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771B1 - 셔터 슬래트 - Google Patents

셔터 슬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771B1
KR102207771B1 KR1020177019899A KR20177019899A KR102207771B1 KR 102207771 B1 KR102207771 B1 KR 102207771B1 KR 1020177019899 A KR1020177019899 A KR 1020177019899A KR 20177019899 A KR20177019899 A KR 20177019899A KR 102207771 B1 KR102207771 B1 KR 10220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track
slats
hooking
rolling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750A (ko
Inventor
제임스 브이 밀러
브라이언 피터슨
Original Assignee
퀄리타스 매뉴팩츄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리타스 매뉴팩츄어링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리타스 매뉴팩츄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38Slats directly connected
    • E06B2009/1544Engaging section has curved articula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 E06B2009/1583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inserted in slat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06B2009/1716Arrangements to improve rolling of the shutter on the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롤링 셔터에 사용하기 위한 슬래트가 제시된다. 상기 슬래트는 본체의 제1 에지에 위치하게 되는 후킹 트랙 및 본체의 제2 에지에 위치하게 되는 리시빙 트랙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후킹 트랙은 후크 형상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리시빙 트랙은, 이웃하는 슬래트의 인게이징 트랙(engaging track)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립 부재 및 가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후킹 트랙 및 상기 리시빙 트랙은 스핀들 주위에서 롤링 셔터가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셔터 슬래트{SHUTTER SLAT}
본 출원은, 2013년 2월 2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셔터 슬래트"인 미국 출원으로서, 2012년 2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00,90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미국 출원 제13/772,154호의 부분 계속 출원이며, 양 출원 모두는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그 전체 내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셔터 슬래트(shutter slat)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태풍 및 침입(break-in)에 대한 내성이 개선된 롤러 유형의 셔터 슬래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수축 능력(compact retraction capability)을 갖는 셔터 슬래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롤러 셔터는 침입으로부터의 안전 또는 폭풍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안전 및 보호는, 예컨대 소매점이 영업을 위해 개방되어 있는 낮시간 동안에는 또는 집주인이 창문을 열거나 오션뷰(ocean view)를 즐기고자 하는 맑은 날씨일 때에는, 항상 필요한 것이 아닐 수도 있고 항상 요구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롤러 셔터는, 이 롤러 셔터가 보관되는 케이싱 내로 수축 가능하게 설계된다. 일부 예에 있어서, 컴팩트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허리케인 바람 및 절도범에 견디도록 설계되는 강성의 셔터 슬래트는 또한 롤(roll)에 대해 순응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한 가지 통상적인 셔터 슬래트는, 슬래트들 사이에 느슨한 관절부를 제공함으로써 롤(roll)에 대해 순응하도록 제조된다. 슬래트는, 하나의 슬래트의 상위 에지에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슬래트의 하위 에지에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위 에지는, 후크(hook) 형상의 프로파일로 종결되는 수직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위 에지는, 수직 포켓을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상위 에지의 후크 형상의 프로파일은, 역시 후크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 하위 에지의 제1 부분과 상위 에지가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위 에지는 상기 하위 에지의 제2 부분에 의해 하위 에지와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되는데, 상기 하위 에지는 하위 에지의 후크 형상의 프로파일 약간 아래로 상기 후크 형상의 프로파일을 향해 하향하여 연장되는 가드(guard)를 포함하여, 하위 에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수평방향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하위 에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포켓은 그 깊이 면에서 상기 상위 에지의 수직 돌출부의 높이와 유사하다. 이러한 셔터 구성의 융통성은, 상기 수평방향 개구 내에서의 상기 상위 에지의 수직 부분의 피봇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한 가지 결과는, 상기 상위 에지가 상기 수직 포켓 내부에 상당한 수직 간격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셔터는, 슬래트 당 최대 1/4 인치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8개의 슬래트 및 슬래트 당 1/4 인치의 간격을 갖춘 셔터는 이때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총 12 인치의 간격을 갖게 된다. 카운터밸런스(counterbalance)로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갖는 전술한 셔터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셔터가 수축하기 시작하기 전에 모든 간격을 커렉트(correct)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하부 슬래트를 들어올려야만 한다. 이러한 셔터에 있어서, 사용자는, 셔터의 수축 메커니즘에 관여하기 위해 대략 150 파운드를 12 인치만큼 들어올려야만 한다. 이러한 구성의 셔터는, 토션 스프링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은 카운터밸런스의 장점을 모두 달성하지 못한다.
이러한 구성의 추가적인 결과에 따라, 느슨하게 관절을 이루는 슬래트는 소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슬래트는 연장 및 수축 도중에 서로에 대해 달가닥거린다. 추가적으로, 롤러 셔터가 전개될 때, 통상적인 풍력은, 슬래트가 가청 수준으로 달가닥거리도록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셔터 슬래트는,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롤 또는 스핀들로부터 매달리게 설계된다. 셔터가 수축될 때, 슬래트는 스핀들 주위를 감싸게 된다. 슬래트들이 롤 주위에서 컴팩트하게 서로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인 셔터 조립체는, 수축될 때, 큰 직경을 갖는 롤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롤을 위해 대형 케이싱을 필요로 한다. 이는 보기에 흉할 수 있으며, 특히 주거용 건물에서 사용되는 셔터 용례에서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컴팩트한 보관이 가능한 셔터 조립체가 바람직하다.
컴팩트한 보관에 관한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법은, 밀러(Miller)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통합된 보스를 갖춘 셔터 슬래트"인 미국 특허 제6,095,225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슬래트들 사이에 관절부와 동심인 보스를 통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슬래트는, 하나의 슬래트의 상위 에지에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슬래트의 하위 에지에서 또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위 에지는 C자 형상의 스크류 보스(screw boss)로 종결되는 짧은 수직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위 에지는 상기 상위 에지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갖는 C자 형상의 채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셔터 구성의 융통성은, C자 형상의 채널의 둥근 내측 표면 및 C자 형상의 스크류 보스의 둥근 외측 표면의 협동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상기 상위 에지의 직경은 C자 형상의 채널의 직경보다 작지만, C자 형상의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폭보다는 크고, 이에 따라 상기 상위 에지가 상기 하위 에지에 의해 제공되는 C자 형상의 채널로부터 간단하게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한 가지 결과는, 상기 하위 에지의 C자 형상의 채널 중 노출된 부분이 관절부에 대한 압력 인가 시에 항복하는 경우, 슬래트가 바람직하게 않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C자 형상의 채널에 의한 상기 상위 에지의 유지는 크기 면에서 비교적 작은 차이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에지에 대한 손상은 롤링 셔터의 파손(breach)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의 침입자가 셔터를 타격하는 경우, C자 형상의 채널은 강제로 개방될 수 있다. C자 형상의 채널이 겨우 약간만 구부러지더라도, 일단 상기 상위 에지와 상기 하위 에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2개의 슬래트는 바람직하지 않은 약간의 노력만으로 비집어 떨어뜨려 질 수 있다.
