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220B1 -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220B1
KR102209220B1 KR1020190073680A KR20190073680A KR102209220B1 KR 102209220 B1 KR102209220 B1 KR 102209220B1 KR 1020190073680 A KR1020190073680 A KR 1020190073680A KR 20190073680 A KR20190073680 A KR 20190073680A KR 102209220 B1 KR102209220 B1 KR 10220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bag
occupant
tether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120A (ko
Inventor
정대창
권태익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9007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220B1/ko
Priority to CN201980081330.9A priority patent/CN113165593B/zh
Priority to PCT/KR2019/013329 priority patent/WO2020080747A1/ko
Priority to JP2021520590A priority patent/JP7186873B2/ja
Priority to EP19872544.2A priority patent/EP3868612B1/en
Priority to US17/286,144 priority patent/US11718265B2/en
Publication of KR2020014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5Pelv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상체 전체와 복부 및 골반 부위를 감싸서 구속하도록, 숄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탑승자의 양측에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제1 및 제2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시 지지력을 제공하며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의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양측면과 전면을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해서 보호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이나 데쉬보드, 시트, 측벽 등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전면이나 측면을 향해 팽창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즉, 자동차에는 운전석 및 동승석 전방에서 전개되는 정면에어백, 승객의 측방에서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커튼에어백 및 사이드에어백,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에어백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첨단 센서와 성능 높은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차량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여 주행한다.
상기 첨단 센서는 사람처럼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하여 사각지대 없이 모든 지역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분석해서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에는 라이더(LiDAR) 장비, 음파 장비, 3D 카메라, 레이더 장비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운전석을 포함한 전체 시트가 자유롭게 회전하고, 틸팅 조작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가 수평 상태까지 조절된다.
탑승자는 등받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트를 회전시켜 뒷좌석의 탑승자와 마주보고 회의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전방을 향해서 착석한 자세를 기준으로 설계된 일반적인 에어백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차량용 승객 보호 시스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5569호(2016년 9월 8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1087호(2016년 4월 11일 공고)
한편, 자율주행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는 직접 운전을 하지 않음에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시트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swivel)시켜 회의를 하거나,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recline)시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율주행 자동차에서는 시트와 등받이가 전후 및 좌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함에 따라, 탑승자의 방향 및 자세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충돌시 차량 내부에 비치된 물건이나 파손된 부품이 비행하면서 탑승자의 부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방향 및 자세와 무관하게,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면 및 전면에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탑승자의 자세와 무관하게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형상을 한정해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상체 전체와 복부 및 골반 부위를 감싸서 구속하도록, 숄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탑승자의 양측에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제1 및 제2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시 지지력을 제공하며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탑승자의 양측에 팽창 전개되는 제1 및 제2 쿠션에 한정수단을 설치해서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고, 제1 및 제2 쿠션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의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양측면과 전면을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이용해서 탑승자의 골반이나 허벅지 부위를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탑승자의 하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탑승자의 머리와 가슴 부위를 포함하는 상체의 양측면 및 전면과 탑승자의 복부 및 골반 부위를 포함하는 하체의 양측면 및 전면에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내부 또는 외부에 테더를 설치해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여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켜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며, 운전석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자동차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이와 함께,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참조부호 I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의 내부 방향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O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의 외부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 후(F, B) 방향은 가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상, 하(U, D) 방향은 세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상체 전체를 감싸서 구속하도록, 숄(shawl)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0) 및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 감지신호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 쿠션(20)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21)를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20)은 탑승자의 양측면 및 전면에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어깨 부분을 중심으로 머리 부분과 가슴, 복부 및 골반(pelvis) 부분을 구속해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에어백 쿠션(20)은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감싸는 숄 형상으로 형성되고, 탑승자의 어깨를 중심으로 탑승자의 머리 부위와 가슴, 복부 및 골반 부위에 대응되도록 탑승자의 전방과 상방 및 하방으로 팽창 전개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어백 쿠션(20)은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11)의 등받이(12)에 설치되고, 등받이(12)의 양측에서 전방과 상방 및 하방으로 팽창 전개되는 제1 및 제2 쿠션(30,40) 그리고 등받이(12)의 상단에 헤드레스트(13)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제1 및 제2 쿠션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를 헤드레스트 후측에 배치해서 에어백 쿠션을 숄 타입으로 구성함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지지력을 이용해서 에어백 쿠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쿠션(3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았을 때 탑승자의 우측 어깨를 감싸면서 탑승자의 머리 부위와 가슴 및 복부 부위의 우측면 및 전면 일부를 향해 팽창 전개될 수 있다.
