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717B1 -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717B1
KR102206717B1 KR1020187017869A KR20187017869A KR102206717B1 KR 102206717 B1 KR102206717 B1 KR 102206717B1 KR 1020187017869 A KR1020187017869 A KR 1020187017869A KR 20187017869 A KR20187017869 A KR 20187017869A KR 102206717 B1 KR102206717 B1 KR 10220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user
unit
measurement result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999A (ko
Inventor
다카시 니시야마
요시히로 마츠무라
겐고 아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유저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마다 취득하는 취득부(120)와,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60)를 갖는다.

Description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본 발명은 인지증의 판정 등을 실시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에서 이용되는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말의 스위치의 조작 상황에 근거하여, 일상의 조작 경향과 상이한 조작을 발견함으로써 인지증을 판별하는 인지증 초기 단계 판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14-018341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관련되는 인지증 초기 단계 판별 시스템에서는, 매일 기상시에 스위치를 조작한다고 하는 규칙 사항을 정하고, 스위치의 조작을 하는 것을 잊었는지 여부에 의해 인지증 여부가 판별된다.
본 발명은 스위치의 조작 등의 규칙 사항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제어 프로그램(컴퓨터용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경도 인지증 등」은, 경도 인지증과 그 전단계인 경도 인지 장애(MCI:Mild Cognitive Impairment)를 포괄하는 개념을 의미하는 말로서 이용한다. 경도 인지증 등은 건강한 상태와 구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은 유저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마다 취득하는 취득부와,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장치에게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는 유저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마다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 스텝에 대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의 조작 등의 규칙 사항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정상인(건강한 상태의 사람)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의 추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자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의 추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 등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의 기능 구성 요소간의 관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의 시간적 변화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의 분포와 이변(異)일 판정용의 임계치 σ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매일의 이변일 및 정상일의 판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 등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발명에 이르는 지견)
인지증의 증상으로서 수면이 얕아지는 등의 수면 장애가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인지증에서는, 수면, 각성 등이라고 하는 생물 시계의 제어를 맡는 시상하부 및 뇌간에 광범위하고 중증의 기질 장애를 가진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의 환자에서는, 야간의 잠자리 들기로부터 이튿날 아침의 기상까지의 시간(수면 시간대)에 있어 빈번하게 각성 상태와 수면 상태를 반복하는 것이, 매일같이 계속되는 예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견을 배경으로 하여, 본 발명자 등은 실험을 행하고, 고령자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 센서에 의한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가, 고령자가 정상인의 경우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한 사람의 경우에서 상이한 것을 발견했다.
도 1a에 고령의 정상인(건강한 상태의 사람)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의 추이의 그래프 G01A를 나타내고, 도 1b에 고령의 인지증의 발증자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의 추이의 그래프 G01B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실험 결과를 개략적인 이미지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는, 수면 시간대를 고정적으로 23시부터 6시까지라고 정하고 있다. 아울러 도 1a 및 도 1b에는, 수면 시간대뿐만 아니라 1일의 총 신체 동작량의 추이의 그래프 G02A, G02B도 부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은 신체 동작 센서에 의해 1분 마다, 신체 동작의 크기를 0(신체 동작 없음 등의 최소치)에서 9(최대치)까지의 10 단계의 값으로 구별해 측정하고, 그 값을 수면 시간대에 있어 누적한 것이다. 또, 1일의 총 신체 동작량은, 신체 동작 센서에 의해 1분 마다, 신체 동작의 크기를 0(신체 동작 없음 등의 최소치)에서 9(최대치)까지의 10 단계의 값으로 구별해 측정하고, 그 값을 1일(24시간)에 있어 누적한 것이다.
도 1a에 나타내듯이, 정상인의 총 신체 동작량은 날 마다, 어느 정도 크게 변화하지만,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정상인의 신체 동작량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도 1b의 그래프 G01B에 나타내듯이, 인지증을 발증한 사람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은, 도 1a의 그래프 G01A에 나타내는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과 비교하여 날 마다(24시간 마다)의 변화가 크다. 아울러 도 1b의 그래프 G02B에 나타내듯이, 인지증을 발증한 사람의 총 신체 동작량에 대해서는, 도 1a의 그래프 G02A에 나타내는 정상인의 총 신체 동작량과 마찬가지로 날 마다 어느 정도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에 주목하는 것이 인지증의 발증자와 정상인의 구별에 있어 유용하게 된다. 인지증의 발증자는, 발증 전에서는 정상인이므로,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전후를 구별(즉 건강한 상태와 경도 인지증 등 상태와의 구별)하기 위해서도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것이 유용하게 된다.
