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84B1 - 방화문용 실링부재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실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84B1
KR102210784B1 KR1020180032304A KR20180032304A KR102210784B1 KR 102210784 B1 KR102210784 B1 KR 102210784B1 KR 1020180032304 A KR1020180032304 A KR 1020180032304A KR 20180032304 A KR20180032304 A KR 20180032304A KR 102210784 B1 KR102210784 B1 KR 10221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aling member
fire
seal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392A (ko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석 filed Critical 이정석
Priority to KR102018003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에 설치되어 화재 및 유독 가스를 차단하고, 방음 및 결로방지가 용이한 방화문용 실링부재에 관한 것으로, 벽부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및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는 벽부에 삽입되는 입구의 폭이 벽부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되고, 밀폐수단은 고정부에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가 개구되어 소정의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밀폐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유격 공간을 이중 또는 삼중으로 밀폐시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재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방음, 결로방지 및 열차단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실링부재{SEALING MEMBER FOR FIRE DOOR}
본 발명은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방화문에 설치되어 화재 및 유독 가스를 차단하고, 방음 및 결로방지가 용이한 방화문용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 및 다가구 건물 등은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고,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 가스에 의한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화문을 사용하고 있다.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9262호)은 초기의 방화문은 화재로 인해 문짝이 경첩을 파손하면서 문짝이 이탈되는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하지만, 방화문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방화문과 도어 프레임의 사이에 유격된 공간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화재 발생시 외부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0530호)에서는 방화문의 가장자리와 방화문용 문틀의 가장자리에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화재로 인한 열기와 연기가 방화문의 가장자리를 통해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2의 경우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철끼리 계합되지 않는 경우 요철의 사이로 열기 및 연기가 그대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9262호 (2004.01.1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0530호 (2009.09.29.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로 열기 및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 프레임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 프레임에 접하는 방화문의 가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링부재를 도어 프레임의 홈에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부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및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는 벽부에 삽입되는 입구의 폭이 벽부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되고, 밀폐수단은 고정부에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가 개구되어 소정의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밀폐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되는 실링부재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유격 공간을 밀폐할 수 있어, 열기 및 유해 가스가 도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라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재는 도어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복원성이 있으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가 벽부의 끝단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도어프레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도어프레임의 홈에 삽입 시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고, 홈에 삽입 후 제 2 밀폐부재의 상승 및 날개부의 가압에 따라 기밀하게 밀폐가 가능하며, 견고한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재에 의해 실링부재가 더욱 압축되어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유격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는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재는 삽입 시 소정의 공간(S1, S2, S3, S4)을 구비하여 최소한의 재료로 실링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재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방음, 결로방지 및 열차단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설명하기에 앞서, 내측 방향, 외측방향, 상측방향, 하측방향, 수직방향, 수평방향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 2의 <b>에 표기된 것을 기준으로 하며, 도 2의 <a>와 같이 방화문용 실링부재(10)의 절단면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도어"는 방화문을 뜻하지만, 이 뿐만 아니라 "밀폐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통하는 입구"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D)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도어프레임(F)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도어프레임(F) 및 도어(D)의 사이에 유격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열기 및 유해 가스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어프레임(F)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11), 단턱(12), 벽부(13) 및 홈을 포함한다. 홈은 프레임(F)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음각 형성된다. 