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575B1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575B1
KR102207575B1 KR1020150087220A KR20150087220A KR102207575B1 KR 102207575 B1 KR102207575 B1 KR 102207575B1 KR 1020150087220 A KR1020150087220 A KR 1020150087220A KR 20150087220 A KR20150087220 A KR 20150087220A KR 102207575 B1 KR102207575 B1 KR 10220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ack bar
belt member
input
drive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703A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5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2009/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는: 랙바와, 랙바의 일측부에 치합되고, 운전자의 조향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인풋조립체와, 랙바의 타측부에 치합되고, 벨트부재의 회전구동에 의해 인풋조립체와 함께 랙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아웃풋조립체와, 인풋조립체에 걸리는 토크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아웃풋조립체를 구동시키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조향력을 어시스트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속 센서 및 조향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 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 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하며, 비상 상황에서는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는 전동 스티어링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스티어링 장치는 펌프에서 유압을 형성하여 조향력을 어시스트(assist)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EHPS, 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시스템과, 모터의 회전력으로 조향력을 어시스트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핸들축 중간부의 컬럼을 회전시키는 C-MDPS(column-MDPS) 방식과, 핸들축 단부의 피니언 기어를 돌리는 P-MDPS(pinion-MDPS) 방식, 모터의 구동력으로 랙바(rack bar)의 축이동을 구현하는 R-MDPS(Rack assist-MDPS)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P R-MDPS(Dual Pinion R-MDPS) 방식은 웜샤프트(worm shaft)와 웜휠(worm wheel)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랙바에 전달하고 있으나, 외부충격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감쇄하기 위해 ARS(Anti-Rattle Spring), 뎀핑부쉬, 뎀핑베어링 등의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운전자의 조향 조작 시 타이어의 반력이 클수록 모터의 토크가 높게 요구되는데, 모터가 순간적으로 고출력되는 경우 웜샤프트가 ARS의 스프링력을 압도하면서 틸팅되고, 이로 인해 모터의 회전력이 랙바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조향장치의 응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5041호(2015.01.14.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가능하면서 조향 응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는: 랙바; 상기 랙바의 일측부에 치합되고, 운전자의 조향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인풋조립체; 상기 랙바의 타측부에 치합되고, 벨트부재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인풋조립체와 함께 상기 랙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아웃풋조립체; 및 상기 인풋조립체에 걸리는 토크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웃풋조립체를 구동시키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랙바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풋조립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 및 상기 연장바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웃풋조립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풋조립체는, 운전자의 조향력을 전달받는 인풋샤프트; 상기 인풋샤프트와 동축 상에 연결되고, 상기 랙바와 치합되는 인풋피니언; 일측부가 상기 인풋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인풋피니언과 연결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에 걸리는 비틀림 토크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로 송신하는 토크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풋조립체는,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토크를 상기 벨트부재에 전달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와 동축 상에 연결되고, 상기 랙바와 치합되는 아웃풋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강성본체부; 및 비금속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본체부 사이의 틈새를 채우도록 상기 강성본체부에 결합되는 연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의 접촉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을 가지는 풀리치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벨트부재와 접하는 풀리본체부; 및 상기 풀리본체부의 외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재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을 가지는 벨트치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치합부는, 상기 풀리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상대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풋조립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아웃풋피니언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벨트부재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력을 랙바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웜샤프트와 웜휠을 이용해 모터의 회전력을 랙바측으로 전달하던 기존과 비교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웜샤프트와 웜휠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감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던 ARS, 뎀핑부쉬, 뎀핑베어링 등의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부재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력을 손실 없이 안정되게 랙바로 전달할 수 있어, 기존에 모터가 순간적으로 고출력되거나, 외부충격하중이 랙바에 작용하는 경우 웜샤프트가 틸팅됨으로 인해 모터의 회전력이 랙바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던 것을 해결하여, 조향 응답성 및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아웃풋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벨트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아웃풋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벨트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1)는 랙바(10), 인풋조립체(20), 아웃풋조립체(30), 전자제어장치(40)를 포함한다.