완전 폐쇄 구성에서 완전히 감겨져 있는 슬래트들로 이루어진 롤링 셔터에 대해 요구되는 공간을 완벽하게 최소화하는 셔터 슬래트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결빙될 수 있고 슬래트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물을 보유하지 않는 셔터 슬래트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롤링 셔터(rolling shutter)에서 사용하기 위한 롤링 셔터 슬래트(rolling shutter slat)로서, 상기 슬래트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위 에지와 하위 에지를 갖춘 본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profile)을 구비하며, 외측으로 향하는 면이 상기 상위 에지와 상기 하위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며, 내측으로 향하는 면이 상기 상위 에지와 상기 하위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인 롤링 셔터 슬래트이다. 상기 슬래트는 상기 상위 에지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인게이징 트랙(engaging track)을 구비하는데, 상기 인게이징 트랙은 인게이징 트랙과 상기 상위 에지 사이의 완만하게 만곡된 천이부에서 상기 상위 에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크(hook)를 갖는다. 상기 슬래트는 상기 하위 에지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리시빙 트랙(receiving track)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리시빙 트랙은, 외측 립 표면 및 관절 연결용 립 표면을 갖춘 립 부재(lip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립 표면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에 근접하고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과 동일한 곡선을 따라 컬(curl)까지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컬은 선단부까지 상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시빙 트랙은 상기 립 부재와 떨어져 간격을 두고 있는 가드 부재(guard member), 관결부 공간, 및 리셉터클(receptacle)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절부 공간에서는 제2의 동일한 슬래트의 제2의 인게이징 트랙이 립 부재와 가드 부재 사이의 개구을 통해 립 부재와 후크 결합되어 힌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은, 관절 연결용 립 표면 상의 제1 쇼울더(shoulder) 및 관절연결용 가드 표면 상의 제2 쇼울더에 의해 관절부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가드 부재와 립 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컬의 최저점은 제2의 동일한 슬래트의 본체와 제2의 인게이징 트랙의 교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옮겨지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 슬래트는,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춘 만곡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후킹 트랙(hooking track)이 제1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체와 후킹 트랙 사이에 굽힘부(bend)가 형성되고, 상기 후킹 트랙은 상기 본체의 볼록한 면 위로 돌출된다. 리시빙 트랙(receiving track)이 제2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리시빙 트랙은 상기 본체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가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오목한 면 아래로 립 부재가 돌출되게 된다. 상기 립 부재와 상기 가드 부재 사이에 관절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관절부 공간은 상기 후킹 트랙과 힌지식으로 결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다. 추가적인 변형예에 있어서, 셔터 슬래트는 롤링 셔터에 통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 개의 슬래트가, 스핀들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을 형성하며, 각각의 연속적인 슬래트의 후킹 트랙은 체인에서 선행하는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 내에 결합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슬래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슬래트의 입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킹 트랙(hooking track)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빙 트랙(receiving track)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rolling shutter)를 포함하는 윈도우 개구(window aperture)의 입면도이다.
도 6은 라인 A-A를 따라 취한, 트랙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슬래트의 수평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셔터 슬래트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셔터 슬래트의 협동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2개의 셔터 슬래트의 후킹 트랙과 리시빙 트랙 사이의 협동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 9는 셔터 슬래트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셔터 슬래트의 협동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셔터 슬래트의 측면도로서, 셔터 슬래트의 연속적인 와인딩(winding)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셔터 슬래트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수축 위치에 있는 도 11의 셔터 슬래트로 이루어지는 롤링 셔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셔터 슬래트에 관한 상세 측면도이다.
도 14는 셔터 슬래트의 추가적인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2개의 셔터 슬래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물 침투에 대한 내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장착된 롤링 셔터의 사진이다.
도 17은 시험 중에 물 침투를 나타내는, 도 16의 장치에 장착된 롤링 셔터의 사진이다.
도 18은 시험 중에 물 침투를 나타내지 않는, 도 16의 장치에 장착된 롤링 셔터의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슬래트(1)를 도시한 것이다. 예시로서, 셔터 슬래트(1)는, 본체 부분(4), 후킹 트랙(7; hooking track), 및 리시빙 트랙(8; receiving track)을 갖추고 사출된 알루미늄으로 된 가늘고 긴 본체이다. 본체 부분(4)은 외측으로 향하는 면(2), 내측으로 향하는 면(3), 제1 에지(5), 제2 에지(6), 제1 단부(15), 및 제2 단부(1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래트는 사출된 알루미늄으로 된 단일 플라이(ply)로 형성되지만, 이중 플라이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슬래트(1)의 측면도이다. 본체 부분(4)은 외측으로 향하는 면(2), 내측으로 향하는 면(3), 제1 에지(5), 및 제2 에지(6)를 갖춘 만곡된 단일 벽이다. 슬래트(1)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단면을 취하면, 본체 부분(4)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2)은 볼록한 단면을 가지며, 내측으로 향하는 면(3)은 오목한 단면을 갖는다. 외측으로 향하는 면(2)과 내측으로 향하는 면(3) 사이의 거리는 본체 부분(4)의 두께(50)를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간격(low-clearance) 셔터 슬래트(1)의 입면도이다. 후킹 트랙(7)의 상위 단부(52)와 리시빙 트랙(8)의 하위 단부(53) 사이의 거리는 슬래트(1)의 수직 높이(54)를 형성한다. 그러나, 롤링 셔터(9)에서의 각각의 슬래트(1)는 동일한 수직 높이(54)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당업자는, 슬래트(1)가 셔터 케이싱(12)(도 5 참고) 내로 롤(roll)에 대해 순응하는 한 슬래트(1)의 수직 높이(54)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완전 폐쇄 위치로 롤링 셔터(9)를 수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링 셔커(9)에서의 슬래트(1)의 수직 높이(54)를 변경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체 부분(4)의 제1 단부(15)와 제2 단부(16) 사이의 거리는 슬래트(1)의 전체적인 수평방향 폭(55)을 형성한다. 전체적인 수평방향 폭(55)은, 슬래트(1)로 이루어진 롤링 셔터(9)로 보호되도록 설계되는 건물 개구 또는 다른 개방부를 덮기에 충분히 넓어야만 한다.
