y존 관리장치(21)는 Y존의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다른 센서 - 온도 센서(210) -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Y존 관리장치(21)는 플라즈마 발생기(212)와 마이크로 통풍팬(214)을 포함한다.
UV LED(202)는 여성 외음부 질환의 근본이 되는 균의 번식을 LED 조사 방식을 통해 억제하고, 적외선 발광부(204), 특히 880nm의 레이저 광원은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혈관 활성화를 도우며, 유익한 균의 자정력을 높일 수 있다. 플라즈마는 방전을 통해 질염균인 칸디다균 및 박테리아를 사멸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통풍팬(214)은 습도 조절에 활용된다.
Y존 관리장치(21)의 제어부(220)는 상기 각각의 장치 또는 모듈에 대응하여, UV LED 구동부(202a), 적외선 발광 구동부(204a), 플라즈마 발생 구동부(212a) 및 마이크로 통풍팬 구동부(214a)를 포함한다.
제어부(222)는 이들 구동부를 통하여 UV LED(202), 적외선 발광부(204), 플라즈마 발생기(212) 및 마이크로 통풍팬(214)의 온/오프, 구동 시간 및 강도를 조절한다. 또, 제어부(222)는 산도 센서(206), 습도 센서(208) 및 온도 센서(210)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검출 센서로부터 각각의 생체 데이터 값을 수신 받는다. 수신한 셍체 데이터는 안테나(223)가 부착된 데이터 송신부(224)로 전송된다.
도 4에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2)는 스마트폰이 대표적이지만,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기기라면 워치, 밴드, 액세서리 등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2)는 안테나(230)가 부착된 데이터 수신부(232)를 통하여 Y존 관리장치(21)에서 전송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 생체 데이터는 중앙 CPU(234)로 전송된다. 중앙 CPU(234)는 전송된 생체 데이터를 표시부 구동 모듈(236)을 경유하여 디스플레이(238)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2)는 사용자가 손이나 터치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커뮤니티부(260)를 포함한다. 커뮤니티부(260)는 웨어러블디바이스(22)가 헬스케어시스템(3)과 무선 통신을 통한 접속을 개시하는 커뮤니티 개시부(262) 및 사용자가 본인의 Y존 관련 병이나 질환 또는 질병 이력 또는 의료기관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직접 기입할 수 있는 상태 기입부(2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2)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라우드(CLOUD) 환경을 토대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일별(일요일, 월요일…) 시간 별(오전, 오후, 저녁) 사용 빈도 및 사용 시간(5분, 10분, 30분)을 메모리(M)에 저장하고 분석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증상별로 생체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또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연령대(사용자 나이 기준 2 ~3 년차 이내)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헬스케어시스템(3)의 내부 구성도이다.
헬스케어시스템(3)은 크게 사용자 모듈(30), 사용자 생체데이터 모듈(31) 및 의료데이터 구축 모듈(32)을 포함한다.
사용자 모듈(30)은 사용자 인증부(302)와 사용자 등록부(304)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2)를 통하여 헬스케어시스템(3)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말한다. 각각의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2)의 커뮤니티 개시부(262)를 구동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헬스케어시스템(3)에 접속한다.
사용자 인증부(3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2)를 통하여 전송된 생체데이터 정보의 전송자가 사용자 등록부(304)에 저장된 사용자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이 부정되면 사용자 등록부(304)는 소정의 가입 절차를 거쳐 신규 사용자를 인증받은 정식 사용자로 사용자DB(304a)에 저장한다.
사용자 생체데이터 모듈(31)은 사용자 생체 데이터 수신부(312), 사용자생체데이터판독부(314) 및 사용자생체데이터저장부(316)를 포함한다.
사용자 생체 데이터 수신부(312)는 웨어러블디바이스(22)에서 전송된 개인 사용자의 생체데이터를 수신한다. 생체데이터는 기본적으로 Y존 관리장치(21)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모든 데이터이며, 적어도 온도, 습도 및 산도데이터를 포함한다. 또 웨어러블디바이스(22)가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사용자의 일별, 시간 별 및 사용 시간 데이터와, 사용자의 증상별 데이터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2) 자체 분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본인의 Y존 관련 병이나 질환 또는 질병 이력과 관련하여 기입한 상태 기입부(264)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헬스케어시스템(3)이 수신 받는 “생체데이터”는 Y존 관리장치(21)가 처음에 획득한 RAW 데이터를 토대로 한 “생체데이터”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생체데이터판독부(314)는 전송된 생체데이터 정보를 판독한다.
