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863B1 -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 Google Patents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863B1
KR102206863B1 KR1020190035036A KR20190035036A KR102206863B1 KR 102206863 B1 KR102206863 B1 KR 102206863B1 KR 1020190035036 A KR1020190035036 A KR 1020190035036A KR 20190035036 A KR20190035036 A KR 20190035036A KR 102206863 B1 KR102206863 B1 KR 102206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chemical sensor
gas chemical
type ga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006A (ko
Inventor
안상엽
Original Assignee
안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엽 filed Critical 안상엽
Priority to KR102019003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산성 물질과 반응하는 제1도전패턴;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상기 제1도전패턴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패턴과 서로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갖는 제2도전패턴; 및 상기 제2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색변화수지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GAS CHEMICAL SENSOR OF FILM TYPE}
본 발명은 유해하거나 위험한 화학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학 산업은 화학 물질의 취급으로 인해 사고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그 결과, 사고 방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각 종 사고가 발생하며, 이는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화학 물질의 누출로 인한 사고는 저장소, 배관 등의 파이프 라인에 발생하는 파손, 균열, 부식, 외부적 충격 등에 기인한다.
한편, 최근 누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시행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유해 물질을 취급하는 산업계는 화학 물질의 누출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 필요성을 절실하게 요구받고 있다. 그로 인해, 유해하거나 위험한 화학 물질을 감지하는 화학 센서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현재, 화학 센서는 1) 액상 물질을 감지하는 필름형 누수 센서, 포인터형 리크 센서, 케이블형 리크 센서, 밴드형 리크 센서 등이 있고, 2) 기상 물질을 감지하는 반도체식 가스 센서, 전기화학식 가스 센서, 접촉연소식 가스 센서, 광학식 가스 센서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가스 센서는 누출 물질에 대한 응답 속도가 빠르고 농도 측정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센서 소자를 소형화함에 한계가 있고, 잡가스에 의한 오동작의 우려가 있으며, 설치 위치에 제한이 있다는 점, 초기 설치 비용이 높다는 점, 화재 위험이 크고, 설치 이후 정기적인 검교정을 위한 지출 비용이 높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2249호 (2018.09.1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7067호 (2015.08.2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1762호 (2016.03.2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372호 (2008.11.12.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산성 용액과 산성 가스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산성 물질과 화학양론적인 반응을 통해 설치 이후 검교정이 불필요한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가능하되, 일정한 교체 주기를 갖는 교체형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점착테이프 방식으로 설치 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체 고장을 감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산성 물질에 대한 누출 여부를 전기적 신호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력 소모가 없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산성 물질과 반응하는 제1도전패턴;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상기 제1도전패턴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패턴과 서로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갖는 제2도전패턴; 및 상기 제2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색변화수지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산성 물질은 액상 또는 기상이다.
상기 제1도전패턴은 상기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산염기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염(salt)에 의해 전기 저항값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패턴은 카본블랙 분산액에 염기성 고분자 수지가 미리 정해진 혼합 비율에 따라 제조되는 전도성 혼합물이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도전패턴은 은(Ag) 및 구리 금속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일측 각 단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일측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타측 각 단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화학 센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색변화수지층은 액상 또는 기상의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색상이 변화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산성 용액과 산성 가스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산성 물질과 화학양론적인 반응을 통해 설치 이후 검교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가능하며, 교체형으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점착테이프 방식으로 설치 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자체 고장을 감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성 물질에 대한 누출 여부를 전기적 신호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자체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Ⅱ-Ⅱ′방향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베이스필름층(10), 제1도전패턴(20), 제2도전패턴(30), 색변화수지층(40), 접착층(50) 등을 포함한다.
이런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특히, 산성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한다. 산성 물질은 예를 들어, HF, HCl, HBr, Cl2, Br2, 질산, 황산, SiCl4, HCDS, MxCly(M=metal) 등을 포함한다. 이 때, 산성 물질은 액상 또는 기상인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액상 뿐만 아니라, 기상의 산성 물질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다양한 분야 특히, 케미컬 생산 설비, 저장 탱크, 배관, 반도체 생산 설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타입, 특정 단위 면적을 커버하는 면적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설치 장소, 설치 면적에 따른 제한을 받지 않는다.