외측으로 향하는 면(2) 및 내측으로 향하는 면(3)은 양자 모두 곡률 반경(51)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슬래트(1)가 스핀들(19)(도 9 참고) 주위를 감싸도록 순응하는 한 곡률 반경(51)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체 부분(4)의 곡률 반경(51) 및 전체적인 수직 높이(54)는 협동하여, 슬래트(1)에 의해 형성되는 롤링 셔터(9)가 스핀들(19) 주위로 수축될 때 롤링(rollin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 부분(4)의 곡률 반경(51), 전체적인 수직 높이(54), 및 두께(50)는, 슬래트(1)로 형성되는 롤링 셔터(9)의 권취 및 수축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리고 롤링 셔터(9)에 대해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도 3은, 완만한 오목 천이부로서 제1 에지(5)에서 본체 부분(4)에 연결되는 후킹 트랙(7)의 상세도이다. 후킹 트랙(7)은, 외측 표면(31), 내측 표면(32), 및 선단부(33)를 갖춘 후크(30; hook)를 포함한다. 후킹 트랙(7)은 본체 부분(4)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후킹 트랙(7)은 본체 부분(4)과 별개로 형성되어 본체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후킹 트랙(7)은 대안으로 제2 에지(6)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후킹 트랙(7)의 후크(30)는, 리시빙 트랙(8)의 관절부 공간(20)의 프로파일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치수 설정되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후크(30)는, 단일 반경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반경은 후크(30)의 프로파일을 따라 변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30)의 반경은 선단부(33)에 가까워질수도록 감소하게 된다.
외측 표면(31)은, 내측 표면(32)의 곡률 반경과 함께, 후킹 트랙(7)이 선단부(33)로부터 본체 부분(4)의 제1 단부(5)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56)를 갖도록 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킹 트랙(7)의 두께(56)는 본체 부분(4)의 두께(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후킹 트랙(7)은 또한, 제1 에지(5)로부터 상위 단부(52)까지 연장되는 수직 높이(57)를 갖는다.
도 4는, 제2 에지(6)에서 본체 부분(4)에 연결되는 리시빙 트랙(8)의 상세도이다. 리시빙 트랙(8)은, 립 부재(10; lip member), 가드 부재(11; guard member), 및 관절부 공간(20)을 포함한다. 리시빙 트랙(8)은 또한 리셉터클(23; receptacle)을 포함할 수 있다. 리시빙 트랙(8)은 본체 부분(4)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리시빙 트랙(8)은 본체 부분(4)과 별개로 형성되어 본체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리시빙 트랙(8)은, 제2 에지(6)로부터 하위 단부(53)까지 연장되는 수직 높이(58)를 갖는다. 그러나, 당업자는, 리시빙 트랙(8)이 후킹 트랙(7)과 결합되게 치수 설정되는 한 리시빙 트랙(8)의 수직 높이(58)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립 부재(10)는, 외측 립 표면(15), 관절 연결용 립 표면(16), 및 선단부(25)를 갖는다. 외측 립 표면(15)은 외측 립 벽(40) 및 외측 립 컬(41; outer lip curl)을 더 포함한다. 외측 립 표면(15)의 외측 립 벽(40)은 본체 부분(4)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3)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향하는 면(3) 및 외측 립 벽(40)의 곡률 반경(51)은 동일하게 되고, 내측으로 향하는 면(3)과 외측 립 벽(40) 사이에는 단절부(break)가 없게 된다. 이러한 공통 곡률 반경(51)은, 슬래트(1)로 이루어진 롤링 셔터(9)가 완전 폐쇄 위치로 수축될 때 슬래트(1)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최소화시킨다.
가드 부재(11)는 외측 가드 표면(17) 및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 articulating guard surface)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연결용 표면(16) 및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오목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한 관절 연결용 표면은, 추가적인 수직 간격을 제공할 필요 없이, 이웃하는 슬래트 사이에서 개선된 관절부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관절부 공간(20)은, 이웃한 슬래트(1)의 후킹 트랙(7)이 리시빙 트랙(8) 내에 수용되어 롤링 셔터(9)를 형성하는 공간이다. 립 부재(10)의 선단부(25) 및 가드 부재(11)의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은, 관절부 공간(20)과 연통하는 개구(22)를 형성한다. 이웃한 슬래트(1)의 후킹 트랙(7)의 후크(30)는, 개구(22)를 통해 관절부 공간(20) 내로 들어가도록 치수 설정된다. 관절부 공간(20)의 프로파일은, 후킹 트랙(7)의 후크(30)의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매칭(matching)되도록 치수 설정된다. 이웃하는 슬래트(1)의 후크(30)의 선단부(33)는 립 부재(10)의 관절 연결용 립 표면(16)에 대해 안착하여, 이웃하는 슬래트(1)의 후킹 부재(7)와 리셉터클 부재(8) 사이에 힌지를 형성한다. 이웃하는 슬래트(1)의 후크(30)의 외측 표면(31)은 가드 부재(11)의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에 접촉하여, 이웃하는 슬래트(1)의 후킹 부재(7)가 리셉터클 부재(8)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기술의 설계에 있어서, 리시빙 트랙은, 슬래트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인 얇은 가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가드 부재의 최저점은, 연통하는 립 부재의 최저점 아래로 연장된다. 가드 부재(11)는 종래 기술의 슬래트의 가드 부재보다 상당히 짧고, 슬래트(1)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가드 부재(11)의 최저점은 립 부재(10)의 최저점 위에서 종결된다. 가드 부재(11)가 립 부재에 비해 더 짧기 때문에, 상기 가드 부재는, 리시빙 트랙(8)을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출된 알루미늄의 양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이웃하는 슬래트(1)의 후킹 트랙(7)과 결합하는 지점에서 두껍게 되고 보강되며, 또한 추가적인 재료 소모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2개의 슬래트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가드 부재(11)의 증가된 두께는, 다른 슬래트(1)의 후킹 트랙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힌지를 분리시킬 수도 있는 과도한 관절부로부터 슬래트(1)을 보호한다.
