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877B1 - 이종 케이블 접속재 - Google Patents

이종 케이블 접속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877B1
KR102207877B1 KR1020180099323A KR20180099323A KR102207877B1 KR 102207877 B1 KR102207877 B1 KR 102207877B1 KR 1020180099323 A KR1020180099323 A KR 1020180099323A KR 20180099323 A KR20180099323 A KR 20180099323A KR 102207877 B1 KR102207877 B1 KR 10220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re
hpff
epoxy
xl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004A (ko
Inventor
김화종
김현주
김한화
송재혁
한두현
홍동석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5864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078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877B1/ko
Priority to US16/413,421 priority patent/US10833462B2/en
Publication of KR2020002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5Boxes split perpendicularly to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aving lapp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4Cable junctions
    • H02G15/25Stop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심 HPFF 케이블과 3심 XLPE 케이블을 연결하여 절연유를 차단하기 위한 이종 케이블 접속재에 있어서, 상기 3심 HPFF 케이블을 구성하는 3개의 제1 케이블코어와 상기 3심 XLPE 케이블을 구성하는 3개의 제2 케이블코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3개의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에폭시 유니트는, 상기 제1 케이블코어의 전극과 상기 제2 케이블코어의 전극을 연결하는 중앙전극 및 상기 중앙전극을 상기 절연유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상기 중앙전극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케이블 접속재{TRANSITION JOINT}
본 발명은 이종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협소한 맨홀(Manhole) 내에서 3심(Triplex) HPFF 케이블과 3심(Triplex) XLPE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전력 케이블은 송전 계통에 사용되는 지
중 전력케이블이 사용되는 데, 이때 전력케이블 간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접속재가 사용된다. 전력 케이블의 종류로는 OF(Oil Filled) 케이블이나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케이블이 주로 사용되는 데, OF 케이블은 Kraft 종이에 절연유로 절연을 유지하는 방식의 케이블로 내부에 절연유를 채우고, 이러한 절연유의 절연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부대장치가 많은 관계로 근래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OF 케이블은 절연유를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SCFF(Self-contained fluid-filled)과 HPFF(High-pressure fluid-filled) 케이블로 나눌 수 있다.
SCFF 케이블은 절연유를 공급하는 방식이 종이 절연된 도체 내에 유통로를 만들어 절연유를 공급하게 되며, HPFF 케이블은 SCFF 케이블과는 다르게 절연유를 공급하는 방식이 금속 파이프 내에 종이절연 케이블을 포설하고 금속 파이프 전체에 높은 압력의 절연유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아주 오래 전에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최근 금속 파이프의 부식 등에 따른 절연유의 누유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쳐 교체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HPFF 케이블은 기존에 포설된 케이블이 교체가 되지 않는 이상 선로 보수 작업이나 소 구간 연결 작업 시 HPFF 케이블간의 접속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HPFF 케이블과 HPFF 케이블간의 접속 작업은 기존대로 HPFF 케이블에 적합한 접속재를 사용하면 되지만, 새로 포설되는 XLPE 케이블과 HPFF 케이블간의 접속작업은 새로운 구조의 접속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접속재를 이종 케이블 접속재라 하며, HPFF 케이블이 포설된 금속 파이프 내에 높은 압력(500Psi)으로 존재하는 절연유가 XLPE 케이블 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이종 케이블 접속재는 어느 한 종류의 케이블이 기 설치된 구역에 새로운 종류의 케이블을 포설하여 접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케이블이 포설된 맨홀은 기 설정되어 있고 맨홀의 크기나 길이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맨홀의 협소한 크기에 부합하는 접속재의 개발이 중요시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높은 압력의 절연유가 채워진 금속 파이프 내에 포설된 HPFF 케이블과 XLPE 케이블간의 접속 시 XLPE 케이블 측으로 절연유가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접속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케이블 에폭시 유니트마다 별도의 몰딩을 독립적으로 구현하여, 케이블이나 이종 케이블 접속재 부분의 수리나 복구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과제로서, 본 발명은 협소한 맨홀 내에서 3상의 이종 케이블을 각각 접속 가능하도록 분리된 보호관의 용접 공정을 추가하고, 절연보강과 절연유 차단용의 에폭시 유니트를 독립된 3개의 부속품으로 구성하여 각 상의 접속 