사용자생체데이터저장부(316)는 판독된 생체데이터 정보를 미리 결정된 필드값을 따라 생체데이터 DB(316a)에 저장한다. 따라서, 생체데이터 DB(316a)에는 각각의 사용자가 전송한 생체데이터가 사용자를 키(KEY)로 하여 레코드로 저장되게 된다.
의료데이터구축모듈(32)은 의료데이터분석부(320) 및 의료데이터생성부(322)를 포함한다. 의료데이터분석부(320)는 생체데이터 DB(316a)를 토대로 헬스케어기관이 원하는 의료 정보를 여러 각도에서 검색, 추출 및 분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균 연령, 빈도수가 높은 질환, 최근 증가한 이상 증세, 연령대별 평균 산성도 및 평균 습도값을 분석할 수 있다. 또, Y존 관리장치(21)를 사용한 결과 질병의 감소, 건강도의 증진 등 사용자를 종합 평균한 진행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필요하면, 의료데이터분석부(320)는 클라우드(CLOUD) 환경을 토대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의료데이터구축모듈(32)에는 운영자나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으며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의 임력 장치를 조작하여 여러 다양한 모드로 의료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의료데이터생성부(322)는 의료데이터분석부(320)의 최종 분석 결과를 레코드로 저장하여 디스플레이에 그래픽 등의 자료로 보여주거나 또는 리포트로 출력한다. 리포트에는 여성의 Y존의 건강과 관련된 많은 지표와 분석 데이터가 포함되어 유용한 의료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헬스케어시스템(3)의 기능을 도 7을 참조로 다시 요약하면, 먼저 헬스케어시스템(3)은 Y존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S10). 그리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Y존 사용자의 생체데이터를 수신한다(S12). 다음, Y존 사용자의 생체데이터를 판독 및 저장한다(S14). 다음 저장된 생체데이터를 토대로 의료데이터를 분석하고 리포트를 생성한다(S1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시스템(1)은 Y존 관리 시스템(2)과 복수의 헬스케어시스템(3)을 포함한다. 헬스케어시스템(3)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의미이지만, 헬스케어시스템(3)이 복수이므로 한 사용자의 생체데이터는 각각 다른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의 서버로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각각의 헬스케어기관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의학적 임상 자료를 확보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데이터를 복수의 의료기관에 제공하여 유용한 의료 또는 임상 정보의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헬스케어시스템(3)의 주체가 중개서버를 소유한 회사, 공공기관 또는 공공단체인 경우이다. 헬스케어시스템(3)의 정보는 각각의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 연구소 등으로 전송된다. 이 실시에에서, 병원이나 의원등은 헬스케어시스템(3)의 주체가 아니라 서비스의 수요자(3b)로 기능한다. 헬스케어시스템(3)은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의료데이터리포트를 생성하여 각각의 병원이나 의원들에 전송할 수 있다. 또, 의료데이터구축모듈(32)을 이용하여 병원등을 포함한 의료기관의 요청에 따라 가공되고 분석된 의료데이터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은 4차산업 시대의 바이오헬스 케어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제어 및 연동과 연관되어 의료기관에서 누적된 생체데이터를 분석 및 판독하여 AI 기술과 연관되어 유용한 의료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비대면 진료와 치료가 가능한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Y존 관리 시스템과 헬스케어시스템을 포함하며, Y존 관리 시스템은 여성의 Y존에 부착되는 Y존 관리 장치와, Y존 관리장치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폰이 각각 일대일 대응하여 연계된 각각의 Y존 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며, 헬스케어시스템은 Y존 관리 시스템이 전송하는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의료데이터를 구축하며,
    상기 헬스케어시스템은 사용자 생체 데이터 수신부, 사용자생체데이터판독부 및 사용자생체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사용자가 전송한 생체데이터를 레코드로 저장한 생체데이터DB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데이터 모듈을 구비하고,
    생체데이터 DB를 토대로 헬스케어기관이 원하는 의료 정보를 검색, 추출 및 분석하는 의료데이터분석부와, 의료데이터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레코드로 저장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리포트로 출력하는 의료데이터생성부로 이루어지는 의료데이터구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클라우드(CLOUD) 환경을 토대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비하며,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일별, 시간 별 사용 빈도 및 사용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증상별로 생체데이터를 판독하며,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나이 기준 2 ~3 년차 이내인 동연령대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Y존 관리장치가 획득하는 생체데이터는 온도, 습도 및 산도데이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전송된 생체데이터 정보의 전송자가 사용자 등록부에 저장된 사용자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소정의 가입 절차를 거쳐 신규 사용자를 인증받은 정식 사용자로 사용자DB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헬스케어시스템은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의 서버에 구축된,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헬스케어시스템은 복수의 헬스케어시스템인,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헬스케어시스템은 중개서버를 소유한 회사, 공공기관 또는 공공단체에 구축되며, 헬스케어시스템의 정보는 복수의 병원, 의원, 의료관련회사나 의료서비스업체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210076168A 2021-06-11 2021-06-11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KR10231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68A KR102318805B1 (ko) 2021-06-11 2021-06-11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68A KR102318805B1 (ko) 2021-06-11 2021-06-11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05B1 true KR102318805B1 (ko) 2021-10-28

