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783B1 -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783B1
KR102207783B1 KR1020190166776A KR20190166776A KR102207783B1 KR 102207783 B1 KR102207783 B1 KR 102207783B1 KR 1020190166776 A KR1020190166776 A KR 1020190166776A KR 20190166776 A KR20190166776 A KR 20190166776A KR 102207783 B1 KR102207783 B1 KR 10220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ry
worms
primer set
species
ameri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보윤
박홍현
정진교
조점래
김정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녀벌레집게벌의 종 판별을 위한 PCR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선녀벌레집게벌 종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선녀벌레집게벌의 종 판별이 가능하여 산란 초기에서도 약충 단계의 미국선녀벌레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산란 및 기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바, 초기에 미국선녀벌레의 천적 기생율 조사가 가능하고 생물적 방제 전략 수립에 기생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선녀벌레집게벌을 활용한 미국선녀벌레의 생물적 방제에서 정확한 해충 방제 효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국선녀벌레와 유사종인 선녀벌레에서도 선녀벌레집게벌의 산란 및 기생 가능성을 조기에 판별해 선녀벌레집게벌의 선녀벌레 방제에 활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PCR primer set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of Neodryinus typhlocybae and its appl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선녀벌레집게벌 종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는 그 동안 선녀벌레과(Flatidae)에 속하는 종으로 제주와 남부지역에서 단감, 유자 등에 대한 해충인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 (Walker)]와 봉화선녀벌레[Mimophantia maritima Matsumura], 단 2종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북아메리카가 원산의 외래 침입 해충인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가 국내로 들어와 확산되면서 농가에 많은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미국선녀벌레는 감나무, 명자나무, 배나무, 아카시나무, 참나무류 등 다양한 활엽수와 초본류의 수액을 빨아 먹어 식물을 말라 죽게 하고, 감로분비를 통해 그을음병을 유발시키며 왁스물질을 분비해 잎과 과실이 지저분해지는 피해를 입힌다. 연 1회 발생하며 나무의 수피에서 알로 월동하고, 5월 중순경에 부화한 약충은 새로 나온 잎과 가지로 이동해 가해한다. 성충은 7~10월에 나타나며 나무 가지나 줄기의 껍질 갈라진 틈에 산란한다.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서울과 밀양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매년 발생 지역과 면적이 늘어 2018년에는 123개 시군에서 발생하여 농가 피해와 방제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생물적 방제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미국선녀벌레의 알이나 약충에 기생하는 국내 토착 천적을 탐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미국선녀벌레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미국선녀벌레의 약충기생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벌목: 집게벌과(Dryinidae)]을 2018-2019년에 이탈리아 파도바대학교로부터 도입하였으며, 수원과 안동 등에서 야외방사를 하여 최근 대량증식에 성공하였다. 선녀벌레집게벌의 암컷 성충은 미국선녀벌레의 어린 약충을 잡아먹고, 3~5령기 약충의 몸에 알을 낳는다. 선녀벌레집게벌의 알은 미국선녀벌레 약충의 몸에서 부화한 후 생활하다가 기생이 끝나면 몸 밖으로 나와 고치를 만드는데, 이때 미국선녀벌레는 죽게 된다. 그러나 선녀벌레집게벌의 알이 미국선녀벌레의 약충에 기생하는지 여부는 초기에 육안으로 판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미국선녀벌레의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율을 정밀하게 조사하고 미국선녀벌레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선녀벌레 약충에서의 기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녀벌레집게벌에 대한 종 판별 마커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ITS2(Internal transcribed spacer 2)는 5.8S와 28S 리보솜 RNA 사이에 있는 핵 내 리보솜 DNA 영역으로, 상기 ITS2 영역의 염기서열 간 차이를 이용하여 벌목의 알벌류(Trichogramma spp.) [서 등 2014(한국응용곤충학회지 53, 247-260)]와 노린재목의 벼 멸구류 등에 대한 종 동정 방법 [서 등 2017(한국응용곤충학회지 56, 377-385); 서 등 2018(한국응용곤충학회지 57, 393-399)]이 개발된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선녀벌레집게벌의 종 동정이 가능하면서 미국선녀벌레의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ITS2 서열에서 미국선녀벌레 및 선녀벌레와 선녀벌레집게벌 간에 차이가 있는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PCR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고 이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미국선녀벌레 및 선녀벌레와 DNA 염기서열상의 차이가 있는 선녀벌레집게벌의 ITS2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PCR을 수행한 결과 선녀벌레집게벌 개체에서 분리한 DNA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ITS2 