시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이 가능토록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3심 HPFF 케이블과 3심 XLPE 케이블을 접속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에 있어서, 상기 3심 HPFF 케이블과 상기 3심 XLPE케이블 각각의 도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한 3개의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에폭시 유니트 중심부는 상기 접속재를 이루는 보호관을 연결하는 금속 플랜지에 삼각배열로 각각 연결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3심 HPFF 케이블과 3심 XLPE 케이블을 접속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에 있어서, 상기 3심 HPFF 케이블과 상기 3심 XLPE 케이블 각각의 도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한 3개의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유니트는 에폭시 몰딩부와 중심에 전극봉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의 일단은 상기 몰딩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HPFF 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몰딩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XLPE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에폭시 유니트의 중심에는 돌출된 에폭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에폭시 플랜지는 2개의 금속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에폭시 유니트는 상기 금속 플랜지의 중심에서 삼각배열로 결합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3심 HPFF 케이블과 3심 XLPE 케이블을 접속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에 있어서, 상기 3심 HPFF 케이블과 상기 3심 XLPE 케이블 각각의 도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한 3개의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유니트는 에폭시 몰딩부와 중심에 전극봉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의 일측은 상기 몰딩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HPFF 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몰딩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XLPE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에폭시 유니트의 외주연은 금속 플랜지에 삼각배열로 각각 결합되고, 상기 3심 XLPE 케이블의 외측에는 독립된 3개의 보호관이 결합되며, 상기 3심 HPFF 케이블의 외측에는 2이상의 원통관이 연결된 하나의 보호관이 결합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협소한 맨홀 내에서도 3상의 이종 케이블을 각각 접속 가능하도록 분리된 보호관의 용접 공정을 추가하고, 절연보강과 절연유 차단용의 에폭시 유니트를 독립된 3개의 부속품으로 구성하여, 각 상의 접속 시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HPFF 케이블과 XLPE 케이블간의 접속 시 XLPE 케이블측으로 절연유가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접속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케이블 에폭시 유니트마다 별도의 몰딩을 독립적으로 구현하여, 케이블이나 이종 케이블 접속재 부분의 수리나 복구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 중 에폭시 유니트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 접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한 3개의 분리된 원통관(20a', 20a'', 20a''')이 접속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 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종 케이블 접속재(1)는 협소한 맨홀내에서 3상의 이종 케이블을 문제 없이 접속이 가능한 구조를 제작하고 개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3심 HPFF 케이블측으로부터 3심 XLPE 케이블측으로 절연유가 이동될 수 없도록 에폭시 유니트를 이종 케이블 접속재(1)의 센터에 장착하여 절연 보강과 절연유 차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플랜지에 3개의 독립된 에폭시 유니트를 각각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협소한 맨홀 내 접속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HPFF 케이블측의 보호관을 분리하여 각각의 내경을 달리함으로써 접속 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HPFF 케이블과 맞닿은 맨홀의 측면으로 겹쳐 위치시킴으로써 접속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호관끼리 연결 시에는 용접에 의해 보호관을 회전시키면서 한 위치에서 보호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1)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1)는 에폭시 유니트(10', 10'', 10'''), 보호관(20a, 20b) 및 플랜지(30a, 3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1)는 절연지(40), 스트레스콘(50), 파이프(60), 압축링(70), 및 절연유주입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종 케이블 접속재(1)는 이종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3심 HPFF 케이블(100) 및 3심 XLPE케이블(200)을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심 HPFF 케이블(100) 및 3심 XLPE 케이블(200)은 3심 구조를 가지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일 수 있다.