랙바(10)는 차륜에 연결된 한 쌍의 타이로드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그 연장방향, 즉 축방향으로 이동(이하 '축이동'이라 한다)되는 것에 의해 차륜을 조향시키게 된다. 인풋조립체(20)는 랙바(10)의 일측부에 치합되고, 운전자의 조향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아웃풋조립체(30)는 랙바(10)의 타측부에 치합되고, 벨트부재(34)를 매개로 하여 모터(31)의 토크를 전달받아 회전구동된다.
인풋조립체(20)와 아웃풋조립체(30)는 랙바(1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치합된 상태로 동일한 변위로 회전되면서 함께 랙바(10)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랙바(10)는 그 길이방향 일측부와 타측부가 각각 인풋조립체(20)와 아웃풋조립체(30)에 접한 상태로, 인풋조립체(20)와 아웃풋조립체(30)의 회전구동에 연동하여 안정적으로 축이동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40)는 인풋조립체(20)에 걸리는 토크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아웃풋조립체(30)의 모터(31)를 구동시킨다. 전자제어장치(40)는 인풋조립체(20)에 걸리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센서(24)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조향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조향 상태를 토대로 모터(31)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인풋조립체(20)와 아웃풋조립체(30)가 랙바(10)에 동일한 변위로 수평방향 이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바(10)는 연장바(11), 제1랙기어부(12), 제2랙기어부(13)를 포함한다.
연장바(11)는 일자형 막대 형상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차륜에 연결된 한 쌍의 타이로드와 각각 연결된다. 제1랙기어부(12)는 인풋조립체(20)와 치합되는 부분으로, 연장바(11)의 길이방향 일측부에 랙기어(rack gear)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랙기어부(13)는 아웃풋조립체(30)와 치합되는 부분으로, 연장바(11)의 길이방향 타측부에 랙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풋조립체(20)는 인풋샤프트(21), 인풋피니언(22), 토션바(23), 토크센서(24)를 포함한다.
인풋샤프트(21)는 인풋조립체(20) 중 운전자의 조향력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운전자가 조향 조작하는 핸들의 핸들축과 연결된다. 인풋피니언(22)은 제1랙기어부(12)에 치합되는 부분으로, 인풋샤프트(21)와 동축 상에 연결되고 인풋샤프트(21)와 동일한 각변위로 회전된다. 인풋샤프트(21)로 입력된 운전자의 조향력은 인풋피니언(22)을 통해 랙바(10)로 전달된다.
토션바(23)는 인풋샤프트(21)의 중심부와 인풋피니언(22)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측부가 인풋샤프트(21)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인풋피니언(22)과 연결된다. 인풋샤프트(21) 상의 토크가 인풋피니언(22)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토션바(23)에는 비틀림 토크가 걸리게 된다.
토크센서(24)는 토션바(23)에 걸리는 비틀림 토크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40)로 송신한다. 토크센서(24)로는 토크 측정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크센서(24)는 토크 측정 센서를 토션바(32)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24)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션바(23)에 걸리는 비틀림 토크에 관한 정보를 전자제어장치(40)로 송신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설치 위치 또한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풋조립체(30)는 모터(31),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 벨트부재(34), 아웃풋피니언(35), 완충부재(36)를 포함한다.
모터(31)는 전자제어장치(40)의 출력 신호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구동풀리(32)는 모터(31)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연결된다. 종동풀리(33)는 구동풀리(32)보다 랙바(10)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고, 구동풀리(32)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벨트부재(34)는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에 접한 상태로 무한궤도로 회전된다. 모터(31)의 토크는 구동풀리(32)를 통해 벨트부재(34)로 전달되고, 벨트부재(34)는 종동풀리(3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종동풀리(33)로 토크를 전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는 풀리본체부(321, 331)와 벨트치합부(322, 332)를 포함한다.
