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522B1 -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 Google Patents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522B1
KR101815522B1 KR1020170013644A KR20170013644A KR101815522B1 KR 101815522 B1 KR101815522 B1 KR 101815522B1 KR 1020170013644 A KR1020170013644 A KR 1020170013644A KR 20170013644 A KR20170013644 A KR 20170013644A KR 101815522 B1 KR101815522 B1 KR 10181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ole
skin
perforation
inn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645A (ko
Inventor
정상옥
Original Assignee
정상옥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옥,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filed Critical 정상옥
Priority to KR102017001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5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43B23/022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with waterproof breath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25Composite materials, e.g. material with a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중구조부(A)는 내피(20), 외피(10), 이격구조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격구조물(30)은 납작한 몸체(30a)에 관통공(31)과 돌기(32)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피통공(11)은 내피통공(21)에 비하여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갑피 부분의 이중구조부(A)에 의해서 신발 내부의 열기나 냄새가 특별한 별도의 외부 작용을 통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확보되고, 이중구조부(A)의 공간통로(35)에 의하여 보온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을 이원화시켜 외피통공(11)을 높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물이 고인 곳에서도 신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Breathable shoes having dual structure at Upper part}
본 발명은 통기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가짐으로써 통기성 확보와 함께 방수 및 보온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통기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갑피 부분(upper)이라고 하는 것은 가죽재질의 것을 한정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라, 발을 감싸도록 밑창(sole)의 윗부분에 설치되어 신발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발은 인체 전체 땀구멍의 약 20%를 차지하는 50만개 정도의 땀샘 분포를 가지고 있어 이마를 제외하고 땀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부위이다.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발에서는 많은 양의 땀이 분비되며, 격한 운동을 할 경우 약 12배까지 땀 분비량이 증가한다.
신발에 통기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발의 열기로 인하여 땀이 차기 쉬울 뿐만 아니라 발 냄새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2510호(2000.08.16.공고, 이하 '문헌1'이라 함)에 개시된 '공기배출신발'은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둔 상태에서 인솔에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아웃솔의 측 부위에는 복수개의 에어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면 신발을 신고 걸을 때에 인솔 상부에 체중이 실리는 과정에서 인솔과 아웃솔 사이가 압착되고 이러한 압착으로 인해 인솔과 아웃솔 사이의 공간에 차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에어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의 경우는 결국 신발 바닥 부위를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는 장화 같은 경우에 매우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35118호(20001.10.05.공개, 이하 '문헌2'라 함)에 개시된'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은 체크밸브가 설치된 공기호수를 통해서 신발 깔창의 옆으로 공기가 유입된 후 신발 깔창의 밑바닥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문헌 2의 경우도 신발 바닥 부위를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체크밸브의 사용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70751호(2005.03.08.공고, 이하 '문헌3'이라 함)에 개시된 '외부와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지는 몰라도 신발 바닥을 통해서 물이 들어오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신발 밑창 부위에 통기성 구조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에서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신발 밑창이 아닌 갑피 부분에 흰개미집의 자동 환기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을 구현하기에 이르렀다. 흰개미집은 보통은 1~2m 높이를 갖지만 큰 것은 9m 정도로 아파트 3~4층 높이 정도 되는 것도 있다. 흰개미의 거주지인 아프리카 초원은 한낮에 기온이 38℃ 이상 올라가고 하루의 일교차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개미집 내부는 항상 29~30℃ 정도를 유지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흰개미집의 구조에 따른 열대류와 구멍들에 기인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의 온돌의 원리도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게 되었다. 즉, 신발을 신었을 때에 발 자체가 아궁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발 내의 악취나 열기가 특별한 외부 작용을 통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2510호(2000.08.16.공고)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35118호(20001.10.05.공개) 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70751호(2005.03.08.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발 밑창 부분이 아닌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이중구조부의 공간통로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열기나 발 냄새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통기성 확보), 또한 갑피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며(방수기능), 이에 더 나아가 이중구조에 의해 보온 단열기능도 부여되는 통기성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통기성 신발은,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부가,
내피통공이 형성되는 내피;