3심 HPFF 케이블(100)은 도체(110a)로 구성되는 제1 케이블코어(110)를 포함할 수 있고, 3심 XLPE 케이블(200)은 도체(210a)로 구성되는 제2 케이블코어(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심 HPFF 케이블(100) 및 3심 XLPE 케이블(200)은 초고압 케이블로, 이종 케이블 접속재(1)는 수십 내지 수백 kV의 이종 초고압 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속재일 수 있다.
3심 HPFF 케이블(100)측에는 절연유주입부(80)를 통해 절연유(90)가 채워지기 때문에, 3심 HPFF 케이블(100)과 3심 XLPE 케이블(200)이 접속될 경우, 절연유(90)가 3심 XLPE 케이블(200)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유(90)가 3심 XLPE 케이블(200)로 유동하여 침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이종 케이블 접속재(1)가 구현될 필요가 있다.
에폭시 유니트(10'')는 3심 HPFF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제1 케이블코어(110)와 3심 XLPE 케이블(200)을 구성하는 제2 케이블코어(210)를 중심에 인서트된 중앙전극(10''a)을 통해 연결한다. 각각의 제1 케이블코어(110)와 각각의 제2 케이블코어(210)는 각각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에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의 경우, 3심 HPFF 케이블(100)과 3심 XLPE 케이블(200)을 연결하는 3개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3개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 각각은 각 상 별로 케이블 접속 시 개별적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다.
각 에폭시 유니트(10', 10'', 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전극(10''a) 및 에폭시 몰딩부(10''b)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전극(10''a)은 제1 케이블코어(110)의 도체(110a)와 제2 케이블코어(210)의 도체(210a)를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중앙전극(10''a)은 전극봉(10a''-1), 핀형슬리브(10a''-2), 및 압축형슬리브(10a''-3)를 포함한다. 즉, 전극봉(10a''-1)의 일단은 제1 케이블코어(110)의 도체(110a)와 결합하여 압축되고, 타단은 제2 케이블코어(210)의 도체(210a)와 결합하여 핀 타입으로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전극봉(10a''-1)은 U자부(A) 및 막대부(B)를 포함한다. 제1 케이블코어(110)의 전극(110a)은 막대부(B)로 직접 삽입되고, 제2 케이블코어(210)의 전극(210a)은 핀형슬리브(10a''-2)를 통해 U자부(A)로 삽입될 수 있다. 전극봉(10a''-1)의 U자부(A)는 함몰된 형태이므로, 제2 케이블코어(210)의 전극(210a)이 잘 삽입될 수 있고, 이로서, 중앙전극(10''a)이 절연유(90)로부터 완벽히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봉(10a''-1)의 타단은 에폭시 몰딩부(10b'')의 내측에 위치하여, 이종 케이블 접속재(1)의 총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더불어, 3개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 각각은 케이블 심수에 부합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여 기설된 좁은 맨홀 길이에 맞추어 이종의 3심 케이블 접속 공정이 가능해진다.
전극봉(10a''-1)을 기준으로 3심 HPFF 케이블(100)측으로는 압축형슬리브(10a''-3)가 위치하고, 3심 XLPE 케이블(200)측으로는 핀형슬리브(10a''-2)가 위치하는 데, 압축형슬리브(10a''-3)는 에폭시 몰딩부(10''b)의 외측에 위치하고, 핀형슬리브(10a''-2)는 에폭시 몰딩부(10''b)의 내측에 위치한다.
3심 HPFF 케이블(100)측의 에폭시 몰딩부(10''b)는 절연지와 경사면을 통해 서로 절연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3심 XLPE 케이블(200)측은 스트레스콘(50)을 절연보강으로 하여 내측에서 도체간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이종 케이블의 접속재(1)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접속 공정이 될 수 있다.