구동풀리(32)의 풀리본체부(321)는 원형의 풀리(pulley) 형상을 가지고, 모터(31)와 동축 상에 연결된다. 구동풀리(32)의 벨트치합부(322)는 풀리본체부(321)의 외면부 상에 벨트부재(34)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종동풀리(33)의 풀리본체부(331)는 구동풀리(32)의 풀리본체부(321)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아웃풋피니언(35)과 동축 상에 연결된다. 종동풀리(33)의 벨트치합부(332)는 풀리본체부(331)의 외면부 상에 벨트부재(34)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벨트부재(34) 중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와의 접촉부에는 벨트치합부(322, 332)와 치합되는 풀리치합부(34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 벨트부재(34)는 벨트치합부(322, 332)와 풀리치합부(343)가 상호 치합된 상태로 벨트부재(34)의 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회전변위의 손실 없이 안정되게 연동,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치합부(322, 332)는 풀리본체부(321, 331)의 축방향에 대해 상대각도(θ)(예를 들어, 5° 등)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열된다. 벨트치합부(322, 332)를 이루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경사지게 배열함으로써, 벨트치합부(322, 332), 풀리치합부(343) 각각을 이루는 기어치 하나의 연장 길이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어, 벨트치합부(322, 332), 풀리치합부(343)간의 접촉면적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 벨트부재(34)간의 치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치합부(322, 332)를 이루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경사지게 배열함으로써, 벨트치합부(322, 332), 풀리치합부(343) 각각을 이루는 기어치 하나가 각각의 이동 궤적 상에 점 형태의 한 지점이 아니라 호(弧)형상, 직선 형상 등 선형의 형태로 보다 연장되게 걸쳐져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동풀리(33)의 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을 정면이라 가정하고, 종동풀리(33)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경우, 종동풀리(33)의 외주부 중 회전중심부를 기준으로 설정각도에 위치되는 한 지점에 기어치 하나가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외주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연장된 범위에 걸쳐 하나의 기어치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치합부(322, 332), 풀리치합부(343)의 기어치가 보다 확장된 영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상호 접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 벨트부재(34)간의 치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34)는 강성본체부(341), 연질결합부(342), 풀리치합부(343)를 포함한다.
강성본체부(341)는 벨트부재(34)에 걸리는 토크에 의해 신장 변형되지 않는 금속재 등의 강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물망 구조를 가진다. 연질결합부(342)는 고무, 우레탄 등의 비금속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강성본체부(341) 사이의 틈새를 채우도록 강성본체부(341)에 결합된다.
연질결합부(342)는 강성본체부(341) 사이의 틈새를 이용해 강성본체부(341)와 보다 안정적으로 접속, 밀착될 수 있고, 강성본체부(341)를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벨트부재(34)는 금속재 강성본체부(341)에 의해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연질결합부(342)에 의해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와 안정적으로 마찰접촉될 수 있다.
풀리치합부(343)는 벨트부재(34) 중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와의 접촉부 상에 구동풀리(32), 종동풀리(33)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풀리치합부(343)는 강성본체부(341)의 내면부를 커버하는 연질결합부(34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연질결합부(342)와 풀리치합부(343)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강성본체부(341)와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연질결합부(342)와 풀리치합부(343)를 비금속 탄성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랙바(10)를 통해 종동풀리(33)에 외부충격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벨트부재(34)의 연질결합부(342)와 풀리치합부(343)가 자연히 그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아웃풋피니언(35)은 랙바(10)의 제2랙기어부(13)에 치합되는 부분으로, 종동풀리(33)와 동축 상에 연결되고, 종동풀리(33)와 동일한 각변위로 회전된다. 구동풀리(32), 벨트부재(34)를 거쳐 종동풀리(33)로 입력된 모터(31)의 토크는 아웃풋피니언(35)을 통해 랙바(10)로 전달된다.