여기서 도어프레임(F)에 구비된 '홈'은 도 2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도어프레임(F)의 측벽(11)과 벽부(13) 사이 공간인 단턱(12)의 상측에 구비된 공간을 의미한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도어프레임(F)은 내측(I) 둘레 방향을 따라 단턱(12)이 형성되고, 단턱(12)의 내측(I)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벽부(13)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단턱(12)의 위치가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홈에 삽입되는 일반적인 실링부재와 달리 벽부(1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의 각 구성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체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난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부분이 질석, 흑연 등과 같이 열에 노출되었을 때 부피가 팽창하는 재료가 혼합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방화문용 실링부재(10)의 각 구성은 고무와 질석의 혼합물, 고무와 흑연의 혼합물 또는 고무, 질석 및 흑연의 혼합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화재 등과 같은 상황에서 열에 노출될 때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도어(D) 내부 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기밀을 유지시켜 연기 또는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화재로 인해 가열되는 경우 부피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도어(D)와 면접촉하는 면적이 커짐으로써 화재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밀폐수단을 포함한다. 밀폐수단의 경우 고정부에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고정부(100)는 방화문용 실링부재(10)와 도어프레임(F)과의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100)는 저면이 개구된 형상, 즉 "ㄷ"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고정부(100)는 벽부(13)의 상측에 집게, 클립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00)의 개구된 부분에는 벽부(13)가 삽입되는데, 이 때 하측을 향하는 고정부(100)의 내측(I) 방향에 구비된 끝단은 소정의 제 3 각도(a3)로 외측(O)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100)의 내측(I) 방향에 구비된 끝단이 소정의 제 3 각도(a3)로 외측(O)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부(100)의 외측(O) 방향에 구비된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내측(I)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00)는 벽부(13)에 삽입되는 입구의 폭(d1)이 벽부(13)의 두께(d1`)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고정부(100)의 저면에 개구된 입구의 폭(d1)이 벽부(13)의 두께(d1`)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가 벽부(13)에 삽입된 후, 고정부(100)의 끝단이 복원력에 의해 벽부(13)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100)는 벽부(13)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 상태가 유지된다. 이를 통해,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서의 방화문용 실링부재(100)가 가압되거나 외력이 가해져 홈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에도, 고정부(100)와 벽부(13)와의 삽입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한 도어(D) 내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방화문용 실링부재(100)의 각 구성, 특히 고정부(100)가 탄성 재질로 구비되기에 가능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은 고정부(100)의 상측에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가 개구되어 소정의 제 1 공간(S1)이 형성되는 제 1 밀폐부재(210)를 포함하는 제 1 밀폐수단(200)일 수 있다.
제 1 밀폐부재(210)는 고정부(100)의 상면에 구비된다. 제 1 밀폐부재(210)는 도어(D) 내부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고, 도어(D)의 가압에 따른 응력을 분산시키킴과 동시에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 1 밀폐부재(210)는 고정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도 2a에 따르면, 단면이 반원 또는 절단된 타원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1 밀폐부재(210)는 고정부(100)의 상면에 구비되되 도어(D)가 닫히는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고, 내부가 개구되어 소정의 제 1 공간(S1)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밀폐부재(210)의 형상은 반원 또는 절단된 타워 등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D)의 저면과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는 다각형 형상, 역전된 아치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2b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경우, 도 2b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며, 상측의 가로길이가 하측의 가로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밀폐부재(210)의 돌출된 곡면 부분은 도어(D)의 저면과 접하게 되고, 도어(D)의 가압에 따라 가압되는 형상으로 변화되고, 면 접촉을 함으로써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 1 밀폐부재(210)의 내부에는 소정의 제 1 공간(S1)이 더 구비된다. 제 1 공간(S1)이 구비됨으로써 제 1 밀폐부재(210)가 도어(D)의 가압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되어 기밀 유지가 뛰어나고, 제 1 공간(S1)으로 인해 열, 소리의 진동, 냉기 등을 흡수하여 방열, 소음 차단 및 결로방지에 용이하다. 제 1 공간(S1)은 제 1 밀폐부재(210)와 고정부(100) 사이에 구비되고, 제 1 밀폐부재(2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즉, 제 1 공간(S1)이 구비됨에 따라, 제 1 밀폐부재(210)는 도어(D)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받고, 하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고루 분산할 수 있다. 즉, 제 1 공간(S1)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제 1 밀폐부재(210)는 제 1 공간(S1)이 구비되는 공간만큼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파손 확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공간(S1)에는 제 1 공간(S1)을 구획하여 제 1 밀폐부재(210)를 지지하는 별도의 구획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c를 참조하면, 제 1 밀폐수단(200)은 상기 제 1 밀폐부재(210)를 대신하여, 고정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4 각도(a4)로 기울어지고, 소정의 제 2 곡률(c2)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2 날개부(220)일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날개부(220)는 개방된 형상으로 고정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4 각도(a4) 기울어져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의 저면과 접하여 고정부(100)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 2 날개부(220)가 도어(D)의 가압에 의해 휘어지면, 도어(D)의 하면과 면 접촉을 함으로써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추가 실시예들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를 기준으로 구성이 추가되는 실시예이기 때문에 동일한 명칭의 경우 전술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밀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은 고정부(100)의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1 각도(a1)로 기울어져 도어(D)가 닫힐 때 가압되는 제 1 날개부(310)를 포함하는 제 2 밀폐수단(300)이다.