외피통공이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통로가 확보되도록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구조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통공과 외피통공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통공은 상기 내피통공에 비하여 신발의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내피통공은 신발의 앞부분이나 발등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외피통공은 상기 내피통공에 비하여 신발의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구조물은 납작한 몸체에 관통공과 돌기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격구조물은 상기 돌기가 내피 쪽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관통공은 적어도 상기 외피통공이 있는 부위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흔, 상기 이격구조물은 상기 돌기가 외피 쪽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관통공은 적어도 상기 내피통공이 있는 부위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이격구조물은 이중 에어매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이중 에어매쉬는,
망구조를 갖는 상부망;
상기 상부망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망구조를 갖는 하부망; 및
상기 상부망과 하부망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구조물은 상기 내피 또는 외피에서 직접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내피와 외피에 나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상기 내피에 형성되는 돌기는 상기 내피통공이 모여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외피에 형성되는 돌기는 상기 외피통공이 모여 있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통기성 신발은,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부가,
외피통공이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밑에 설치되는 이중 에어매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통기성 신발은,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부가,
내피통공이 형성되는 내피;
상기 내피를 덮도록 설치되는 외피;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통로가 확보되도록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구조물; 및
한쪽 단은 상기 공간통로에 연통되고 나머지 다른 한쪽 단은 신발의 외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통기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구조부의 공간통로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악취나 열기가 특별한 별도의 외부 작용을 통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확보된다. 또한 이중 구조를 통하여 보온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외피를 불투수 재질로 선택하게 되면 방수기능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장화, 군화, 구두, 부추, 운동화 등 다양한 신발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흰개미집의 자동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이중구조부(A)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이격구조물(30)의 변형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외피(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이격구조물(30)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내피(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이중구조부(A)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이중구조부(A)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중구조부(A)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1)은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구조부(A)는 갑피 부분 전체에 대해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어느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후자의 경우로서 이중구조부(A)가 발등 부위에 형성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이중구조부(A)의 내피(20)에는 내피통공(21)이 형성되고, 외피(10)에는 외피통공(11)이 형성되며, 내피(20)와 외피(10)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통로(35)가 존재한다.
신발을 신고 있으면 발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신발 내부의 열기나 냄새가 신발의 하부(L)에서 상부(H)로 상승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되어 "내피통공(21) -> 공간통로(35) -> 외피통공(11)"을 거쳐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중구조부(A)는 높이 측면에서 볼 때에 상부(H)와 하부(L)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부(H)와 하부(L)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서로 상대적인 개념이다. 예컨대 발등이나 뒤꿈치의 높이까지를 하부(L)라고 한다면 이 보다 높은 발목 부분이 상부(H)가 된다는 것이다.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 2a에서와 같이, 내피통공(21)은 신발의 하부(L)에 위치하고, 외피통공(11)은 신발의 상부(H)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내피통공(21)이 도 2b에서와 같이 상부(H)까지 배치되어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이 서로 중첩되는 부위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중첩 부위에서 보온 효과가 다소 반감될 수 있기는 하지만 내피통공(21)이 차지하는 전체 면적이 도 2a에 비하여 커지기 때문에 열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면적이 커진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외피통공(11)은 가능하면 하부(L)와 상부(H) 전체 보다는 상부(H)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외피통공(11)이 내피통공(21)이 있는 하부(L)에 까지 형성되어 버리면 물이 고인 곳에서는 외피통공(11)을 통해서 물이 신발 내부로 쉽게 유입되어 버리고, 또한 공간통로(35)에 의한 보온효과도 상실되기 때문이다.
도 3은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통공(21)은 신발의 앞부분이나 발등 부위인 하부(L)에 형성되고, 외피통공(11)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상부(H)인 발등 윗부분(발목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발가락이 있는 부위에 주로 땀이 차고 이 부분에서 냄새가 많이 발생할 것이므로, 내피통공(21)은 이와 같이 신발의 앞부분이나 발등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이 신발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이 서로 떨어져서 위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중간부(M)에서는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통기성이라는 본연의 기능이 발휘되면서도 외피통공(11)을 높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어 신발이 물에 잠기더라도 외피통공(11)을 통하여 물이 침투될 염려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간통로(35)에 의한 보온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제1실시예]
도 4는 이중구조부(A)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분해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이중구조부(A)의 외피(10)와 내피(20) 사이에 공간통로(35)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이격구조물(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피(10)에는 신발 입구 부분인 상부(H)에 위치하도록 외피통공(11)이 복수개 설치되며, 내피(20)에는 신발 앞부분과 발등 부위에 위치하도록 내피통공(21)이 복수개 형성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피통공(21)이 모여 있는 부위가 외피통공(11)이 있는 부위까지 옆으로 더 확장되어 일부에서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이 서로 겹치는 부위가 존재하도록 분포될 수도 있다.