영역이 증폭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녀벌레집게벌의 종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미국선녀벌레 또는 선녀벌레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a)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또는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의 개체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미국선녀벌레 또는 선녀벌레 개체는 약충 단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단계(c)에서, 크기가 180-200 bp인 증폭 산물이 관찰되는 경우 선녀벌레집게벌이 미국선녀벌레 또는 선녀벌레 개체에 기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면 선녀벌레집게벌의 종 판별이 가능하여 약충 단계의 미국선녀벌레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산란 및 기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바, 초기에 미국선녀벌레의 천적 기생율 조사가 가능하고 생물적 방제 전략 수립에 기생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선녀벌레집게벌을 활용한 미국선녀벌레의 생물적 방제에서 정확한 해충 방제 효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국선녀벌레와 유사종인 선녀벌레에서도 선녀벌레집게벌의 산란 및 기생 가능성을 조기에 판별해 선녀벌레의 생물적 방제 인자로 선녀벌레집게벌의 적용 여부를 빠르게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ITS2(Internal Transcribed Sequence 2) 서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의 ITS 서열 및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 세트의 결합 위치와 증폭 영역을 표시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ITS2 서열이며, 도 1c는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의 ITS2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해 각각 선녀벌레집게벌, 미국선녀벌레 및 선녀벌레 개체에서 분리한 DNA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고 산물을 2%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의한 ITS2 영역의 증폭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미국선녀벌레 약충의 기생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의 ITS2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PCR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으며, 상기 프라이머 세트가 선녀벌레집게벌 개체에서 분리한 DNA에 대해서만 ITS2 영역을 증폭시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의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및 서열번호 2의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라이머(Primer)”란 DNA 합성의 기시점이 되는 짧은 유전자 서열로써 진단 및 DNA 시퀀싱 등에 이용할 목적으로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머들은 통상적으로 15 내지 30 염기쌍의 길이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공지된 방법으로 메틸화, 캡화 등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예컨대, Taq DNA 중합효소) 및 상이한 4가지 dNTP(deoxynucleoside triphosphate)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 세트는 선녀벌레집게벌의 종 판별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미국선녀벌레의 유사종인 선녀벌레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미국선녀벌레와 선녀벌레의 ITS2 유전자 영역에서 DNA 염기서열상의 차이가 있는 선녀벌레집게벌의 특이적 영역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선녀벌레집게벌, 미국선녀벌레 및 선녀벌레 개체에서 각각 DNA를 분리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선녀벌레집게벌 개체 유래 DNA를 이용한 경우에만 증폭 산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는바, 미국선녀벌레 개체, 바람직하게는 미국선녀벌레의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 키트를 이용하면 손쉽게 PCR을 수행하고 증폭된 산물의 존재여부 및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선녀벌레집게벌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할 수 있는 PCR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나, 터치다운 PCR(Touchdown PCR)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CR 방법은 비특이적인 서열의 증폭을 피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상기 PCR 반응 혼합물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것은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PCR 반응 혼합물에는 주형 DNA, 반응 완충용액, dNTP, Taq DNA 중합효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a)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또는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의 개체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단계 (a) 단계에서, 미국선녀벌레 개체는 선녀벌레집게벌의 유충이 기생하는 미국선녀벌레 약충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NA 추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PCR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터치다운 