리셉터클(23)은 유지 디바이스 또는 정렬 디바이스(29)(도 6 참고)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지 디바이스 또는 정렬 디바이스는, 스크류, 볼트, 또는 리셉터클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슬래트들을 서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및/또는 가이드(guide)에 대해 슬래트를 유지시킬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관절 연결용 립 표면(16)은, 관절부 공간(20)을 리셉터클(23)과 구분하도록 하는 쇼울더(27)을 가지며,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은, 관절부 공간(20)을 리셉터클(23)과 구분하도록 하는 쇼울더(28)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트(1)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리셉터클(23)은 쇼울더(27) 및 쇼울더(28) 위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4)과 개구(22) 사이에 리셉터클(23)을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리시빙 트랙(8)이 슬래트(1)의 제1 에지(5)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리셉터클(23)이 여전히 본체 부분(4)과 개구(2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리셉터클(23)은, 관절부 공간(20)과 별개이며 쇼울더(27 및 28)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인 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3)은, 관절부 공간(20)에 대해 개방되고 관절부 공간과 연통하는 부분을 갖는다. 이웃한 슬래트(1)의 후킹 트랙(7)은 제1 쇼울더(27)와 제2 쇼울더(28) 사이의 갭(gap)에 들어갈 수 없고, 리셉터클(23) 내에서 유지될 수 없다. 리셉터클(23)이 관절부 공간(20)과 개방 연통되어 있지만, 리셉터클(23)은 립 부재(10) 및 가드 부재(11)에 의해 그리고 이웃한 슬래트(1)의 후킹 트랙(7)에 의해, 먼지 및 오물(grime)이 합쳐진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원한다면, 리셉터클(23)이 관절부 공간(20)과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관절 연결용 표면(16) 및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은 쇼울더(27) 및 쇼울더(28)에서 연결되어, 제2 슬래트(1)의 후킹 트랙(7)에 대한 연속적인 하나의 관절 연결용 표면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창문 또는 문짝과 같은 빌딩 개구에 설치될 수 있는 롤링 셔터(9)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셔터 슬래트(1)의 입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간결성을 위해 건물 개구의 세부사항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빌딩 개구에는 또한 빌딩 개구의 대향하는 측방향 에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13 및 14) 그리고 셔터 케이싱(12)이 구비되어 있다. 롤링 셔터(9)는 셔터 케이싱(12) 내에서의 보관을 위해 롤 업(roll up)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트(1)의 제1 단부(15) 및 제2 단부(16)는, 가이드(13) 및 가이드(14)에 이웃한다. 유지 스크류(29)는, 단부(15, 16)와 가이드(13, 14)의 확실한 정렬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5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가이드(13) 및 유지 스크류(29)와 결합되어 있는 셔터 슬래트(1)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스크류(29)는 가이드(13)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셔터 슬래트(1)의 리셉터클(23)에 삽입되어 있다. 유지 스크류(29)의 헤드(44)는 리셉터클(23)로부터 돌출되며, 롤링 셔터(9)의 단부에 마련되는 수직 가이드(13) 내부에서 활주한다. 제시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스크류(29)는 리시빙 트랙(8) 내부에서의 후킹 트랙(7)의 피봇 또는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다. 제시된 바와 같이, 롤링 셔터의 최소화를 위해, 유지 스크류(29)의 헤드(44)의 직경은 리시빙 트랙(8)의 외부 프로파일보다 크지 않다. 유지 스크류(29)의 헤드(44)와 슬래트(1)의 제1 단부(15) 사이의 공간 때문에, 하나의 슬래트(1)의 리시빙 트랙(8)은 다른 슬래트(1)의 후킹 트랙(7)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수평방향 활주의 정도는 부분적으로 슬래트(1)의 제1 단부(15)와 유지 스크류(29)의 헤드(44) 사이의 공간에 의해 또는 가이드(13 및 14)의 구성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연장 부재를 갖춘 연장된 스크류(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유지 스크류(29)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연장된 스크류의 연장 부재는 유지 스크류(29)의 헤드(44)보다 더 길고, 침입 시도 또는 극심한 바람 상황 중에 더욱 양호하게 가이드(13 및 14) 내에서 롤링 셔터(9)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연장된 스크류의 예는 미국 특허 제7,784,52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슬래트(1a 및 1b)의 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슬래트(1a)의 리시빙 트랙(8) 및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의 협동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 7 및 도 8 양자 모두는, 셔터 슬래트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결합되어 있는 슬래트(1a) 및 슬래트(1b)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슬래트(1b)는 수직 위치, 즉 개방된 셔터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으며, 이때 슬래트(1a)의 수직 축선(59)은 실질적으로 또는 완벽하게 슬래트(1b)의 수직 축선(60)과 일직선을 이룬다. 슬래트들 사이에는 매우 적은 간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여전히, 하부 슬래트(1b)는 시계 방향으로 관절 운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은 슬래트(1a)의 리시빙 트랙(8)과 활주식으로 결합되어 슬래트(1a)와 슬래트(1b) 사이에 힌지를 형성한다. 슬래트(1b)의 후크(30)의 외측 표면(31)은 볼록하고, 립 부재(10)의 관절 연결용 립 표면(16)에 대해 그리고 슬래트(1a)의 가드 부재(11)의 관절 연결용 가드 표면(18)에 대해 안착한다. 슬래트(1b)의 후크(30)의 선단부(33)는 또한 슬래트(1a)의 립 부재(10)의 관절 연결용 립 표면(16)에 대해 안착한다. 슬래트(1a)의 립 부재(10)는 관절부 공간(20) 내에 슬래트(1b)의 후크(30)를 유지시킨다. 슬래트(1a)의 립 부재(10)의 선단부(25)는 슬래트(1b)의 후크(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로 연장된다. 또한, 슬래트(1a)의 립 부재(10)의 선단부(25)가 관절부 공간(20) 내로 감겨,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 및 슬래트(1a)의 리시빙 트랙(8)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에 대해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가드 부재(11)는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과 슬래트(1a)의 립 부재와의 연결부를 차폐하여,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이 슬래트(1a)의 리시빙 트랙(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드 부재(11)는,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 및 슬래트(1a)의 립 부재(10)가 슬래트(1a 및 1b)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2)에 인가되는 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방 위치에 있어서, 리시빙 트랙(8)의 중량 지탱 부분은 립 부재(10)이다.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은 슬래트(1a)의 가드 부재(11)와 직접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하위 트랙의 노출된 부분이 중량을 지탱하였던 종래 기술의 셔터보다, 슬래트(1a)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2)에 대한 손상 및 슬래트(1a)의 가드 부재(11)에 대한 손상에 의해 슬래트(1a)와 슬래트(1b) 사이의 관절 연결이 분리될 가능성이 적다.
립 부재(10) 및 가드 부재(11)의 구성에 대한 한 가지 장점은, 슬래트(1a 및 1b)가,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 및 슬래트(1a)의 리시빙 트랙(8)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에서 물을 보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슬래트(1a)의 립 부재(10)는, 그 최저점에서, 본체 부분(4) 및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의 교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본체 부재(4)와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의 교차부는 완만하게 천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물이 슬래트(1a) 및 슬래트(1b)의 교차부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 내로 배수되지 않으면서 슬래트(1a)의 립 부재(10)로부터 깔끔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슬래트(1)는 과도한 관절 연결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슬래트(1)를 이용하는 경우, 가드 부재(11)는 종래 기술의 슬래트에 비해 두껍게 되어 있다. 가드 부재(11)의 두께 및 립 부재(10)의 형상은, 슬래트(1)의 과도한 관절 연결을 방지하며, 후킹 부재(7) 상의 돌출부는 필요가 없다. 돌출부가 없기 때문에, 립 부재(10)에 떨어질 물을 보유할 채널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물을 보유하게 된다면, 물은 결빙될 것이고 힌지에 손상을 줄 것이다.
