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214B1 -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14B1
KR102210214B1 KR1020190054373A KR20190054373A KR102210214B1 KR 102210214 B1 KR102210214 B1 KR 102210214B1 KR 1020190054373 A KR1020190054373 A KR 1020190054373A KR 20190054373 A KR20190054373 A KR 20190054373A KR 102210214 B1 KR102210214 B1 KR 102210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shoe
body part
coupl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652A (ko
Inventor
엄성진
Original Assignee
엄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진 filed Critical 엄성진
Priority to KR102019005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신발은 선포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탈취제 등을 수용하는 탈취부를 결합시키고, 탈취부가 신발 내부와 통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탈취제 등을 통해 신발 내부를 탈취 시킬 수 있다. 또한 탈취부에 수용되는 탈취제를 교환 가능하므로 탈취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부의 회동에 따라 탈취부의 측부가 통기되거나 통기가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의 통풍성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SHOES WITH DEODORANT FUNC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취 기능이 있어 발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슬리퍼 등을 제외한 운동화나, 구두, 부츠 등과 같은 일반적인 신발은 착용 시 발을 보호하고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일부 통풍구를 제외하고는 밀폐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신발은 통풍성이 낮으며, 신발을 신은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발에서 악취가 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 박테리아나 세균들이 서식하게 되어 무좀이나 습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발명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들은 신발을 장착 또는 탑재하여 탈취나 건조시키는 장치들이 있고, 또는 신발의 깔창에 항균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 공개된 발명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신발에 탈취 기능을 부여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4788호 (2016.11.0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46649호 (2013.03.18 등록)
본 발명은 탈취제를 수용하는 탈취부가 몸체에 결합됨으로써 탈취제를 교환 가능하고, 탈취부의 회동을 통해 신발의 통풍성을 조정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포(vamp)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탈취제, 발향제, 해충기피제 중 1 이상을 수용하고 저면이 신발 내부와 통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결합홀에 결합되는 탈취부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포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탈취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탈취부는, 결합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갖고 저면은 통기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수용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에 결합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돌기편을 구비하는 제1 본체부와, 외측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돌기편을 구비하고, 내측에는 측부 둘레를 따라 개구부가 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되는 수용부를 갖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부 돌기편들 사이의 간격에 하부 돌기편이 위치하도록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와 결합하되,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돌기편 및 하부 돌기편은 L만큼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 돌기편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 돌기편들 사이의 간격은 3L만큼의 크기를 가지며, 개구부들 사이의 간격은 L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신발은 선포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탈취제를 수용하는 탈취부를 결합시키고, 탈취부가 신발 내부와 통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탈취제를 통해 신발 내부를 탈취 시킬 수 있다. 또한 탈취부에 수용되는 탈취제를 교환 가능하므로 탈취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부의 회동에 따라 탈취부의 측부가 통기되거나 통기가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의 통풍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신발에 결합되는 탈취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취부의 회동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의 신발에서 탈취부의 사용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신발은 특정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발은 운동화, 구두, 부츠 등과 같이 발을 온전히 수용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슬리퍼나 샌들 등과 같은 종류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발(10)은 선포(vamp, 11)에 결합홀(11a)이 형성되고, 결합홀(11a)에는 탈취부(20)가 결합된다. 선포(11)는 뱀프라고도 불리며 신발의 발등에서 발가락 부위를 덮는 부분(발등의 어퍼 부위)을 가리킨다. 선포(11)는 통기성이 좋은 메쉬(mesh)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신발 내부와의 통기를 위한 통기홀들이 복수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 결합홀(11a)은 이와 같은 통기홀들과는 구분되는 것이며 통기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통기홀들의 직경은 1~2mm 수준이나, 결합홀(11a)의 직경은 3cm~4cm 가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결합홀(11a)은 반드시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홀(11a)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홀(11a)에는 탈취부(20)가 결합된다. 탈취부(20)의 결합 방법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탈취부(20)를 결합홀(11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 부재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탈취부(20)를 결합홀(11a)에 결합할 수도 있다. 탈취부(20)는 내부에 탈취제, 발향제, 해충기피제 중 1 이상을 수용하고, 저면은 신발(10) 내부와 통기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탈취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탈취제, 발향제, 해충기피제 등(이하, 탈취제 등)의 기능을 신발(10) 내부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탈취제의 경우 신발 내부나 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발향제는 신발 내부로 향을 발산시키며, 해충기피제 등은 사용자가 야외 활동을 할 때에 모기 등의 해충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 준다. 이러한 탈취제 등은 탈취부(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면 그만이고, 상용 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탈취부(20)의 구체적인 구성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발(10)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되, 선포(11)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탈취부(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는 얇은 천 또는 가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커버부(12)의 하단은 선포(11)의 윗 부분에 접합되고 커버부(12)의 하단을 기준으로 커버부(12)가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12)의 상단 내측부와, 커버부(12)가 전방으로 회동 되었을 때 이와 상응하는 선포(11)의 전단부에는 벨크로 부재와 같은 통상의 고정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부(12)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선포(11)의 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부(12)는 탈취부(20)를 덮음으로써 사람들이 외부에서 탈취부(20)를 육안으로 시인하지 못하도록 커버하는 기능을 한다. 나아가 커버부(12)는 탈취부(20)의 내부로 습기나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본 구체예에서 커버부(12)의 하단이 선포(11)의 윗 부분에 결합되어 커버부(12)가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한 이유는 신발의 앞 부분이 아래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이유로 비나 눈 등이 신발의 경사면을 따라 탈취부(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탈취부(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신발에 결합되는 탈취부(20)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취부(20)의 회동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탈취부(20)는 본체부(21)와 덮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덮개는 생략될 수도 있다. 탈취부(20)는 결합홀(11a)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납작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탈취부(20)는 결합홀(11a)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11a)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면 충분하고,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21)는 탈취제(29) 등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저면은 통기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21)의 저면은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망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체부(21)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본체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덮개는 본체부(21)의 상술한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덮개는 본체부(21)에 힌지 결합할 수 있으며, 회동을 통해 수용공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 둘레의 적어도 일 지점에는 사용자가 커버부를 회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탈취제(29) 등을 교체하거나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덮개를 힌지 회동시켜 본체부(21)의 수용공간을 개방시켜 탈취제(29) 등을 꺼낸 후에 새로운 탈취제(29)등을 집어 넣을 수 있다.