제2 쿠션(40)은 탑승자의 좌측 어깨를 구속하면서 감싸면서 탑승자의 머리 부위와 가슴 및 복부 부위의 좌측면 및 전면 일부를 향해 팽창 전개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쿠션(30,40)은 각각 등받이(12)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팽창 전개되면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구속하고, 탑승자의 머리 부위부터 가슴과 복부 및 골반 부위의 양측면과 전면으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상체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쿠션(30,40)은 등받이(12)의 양측단에서 탑승자의 전면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팽창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커튼 에어백 기능과 파 사이드 및 니어 사이드 에어백 그리고 정면 에어백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쿠션(30,40)은 각각 하벽과 전방벽 및 후방벽에 의해 그 내부에 팽창 가능한 공간을 한정하는 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쿠션(30,40)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와 접하는 내측 패널(31,41)과 탑승자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 패널(32,42)의 재봉 또는 원피스 우븐 방식에 의해 백 형상으로 형성되고, 탑승자와 접촉하는 신체부위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보호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머리와 어깨 부위 및 가슴 상부를 보호하는 상부 보호 영역(A1,A3)과 탑승자의 가슴 하부와 복부 및 골반 부위를 보호하는 하부 보호 영역(A2,A4)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쿠션(30)의 상부 및 하부 보호 영역(A1,A2)은 각각 하나 이상의 챔버월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쿠션(40)의 상부 및 하부 보호 영역(A3,A4)은 하나 이상의 챔버월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1 및 제2 챔버월은 전방이나 후방을 향해 개구된 대략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쿠션(30,40)에 형성되는 챔버월 및 챔버의 개수, 형상,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및 경사 충돌시 제1 및 제2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의 머리와 상체 및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해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특히 탑승자의 뇌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쿠션(30,40)은 각각 탑승자의 복부와 골반 부위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둔부 및 허벅지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50)에는 연결부(50)를 복수의 챔버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월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챔버월은 연결부(50)를 상하로 나란하게 팽창 전개되는 2개의 챔버로 한정하도록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연결부(50)와 제1 및 제2 쿠션(30,4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쿠션(30)과 연결부(50) 및 제2 쿠션(40)은 자동차의 충돌시 각 챔버월에 의해 전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 형상으로 굴곡지게 팽창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50)는 자동차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 부위가 헤드레스트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뇌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연결부(5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21)로부터 가스가 도입되는 도입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입부(51)는 인플레이터(21)와 연결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인플레이터(21)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연결부(50)를 통해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시 연결부(50)를 통해 가스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쿠션(30,40)이 연속적으로 팽창 전개된다.
인플레이터(21)는 탑승자의 파 사이드와 니어 사이드, 전면 등 각 방향으로의 충돌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규격, 예컨대 가스 발생량, 공급속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도입부(51)는 연결부(50)의 상단 양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입부(51)를 다른 위치에 하나 이상 마련하고, 하나 이상의 인플레이터(21)를 적용해서 에어백 쿠션(20)에 효과적으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에어백 쿠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을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전개시키도록, 에어백 쿠션에 마련되는 챔버 및 챔버월의 개수, 형상, 길이 및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10)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에어백 쿠션이 양측이나 상방으로 벌어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형상 제어만으로는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내부 또는 외부에 한정수단을 설치해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여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켜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쿠션(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의 양측에 고정되는 하나의 제1 테더(61)로 마련된 한정수단(60)에 의해 전개 형상이 한정될 수 있다.