제 1 날개부(310)는 도어(D)와 접하면서 도어(D)의 내부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 1 날개부(310)는 고정부(100)의 외측(O) 방향의 상면에 구비된다. 또한, 제 1 날개부(310)는 소정의 제 1 각도(a1)로 기울어져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1 날개부(310)는 소정의 제 1 각도(a1) 외측(O) 방향으로 기울어지되, 소정의 제 1 곡률(c1)을 같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날개부(310)는 도어(D)의 저면과 접하면서 도어(D)와 도어프레임(F)의 사이에 구비되는 유격 공간을 밀폐하게 되어, 열기 및 유해가스가 도어(D)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음 및 결로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구비하는 제 1 날개부(310)는 도어(D)의 저면과 접촉할 때,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면 접촉을 이루게 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제 1 날개부(310)가 받는 하측 방향으로의 힘에 대한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힘을 가했을 때에도 더 작은 범위에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파손 및 소성변형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밀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은 고정부(100)의 외측(O) 방향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도어프레임(F)의 측벽(11)까지 연장되되,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 2 밀폐부재(411)가 형성되는 지지부재(410) 및 지지부재(4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일면이 측벽(11)과 접하는 접합부재(420)를 포함하는 제 3 밀폐수단(400)이다.
지지부재(410)는 도어프레임(F)의 홈에 위치되어 고정부(100)와 함께 방화문용 실링부재(10)를 알맞은 자리에 배치시키며 이중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410)는 고정부(100)에 형성되어 동어프레임(F)의 측벽(1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지지부재(410)는 고정부(100)의 외측(O) 방향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10)는 측벽(11)까지 연장되도록 고정부(100)의 외측(O) 방향 일면에 돌출 형성되되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10)는 홈에 위치되되 단턱(1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D)에 의해 방화문용 실링부재(10)가 하측으로 가압될 때, 정확하게는 지지부재(410) 및 후술할 제 2 밀폐부재(411)가 하측으로 가압될 때, 하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손되거나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의 내부를 채우지 않고 일부만이 삽입되어 밀폐 및 고정되기 때문에 원자재 값을 감소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지지부재(410)는 고정부(100)에서 지지부재(410) 끝단까지의 거리(d2)가 벽부(13)에서 측벽(11)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부재(410)의 길이는 도어프레임(F)의 홈의 너비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재(410)가 홈에 삽입된 후, 지지부재(410)의 양 끝단이 복원력에 의해 측벽(11) 및 벽부(13)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재(410)는 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410)는 상면에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 2 밀폐부재(4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밀폐부재(411)는 지지부재(410)의 일부로서, 지지부재(410)가 아치 형상으로 일부 변형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제 2 밀폐부재(411)는 도어(D) 내부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고, 도어(D)의 가압에 따른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 2 밀폐부재(411)는 단면이 반원 또는 절단된 타원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2 밀폐부재는 지지부재(410)의 일부가 도어(D)가 닫히는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아치 형상으로 변형된 부분을 일컫는다. 지지부재(410) 및 제 2 밀폐부재와 단턱(12) 사이에 소정의 제 4 공간(S4)이 형성된다. 하지만, 제 2 밀폐부재(4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D)의 저면과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는 다각형 형상, 역전된 아치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밀폐부재(411)의 돌출된 곡면 부분은 도어(D)의 저면과 접하게 되고, 도어(D)의 가압에 따라 면 접촉을 이루게 되어 도어(D)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지지부재(410) 및 제 2 밀폐부재와 단턱(12) 사이에 소정의 제 4 공간(S4)이 형성되도록 도어프레임(F)의 홈에 단턱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 4 공간(S4)이 구비됨에 따라, 제 2 밀폐부재(411)는 도어(D)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받고, 하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고루 분산할 수 있다. 