본체부(21)는 제1 본체부(22)와 제2 본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22)는 본체부(21) 전체를 기준으로 아랫 부분에 위치하는 부재에 해당하고, 제2 본체부(24)는 윗 부분에 위치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제1 본체부(22)는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형태를 갖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상부 돌기편(23)이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부(22)의 저면은 전체적으로 메쉬(도 3에서 M으로 표시함)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본체부(22)의 저면 중앙에는 제2 본체부(24)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도 3에서 A로 표시함)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본체부(24)는 납작한 원기둥 형태의 수용부(26)와 수용부(26)의 측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를 갖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하부 돌기편(25)이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6)에는 탈취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6)의 측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개구부(27)가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본체부(24)에서 수용부(26)의 저면은 개방되어 있거나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수용부(26)의 저면 중앙에는 제1 본체부(22)의 회전축(A)을 수용하는 수용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부(22) 및 제2 본체부(24)의 저면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용부(26)에 수용되는 탈취제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능 물질이 신발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본체부(22)와 제2 본체부(24)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제1 본체부(22)가 배치되고 그 위에 제2 본체부(24)가 배치되되, 제1 본체부(22)의 상부 돌기편(23)들 사이의 간격에 제2 본체부(24)의 하부 돌기편(25)들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본체부(24)의 수용부(26) 저면 중앙에 위치한 수용구에 제1 본체부(22)의 저면 중앙에 마련되는 회전축(A)을 수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본체부(24)는 회전축(A)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22)의 상부 돌기편(23)과 제2 본체부(24)의 하부 돌기편(25)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두께를 가지며 L만큼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고). 그리고 상부 돌기편(23)과 인접한 상부 돌기편(23)들 사이의 간격은 3L 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하부 돌기편(25)과 인접한 하부 돌기편(25)들 사이의 간격 역시 3L 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본체부(24)의 수용부(26)의 측부에는 복수의 개구부(27)가 형성되며 이 때 개구부(27)의 형태는 상부 돌기편(23) 및 하부 돌기편(25)의 형태와 상응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7)의 높이는 상부 돌기편(23) 및 하부 돌기편(25)의 높이와 유사할 수 있으며, 너비 역시 L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개구부(27)와 인접한 개구부(27) 사이의 간격 역시 L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용부(26,27)의 둘레를 따라 L만큼의 너비를 갖는 개구부(27)와 비개구부(도 4에서 27a로 표시함)가 교차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하부 돌기편(25)은 개구부(27)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돌기편(25)들 사이의 간격은 3L 만큼의 크기를 가지므로, 하나의 하부 돌기편(25)과 인접한 하부 돌기편(25) 사이에는 하나의 개구부(27)와 2개의 비개구부(27a)가 교번 배치된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본체부(21)를 측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부 돌기편(25)-비개구부(27a)-개구부(27)-비개구부(27a)-하부 돌기편(25) 순으로 배치된다(도 4a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이와 같은 배치 형태에서는 하부 돌기편(25)이 상부 돌기편(23)들 사이의 간격인 3L 만큼 회동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돌기편(25)과 상부 돌기편(23)의 두께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하부 돌기편(25)을 3L 이상의 크기만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하부 돌기편(25)의 진행이 상부 돌기편(23)에 의해 막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4a나 도 4c에서와 같이 상부 돌기편(23)과 하부 돌기편(25)이 근접하는 경우에는, 본체부(21)를 측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개구부(27)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가 개구부(27)를 통해 수용부(26)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b에서와 같이 상부 돌기편(23)이 양측에 위치한 하부 돌기편(25) 사이의 간격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본체부(21)를 측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개구부(2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수용부(26)의 내부로 진입하는 외기의 양은 도 4a나 도 4c에 비해 현저히 작다. 