에폭시 몰딩부(10b'')는 중앙전극(10''a)을 절연유(90)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중앙전극(10''a)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절연유가 함침된 절연지(40)로부터 중앙전극(10''a)과 3심 XLPE 케이블(200) 쪽으로 절연유가 스며들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전극(10''a)이 제1 케이블코어(110)의 전극(110a)과 제2 케이블코어(210)의 전극(210a)을 연결하고, 에폭시 몰딩부(10b'')가 중앙전극(10''a)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되므로, HPFF 케이블(100)측의 절연유(90)가 XLPE 케이블(200) 측으로 이전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에폭시 유니트(10', 10'', 10''') 각각이 독립적으로 조립되어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로서, 하나의 에폭시 유니트(10'')에 대한 수리/변형이 필요할 경우, 다른 에폭시 유니트(10''')까지 수리/변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보호관(20)은 3심 HPFF 케이블(100)측을 커버하기 위한 제1보호관(20a)과3심 XLPE 케이블(200)측을 커버하기 위한 제2보호관(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호관(20a)은 복수의 원통관(20a', 20a'', 20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3심 HPFF 케이블(100)의 외측에는 복수의 원통관(20a', 20a'', 20a''')이 연결된 하나의 제1보호관(20a)이 배치되나, 3심 XLPE 케이블(200)의 외측에는 독립된 3개의 제2보호관(20b', 20b'', 20b''')이 배치된다.
각각의 원통관(20a', 20a'', 20a''')은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고, 하나의 원통관이 다른 원통관과 일부 겹치는 적층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원통관의 원주는 서로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원통관을 먼저 조립한 후, 케이블을 연결하고, 다시 나머지 원통관으로 케이블을 씌우는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케이블 접속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1b와 같이, 2개의 원통관(20a', 20a'')을 먼저 조립한 후, 케이블을 연결하고, 다시 나머지 원통관(20a''')을 씌움으로서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약 14피트(4.3m)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케이블 접속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플랜지(30)는 제1보호관(20a) 및 제2보호관(20b)과 연결되는 제1플랜지(30a), 제2보호관(20b) 상에 배치되는 제2플랜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30a) 및/또는 제2플랜지(30b)는 각각이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개로 구현된 제1플랜지(30a)는 각각이 동일한 사이즈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사이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로 구현된 제2플랜지(30b)는 각각이 동일한 사이즈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사이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플랜지(30a)에는 복수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가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3개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 중심부가 제1보호관(20a) 및 제2보호관(20b)를 연결하는 제1플랜지(30a)에 삼각배열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플랜지(30a)에 끼워지는 복수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 는 제1플랜지(30a)의 동심원상에 등간격(120˚)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에폭시 유니트(10'')의 중심부에는 돌출된 에폭시 플랜지(Z)가 형성되며, 에폭시 플랜지(Z)는 2개의 제1플랜지(30a', 30a'')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플랜지(30a)를 통해서는 복수의 에폭시 유니트(10', 10'', 10''')가 함께 통과되나, 제2플랜지(30b)를 통해서는 단독의 에폭시 유니트(10'')를 커버하는 제2보호관(20b) 이 통과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원통관이 제1보호관(20a)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트레스콘(50)은 제2케이블코어(210)의 선단을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고, 파이프(60)를 통해 압축링(70)에 의해 제2케이블코어(210)의 선단 방향으로 외부 힘이 가해져 스트레스콘(50)이 에폭시 유니트(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케이블 접속재(1) 접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3심 HPFF 케이블(100) 및 3심 XLPE케 이블(200)을 각각 절단하여 양측 케이블의 도체(110a, 210a)와 절연층을 노출시켜 각 케이블의 길이를 셋팅한다. 그리고, 3심 HPFF 케이블(100) 측으로 3개의 원통관(20a', 20a'', 20a''')을 삽입한다. 3심 XLPE 케이블(200) 측으로 3심 XLPE 케이블(200) 각각에 압축링(70), 스트레스콘(50), 및 3개의 제2보호관(20b, 20b'', 20b''')을 삽입한다. 그리고, 제1보호관(20a)과 제2보호관(20b)을 제1플랜지(30a)을 통해 연결하여 고정한다.