이상의 지견 등에 의해,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과 관련되는 기술 사상이 창출되었다. 이하, 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여기서 가리키는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1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 형태로 나타나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요소, 구성요소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및, 스텝(공정) 및 스텝의 순서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중,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임의로 부가가능한 구성요소이다. 또,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은, 고령자, 피개호자 등의 대상자(유저)의 신체 동작을, 신체 동작 센서로 측정하고,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경도 인지증 등을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은, 인지증 판정 장치(100a~100c) 및 알림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3개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100c)를 나타냈지만,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은, 1개 이상의 임의의 수의 인지증 판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개호 노인 복지 시설, 개호 요양형 의료 시설 등이라고 하는 개호 보건 시설(개호 보험 시설)(20)에 적용한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을 예시하고 있다.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에서는, 개호 보건 시설(20)의 개호 거실(22a~22c)에서 생활하는 각 유저 A~C에 대해, 인지증 판정 장치(100a~100c)에 의해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과 관한 판정이 이루어져 판정 결과 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가 알림 장치(200)으로 보내진다. 알림 장치(200)는, 예를 들면 개호 복지사 등의 개호자, 혹은 간호사, 의사 등이 주로 소재하는 관리실(21)에 설치된다. 개호자 등은 알림 장치(200)에 의해, 각 개호 거실(22a~22c)에서 생활하는 각 유저 A~C에 대한 인지증 정보(그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적절히 필요한 조치 등을 할 수 있다.
개호 거실(22a)는, 침대(23a), 텔레비젼(24a) 등을 갖추고, 유저 A가 생활하는 방이며, 개호 거실(22a)에 인지증 판정 장치(100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개호 거실(22b, 22c)는, 침대(23b, 23c), 텔레비전(24b, 24c), 인지증 판정 장치(100b, 100c) 등을 구비하고 각각 유저 B, 유저 C가 생활하는 방이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신체 동작 센서(101)에 의해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에 근거하여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 인지 여부 등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포함한 인지증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정보 처리 장치(컴퓨터)이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신체 동작 센서(101), 메모리(102), 통신 인터페이스(I/F)(103) 및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104)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주로 유저 A의 개호 거실(22a)에 설치된 인지증 판정 장치(100a)에 주목해 설명하지만, 인지증 판정 장치(100b, 100c)도 인지증 판정 장치(100a)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신체 동작 센서(101)는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면 어떠한 센서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신체 동작 센서(101)는, 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파(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등)를 발신(송신)하고 반사파를 수신하는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 전파 센서이다. 신체 동작 센서(101)는,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침대(23a)(예를 들면 매트리스의 하층에 위치하는 바닥의 일부 등) 혹은 개호 거실(22a)에 있어서의 침대(23a)의 윗쪽의 천정 부분 등에 설치된다.
메모리(102)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ROM(Read Only Memory), 프로그램의 실행 시 데이터 등의 기억에 이용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이다. 메모리(102)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통신 I/F(103)는 알림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이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a)와 알림 장치(200)의 통신은 무선 통신이어도 유선 통신이어도 좋다.
프로세서(104)는, 메모리(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통신 I/F(103) 등을 제어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아울러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해도 좋고, 그 디스플레이에 인지증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관리실(21)에 설치된 알림 장치(200)는 통신 I/F 및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니터 장치이며, 예를 들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터 단말이어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의 기능 블럭도이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유저 A가 생활하는 개호 거실(22a)에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동 도면에는, 관리실(21)에 설치된 알림 장치(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도 부기되어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도록, 기능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나타내듯이 측정부(110), 취득부(120), 기억부(130), 판정부(140), 갱신부(150) 및 출력부(160)를 구비한다. 아울러 인지증 판정 장치(100a)의 각 기능 구성요소에 있어서의 주된 처리 내용과 취급하는 정보(데이터)를 도 4에 나타낸다.