제1 테더(61)의 양단은 시트(11) 내부에 마련되는 시트 프레임(15)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테더(61)의 일측부, 도 4에서 보았을 때 좌측부는 제2 쿠션(40)의 전면을 따라 상방으로 배치되고, 제2 쿠션(40)의 상단부 외면을 따라 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제2 쿠션(40)의 좌측 상단부 또는 연결부(50)의 좌측단을 관통해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연결부(50)의 내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쿠션(4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좌측단에는 제1 테더(61)가 에어백 쿠션(20)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테더(61)는 제1 쿠션(3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타측단, 즉 도 4에서 우측단을 관통해서 에어백 쿠션(20)의 외부로 인출되고, 제1 쿠션(30)의 상단부 외면을 따라 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쿠션(3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우측단에는 제1 테더(61)가 에어백 쿠션(20)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관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테더(61)는 제1 쿠션(30)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전면에는 제1 테더(6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70)는 제1 테더(61)를 에어백 쿠션(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에어백 쿠션(20)의 팽창 전개시 에어백 쿠션(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전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70)는 대략 사각 형상의 판 형상이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정수단(60)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물 재질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70)의 내부에는 제1 테더(61)가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고정부재(70)의 양단은 제1 쿠션(30) 또는 제2 쿠션(40)에 재봉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재(70)를 이용해서 제1 테더(61)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정부재(70)를 설치하는 대신에, 제1 테더(61)의 양단과 중앙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제1 쿠션(30) 또는 제2 쿠션(40)에 직접 재봉해서 제1 테더(61)에 부분적으로 복수의 재봉부를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1 테더의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시트 프레임(15)에 고정되는 제1 테더(61)의 양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테더(61)는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테더(61)의 양단은 별도의 연결부재(80)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테더(61)의 양단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제1 테더(61)의 하단 부분 또는 연결부재(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 내부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20)의 전개시 시트(11)의 커버에 형성된 절개라인(도면 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테더(61)의 하단 부분 또는 연결부재(80)는 에어백 쿠션(20)의 전개시 탑승자의 골반이나 허벅지 부위의 양측 및 하면을 중앙을 향해 당겨서 구속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테더를 이용해서 탑승자의 골반이나 허벅지 부위를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탑승자의 하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부재(80)가 제1 테더(61)의 양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연결부재(80)를 제1 테더(61)의 양단에 연결하지 않고, 제1 및 제2 쿠션(30,40)의 하단부에 연결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연결부재(80)의 양단을 각각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하단부에 연결하고, 연결부재(80)를 시트(11)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면, 연결부재가 시트 외부로 인출되면서 제1 및 제2 쿠션 하단부의 전개 형상을 한정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골반이나 허벅지 부위를 구속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쿠션(2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의 등받이(12) 내부에 마련되는 등받이 프레임(14) 양측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는 제2 내지 제4 테더(62 내지 64)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전개 형상이 한정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4)은 중앙 부분에 공간이 마련되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더(62)의 상단과 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2 테더(62)의 양단은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 또는 시트(11)에 마련되는 시트 프레임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테더(62)는 제2 쿠션(40)의 외면을 따라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2 쿠션(4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일측단, 즉 도 6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을 관통해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연결부(50)의 내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쿠션(4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좌측단에는 제2 테더(62)가 에어백 쿠션(20)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테더(62)는 제1 쿠션(3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타측단, 즉 도 6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을 관통해서 에어백 쿠션(20)의 외부로 인출되고, 제1 쿠션(30)의 외면을 따라 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쿠션(30)의 상단 또는 연결부(50)의 우측단에는 제2 테더(62)가 에어백 쿠션(20)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관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외면에는 제2 테더(62)의 안정적인 테더 라우팅을 위해, 제2 테더(6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70)는 제2 테더(62)를 에어백 쿠션(20)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에어백 쿠션(20)의 팽창 전개시 에어백 쿠션(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외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70)는 대략 사각 형상의 판 형상이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정수단(60)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물 재질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70)는 내부에 제2 테더(62)가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고정부재(70)의 양단은 제1 쿠션(30) 또는 제2 쿠션(40)에 재봉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재(70)를 이용해서 테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정부재(70)를 설치하는 대신에, 제2 테더(62)를 제1 쿠션(30) 또는 제2 쿠션(40)에 직접 재봉해서 제2 테더(62)에 부분적으로 재봉부를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테더의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제2 테더 양단을 각각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부 또는 시트 프레임 양측에 연결하고, 복수의 고정부재를 이용해서 제1 및 제2 쿠션의 외면에 배치된 제4 