도 9는 슬래트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결합하는 2개의 슬래트(1c 및 1d)의 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트(1c)의 립 부재(10)의 선단부(25)는 슬래트(1d)의 후크(30)의 내측 표면(32)에 대해 동일한 면에 놓이게 되며, 슬래트(1c) 및 슬래트(1d)의 본체 부분(4)들은, 슬래트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둥근 원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원호는, 슬래트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롤링 셔터(9)의 슬래트(1)의 최초 서브조립체가 스핀들(19)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에 놓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슬래트(1)의 후속하는 서브조립체가 최초 서브조립체 주위에서 그리고 다른 서브조립체 주위에서 유사한 원호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당업자는, 롤링 셔터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롤링 셔터(9)에 대해 요구되는 전반적인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슬래트와 스핀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슬래트의 원호를 변경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가드 부재(11)의 형상은, 셔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래트(1)의 롤링 셔터(9)의 전체적인 반경을 추가로 최소화시킨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드 부재(11)는 종래 기술의 슬래트에서보다 더 짧고 더 두꺼우며, 가드 부재(11)의 최저점은, 슬래트(1)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립 부재(10)의 최저점 위에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트(1c 및 1d)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스핀들(19)의 중심(65)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지점에 있어서, 슬래트(1c)의 가드 부재(11)는, 스핀들(19)의 중심(65)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지점에서의 슬래트(1d)의 후킹 트랙(7)과 비교하여, 스핀들(19)의 중심(65)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스핀들(19)을 순환하는 슬래트의 각각의 서브조립체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적인 반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셔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래트(1)의 롤링 셔터(9)의 전체적인 반경을 최소화시킨다. 더욱이, 가드 부재(11)의 외측 표면은 본체의 만곡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롤-업된 셔터 슬래트의 전체적인 반경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래트에는 슬래트의 본체와 후킹 트랙 사이에서 굽힘부 또는 오목부가 마련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래트(1)는 제1 에지(5)에서 후킹 트랙(7)과 본체(4) 사이에 굽힘부를 갖는다. 상기 굽힘부는, 이웃한 슬래트들 사이에서의 힌지가 완만한 천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은, 수직 위치에 있어서의 슬래트(1a)와 슬래트(1b) 사이의 힌지를 도시한 것이다. 슬래트(1b)의 후킹 트랙(7)이 슬래트(1a)의 리시빙 트랙(8)에 결합되면, 상기 굽힘부는, 가드 부재(11)의 외측 가드 표면(17)과 후크(30)의 외측 표면(31) 사이에 완만한 천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완만한 천이부는, 물이 힌지 내로 수집 및 배수되는 일 없이 힌지를 넘어 깔끔하게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굽힘부의 각도가 더 예리해질수록, 힌지 내로의 물의 침투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슬래트 구성에 있어서, 본체와 후킹 트랙 사이의 굽힘부의 존재는, 롤링 셔터를 완전 폐쇄 위치로 수축시키는 데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시키는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은 슬래트(1)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후킹 트랙(7) 및 리시빙 트랙(8)은 슬래트의 본체(4)의 볼록한 만곡부 위로 돌출되고, 즉 외측으로 향하는 면(2)으로부터 돌출된다. 후킹 트랙(7) 및 리시빙 트랙(8)의 결합은 힌지(62)를 형성하는데, 상기 힌지는 슬래트(1)의 볼록한 공통 만곡부 위로 돌출하며, 연속적인 와인딩(winding)에서 이웃하는 슬래트들의 본체(4)들 사이에 갭(64; gap)을 형성한다. 이러한 갭은, 셔터가 수축 위치 또는 완전 폐쇄 위치로 롤(roll)될 때 컴팩트한 맞춤을 방해한다.
수축 위치에서의 롤링 셔터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은 본체와 후킹 트랙 사이의 굽힘부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슬래트의 본체의 오목한 만곡부 아래로 돌출하는, 즉 내측으로 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시빙 트랙을 갖춘 슬래트를 형성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의 오목한 만곡부 아래로 돌출하는 립 부재를 갖춘 리시빙 트랙을 갖는 슬래트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리시빙 트랙의 가드 부재는 본체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트(100)는, 제1 에지(105) 및 이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106)를 갖춘 본체(104)를 갖는다. 본체(104)는, 곡률 반경(151)을 갖는 만곡부,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한 면(102), 및 내측으로 향하는 오목한 면(103)을 갖는다. 후킹 트랙(107)은 제1 에지(105)에서 본체(104)에 연결되며, 리시빙 트랙(108)은 제2 에지(106)에서 본체에 연결된다.
리시빙 트랙(108)은, 립 부재(110), 가드 부재(111), 및 관절부 공간(120)을 포함한다. 립 부재(110)는, 본체(104)의 단부(106)에 이웃한 베이스(168; base) 및 외측 립 벽(140)을 포함한다. 립 부재(110)는, 본체(104)의 내측으로 향하는 오목한 면(103) 아래로 높이(166)만큼 돌출된다. 가드 부재(111)는 본체(104)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된다. 관절부 공간(120)은, 립 부재(110)와 가드 부재(111)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122)와 연통한다. 관절부 공간(120)은, 후킹 트랙(107)과 힌지식으로 결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된다. 리시빙 트랙(108)은 또한 립 부재(110)와 가드 부재(111) 사이에 형성되는 리셉터클(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지 디바이스 또는 정렬 디바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된다.
후킹 트랙(107)은, 외측 표면(131), 내측 표면(132), 본체(104)의 단부(105)에 이웃한 베이스(170) 및 선단부(133)를 갖춘 후크(130)를 포함한다. 후크(130)는, 리시빙 트랙(108)의 관절부 공간(120)의 크기 및 형상에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된다. 내각(174)을 갖는 굽힘부(172)가 후킹 트랙(107)과 본체(104) 사이에 형성된다. 굽힘부(172)는, 본체(104)의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한 면(102) 위로 높이(176)만큼 후킹 트랙(107)이 돌출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은, 스핀들(119)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슬래트(100)를 포함하는, 수축 위치에서의 롤링 셔터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연속적인 슬래트(100)의 후킹 트랙(107)은 상기 체인에서 선행하는 슬래트(100)의 리시빙 트랙(108) 내에서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수축 위치에 있어서, 슬래트의 체인은, 스핀들에 대해 점점 원위에 위치하게 되는 일련의 와인딩(winding)으로 스핀들(119) 주위에 권취된다.