Family

ID=7823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168A KR102318805B1 (ko) 2021-06-11 2021-06-11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536A (ko) * 2009-01-23 2010-08-0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인증 정보유출 방지 시스템
KR20190026319A (ko)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멀티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이 가능한 의료기관 연계형 모바일 헬스케어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JP2020081182A (ja) * 2018-11-21 2020-06-04 智彦 金井 各種センサーを搭載し、性器の様々なデータを取得できる男性用または女性用自慰用具様器具装置および、それらを活用した性の相性判定システム
KR102222388B1 (ko) * 2020-11-13 2021-03-05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여성용 y존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536A (ko) * 2009-01-23 2010-08-0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인증 정보유출 방지 시스템
KR20190026319A (ko)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멀티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이 가능한 의료기관 연계형 모바일 헬스케어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JP2020081182A (ja) * 2018-11-21 2020-06-04 智彦 金井 各種センサーを搭載し、性器の様々なデータを取得できる男性用または女性用自慰用具様器具装置および、それらを活用した性の相性判定システム
KR102222388B1 (ko) * 2020-11-13 2021-03-05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여성용 y존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riyar et al. Intelligent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IMHMS)
Pramanik et al. Internet of things, smart sensors, and pervasive systems: Enabling connected and pervasive healthcare
Kang et al. Survey on the demand for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ervices in hospitals: Investigation of nurses' perception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US7395117B2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having long-term wireless capabilities
US7791467B2 (en) Repeater providing data exchange with a medical device for remote patient care and method thereof
CN101053513B (zh) 在实时监视系统中基于病例的效果预测
US200401281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 hoc communications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855957B2 (en) Wireless augmented video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prevent insurance billing fraud and physical assault for remote mobile application
EP1959820A2 (en) Providing authentication of remotely collected external sensor measures
WO2008002525A2 (en) Adaptively adjusting patient data collection in an automated patient management environment
WO2013134845A1 (en) Wearable miniatur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40768A (ko) 접착성 붕대 및 환자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US20080033252A1 (en) Detection,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generation and communication of activation signals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properties
Longva et al. How can iot improve the life-quality of diabetes patients?
US20070287892A1 (en) Detection,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generation and communication of activation signals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properties
KR102318805B1 (ko) 여성의 y존 생체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
Fook et al. Smart mote-based medical system for monitoring and handling medication among persons with dementia
KR102404926B1 (ko) 스마트폰으로 제어가능한 여성 y존 관리, 특히 산도 습도 및 온도 센서를 활용한 여성 헬스 케어 장치 및 관리 방법
Sainadh et al. IoT Enabled Real-Time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Panagiotou et al. A multi: modal decision making system for an ambient assisted living environment
Ramalingam et al. Self-monitoring framework for patients in IoT-based healthcare system
Sheeba An overview of IoT in health sectors
Wahane et al. Interactive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Kuttalingam et al. A novel data security for hospital records management using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