테더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2 테더와 고정부재를 이용해서 제1 및 제2 쿠션의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테더(62)의 양단이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 또는 시트(11)에 마련되는 시트 프레임 양측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테더(6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각각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또는 등받이(12) 내부에 설치되는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테더(62)의 양단부는 각각 관통공(33,43)을 통해 제1 및 제2 쿠션(30,40)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삽입되고,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 배치된 후,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또는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테더의 양단부를 각각 제1 및 제2 쿠션의 내면을 따라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해서 등받이 프레임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또는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함으로써, 제1 및 제2 쿠션의 측방향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테더(62)의 일단부, 도 8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부는 제1 쿠션(30)의 내면을 따라 후측을 향해 절곡 배치된 후, 제4 테더(64)의 우측단은 등받이 프레임(14)의 우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또는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테더(62)의 타단부, 도 8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부는 고정부재(70)에 의해 제2 쿠션(40)의 내면에 고정되고, 제2 테더(62)의 좌측단은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2 테더(62)의 좌측단부를 후측을 향해 절곡 배치한 후, 등받이 프레임(14)의 좌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또는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하고, 제2 테더(62)의 우측단부를 제1 쿠션(30)의 내면에 고정하고 제2 테더(62)의 우측단을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테더의 일단부를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해서 등받이 프레임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또는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인플레이터 스터드에 고정함으로써, 제1 및 제2 쿠션의 측방향 강성을 서로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쿠션(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2) 내부에 마련되는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에 각각 양단이 결합된 한 쌍의 제3 테더(63)에 의해 전개 형상이 한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테더(63)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의 우측에 팽창 전개되는 제1 쿠션(30)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도록, 등받이(12)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3 테더(63)의 상단과 하단은 등받이 프레임(14)의 우측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테더(63)는 상단이 등받이 프레임(14)의 우측 프레임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쿠션(30)의 내면을 따라 상방 또는 전방 및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1 쿠션(30)의 상단부를 관통해서 에어백 쿠션(2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쿠션(30)의 상단부에는 제3 테더(63)를 에어백 쿠션(20)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해, 챔버월에 의해 형성된 비팽창 영역에 관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테더(63)는 제1 쿠션(30)의 상단측에서 하단측을 향해 제1 쿠션(30)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테더(63)는 제1 쿠션(30)의 하단부를 관통해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 쿠션(30)의 내면을 따라 후방 및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3 테더(63)의 하단은 등받이 프레임(14)의 우측 프레임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쿠션(30)의 하단부에는 제3 테더(63)를 에어백 쿠션(20)의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해, 관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탑승자의 좌측에 팽창 전개되는 제2 쿠션(40)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도록, 등받이(12)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3 테더(63)는 상단이 등받이 프레임(14)의 좌측 프레임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쿠션(40)의 내면과 외면, 다시 내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후, 하단이 상기 좌측 프레임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자의 양측에 팽창 전개되는 제1 및 제2 쿠션의 내면과 외면, 다시 내면을 따라 한 쌍의 제3 테더를 설치해서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고, 제1 및 제2 쿠션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의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양측면과 전면을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3 테더의 양단이 각각 등받이 내부의 양측 프레임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 테더(63))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중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3 테더(63)는 제1 및 제2 쿠션(30,40)의 내면을 따라 전방 및 상방으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 쿠션(30,4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1 및 제2 쿠션(30,40)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되며, 다시 제1 및 제2 쿠션(30,40)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쿠션(30,40)의 내면을 따라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제3 테더 양단을 등받이 프레임의 양측 중간부에 연결해서 에어백 쿠션에서 제1 및 제2 쿠션 중간부의 측방향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3 테더(63)의 상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상단에 고정되며, 제3 테더(63)의 하단은 등받이 프레임(14)의 양측 프레임 중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3 테더(63)는 제1 및 제2 쿠션(30,40)의 내면을 따라 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1 및 제2 쿠션(30,4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1 및 제2 쿠션(30,40)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되며, 다시 제1 및 제2 쿠션(30,40)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쿠션(30,40)의 내면을 따라 대략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후방 및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제3 테더 양단을 각각 등받이 프레임의 양측 프레임 상단과 중간부에 연결해서 에어백 쿠션에서 제1 및 제2 쿠션 중간부와 상단부의 측방향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쿠션과 테더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쿠션(20)은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테더 라우팅을 위해, 제1 및 제2 쿠션(30,40)의 내면 또는 상단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4 테더(64)에 의해 전개 형상이 한정될 수 있다.