즉, 제 4 공간(S4)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제 2 밀폐부재(411)는 제 2 공간(S2)이 구비되는 공간만큼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파손 확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 4 공간(S4)에는 제 4 공간(S4)을 구획하여 제 2 밀폐부재(411)를 지지하는 별도의 구획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10)의 고정부(100)에서 지지부재(410) 끝단까지의 거리(d2)가 벽부(13)에서 측벽(11)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구비되어 지지부재(410) 및 제 2 밀폐부재(411)를 홈에 고정 시, 제 2 밀폐부재(411)가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밀폐부재(411)의 상승으로 인해 상측 방향으로의 가압하는 힘이 세지며, 도어(D)가 닫혔을 때, 도어(D)와 접하는 면적이 늘어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접합부재(420)는 지지부재(410)의 외측(O) 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측벽(11)과 접하는 구성이다. 접합부재(420)는 소정의 제 2 각도(a2)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접합부재(420)는 지지부재(410) 또는 지지부재(410)의 가상의 연장선에서 제 2 각도(a2)만큼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즉, 접합부재(420)는 홈에 고정되기 전에 단면이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2 각도(a2) 기울어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접합부재(420)는 지지부재(410)가 홈에 고정될 때 함께 고정되며, 탄성에 의해 구부러져 일면(외측 측벽 방향)이 측벽(11)과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접합부재(420)의 일면은 복원력에 의해 맞닿은 측벽(11)을 외측(O)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지지부재(410)의 홈에서의 고정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접합부재(420)에는 측벽(11)과의 접촉 및 홈에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돌기부(4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421)는 접합부재(420)의 측벽(11)과 접하는 일면에 일측 방향(도 4에서 측벽과 접하는 외측 방향을 뜻함)으로 돌출되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421) 및 접합부재(420)가 동시에 측벽(11)과 접하기 때문에 지지부재(410)가 이탈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2개의 돌기부(421)가 접합부재(4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의 변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측벽(11)에는 돌기부(421)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별도의 패턴이 음각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접합부재(420)가 측벽(11)에 정 위치 시 돌기부(421)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11)에 돌기부(421)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별도의 패턴이 음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밀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은 상기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2 밀폐수단(300) 및 제 3 밀폐수단(400)을 포함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라 제 2 밀폐수단(300) 및 제 3 밀폐수단(400)을 동시에 포함하면, 도어(D)가 닫힐 때 제 2 밀폐수단(300)의 제 1 날개부(310)는 도어(D)에 의해 가압되어 제 3 밀폐수단(400)의 제 2 밀폐부재(411)에 접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어(D)가 닫힐 때 제 1 날개부(310)의 하면과 제 2 밀폐부재(411)의 상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이 때, 홈의 측벽(11)에서 벽부(13)까지의 너비보다 길이가 긴 지지부재(410)에 의해, 지지부재(410)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 2 밀폐부재(411)의 상승하려는 힘이 생기고, 제 2 밀폐부재(411)의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과 도어(D)에 의해 가압되어 제 1 날개부(310)의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밀폐부재(411)의 상면과 제 1 날개부(310)의 하면이 서로 접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프레임(F)과 도어(D) 사이에 구비되는 유격 공간을 더욱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밀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1 밀폐수단(200), 제 2 밀폐수단(300) 및 제 3 밀폐수단(400)을 포함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라 제 1 밀폐수단(200), 제 2 밀폐수단(300) 및 제 3 밀폐수단(400)을 동시에 포함하면, 도어(D)가 닫힐 때 제 2 밀폐수단(300)의 제 1 날개부(310)는 도어(D)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 4 실시예와 같이 제 3 밀폐수단(400)의 제 2 밀폐부재(411)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D)가 닫히는 경우, 제 2 밀폐부재(411) 및 제 1 날개부(310)에 의해 도어프레임(F)과 도어(D) 사이의 유격 공간을 더욱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D)의 가압에 따라 도어(D)와 제 1 밀폐수단(200)도 면 접촉을 이루게 되어 이중으로 밀폐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B>와 같이 도어(D)가 닫혔을 때 방화문용 실링부재(10)와 도어(D) 및 도어프레임(F) 사이에 복수의 소정의 공간(S1, S2, S3, S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D)와 도어프레임(F)의 사이 유격 공간이 밀폐됨과 동시에 소정의 공간(S1, S2, S3, S4)이 형성되어, 공간(S1, S2, S3, S4)에 의해 소리 및 열 등이 흡수되어 방음, 방열, 결로방지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밀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1 밀폐수단(200), 제 2 밀폐수단(300) 및 제 3 밀폐수단(400)을 포함한다. 