먼저, 베이스필름층(10)은 PET, PU, PI, PA, PVC 또는 테프론(Tefron) 계열 재질의 플렉서블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필름층(10)은 제1도전패턴(20) 등이 인쇄될 수 있는 상면을 제공한다. 이런, 베이스필름층(10)은 예를 들어, 두께 95∼105μm, 폭 20mm인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필름층(10)은 상기 두께 범위에서 유연하면서도 강도가 높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도전패턴(20)은 전도성 혼합물이 베이스필름층(10)의 상면에 인쇄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제1도전패턴(20)은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산염기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염(salt)에 의해 전기 저항값이 변화된다. 즉,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제1전도패턴 자체의 전기 저항값에 대한 수치 변화를 이용하여 산성 물질을 감지한다.
한편, 제1도전패턴(20)은 카본블랙(black carbon) 분산액에 염기성 고분자 수지가 미리 정해진 혼합 비율에 따라 제조되는 전도성 혼합물이 베이스필름층(10) 상면에 인쇄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혼합물은 카본블랙, 폴리부텐(polybutene)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i ethylene glycol mono butyl ether)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카본블랙은 나노 크기를 갖는 흑색의 탄소 분말로 인쇄 잉크를 위한 흑색 안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혼합물은 카본블랙 100 중량부에 대해여, 폴리부텐(polybutene) 29∼31 중량부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i ethylene glycol mono butyl ether) 23∼16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도전패턴(20)이 pH를 달리하는 다양한 산성 물질과 화학양론적인 반응을 통해 미세 누출량에 대해서도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정확하게 감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제조된 전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도전패턴(20)을 형성한 경우,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설치, 관리하는 담당자는 제1도전패턴(20)에 대한 감도를 별도 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전도성 조성물의 사용으로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의 감지 성능, 감지 속도가 향상된다.
한편, 전도성 혼합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혼합물은 UV차단제, 레벨링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며, 이 때 그 함량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도전패턴(20)은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염기성 고분자 수지와 화학양론적인 산염기 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염(salt)에 의해 전기 저항값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산염기 반응에 따라 염이 발생되면, 염기성 고분자 수지 틈 사이로 산성 물질이 침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1도전패턴(20)의 전기 저항값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제2도전패턴(30)은 베이스필름층(10)의 상면에 제1도전패턴(20)과 대향 배치되며, 제1도전패턴(20)과 서로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갖는다. 이런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일정 간격을 유지면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은 요철 모양, 톱니바퀴 모양, 물결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패턴(30)은 전기 저항값이 낮은 은(Ag) 또는 구리 금속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은 전기 저항값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용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도전패턴(30)은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의 자체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형성된다.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에서 제1도전패턴(20)은 제2도전패턴(30)과 달리 외측으로 전부 노출되어 있는 바,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화학 센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혼합물에 포함되는 카본블랙 성분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데, 이는 산성 물질에 대한 감지 성능의 저하, 오동작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1도전패턴(20)의 표면에 먼지 등이 부착되면 화학 센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약 6개월 주기로 교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교체 주기 이전이라도 예를 들어, 제1도전패턴(20)에 수분이 직접 접촉하면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져 특정 부위가 심하게 절곡되거나 절단되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교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의 일측 각 단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적 연결은 전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선류 예를 들어, 전선 등의 별개 부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의 일측 각 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은 직렬 연결된다. 다만, 연결되는 제1도전패턴(20)의 일측 단부는 제2도전패턴(30)의 전기 저항값과 동일한 금속 예를 들어, 은 또는 구리 페이스트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의 일측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의 타측 각 단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 신호는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신호를 포함하면 충분하다. 전기 저항값은 예를 들어, 저항 테스터기를 통해서도 분석 가능하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자체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동시에,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의 일측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도전패턴(20)과 제2도전패턴(30)의 타측 각 단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산성 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 신호는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그 결과,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자체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액상 산성 물질(농도 5% 이상, 최소 검출량 0.05ml)과 기상 산성 물질(최소 검출량 1ppm)을 30초 이내에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고장이나 누출이 감지되면, 이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모듈(미도시)을 통해 알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검교정을 위한 비용 지출이 적고, 교체 주기를 갖는 교체형으로 보수 관리가 용이하며, 종래 가스 센서에 비해 오동작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색변화수지층(40)은 제2도전패턴(30)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층(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제2도전패턴(30)만을 보호한다. 제2도전패턴(30)은 전기 저항값이 낮아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먼지, 수분, 스크래치 등에 의해 쉽게 전기 저항값이 변화되는 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색변화수지층(40)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고분자수지를 더 포함한다. 이와 달리, 제1도전패턴(20)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 이는, 제1도전패턴(20)이 산성 물질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색변화수지층(40)은 액상 또는 기상의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현상으로 담당자에게 산성 물질의 누출 여부를 시각적으로 알려 준다. 또한, 특정한 누출 부위에 대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색변화수지층(40)은 예를 들어, 발색 시약인 메틸옐로우 성분을 포함하며, 산성 물질과 반응하는 경우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색상이 변화한다.