도 3의 (a)와 같이, 제1 에폭시 유니트(10'')를 셋팅하여 도 3의 (b)와 같이, 양측 도체(110a, 210a)를 제1 에폭시 유니트(10'')에 삽입한다. 그리고, 양쪽 케이블을 각각 절연보강 한다. 예를 들어, 3심 HPFF 케이블(100)측에는 절연지(40)를 권취하고, 3심 XLPE케이블(200)측에는 스트레스콘(50)의 계면접합 및/또는 압축링(70) 조절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절연보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 에폭시 유니트(10') 및 제3 에폭시 유니트(10''')에도 전술한 양측 도체 삽입 및 절연보강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3심 XLPE케이블(200)과 제2보호관(20b) 사이에서 알루미늄 시스 연공을 수행한다. 그리고, 3심 HPFF 케이블(100) 측의 3개의 보호관(20a', 20a'', 20a''')의 위치를 조절하고 용접하여 이종 케이블 접속재(1)를 완성한다.
도 4는 도 1a에 도시한 3개의 분리된 원통관(20a', 20a'', 20a''')이 접속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심 HPFF 케이블(100)의 외측에 배치된 제1보호관(20a)은 3개의 분리된 원통관(20a', 20a'', 20a''')이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3개의 분리된 원통관(20a', 20a'', 20a''')은 포개질 수 있는 내외경을 갖게 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원통관(20a', 20a'', 20a''')은 접속 공정 전에 3심 HPFF 케이블(100)측으로 삽입되고, 3개의 분리된 원통관(20a', 20a'', 20a''')은 포개져 맨홀 내의 측벽에 위치되어 상기3심 HPFF 케이블 측의 접속 공정 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b) 및 (c)와 같이 원통관(20a'', 20a''')이 3심 XLPE 케이블(200) 측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접속 공정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3심 HPFF 케이블과 3심 XLPE 케이블 각각의 도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한 3개의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유니트는 에폭시 몰딩부와 중심에 전극봉이 형성되고, 상기 3심 HPFF 케이블 측은 콘 형상이며 상기 3심 XLPE 케이블 측은 중심이 함몰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전극봉의 일단은 상기 에폭시 몰딩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HPFF 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에폭시 몰딩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XLPE 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고,
    상기 에폭시 유니트의 중심에는 돌출된 에폭시 플랜지가 형성되어, 금속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에폭시 몰딩부는 상기 3심 HPFF 케이블의 도체와 연결되는 측부터 상기 에폭시 플랜지가 형성된 측까지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갖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에폭시 유니트 각각은 각 상별로 케이블 접속시 개별적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한, 이종 케이블 접속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에폭시 유니트 각각의 전극봉은 일단은 상기 3심 HPFF 케이블의 도체 각각과 결합하여 압축되고, 타단은 상기 3심 XLPE 케이블의 도체 각각과 결합하여 핀 타입으로 체결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에폭시 유니트 각각은 각 상별로 케이블 접속시 개별적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전극봉의 타단은 상기 3심 XLPE 케이블의 도체 각각과 핀 타입으로 체결되고,
    상기 전극봉의 일단은 상기 전진 및 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3심 HPFF 케이블의 도체 각각에 결합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3심 HPFF 케이블과 3심 XLPE 케이블 각각의 도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전극을 포함한 3개의 에폭시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유니트는 에폭시 몰딩부와 중심에 전극봉이 형성되고, 상기 3심 HPFF 케이블 측은 콘 형상이며 상기 3심 XLPE 케이블 측은 중심이 함몰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전극봉의 일측은 상기 에폭시 몰딩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HPFF 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에폭시 몰딩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3심 XLPE 케이블 각각의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에폭시 유니트의 외주연은 금속 플랜지에 삼각배열로 각각 결합되고,
    상기 3심 XLPE 케이블의 외측에는 독립된 3개의 보호관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3심 HPFF 케이블의 외측에는 2이상의 원통관이 연결된 하나의 보호관이 결합되고,
    상기 3심 HPFF 케이블의 외측에 배치된 하나의 보호관은 3개의 분리된 원통관이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3개의 분리된 원통관은 포개질 수 있는 내외경을 갖으며, 케이블 접속 공정상에서는 서로 포개진 채로 배치되고, 케이블 접속 후에는 펼쳐져 용접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속되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분리된 원통관은 접속 공정 전에 상기 3심 HPFF 케이블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3개의 분리된 원통관은 포개져 맨홀 내의 측벽에 위치되어 상기3심 HPFF 케이블 측의 접속 공정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이종 케이블 접속재.