단, 여기서 제 1 밀폐수단(200)은 고정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4 각도(a4)로 기울어지고, 소정의 제 2 곡률(c2)을 갖는 제 2 날개부(2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날개부(220)를 포함하는 제 1 밀폐수단(200), 제 2 밀폐수단(300) 및 제 3 밀폐수단(400)을 동시에 포함하면, 도어(D)가 닫힐 때 제 2 밀폐수단(300)의 제 1 날개부(310)는 도어(D)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 4 실시예와 같이 제 3 밀폐수단(400)의 제 2 밀폐부재(411)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D)가 닫히는 경우, 제 2 밀폐부재(411) 및 제 1 날개부(310)에 의해 도어프레임(F)과 도어(D) 사이의 유격 공간을 더욱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D)의 가압에 따라 도어(D)와 고정부(100)의 상면에 하나 이상 구비된 제 2 날개부(220)도 서로 면 접촉을 이루게 되어 이중으로 밀폐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10)는 발포재(500)를 더 포함한다. 발포재(500)는 접합부재(420)의 타면(내측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발포재(500)는 접합부재(420)의 타면에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9를 참조하면, 발포재(500)는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재(500)는 팽창성 흑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온에서 팽창하여 부피가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화재 시 주변 온도가 높아지면, 도 9의 <B>와 같이 발포재(500)가 팽창하여 도어(D)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폐부재(210) 및 제 1 날개부(310)와 함께 삼중으로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의 유격 공간을 밀폐시켜 화재시 가스의 유입 및 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포재(500)가 팽창됨에 따라 제 2 밀폐부재(411)가 내측(I)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어(D)가 닫히는 상측 방향으로 더욱 상승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날개부(310)와 제 2 밀폐부재(411)의 접하는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의 유격 공간이 보다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실링부재가 도어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F)은 홈의 저면에 결로방지부(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어프레임(F)의 단턱(12)에 결로방지부(20)기 일부 또는 전부 충진될 수 있다. 결로방지부(20)는 조합에 의한 조성물일 수 있고, 충진재, 유기 바인더, 무기 바인더, 윤활제 및 기포 조절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로방지부(20)는 펄라이트, 팽창질석 등의 충진재,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바인더, 실리카 등의 무기 바인더, 다가 지방산염(Fatty Acid Salt) 등의 윤활제 및 아미노산계를 포함하는 동물성 기포제 및 알킬벤젠 설포네이트계, 소듐 아우릴 설페이트계 및 이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식물성 기포제 등의 기포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로방지부(20)가 홈에 채워지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도어프레임(F)을 따라 외측(O)에서 내측(I) 또는 내측(I)에서 외측(O)으로 전도되는 냉기, 열 등을 결로방지부(20)가 흡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D)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유입되는 냉기, 열 등도 결로방지부(2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결로방지부(20)를 더 포함하는 경우, 방화문용 실링부재(10)의 결로방지 및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화문용 실링부재(10)가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파손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방화문용 실링부재 20: 결로방지부
100: 고정부 200: 제 1 밀폐수단
210: 제 1 밀폐부재 220: 제 2 날개부
300: 제 2 밀폐수단 310: 제 1 날개부
400: 제 3 밀폐수단 410: 지지부재
411: 제 2 밀폐부재 420: 접합부재
421: 돌기부
D: 도어 F: 도어프레임

Claims (12)

  1. 도어프레임(F)의 단턱(12) 가장자리에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벽부(13)에 설치되는 실링부재(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벽부(13)의 끝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00); 및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상기 도어(D)와 접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고정부(100)의 외측(O) 방향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F)의 측벽(11)까지 연장되되,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 2 밀폐부재(411)가 형성되는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부재(410) 끝단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측벽과 접하는 접합부재(420);를 포함하는 제 3 밀폐수단(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벽부(13)에 삽입되는 입구의 폭(d1)이 상기 벽부(13)의 두께(d1`)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고정부(100)에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가 개구되어 소정의 제 1 공간(S1)이 형성되는 제 1 밀폐부재(210)를 포함하는 제 1 밀폐수단(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폐부재(210)는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고정부(100)에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4 각도(a4)로 기울어지고,