이격구조물(30)은 납작한 몸체(30a)에 관통공(31)과 돌기(32)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2)는 도트(dot) 모양의 기둥 형태를 하며, 관통공(31)은 돌기(32)를 피하여 몸체(30a)를 관통하면서 외피통공(1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몸체(30a)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공간통로(35)의 경계를 이루도록 테두리 벽(미도시)이 돌기(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외피(10)와 내피(20)는 돌기(32)에 의해 이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격구조물(30)은 다양한 재질의 것이 선택될 수 있으나, 돌기(32)의 형성을 고려할 때에 제조 편의성을 위해서 합성수지 계열의 것이 바람직하다. 약간 탄성이 있거나 폭신폭신한 느낌을 갖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면 이중구조부(A)가 있는 부위에서 발이 편안함을 느끼게 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격구조물(30)은 돌기(32)가 내피(20) 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관통공(31)은 외피통공(11)이 있는 위치에 형성되면 족하다.
외피(10), 내피(20), 이격구조물(30) 사이의 접합은 박음질, 접착제, 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특별한 접합 없이 단순히 압착을 통해서 이들의 형상이 유지될 수도 있다.
도 5는 이격구조물(30)의 변형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와 비교하여 볼 때 돌기(32)가 외피(10)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차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2)는 도트(dot) 모양의 기둥 형태를 하며, 관통공(31)은 돌기(32)를 피하여 몸체(30a)를 관통하면서 내피통공(2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관통공(31)이 있는 위치에 돌기(32)가 함께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돌기(32)의 형성을 위해서 관통공(31)의 차지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바 공기의 배출입구가 작아져 통기 측면에서 효과가 다소 떨어지고, 또한, 외부에서 신발을 바라볼 때 외피(10)의 표면에 도트(dot) 형상의 자국이 보기 싫게 나타나게 되어 외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면이 다소 있을 수 있다.
도 6은 외피(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피(10)는 신발 내부로 물이 잘 침투하지 못하도록 불투성의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가죽, 인조피혁, 방수천, 합성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외피통공(11)은 다양한 형태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창(window)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에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란 메쉬 형태의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7은 이격구조물(30)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구조물(30)은 몸체(30a) 전반에 걸쳐 관통공(31)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내피(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내피(20)는 통기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재질의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부직포와 같은 종이류, 천, 스폰지, 발포수지(예: 발포우레탄) 등과 같이 재질 자체가 통기성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통기성이 없는 재질이라 하더라도 내피통공(21)이 가공이나 몰딩 등의 방식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면 선택이 가능하다.
재질 자체가 통기성이 있는 것일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20) 전체에 대해 자연스럽게 내피통공(21)이 분포하게 될 것이다. 내피(20)로서 쿠션감이 있는 합성수지 계열의 것을 사용하면 착용감을 고려할 때 더욱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도 9는 이중구조부(A)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중 에어매쉬 형태의 이격구조물(130)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 에어매쉬는 상부망(110)과 하부망(120) 사이에 탄성사(13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탄성사(132)는 상부망(110)과 하부망(120) 사이의 높이나 쿠션 정도에 따라 그 굵기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중 에어매쉬 형태의 이격구조물(130)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이중구조부(A)는 내피(20)가 없을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도 10은 이중구조부(A)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외피(10) 또는 내피(20)에 돌기(32)가 직접 형성됨으로써 공간통로(35)가 얻어질 수 있다.
돌기(32)는 외피(10)와 내피(20)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몰리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와 내피(20)에 나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외피(10)에서는 외피통공(11)이 형성된 곳을 피하여 돌기(32)가 형성되고, 내피(20)에서는 내피통공(21)이 형성되는 곳을 피하여 돌기(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컨대 외피(10)의 경우 외피통공(11)이 있는 곳에 돌기(32)까지 형성시켜 버리면 돌기(32)의 뿌리 부분 주위에 외피통공(11)이 포진하게 되어 돌기(32)의 지지기반이 약하여 돌기(32) 주위가 찢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제4실시예]
도 11은 이중구조부(A)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외피통공(11)이 형성되지 않고 그 대신에 한쪽 단은 공간통로(35)에 연통되고 다른 한쪽 단은 신발의 외부에 연통되는 통기관(40)이 설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통기관(40)에서 신발의 외부와 연통되는 단부는 신발의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기관(40)의 돌출 부위에 색깔이나 형광을 부여하면 이 부분이 액세서리 역할도 하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갑피 부분의 이중 구조부(A)에 의해서 신발 내부의 열기나 냄새가 특별한 별도의 외부 작용을 통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확보되고, 이중 구조부(A)의 공간통로(35)에 의하여 보온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내피통공(21)과 외피통공(11)을 이원화시켜 외피통공(11)을 높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물이 고인 곳에서도 신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구성들은 상호 보완적으로 교차 선택될 수 있다.