제4 테더(6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0)의 내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8 테더(68)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상단부 내면에 재봉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테더(64)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내면에 재봉되는 재봉부(71)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4 테더의 양단부가 설치될 위치에 각각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제7 테더의 양단을 각 고정부재에 재봉해서 고정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쿠션과 제2 쿠션의 상단부 내면에 제4 테더의 양단을 고정해서 안정적인 테더 라우팅을 구현함으로써, 에어백 쿠션 상단부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여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4 테더(6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 전개시, 연결부(50)의 전방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4 테더(64)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의 상단부에 재봉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쿠션과 제2 쿠션의 상단부에 제4 테더의 양단을 고정해서 안정적인 테더 라우팅을 구현함으로써, 에어백 쿠션 상단부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여 측방향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 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해서 보호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11: 시트 12: 등받이
13: 헤드레스트 14: 등받이 프레임
15: 시트 프레임
20: 에어백 쿠션 21: 인플레이터
30: 제1 쿠션 31,32: 내측, 외측 패널
33: 관통공
40: 제2 쿠션 41,42: 내측, 외측 패널
43: 관통공
50: 연결부 51: 도입부
60: 한정수단 61 내지 69: 제1 내지 제9 테더
70: 고정부재 71: 재봉부
80: 연결부재

Claims (11)

  1.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상체 전체와 복부 및 골반 부위를 감싸서 구속하도록, 숄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탑승자의 양측에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제1 및 제2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시 지지력을 제공하며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등받이 양측에서 전방과 상방 및 하방을 향해 팽창 전개되는 제1 및 제2 쿠션과,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등받이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력을 이용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정수단은 양단이 시트 양측에 고정되는 하나의 제1 테더로 마련되고,
    상기 제1 테더는 상기 제2 쿠션의 전면을 따라 상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쿠션의 상단부 외면을 따라 후방으로 배치된 후, 상기 제2 쿠션의 상단부 또는 상기 제1 쿠션과 제2 쿠션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일측단을 관통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된 후, 상기 제1 쿠션의 상단부 또는 연결부의 타측단을 관통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제1 쿠션의 상단부 외면을 따라 전방으로 배치되며, 다시 상기 제1 쿠션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더는 하나의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테더의 양단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시트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테더의 하단부분 또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시트의 커버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면서, 탑승자의 골반이나 허벅지 부위의 양측 및 하면을 중앙을 향해 당겨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4.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상체 전체와 복부 및 골반 부위를 감싸서 구속하도록, 숄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탑승자의 양측에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제1 및 제2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시 지지력을 제공하며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등받이 양측에서 전방과 상방 및 하방을 향해 팽창 전개되는 제1 및 제2 쿠션과,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등받이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력을 이용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정수단은 상기 제1 쿠션과 제2 쿠션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제1 테더와
    상기 제1 쿠션과 제2 쿠션 하단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시트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시트의 커버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면서, 탑승자의 골반이나 허벅지 부위의 양측 및 하면을 중앙을 향해 당겨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5.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양측 어깨를 중심으로 상체 전체와 복부 및 골반 부위를 감싸서 구속하도록, 숄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탑승자의 양측에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제1 및 제2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전개시 지지력을 제공하며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등받이 양측에서 전방과 상방 및 하방을 향해 팽창 전개되는 제1 및 제2 쿠션과,
    상기 제1 및 제2 쿠션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등받이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력을 이용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정수단은 등받이 또는 시트에 양단이 결합된 하나의 제2 테더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테더의 양단은 등받이의 양측 프레임 하단부나 중앙부, 인플레이터 스터드 또는 시트의 프레임 양측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서로 대칭되게 고정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더는 상기 제2 쿠션의 외면을 따라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쿠션의 상단 또는 상기 제1 쿠션과 제2 쿠션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일측단을 관통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연결부의 내면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쿠션의 상단 또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단을 관통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제1 쿠션의 외면을 따라 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상기 한정수단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과 제2 쿠션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상기 한정수단으로 마련되는 각 테더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190073680A 2018-10-19 2019-06-2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20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80A KR102209220B1 (ko) 2019-06-20 2019-06-2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N201980081330.9A CN113165593B (zh) 2018-10-19 2019-10-11 车辆安全气囊装置