즉 사용자가 제2 본체부(24)를 제1 본체부(2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상부 돌기편(23), 하부 돌기편(25) 및 개구부(27)의 위치에 따라 수용부(26)의 내부로 진입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달리 설명하면 탈취부(20)는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이러한 탈취부(20)의 회동에 따라 탈취부(20)의 측부는 통기되거나 통기가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탈취부(20)를 회동시킴으로써 신발의 통풍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습기, 기온 등의 상황에 따라 신발의 통풍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의 신발에서 탈취부의 사용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신발의 선포(11)에는 탈취부(20)가 결합되며, 탈취부(20)의 저면은 신발 내부와 통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취부(20) 내부에 수용되는 탈취제 등으로터 발생하는 기능 물질이 신발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탈취부(20)의 상부에는 덮개(28)가 결합될 수 있으며(본체부(21)의 상부에 결합), 사용자가 탈취부(20) 내부에 수용되는 탈취제 등을 교환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덮개(28)를 개방시켜 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취 성능 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탈취부(20)는 제2 본체부(24)가 제1 본체부(22)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으며, 이 때 상부 돌기편(23), 하부 돌기편(25) 및 개구부(27)의 위치가 변동하면서 개구부(27)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본체부(24)를 회동시켜 외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신발의 통풍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관련하여 도 5a에서는 개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에서는 사용자가 제2 본체부(24)를 회동시켜 개구부(27)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신발의 통풍성을 조정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신발 11: 선포(vamp)
11a: 결합홀 12: 커버부
20: 탈취부 21: 본체부
22: 제1 본체부 23: 상부 돌기편
24: 제2 본체부 25: 하부 돌기편
26: 수용부 27: 개구부
28: 덮개 29: 탈취제 등

Claims (5)

  1. 선포(vamp)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탈취제, 발향제, 해충기피제 중 1 이상을 수용하고 결합홀에 결합되는 탈취부와,
    하단이 선포의 윗 부분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탈취부의 상부를 커버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는 결합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갖고 저면은 통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탈취제, 발향제, 해충기피제 중 1 이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능 물질을 신발 내부로 진입시키는 본체부와, 수용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 3L 만큼의 간격을 두어 형성되고 L만큼의 너비를 갖는 복수의 상부 돌기편을 구비하고 저면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와, 외측 둘레를 따라 3L 만큼의 간격을 두어 형성되고 L만큼의 너비를 갖는 복수의 하부 돌기편을 구비하고 내측에는 측부 둘레를 따라 개구부가 L만큼의 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되는 수용부를 갖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부 돌기편들 사이에 하부 돌기편이 위치하도록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하되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결합하여 제2 본체부의 회동에 따라 외기의 양이 조절되어 통풍성을 조정 가능한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4373A 2019-05-09 2019-05-09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KR10221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73A KR102210214B1 (ko) 2019-05-09 2019-05-09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73A KR102210214B1 (ko) 2019-05-09 2019-05-09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52A KR20200129652A (ko) 2020-11-18
KR102210214B1 true KR102210214B1 (ko) 2021-02-01

Family

ID=7369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73A KR102210214B1 (ko) 2019-05-09 2019-05-09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2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206A (ja) 2008-07-15 2010-02-04 Sumitomo Chemical Co Ltd 防虫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44A (ko) * 1995-08-22 1997-03-27 나종환 신발
KR101246649B1 (ko) 2011-07-05 2013-03-25 권미정 발에서 땀과 냄새를 흡수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674788B1 (ko) 2015-01-06 2016-11-22 김후남 신발 소독탈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206A (ja) 2008-07-15 2010-02-04 Sumitomo Chemical Co Ltd 防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52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359B2 (en) Ventilated shoe sale structure
US20070214682A1 (en) Ventilated shoe sole construction with improved medical support
KR101815522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2210214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737910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JP2001186903A (ja) 靴内部の蒸散システムを有する甲革付き靴
EP0956789A2 (en) Transpiring shoe structure
KR200219747Y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신발
JPH0889307A (ja) 履物の底構造
JPS6214885Y2 (ko)
KR200335179Y1 (ko)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KR20170012808A (ko) 향기포가 매립된 신발
JP3063508U (ja) ストレッチブ―ツ
JPH0610812Y2 (ja)
KR200378073Y1 (ko) 통풍구가 형성된 신발
JP3011433U (ja) ゴルフシューズ
KR200343132Y1 (ko) 통풍공을 갖는 신발구조
KR101316136B1 (ko) 방수기능이 향상된 신발
JP2006081580A (ja) 履物の通気構造
KR200433291Y1 (ko) 투습방수 기능을 가진 신발용 중창
KR200308147Y1 (ko) 통기부를 갖는 실내화
KR200265387Y1 (ko) 신발
JPS6031524Y2 (ja) 靴の底裏
KR200149960Y1 (ko) 공기유통이 될 수 있게한 신발
JP3100359U (ja) 靴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