완충부재(36)는 고무, 우레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종동풀리(33)와 아웃풋피니언(35)의 사이에 개재된다. 완충부재(36)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종동풀리(33)와 아웃풋피니언(35)의 사이에 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36)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충격하중에 의해 랙바(10)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랙바(10)와 아웃풋피니언(35)이 무리하게 가압 접촉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1)에 의하면, 벨트부재(34)를 이용해 모터(31)의 회전력을 랙바(10)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웜샤프트와 웜휠을 이용해 모터(31)의 회전력을 랙바(10)측으로 전달하던 기존과 비교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웜샤프트와 웜휠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감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던 ARS, 뎀핑부쉬, 뎀핑베어링 등의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벨트부재(34)를 이용해 모터(31)의 회전력을 손실 없이 안정되게 랙바(10)로 전달할 수 있어, 기존에 모터(31)가 순간적으로 고출력되거나, 외부충격하중이 랙바(10)에 작용하는 경우 웜샤프트가 틸팅됨으로 인해 모터(31)의 회전력이 랙바(1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던 것을 해결하여, 조향 응답성 및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10 : 랙바
11 : 연장바 12 : 제1랙기어부
13 : 제2랙기어부 20 : 인풋조립체
21 : 인풋샤프트 22 : 인풋피니언
23 : 토션바 24 : 토크센서
30 : 아웃풋조립체 31 : 모터
32 : 구동풀리 33 : 종동풀리
34 : 벨트부재 35 : 아웃풋피니언
36 : 완충부재 40 : 전자제어장치
321, 331 : 풀리본체부 322, 332 : 벨트치합부
341 : 강성본체부 342 : 연질결합부
343 : 풀리치합부

Claims (9)

  1. 랙바;
    상기 랙바의 일측부에 치합되고, 운전자의 조향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인풋조립체;
    상기 랙바의 타측부에 치합되고, 벨트부재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인풋조립체와 함께 상기 랙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아웃풋조립체; 및
    상기 인풋조립체에 걸리는 토크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웃풋조립체를 구동시키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풋조립체는,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토크를 상기 벨트부재에 전달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 동축 상에 연결되고, 상기 랙바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풀리, 상기 벨트부재를 거쳐 상기 종동풀리로 전달된 상기 모터의 토크를 상기 종동풀리와 동일한 각변위로 회전되면서 상기 랙바로 전달하는 아웃풋피니언;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아웃풋피니언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바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풋조립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 및
    상기 연장바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웃풋조립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조립체는,
    운전자의 조향력을 전달받는 인풋샤프트;
    상기 인풋샤프트와 동축 상에 연결되고, 상기 랙바와 치합되는 인풋피니언;
    일측부가 상기 인풋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인풋피니언과 연결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에 걸리는 비틀림 토크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로 송신하는 토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강성본체부; 및
    비금속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본체부 사이의 틈새를 채우도록 상기 강성본체부에 결합되는 연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의 접촉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을 가지는 풀리치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벨트부재와 접하는 풀리본체부; 및
    상기 풀리본체부의 외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재와 치합되는 기어치 형상을 가지는 벨트치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치합부는, 상기 풀리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상대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9. 삭제
KR1020150087220A 2015-06-19 2015-06-1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0220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220A KR102207575B1 (ko) 2015-06-19 2015-06-1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220A KR102207575B1 (ko) 2015-06-19 2015-06-1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03A KR20160149703A (ko) 2016-12-28
KR102207575B1 true KR102207575B1 (ko) 2021-01-26

Family

ID=5772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220A KR102207575B1 (ko) 2015-06-19 2015-06-1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5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466A1 (en) * 2005-06-13 2006-12-14 Bo Cheng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869A (en) * 1986-03-19 1988-07-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JPH09303486A (ja) * 1996-05-21 1997-11-25 Bando Chem Ind Ltd 伝動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伝動装置
KR20070020147A (ko) * 2003-05-06 2007-02-16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벨트 감속 장치 및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140082303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466A1 (en) * 2005-06-13 2006-12-14 Bo Cheng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03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6180B1 (en) Joint arrangement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20120322566A1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9777826B2 (en) Worm biasing structure
WO2013094105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9932065B2 (en) Steering device
CN111806549A (zh) 用于车辆的转向柱组件
JP201606479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38376B1 (ko) 자동차의 모터 구동식 조향장치의 모터 조인트
EP1342643B1 (en) Steering actuator system
KR102207575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02350046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2106292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JP2010215094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EP2801508B1 (en) Coupling in a tiltable steering column
JP445480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2550426B (zh) 用于车辆的转向柱组件
KR101854108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6087119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24046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同軸カップリング
KR10241958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JP201014957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434250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ダンパ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3646201B2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242143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6603604B2 (ja) 接続部材、及び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