측정부(110)는 신체 동작 센서(101)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4) 등에 의해 실현되고, 신체 동작 센서(101)를 이용하여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신체 동작 센서(101)가 전파 센서인 경우에, 측정부(110)는,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전파 센서로부터 발신된 전파와 관련되는 송신 신호의 파형과 반사파와 관련되는 수신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특정하는 것으로,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얻는다. 도플러 원리에 근거하는 주지 기술에 의해, 송신 신호의 파형과 수신 신호의 파형의 차분으로부터, 송신 신호와 관련되는 전파를 반사한 인체 등이 움직이는 속도에 비례한 주파수(도플러 주파수)가 얻어지고, 또한 도플러 주파수의 파형의 진폭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전파 센서를 이용하여 얻어진 도플러 주파수가, 인체의 움직임 중, 미세 진동(호흡, 심박 등)과 신체 동작을 구별하는 임계치(예를 들면 2Hz)을 넘는 경우에 있어서의 파형의 진폭에 따라,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측정부(110)에서는, 예를 들면, 신체 동작 센서(101)를 이용하여, 1분 마다, 신체 동작의 크기를 0(신체 동작 없음 등의 최소치)에서 9(최대치)까지의 10 단계의 값으로 구별한,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를 특정할 수 있다.
취득부(120)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4) 등에 의해 실현되고,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예를 들면 24시간) 마다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는, 단위 기간을 24시간(1일)으로서 설명한다. 아울러 단위 기간이 24시간(1일)인 경우에, 오전 0시로 반드시 단위 기간(1일)을 구분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정오로 단위 기간을 구분할 수 있다.
취득부(120)는, 유저 A의 수면 시간대를, 측정부(110)에 의해 얻은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해 특정하고, 특정한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취득(특정)한다. 수면 시간대는, 대체로 수면중의 시간대이며, 수면시를 포함해, 일시적인 비수면시(야간에 일시적으로 눈을 뜬 상태 등)를 포함해도 좋다. 수면 시간대의 특정 방법의 일례는, 취침시와 기상시를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로부터 추정하여, 취침시부터 기상시까지를 수면 시간대로서 특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취득부(120)는, 1분 마다의 유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의 값이 0인 상태가 일정 기간(예를 들면 수십 분간 등) 연속한 것 등에 의해 취침시를 추정한다. 또한, 취득부는, 취침시의 이후에 있어, 1분 마다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의 값이 소정치(예를 들면 1)보다 큰 상태가 일정 기간(예를 들면 수십 분간) 연속한 것 등에 의해 기상시를 추정한다. 도 5에,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의 시간적 변화를 예시한다. 동 도면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신체 동작량의 변화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23시가 취침시로 추정되고 예를 들면 5시가 기상시로 추정된다. 이것에 의해, 이 날의 유저 A의 수면 시간대는 23시부터 5시로 특정된다. 이와 같이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수면 시간대를 특정하는 것은,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이용한 경도 인지증 등의 판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때문에 유용하다. 취침시의 추정에 야간인 것을 조건으로 하고, 기상시의 추정에 오전중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수면 시간대는, 날 마다 특정해도 좋고, 복수일 마다 특정해도 좋고, 한 번만 특정해도 좋다. 취득부(120)는, 그 특정한 수면 시간대를, 1일(24 시간의 단위 기간)에 있어서의 수면 시간대의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취득(특정)하여 판정부(140)에 전달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아울러 야간의 일정 시각(예를 들면 23시)으로부터 오전의 일정 시각(예를 들면 6시)까지를 고정적으로 수면 시간대로서 특정해도 좋다.
기억부(130)는 메모리(102)의 일 영역 등에 의해 실현되고,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정상인은, 예를 들면, 고령이며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지 않은 사람이며, 유저 A 이외의 정상인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지 않은 시기에 있어서의 유저 A이어도 좋다. 기준 데이터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수면 시간대의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 비교되는 것이기 때문에,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지 않은 시기에 있어서의 유저 A에 대해 측정된,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에 관한 것임은 유용하다.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기준 데이터는, 예를 들면, 복수의 단위 기간(복수일)에 있어 측정된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의 평균치이다.