KR1020180099323A 2018-08-24 2018-08-24 이종 케이블 접속재 KR10220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23A KR102207877B1 (ko) 2018-08-24 2018-08-24 이종 케이블 접속재
US16/413,421 US10833462B2 (en) 2018-08-24 2019-05-15 Transition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23A KR102207877B1 (ko) 2018-08-24 2018-08-24 이종 케이블 접속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04A KR20200023004A (ko) 2020-03-04
KR102207877B1 true KR102207877B1 (ko) 2021-01-26

Family

ID=6958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323A KR102207877B1 (ko) 2018-08-24 2018-08-24 이종 케이블 접속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33462B2 (ko)
KR (1) KR1022078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655A (ja) 2000-06-06 2001-12-21 Mitsubishi Cable Ind Ltd 異種ケーブル同士の接続部とその組立方法
JP2008054455A (ja) * 2006-08-28 2008-03-06 Viscas Corp 異種ケーブル三相一括接続部
JP4647348B2 (ja) * 2005-03-04 2011-03-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管の継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9473A (ja) * 1990-12-06 1992-07-30 Hitachi Cable Ltd 電力ケーブル接続部の導体接続構造
KR200249780Y1 (ko) * 1999-03-16 2001-11-16 권문구 조립형 직선접속함용 스트레스릴리프콘의 삽입장치
US7538274B2 (en) * 2006-01-23 2009-05-26 Novinium, Inc. Swagable high-pressure cable connectors having improved sealing means
EP1998340A1 (en) * 2007-05-29 2008-12-03 ABB Technology AG An electric power cable
US10190589B2 (en) * 2016-12-09 2019-01-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othead cable seal for electric submersible mo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655A (ja) 2000-06-06 2001-12-21 Mitsubishi Cable Ind Ltd 異種ケーブル同士の接続部とその組立方法
JP4647348B2 (ja) * 2005-03-04 2011-03-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管の継手装置
JP2008054455A (ja) * 2006-08-28 2008-03-06 Viscas Corp 異種ケーブル三相一括接続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7242A1 (en) 2020-02-27
US10833462B2 (en) 2020-11-10
KR20200023004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9475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JPH0358485B2 (ko)
US6281431B1 (en) Multi-core cable and cable joint
CN106486958A (zh) 绝缘终端组件
KR102207877B1 (ko) 이종 케이블 접속재
US20220224088A1 (en) Repair and replacement of high voltage cables and joints
AU2015397106A1 (en) A rigid joint assembly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US1947481A (en) Cable joint
KR20180022144A (ko) 고압송전선 접속장치
US2347912A (en) Method of installing electric cables
US3852511A (en) Gas insulated high voltage cable
JP3349276B2 (ja) 長距離電力ケーブル線路の耐電圧試験方法
US3321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ogether sections of oil-filled cable
KR100521612B1 (ko)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US3869561A (en) Cable separating joint
JP6288364B1 (ja) ケーブル接続構造およびケーブル接続構造の製造方法
KR102587412B1 (ko) 전력 설비의 고장 복구 방법 및 장치
KR20200068784A (ko) 도체 슬리브,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함
CN215646126U (zh) 一种密封组件、电缆连接结构及振冲桩施工设备
CN220873272U (zh) 柔性电缆
KR102532797B1 (ko)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GB2293497A (en) Repairing cable installations
CN210074701U (zh) 一种套管井
EP4024618A1 (en) Subsea power cable with tension and continuity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1106000068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