    소정의 제 2 곡률(c2)을 갖는 제 2 날개부(22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 1 밀폐수단(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고정부(100)에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1 각도(a1)로 기울어져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가압되는 제 1 날개부(310)를 포함하는 제 2 밀폐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상기 제 1 날개부(310)는 상기 도어(D)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 2 밀폐부재(411)의 상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9.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310)는 소정의 제 1 곡률(c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에서 상기 지지부재(410)의 끝단까지의 거리(d2)는 상기 벽부(13)에서 상기 측벽(11)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구비되어 접합부재(420)가 상기 측벽(11)에 정 위치 시, 상기 제 2 밀폐부재(411)가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420)는 상기 도어프레임(F)의 외측(O) 방향으로 소정의 제 2 각도(a2)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420)는 타면에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발포재(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링부재.
KR1020180032304A 2018-03-20 2018-03-20 방화문용 실링부재 KR10221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04A KR102210784B1 (ko) 2018-03-20 2018-03-20 방화문용 실링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04A KR102210784B1 (ko) 2018-03-20 2018-03-20 방화문용 실링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92A KR20190110392A (ko) 2019-09-30
KR102210784B1 true KR102210784B1 (ko) 2021-02-02

Family

ID=6809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304A KR102210784B1 (ko) 2018-03-20 2018-03-20 방화문용 실링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048A (ko) 2022-03-31 2023-10-11 신우솔루션 주식회사 방화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06Y1 (ko) * 2002-11-23 2003-03-04 장재혁 문틀용 패킹
CN206409166U (zh) * 2017-01-19 2017-08-15 深圳市兴舞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卷帘及其防烟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62Y1 (ko) 2004-01-19 2004-05-04 주식회사 유니벡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타겟장치
KR100920530B1 (ko) 2007-12-27 2009-10-09 김동선 방화문과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06Y1 (ko) * 2002-11-23 2003-03-04 장재혁 문틀용 패킹
CN206409166U (zh) * 2017-01-19 2017-08-15 深圳市兴舞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卷帘及其防烟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048A (ko) 2022-03-31 2023-10-11 신우솔루션 주식회사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92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6932B2 (en) Fire-rated joint component and wall assembly
US10954670B2 (en) Multi-layer fire-rated joint component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CA3080978C (en) Fire-rated joint component and wall assembly
KR200390271Y1 (ko) 방화문
KR101998675B1 (ko) 방화문
NO337192B1 (no) Karmstykke for dører, vinduer og lignende, samt en branndør innbefattende slike karmstykker.
KR102210784B1 (ko) 방화문용 실링부재
JP2014070428A (ja) 開口部装置
JP6357060B2 (ja) 建具
KR200492197Y1 (ko) 현관 방화문 장치
JP2020090786A (ja) 建具用面材及び建具
RU2392407C2 (ru) Эластомерный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профиль для порогового уплотнителя
JP6214168B2 (ja) 開口部装置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JP6140434B2 (ja) サッシ
JP6333767B2 (ja) 建具
JP7319145B2 (ja) 建具
JP7284668B2 (ja) 建具
JP6820795B2 (ja) 建具
KR102114832B1 (ko) 현관 방화문 장치
JP5430023B2 (ja) 開口部に於けるクッション材の構造
JP2009243121A (ja) 軒天換気見切金物用カバープレート、軒天換気見切金物構造体及び軒天換気構造
JP6766001B2 (ja) 建具
KR20190097985A (ko) 방화문용 실링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