또한, 색변화수지층(40)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변화수지층(40)은 UV차단제, 레벨링제, 분산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며, 이 때 그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색변화수지층(40)은 외부 충격 등에 대해 내구성이 더 향상될 수 있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UV필름과 같은 기능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위치 정보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더 측정, 분석한 후 이를 통해 설치 지역, 설치 위치에 따라 설치 공간을 차등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의 고장 위치, 산성 물질의 누출 위치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베이스필름층(10) 하면에 형성되는 접착층(50)을 더 포함한다. 그 결과,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는 벽면과 바닥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설치 대상의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어 설치,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베이스필름층 20: 제1도전패턴
30: 제2도전패턴 40: 색변화수지층
50: 접착층

Claims (7)

  1.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산성 물질과 반응하는 제1도전패턴;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상기 제1도전패턴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패턴과 서로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갖는 제2도전패턴; 및
    상기 제2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색변화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일측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타측 각 단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1) 화학 센서의 고장 여부 및 2) 상기 산성 물질의 누출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물질은 액상 또는 기상인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패턴은 상기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산염기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염(salt)에 의해 전기 저항값이 변화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패턴은 카본블랙 분산액에 염기성 고분자 수지가 미리 정해진 혼합 비율에 따라 제조되는 전도성 혼합물이 인쇄되어 형성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패턴은 은(Ag) 및 구리 금속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일측 각 단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화수지층은 액상 또는 기상의 산성 물질과 접촉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KR1020190035036A 2019-03-27 2019-03-27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KR102206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36A KR102206863B1 (ko) 2019-03-27 2019-03-27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36A KR102206863B1 (ko) 2019-03-27 2019-03-27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06A KR20200114006A (ko) 2020-10-07
KR102206863B1 true KR102206863B1 (ko) 2021-01-22

Family

ID=7288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036A KR102206863B1 (ko) 2019-03-27 2019-03-27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924B2 (ja) 1990-04-17 1997-01-22 株式会社大林組 漏水センサ
KR200484838Y1 (ko) 2016-04-26 2017-10-31 최기환 리크 감지 센서
KR101843075B1 (ko) 2017-09-18 2018-03-30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72B1 (ko) 2006-05-18 2008-1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화학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3516A (ko) * 2013-09-24 2015-04-01 (주)유민에쓰티 강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207884B1 (ko) 2014-02-18 2021-01-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101712919B1 (ko) 2014-09-15 2017-03-08 (주)유민에쓰티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102010497B1 (ko) 2017-03-06 2019-08-14 조수동 화학반응에 의해 누출물질을 감지하는 화학반응 리크 감지센서
KR20180137625A (ko) * 2017-06-16 2018-12-28 조수동 전류감지 리크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924B2 (ja) 1990-04-17 1997-01-22 株式会社大林組 漏水センサ
KR200484838Y1 (ko) 2016-04-26 2017-10-31 최기환 리크 감지 센서
KR101843075B1 (ko) 2017-09-18 2018-03-30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06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3387C (en) Moisture detection sensors for building structures
RU2333419C1 (ru) Магистраль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для контроля утечек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утечки
KR101521155B1 (ko) 누설 감지 센서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591918B1 (ko) 리크감지센서
KR102109143B1 (ko)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US20130113505A1 (en) Sensor for detecting liquid spilling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KR20150140007A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830005B1 (ko) 누액 감지 센서
KR20190047435A (ko) 누액 감지 시스템 및 누액 감지 방법
KR102206863B1 (ko) 필름형 가스 화학 센서
KR20150004273A (ko)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EP1955377B1 (en) Sensor for detecting organic liquids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1843075B1 (ko)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JP7414831B2 (ja) 水分検出およびインジケータシステム、ならびに屋根膜の完全性を維持しながら使用する方法
KR102141930B1 (ko) 누액감지센서용 커버
KR102228311B1 (ko)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KR102009968B1 (ko) 성상분리센서
KR20140099634A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KR101822862B1 (ko) 전도성 고분자와 전도성 카본에 의해 제조되는 알칼리 감지용 센서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KR102199483B1 (ko)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