PCR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반응 완충용액(2X),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3차 증류수 및 개체에서 추출한 게놈 DNA를 혼합하여 PCR 반응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DNA 중합효소 및 dNTP를 함께 이용하여 PCR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가로스 겔(agarose gel)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전기영동 후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염색으로 전기영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영동 결과 크기 180-200 bp의 증폭 산물, 바람직하게는 190-200 bp, 가장 바람직하게는 192 bp 크기의 증폭 산물이 관찰되는 경우 선녀벌레집게벌이 미국선녀벌레 또는 선녀벌레 개체에 기생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용 특이 프라이머 제작 및 PCR 조건 확립
1-1. 프라이머 제작
본 발명자들은 선녀벌레과에 속하는 외래 침입종인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여부 및 기생율을 조사하고, 미국선녀벌레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용 특이 프라이머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핵내 ITS2 영역에서 미국선녀벌레 및 선녀벌레와 서열상 차이가 있는 선녀벌레집게벌의 특이적 영역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도 1a 내지 도 1c에 각각 선녀벌레집게벌, 미국선녀벌레, 및 선녀벌레의 ITS2 영역의 염기서열 정보를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1에는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용 특이 프라이머의 서열정보를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방향 서열 (5’-3’) 길이 (bp) PCR 산물 길이 (bp) 서열번호
ITS2-NeTyp_F Forward AGTTGAAGCGGCGAAAGAC 19 192 1
ITS2-NeTyp_R Reverse GTGAAAGAAATGAAATACGC 20 2
1-2.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반응조건 설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작한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용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반응조건 즉, 반응 성분 조성 및 시간 등을 최적화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터치다운 PCR(Touchdown PCR)을 이용하고자 하였는데, 상기 터치다운 PCR은 비특이적인 서열의 증폭을 피할 수 있는 PCR 방법 중 하나로, 처음 단계에서 프라이머 결합온도를 높게 설정해 특이적 결합을 하는 서열의 양을 늘려준 후에 반복과정에서 프라이머 결합 온도를 조금씩 낮추어 원하는 서열을 증폭시키는 방법이다. 먼저, genomic DNA를 추출하고 하기 표 2에 기재한 반응액과 혼합한 다음 하기 조건에 따라 PCR을 수행하였다: 1) 98℃에서 10초, 55℃에서 5초 후 72℃에서 5초를 10사이클 반복(사이클마다 0.5℃씩 낮춤), 2) 98℃에서 10초, 49℃에서 5초, 72℃에서 5초 반응을 25~30 사이클 반복.
성분 부피(㎕)
반응버퍼(2X) 12.5
프라이머 ITS2-NeTyp_F (10 pM) 0.5
ITS2-NeTyp_R (10 pM) 0.5
3차 증류수 10.5
게놈 DNA 1.0
최종 반응액 25.0
실시예 2.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증폭효과 비교
본 발명자들은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의 종 판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증폭효과를 분석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녀벌레집게벌, 이의 숙주곤충인 미국선녀벌레, 및 미국선녀벌레의 유사종인 선녀벌레의 개체에서 각각 DNA를 분리한 다음,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작한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예 1-2에서 확립한 PCR 반응조건에 따라 PCR을 수행하고 2%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PCR 증폭 산물의 생성 여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녀벌레집게벌의 경우 개체별 DNA 각각에서 192 bp의 단일한 PCR 증폭 산물이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나(왼쪽 결과), 이의 숙주곤충인 미국선녀벌레와 미국선녀벌레의 유사종인 선녀벌레의 개체별 DNA 각각에서는 PCR 증폭 산물이 생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중간 및 오른쪽 결과).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선녀벌레집게벌 특이 프라이머세트는 선녀벌레집게벌 개체의 DNA에 대해서만 증폭 산물을 생성하는바, 이를 통해 미국선녀벌레의 약충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산란 및 기생 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Republic of Korea (Manage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PCR primer set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of Neodryinus typhlocybae and its appl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130> PD19-251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2-NeTyp_F <400> 1 agttgaagcg gcgaaagac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2-NeTyp_R <400> 2 gtgaaagaaa tgaaatacgc 20

Claims (7)

  1.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에서 선녀벌레집게벌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4.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용 조성물.