1: 통기성 신발 10: 외피
11: 외피통공 20: 내피
21: 내피통공 30, 130: 이격구조물
30a: 몸체 31: 관통공
32: 돌기 35: 공간통로
40: 통기관 110: 상부망
120: 하부망 132: 탄성사
A: 이중구조부 H: 상부
L: 하부

Claims (2)

  1. 신발의 앞 부분이나 발등 부위에서 발목 부위에 이르도록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부는,
    신발의 앞 부분이나 발등 부위에 내피통공이 형성되는 내피;
    신발의 발목 부위에 외피통공이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통로가 확보되도록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구조물; 을 포함하며,
    상기 이격구조물은,
    앞면은 상기 외피 쪽을 향하고 뒷면은 상기 내피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납작한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뒷면에 도트(dot) 모양의 기둥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
    상기 돌기를 피하여 상기 몸체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외피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
  2. 신발의 앞 부분이나 발등 부위에서 발목 부위에 이르도록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구조부는,
    신발의 앞 부분이나 발등 부위에 내피통공이 형성되는 내피;
    신발의 발목 부위에 외피통공이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통로가 확보되도록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구조물; 을 포함하며,
    상기 이격구조물은,
    앞면은 상기 외피 쪽을 향하고 뒷면은 상기 내피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납작한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앞면에 도트(dot) 모양의 기둥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 및
    상기 돌기를 피하여 상기 몸체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내피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
KR1020170013644A 2017-01-31 2017-01-31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81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44A KR101815522B1 (ko) 2017-01-31 2017-01-31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44A KR101815522B1 (ko) 2017-01-31 2017-01-31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87A Division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6-04-27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45A KR20170122645A (ko) 2017-11-06
KR101815522B1 true KR101815522B1 (ko) 2018-01-30

Family

ID=6038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644A KR101815522B1 (ko) 2017-01-31 2017-01-31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65B1 (ko) 2018-02-01 2020-05-26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조립식 신발
KR200487679Y1 (ko) 2018-02-26 2018-10-19 김달하 통기가 가능한 신발
KR102212694B1 (ko) 2018-08-30 2021-02-05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60594B1 (ko) 2019-07-24 2020-09-28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67555B1 (ko) 2019-07-24 2020-10-19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35298B1 (ko) * 2020-02-10 2020-07-17 박기춘 통기성은 향상되고 항균성과 내오염성이 강화된 운동화
KR102129592B1 (ko) * 2020-02-10 2020-07-02 엄혜경 통기성은 향상되고 보온성은 강화된 부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502A (ja) * 1999-07-30 2001-02-13 Oriental Shoes Kk 通気路を有する靴
KR101181727B1 (ko) * 2011-07-13 2012-09-19 주식회사 욱성 안전화용 경편직물과 그를 이용한 안전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502A (ja) * 1999-07-30 2001-02-13 Oriental Shoes Kk 通気路を有する靴
KR101181727B1 (ko) * 2011-07-13 2012-09-19 주식회사 욱성 안전화용 경편직물과 그를 이용한 안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45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522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0869451B1 (ko) 발가락 신발
KR101140832B1 (ko) 샌달, 나막신(sabot) 등과 같은 개방된 신발용 통기성및 방수성 신발창
KR101737910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US9282782B2 (en)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JP6924576B2 (ja) 換気性のある靴
JPH08252103A (ja) 外部への蒸気発散が可能で液体不透過性の甲と底を備えた靴
US20160000176A1 (en)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and Air Permeable Portion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rrangement
JP2012526571A (ja) スポーツ活動に使用するために設計された、透湿性底革が備わった靴を含む、特に靴のための間底構造体
KR101711881B1 (ko) 설포 통기성 신발
US6434858B2 (en) Breathing shoes
JP3160716U (ja) 通気性ソールを備える履物
JP6415860B2 (ja) 通気透湿防水靴の靴底構造部
US20190104803A1 (en) Shoe having air-permeable tongue
EP2015649B1 (en) Waterproofed footwear provided with a ventilation and transpiration arrangement
KR101710386B1 (ko) 공기순환형 신발
EP1749455B1 (en) Breathable and waterproof shoe
KR100564792B1 (ko)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US20080110063A1 (en) Air permeable middle sole of a shoe
KR20180012941A (ko)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부츠
UA123311C2 (uk) Водонепроникна та паропроникна підошва для взуття
JP3542981B2 (ja) 長靴
JPS6214885Y2 (ko)
KR200248603Y1 (ko) 신발창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KR200433291Y1 (ko) 투습방수 기능을 가진 신발용 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