PCT/KR2019/013329 WO2020080747A1 (ko) 2018-10-19 2019-10-11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2021520590A JP7186873B2 (ja) 2018-10-19 2019-10-11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EP19872544.2A EP3868612B1 (en) 2018-10-19 2019-10-11 Vehicular airbag device
US17/286,144 US11718265B2 (en) 2018-10-19 2019-10-11 Vehicular airba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80A KR102209220B1 (ko) 2019-06-20 2019-06-2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20A KR20200145120A (ko) 2020-12-30
KR102209220B1 true KR102209220B1 (ko) 2021-01-29

Family

ID=7408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680A KR102209220B1 (ko) 2018-10-19 2019-06-2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2025B2 (en) 2019-03-29 2022-02-08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11440497B2 (en) * 2019-03-29 2022-09-13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O2022225264A1 (ko) * 2021-04-23 2022-10-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20230065150A1 (en) * 2021-08-27 2023-03-02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US20230067856A1 (en) * 2021-08-27 2023-03-02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598A (ko) * 2019-08-29 2021-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에어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557A (ja) 2010-08-27 2012-03-15 Tk Holdings Inc エアバッグ装置
US20180194317A1 (en) * 2017-01-12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supported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100042A1 (it) * 2010-03-09 2011-09-10 Dainese Spa Assieme di copertura per un sedile e sedile adatto per una protezione di un utilizzatore.
KR101611087B1 (ko) 2014-10-23 201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KR101655569B1 (ko) 2014-11-12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KR101866083B1 (ko) * 2016-11-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립형 센터 사이드 에어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557A (ja) 2010-08-27 2012-03-15 Tk Holdings Inc エアバッグ装置
US20180194317A1 (en) * 2017-01-12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supported airbag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2025B2 (en) 2019-03-29 2022-02-08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11440497B2 (en) * 2019-03-29 2022-09-13 Subaru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O2022225264A1 (ko) * 2021-04-23 2022-10-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20146112A (ko) * 2021-04-23 2022-11-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543718B1 (ko) * 2021-04-23 2023-06-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20230065150A1 (en) * 2021-08-27 2023-03-02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US20230067856A1 (en) * 2021-08-27 2023-03-02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US11724661B2 (en) * 2021-08-27 2023-08-15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US11772592B2 (en) * 2021-08-27 2023-10-03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20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182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718687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2064844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20922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22542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64842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15419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16744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6844483B2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260819B2 (en) Airbag apparatus
KR102167457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0006387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96933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10119161A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352159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156427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10002883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300446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62694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WO2024095697A1 (ja) 乗員拘束装置
KR20240032403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30174949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30139726A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2023000137A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