  5.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용 키트.
  6.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 종 판별 방법:
    (a)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또는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의 개체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크기가 180-200 bp인 증폭 산물이 관찰되는 경우 선녀벌레집게벌이 미국선녀벌레 또는 선녀벌레 개체에 기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별 방법.
KR1020190166776A 2019-12-13 2019-12-13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KR10220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776A KR102207783B1 (ko) 2019-12-13 2019-12-13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776A KR102207783B1 (ko) 2019-12-13 2019-12-13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783B1 true KR102207783B1 (ko) 2021-01-26

Family

ID=7431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776A KR102207783B1 (ko) 2019-12-13 2019-12-13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7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772A (ko) * 2009-10-07 2011-04-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한국산 배에서 발견되는 가루깍지벌레의 동정방법
KR102159023B1 (ko) * 2019-10-22 2020-09-23 대한민국 Its2 영역을 시퀀싱 하기 위한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772A (ko) * 2009-10-07 2011-04-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한국산 배에서 발견되는 가루깍지벌레의 동정방법
KR102159023B1 (ko) * 2019-10-22 2020-09-23 대한민국 Its2 영역을 시퀀싱 하기 위한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ABOR VETEK ET AL, BULLETIN OF INSECTOLOGY, 2019, 72 (1): 1_11 *
GENBANK ACCESSION NO. MG92349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rell et al. The use of museum specimens with high-throughput DNA sequencers
CN104120189A (zh) 鉴定双翅目昆虫的分子生物学方法
Diaz et al. Identification of Phoenix dactylifera L. varieties based on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s
Nayak et al. Detection and evaluation of genetic variation in 17 promising cultivar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using 4C nuclear DNA content and RAPD markers
KR101615433B1 (ko) 녹각형 영지버섯 판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녹각형 영지버섯의 판별방법
KR102207783B1 (ko) 선녀벌레집게벌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CN103088136A (zh) 一种鉴别日光蜂不同遗传支系的引物及鉴别方法
KR102062664B1 (ko) 시식성 수시렁이의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동정 방법
Mohd-Azmi et al. DNA fingerprinting of red jungle fowl, village chicken and broilers
Sharakhova et al. Mosquitoes (Diptera)
KR102265732B1 (ko) 미국선녀벌레 종 판별을 위한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종 판별 방법
Lim et al. Differentiating the two closely related species, Phellinus weirii and P. sulphurascens
Baral et al. Genome organisation and expression profiling of ABC protein-encoding genes in Heterobasidion annosum sl complex
Bracalini et al. Alien pest molecular diagnostics: can DNA traces be exploited to assess the damage caused by the western conifer seed bug on stone pine fructification?
CN103981257B (zh) 用于蝇蛹金小蜂多样性分析的微卫星引物及其用途和分析方法
Akter et al. Karyotype diversity in three Asparagus L. species
KR102368491B1 (ko) 꽃매미벼룩좀벌 종 판별을 위한 특이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꽃매미벼룩좀벌의 꽃매미 알 기생 여부 판별 방법
KR101909786B1 (ko) 로젤리니아 네카트릭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20210061502A (ko) 백수오와 이엽우피소 판별용 InDel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101437465B1 (ko)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Bacovský et al. Genetic diversity of chestnut tree in relation to susceptibility to leaf miner (Cameraria ohridella Deschka & Dimic)
KR102215717B1 (ko) 쑥 품종 구별을 위한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Kamau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Adansonia Spp. In the Kenya/Tanzania Transect.
Stackhouse Thousand Cankers Disease Diagnosis With Conventional Electrophoresis and TaqMan Probes
Faragalla et al. DNA fingerprinting of some major genera of subterranean termites (Isoptera)(Anacanthotermes, Psammotermes and Microtermes) from Western Saudi Arabia. Ac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