단일 와인딩의 예가 슬래트(100a, 100b, 100c, 100d, 및 100e)로써 도시되어 있고, 즉 여기서 슬래트(100a)는 스핀들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게 되는 와인딩에서의 최초 슬래트이며, 슬래트(100e)는 스핀들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게 되는 와인딩에서의 최종 슬래트이고, 슬래트(100b, 100c, 및 100d)는 최초 슬래트(100a)와 최종 슬래트(100e)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중간 슬래트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슬래트(100a)의 후킹 트랙(107a)은 최종 슬래트(100e)의 리시빙 트랙(108e)에 이웃하게 위치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최종 슬래트(100e)의 본체(104e)는 최초 슬래트(100a)의 후킹 트랙(107a)과 중첩된다. 반대로, 제1 슬래트(100a)의 본체(104a)는 최종 슬래트(100e)의 리시빙 트랙(108e)의 아래에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중간 슬래트(100b, 100c 및 100d)는 후킹 트랙(107)을 가지며, 이 후킹 트랙은 리시빙 트랙(108)에 이웃하게 위치하게 되고 연속하는 와인딩에서 슬래트의 본체(104)에 의해 중첩되며, 상기 중간 슬래트는 연속적인 와인딩에서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108)의 아래에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되는 본체(104)를 갖는다.
수축 위치에서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슬래트(100)는, 본체(104)의 볼록한 면(102) 위로(위측으로) 후킹 트랙(107)이 돌출하는 높이(176)와 대략 동일한 높이(166)에서 본체(104)의 오목한 면(103) 아래로(내측으로) 돌출하는 립 부재(110)를 갖춘 리시빙 트랙(108)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시빙 트랙(108)의 가드 부재(111)는 본체(104)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부를 가지며, 리시빙 트랙(108)의 립 부재(110)의 외측 벽(140)은, 본체(104)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한 곡률을 또한 갖추고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104)의 단부(106)에 이웃하는 리시빙 트랙(108)의 베이스(168)는, 본체(104)의 단부(105)에 이웃하는 후킹 트랙(107)의 베이스(170)의 크기 및 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크기 및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104)의 곡률 및 수직 높이는, 수축 위치에서의 롤링 셔터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12에서 명확하게 제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연속적인 와인딩의 반경 및 둘레는 스핀들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슬래트(100)의 곡률 반경(151)은 스핀들(119)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으며, 즉 스핀들에 근접한 슬래트의 본체(104)의 곡률 반경은 스핀들에 대해 원위에 있는 슬래트의 곡률 반경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래트(100)의 높이는 스핀들(119)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으며, 즉 스핀들에 근접한 슬래트의 본체(104)의 단부(105)와 단부(106) 사이의 높이는 스핀들에 대해 원위에 있는 슬래트의 높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굽힘부(172)의 내각(174)은 롤링 셔터에서의 슬래트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체(104)의 곡률 반경(151)이 증가할수록 굽힘부(172)의 내각(174)이 또한 증가하여 본체의 더 평평한 만곡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와인딩에서 이웃하는 슬래트들의 본체들 사이의 임의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스핀들(119)에 근접하는 슬래트(100)의 굽힘부(172)의 내각(174)은 스핀들에 대해 원위에 있는 슬래트의 내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수축 위치에서의 롤링 셔터의 각각의 와인딩은 동일한 개수의 슬래트를 갖는다. 도 12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와인딩은 5개의 슬래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힌지(162)는 선행하는 힌지에 대해 안착하여 컴팩트한 롤(roll)을 형성한다.
수축 위치에서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에 덧붙여, 이러한 실시예는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리시빙 트랙(108)은, 본체(104)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을 갖춘 가드 부재(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하는 오목한 면(103) 아래로 돌출하는 립 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한 면에서의 힌지(162)의 프로파일을 최소화하며, 결합된 셔터 슬래트(100)들 사이에서의 천이를 완만하게 하는데, 이는 물이 롤링 셔터의 외측 표면으로 더욱 깔끔하게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힌지 내로 물이 수집 및 배수될 수 있는 임의의 돌출 표면을 감소시킨다. 힌지(162)의 최소 프로파일은 또한 롤링 셔터의 외측으로 향하는 외부 면(102)에 대한 리시빙 트랙(108) 및 후킹 트랙(107)의 노출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노출을 감소시키지 않으면, 전술한 노출은 결합된 셔터 슬래트들이 강제로 떨어지게 하는 연약점을 제공할 수 있다. 리시빙 트랙(108) 및 후킹 트랙(107)의 결합은 롤링 셔터의 내부 면(103)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가드 부재(111)가, 셔터 슬래트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102)에 대해 인가되는 힘으로부터 후킹 트랙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슬래트는 힌지(262)의 프로파일을 더욱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체(204), 후킹 트랙(207), 및 리시빙 트랙(208)을 갖춘 슬래트(200)를 도시한 것이다. 본체(204)는, 반경(251)을 갖는 만곡부를 갖추고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한 표면(202)을 갖는다. 리시빙 트랙(208)은, 본체(204)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202)의 만곡부를 따라 대체로 연장되는 외측 가드 표면(217)을 갖춘 가드 부재(21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외측 가드 표면(217) 및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202)은 대체로 연속적인 만곡부를 갖는 표면을 형성하는데, 이는 힌지(262)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의 프로파일을 더욱 최소화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킹 트랙(207)은 또한 힌지(262)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의 프로파일을 최소화시키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된다.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슬래트들이 수직 위치에 있을 때, 후킹 트랙(207)의 외측 표면(231)은 일반적으로 리시빙 트랙(208)의 외측 가드 표면(217)에 대한 접선(평면)(264) 너머로 돌출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킹 트랙(207)이 리시빙 트랙(208) 내에 결합되어 있을 때, 외측 표면(231) 및 외측 가드 표면(217)은,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202)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힌지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힌지 표면 및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202)은 대체로 연속적인 만곡부를 갖는 표면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슬래트들이 수직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슬래트들 사이의 이음부는 실질적으로 2개의 셔터 슬래트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202)의 곡률(251)들 사이의 교차부이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도 12에서의 이웃하는 수직 슬래트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도록 포함된 것이다. 당업자라면, 이하의 예에 개시된 기법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양호하게 기능하도록 발명자에 의해 확인된 기법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바람직한 양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다수의 변경이 행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일한 결과 또는 유사한 결과를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구성을 갖는 셔터 슬래트를 물 침투에 대한 내성에 관해 시험하였다. 셔터 슬래트(A)는 종래의 슬래트 구성을 가지며, 여기서 리시빙 트랙은 슬래트의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한 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셔터 슬래트(B)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슬래트 구성과 유사한 슬래트 구성을 갖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 또는 버크(buck)에 셔터를 장착함으로써 시험을 행하였다. 셔터의 이웃한 슬래트들 사이의 힌지는 셔터의 중량에 의해 압축되었다. 셔터의 외측 면 상에 스프레이 랙(spray rack)이 위치하였으며, 여기서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은 슬래트의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한 면을 향해 지향되었다. 스프레이 노즐은 힌지 상에 센터링(centering)되었으며, 여기서 분무 각도는 수평으로부터 0 도, +45 도 또는 -45 도이었다. 10분의 주기로, 3 gpm(gallons per minute), 4 gpm, 또는 5 gpm의 유량으로 셔터에 대해 물이 분무되었다. 외부 면으로부터 힌지를 통해 침투하는 물의 양(ml)을 측정하기 위해, 캐치 트로프(catch trough)가 셔터의 내부 면 상에, 셔터의 하부에 위치하였다.
0° 분무 각도 +45° 분무 각도 -45° 분무 각도
5 gpm 4 gpm 3 gpm 5 gpm 4 gpm 3 gpm 5 gpm 4 gpm 3 gpm
슬래트 A 20 ml 측정 불가능 0 ml 측정 불가능 0 ml 0 ml 0 ml 0 ml 0 ml
슬래트 B 0 ml 0 ml 0 ml 0 ml 0 ml 0 ml 0 ml 0 ml 0 ml
[물 침투 결과]
물 침투 시험의 결과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0 도의 분무 각도로 5 gpm만큼 분무되었을 때 상당한 양의 물이 종래의 셔터 구성 슬래트 A를 침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힌지로부터의 즉각적이고 꾸준한 낙수가 관찰되었다. 또한, 0 도의 분무 각도 및 4 gpm의 유량 그리고 +45 도의 분무 각도 및 5 gpm의 유량에서는 측정 불가능한 양의 물이 생성되는, 단일 힌지로부터의 느린 낙수가 관찰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구성 슬래트 B에서는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물의 침투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설명된 구조 및 기법에 대해, 앞서 설명한 것에 추가된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전혀 한정하지 않는다.

Claims (20)

  1. 롤링 셔터를 위한 슬래트(slat)로서,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춘 만곡부(curvature),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단일 벽 본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하는 후킹 트랙(hooking track);
    상기 본체와 상기 후킹 트랙 사이에 형성되는 굽힘부(bend)로서, 상기 후킹 트랙은 상기 본체의 볼록한 면 위로 돌출되는 것인 굽힘부;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하는 리시빙 트랙(receiving track)으로서, 상기 리시빙 트랙은 상기 본체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가드 부재(guard member) 및 상기 본체의 오목한 면 아래로 돌출하는 립 부재(lip member)를 포함하는 것인 리시빙 트랙; 및
    상기 립 부재와 상기 가드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관절부 공간으로서, 상기 관절부 공간은 상기 후킹 트랙과 힌지식으로 결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되는 것인 관절부 공간
    을 포함하는 슬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 부재는 제1 높이로 상기 본체의 오목한 면 아래로 돌출하고, 상기 후킹 트랙은, 상기 제1 높이와 대략 동일한 제2 높이로 상기 본체의 볼록한 면 위로 돌출하는 것인 슬래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 트랙은 상기 본체에 이웃한 제1 베이스(base)를 포함하며, 상기 립 부재는 상기 본체에 이웃한 제2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는 상보적으로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되는 것인 슬래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볼록한 면은 제1 표면 만곡부를 갖춘 제1 표면을 갖고, 상기 가드 부재는 제1 표면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표면을 갖는 것인 슬래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 부재는 상기 본체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제3 곡률을 갖는 것인 슬래트.
  6. 롤링 셔터(rolling shutter)로서,
    스핀들(spindle);
    복수 개의 슬래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슬래트는,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춘 만곡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단일 벽 본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하는 후킹 트랙(hooking track);
    상기 본체와 상기 후킹 트랙 사이에 형성되는 굽힘부(bend);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하는 리시빙 트랙(receiving track)으로서, 상기 리시빙 트랙은 상기 본체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가드 부재(guard member) 및 상기 본체의 오목한 면 아래로 돌출하는 립 부재(lip member)를 포함하는 것인 리시빙 트랙;
    상기 립 부재와 상기 가드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관절부 공간으로서, 상기 관절부 공간은 상기 후킹 트랙과 힌지식으로 결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되는 것인 관절부 공간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는 상기 스핀들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을 형성하고, 각각의 연속적인 슬래트의 후킹 트랙은 체인에서 선행하는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 내에 결합되는 것인 롤링 셔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트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롤링 셔터는, 적어도 하나의 슬래트가 스핀들에 대해 근위에 있고 하나의 슬래트가 스핀들에 대해 원위에 있는 상태에서 복수 개의 슬래트가 스핀들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것인 수축 위치를 갖고, 상기 근위의 슬래트의 높이는 상기 원위의 슬래트의 높이보다 짧은 것인 롤링 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높이는 스핀들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인 롤링 셔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만곡부는 반경을 가지며, 상기 근위의 슬래트의 반경은 상기 원위의 슬래트의 반경보다 짧은 것인 롤링 셔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반경은 스핀들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인 롤링 셔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후킹 트랙 사이의 굽힘부는 각도를 가지며, 상기 근위의 슬래트의 상기 각도는 상기 원위의 슬래트의 상기 각도보다 작은 것인 롤링 셔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각도는 스핀들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인 롤링 셔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는, 복수 개의 연속적인 와인딩(winding)으로 스핀들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것인 롤링 셔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인딩은 제1 와인딩 및 연속하는 제2 와인딩을 갖고, 상기 제1 와인딩에서의 슬래트의 후킹 트랙은 상기 본체에 의해 중첩되며, 상기 연속하는 제2 와인딩에서의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에 이웃하는 것인 롤링 셔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은 일련의 슬래트를 포함하며, 상기 일련의 슬래트는 스핀들에 대해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최초 슬래트 및 스핀들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최종 슬래트를 갖고, 상기 최초 슬래트의 후킹 트랙은 상기 본체에 의해 중첩되며, 최종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에 이웃하는 것인 롤링 셔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슬래트는 상기 최초 슬래트와 상기 최종 슬래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슬래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슬래트의 후킹 트랙은 상기 본체에 의해 중첩되며, 연속하는 와인딩에서의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에 이웃하는 것인 롤링 셔터.
  17.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와인딩은 동일한 개수의 슬래트를 포함하는 것인 롤링 셔터.
  18.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와인딩은 5개의 슬래트를 포함하는 것인 롤링 셔터.
  19. 롤링 셔터(rolling shutter)로서,
    제1 슬래트 및 제2 슬래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슬래트는,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춘 만곡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단일 벽 본체로서, 상기 볼록한 면은 제1 표면 만곡부를 갖춘 제1 표면을 갖는 것인 단일 벽 본체;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하는 후킹 트랙(hooking track)으로서, 제2 표면을 갖는 후킹 트랙;
    상기 본체와 상기 후킹 트랙 사이에 형성되는 굽힘부;
    상기 제2 단부에 위치하는 리시빙 트랙(receiving track)으로서, 상기 리시빙 트랙은 상기 본체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가드 부재(guard member) 및 상기 본체의 오목한 면 아래로 돌출하는 립 부재(lip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는 제3 표면을 갖는 것인 리시빙 트랙; 및
    상기 립 부재와 상기 가드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관절부 공간으로서, 상기 관절부 공간은 상기 후킹 트랙과 힌지식으로 결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되는 것인 관절부 공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래트의 후킹 트랙이 상기 제2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에 결합되며 제1 슬래트 및 제2 슬래트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슬래트의 제2 표면은 상기 제2 슬래트의 제3 표면에 대한 접선 너머로 돌출하지 않는 것인 롤링 셔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래트의 후킹 트랙이 상기 제2 슬래트의 리시빙 트랙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표면 및 상기 제3 표면은 상기 제1 표면 만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힌지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롤링 셔터.
KR1020177019899A 2014-12-18 2014-12-18 셔터 슬래트 KR102207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71241 WO2016099517A1 (en) 2014-12-18 2014-12-18 Shutter sl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750A KR20180011750A (ko) 2018-02-02
KR102207771B1 true KR102207771B1 (ko) 2021-01-25

Family

ID=5612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899A KR102207771B1 (ko) 2014-12-18 2014-12-18 셔터 슬래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3234294B1 (ko)
JP (1) JP6503087B2 (ko)
KR (1) KR102207771B1 (ko)
CN (1) CN107636246B (ko)
AU (1) AU2014414032B2 (ko)
CA (1) CA2971602C (ko)
ES (1) ES2875065T3 (ko)
MX (1) MX2017008022A (ko)
RU (1) RU2688887C2 (ko)
WO (1) WO2016099517A1 (ko)
ZA (1) ZA2017048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9821A1 (en) * 2017-10-30 2019-05-09 Qualitas Manufacturing Incorporated Rolling shutter slat
IT201800002716A1 (it) * 2018-02-15 2019-08-15 Sipar S R L Dispositivo distanziatore per doghe di tapparelle o serran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4731B1 (en) 2009-04-02 2013-11-19 Rollac Shutter Of Texas, Inc. Shutter slat for a rolling shutter system
US8857497B1 (en) 2009-04-02 2014-10-14 Rollac Shutter Of Texas, Inc. Rolling shutter system with a plurality of single wall slats
US20150267464A1 (en) 2012-02-20 2015-09-24 James V. Miller Shutter Slat and Compact Shut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0850A (en) * 1926-04-09 1929-07-16 Negrini Bruno Roller shutter for shop fronts, doors, windows, and the like
DE806286C (de) 1948-01-14 1951-06-14 Carl Kauffmann Rolladen
DE3912528A1 (de) * 1989-04-17 1990-10-18 Braas & Co Gmbh Rollo
JP3220807B2 (ja) * 1991-11-20 2001-10-2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シャッター
FR2751023B1 (fr) * 1996-07-12 1998-10-30 Franciaflex Volet roulant a lames minces, jointives et a bords francs
US6095225A (en) 1998-08-17 2000-08-01 Miller; James V. Shutter slat with integrated screw boss
US7357171B2 (en) * 2004-03-17 2008-04-15 Qmi Security Solutions Low-clearance shutter slat
US7784522B2 (en) 2004-03-17 2010-08-31 Qualitas Manufacturing Incorporated Locator and shutter slat
CN2729284Y (zh) * 2004-09-22 2005-09-28 曹连雅 一种铝合金卷帘门
US7409980B1 (en) * 2007-04-19 2008-08-12 Michael Heissenberg Rolling shutter assembly
FR2945313B1 (fr) * 2009-05-07 2011-04-22 Profilmar Rideau de securite transparent
JP6035748B2 (ja) * 2012-01-25 2016-11-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
WO2013126453A2 (en) * 2012-02-20 2013-08-29 Qualitas Manufacturing Incorporated Improved shutter sl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4731B1 (en) 2009-04-02 2013-11-19 Rollac Shutter Of Texas, Inc. Shutter slat for a rolling shutter system
US8857497B1 (en) 2009-04-02 2014-10-14 Rollac Shutter Of Texas, Inc. Rolling shutter system with a plurality of single wall slats
US20150267464A1 (en) 2012-02-20 2015-09-24 James V. Miller Shutter Slat and Compact Shut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414032A1 (en) 2017-08-03
RU2688887C2 (ru) 2019-05-22
JP6503087B2 (ja) 2019-04-17
CA2971602A1 (en) 2016-06-23
MX2017008022A (es) 2018-01-16
AU2014414032B2 (en) 2020-07-02
JP2018508676A (ja) 2018-03-29
CN107636246A (zh) 2018-01-26
RU2017125372A3 (ko) 2019-01-21
EP3234294B1 (en) 2021-05-26
WO2016099517A1 (en) 2016-06-23
CA2971602C (en) 2021-09-21
EP3234294A1 (en) 2017-10-25
RU2017125372A (ru) 2019-01-21
ZA201704828B (en) 2018-04-25
KR20180011750A (ko) 2018-02-02
EP3234294A4 (en) 2018-10-17
CN107636246B (zh) 2019-10-08
ES2875065T3 (es)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291B2 (en) Shutter slat and compact shutter assembly
US10465440B2 (en) Shutter slat
US7357171B2 (en) Low-clearance shutter slat
AU2005223662B2 (en) Improved locator and shutter slat
US8944137B2 (en) Shutter slat
JP5683947B2 (ja) 巻き取り式シャッタアセンブリ
US20160069130A1 (en) Cordless blind system and retro-fit method
KR102207771B1 (ko) 셔터 슬래트
US9909359B2 (en) Covering device
CN211692071U (zh) 具有防蚊功能的折叠推拉窗
CA3097254A1 (en) Retractable screen system and fenestration assembly
CN115199179A (zh) 一种铝合金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