판정부(140)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4) 등에 의해 실현된다. 판정부(140)는 기억부(130)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서 취득된 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차분(차이의 크기)을 평가하는 것으로, 그 1일이 이변일(건강하지 않은 날)이나 정상일(건강한 날)인지를 판정하는 이변일 판정 기능을 가진다. 이변일 판정 기능에서 평가하는 차분(차이의 크기)은,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와 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의 비, 혹은, 차이의 크기(절대치)이다. 여기에서는, 차이의 크기는 차이의 절대치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판정부(140)는 이변일 판정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서 취득된 1일의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절대치가 소정 임계치(여기에서는 임계치 σ)를 넘는 경우에 그 1일은 이변일이라고 판정한다. 또 판정부(140)는, 그 차이의 절대치가 임계치 σ을 넘지 않는 경우에 그 1일은 정상일이라고 판정한다. 여기서, 기억부(130)에 기억하는 기준 데이터가 복수일에 있어 측정된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의 평균치인 바, 그 복수일에 있어 측정된 신체 동작량의 표준 편차 σ가 임계치 σ으로서 이용된다. 도 6에,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량의 분포와 이변일 판정용의 임계치 σ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기준 데이터는, 도 6의 신체 동작량의 분포에 있어서의 평균치 m에 상당하고,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가 그 평균치 m+표준 편차 σ보다 큰 경우 및 평균치 m-표준 편차 σ보다 작은 경우에 이변일로 판정된다. 아울러 상술한 차이의 절대치와 비교하는 소정 임계치는 반드시, 복수일에 있어 측정된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의 표준 편차가 아니어도 좋고, 표준 편차에 일정 비율을 곱한 값이어도 좋다.
판정부(140)는 또한, 기준 데이터와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임계치 σ)을 넘는 단위 기간(즉 이변일 판정 기능에 의해 판정한 이변일)의 발생 빈도를 평가하여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을 판정하는 경도 인지증 등 발증 판정 기능을 가진다. 판정부(140)는,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소정 기준 빈도는, 예를 들면, 1주간중 5일의 빈도, 1주간 이상의 기간에 있어 70%의 빈도, 혹은 5일 연속하는 빈도(즉 5일 이상의 기간에 있어 100%의 빈도) 등이다. 이변일의 발생 빈도는, 예를 들면, 1주간보다 긴 어떤 일정 기간 T에 있어서의 발생 빈도이며, 경도 인지증 등인지 여부를 보다 정밀도 좋게 판정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T가 장기(예를 들면 3개월 등)인 것이 유용하게 된다. 도 7에 날 마다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 및 이변일 및 정상일의 판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소정 기준 빈도가, 과거 1주간 이상의 기간에 있어 70%의 빈도이라고 하면, 도 7의 예에 의하면, 16일에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고, 판정부(14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갱신부(150)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4) 등에 의해 실현된다. 갱신부(150)는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측정 결과(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임계치 σ)을 넘지 않는 일(단위 기간) 내의 그 측정 결과를 반영하도록 기준 데이터를 갱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가, 복수일에 있어 측정된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복수일의 신체 동작량의 총합)의 평균치(총합을 일수로 나눈 값)인 경우에, 갱신부(150)는 다음과 같이 기준 데이터의 갱신을 할 수 있다. 즉, 갱신부(150)는 판정부(140)에 의해 정상일로 판정된 날의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을 1일분으로 하여, 그 복수일의 신체 동작량의 총합에 가산하고 나서, 산정한 평균치(새로운 총합을 합계 일수로 나눈 값)를 새로운 기준 데이터(갱신 후의 기준 데이터)로 한다. 이 갱신 시, 예를 들면, 판정부(140)가 이변일인지 정상일인지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치 σ을, 그 정상일로 판정된 날의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을 포함한 복수일의 신체 동작량의 표준 편차에 대응하도록 갱신해도 좋다. 아울러 갱신부(150)에 의해 기억부(130)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가 갱신된 후에서는, 판정부(140)는, 그 갱신 후의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을 행한다. 즉, 판정부(140)는 갱신된 기준 데이터와 갱신 후에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측정 결과(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출력부(160)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4), 통신 I/F(103) 등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부(160)는 기억부(130)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임계치 σ)를 넘는 날(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인지증 정보는, 판정부(140)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 외에, 출력부(160)는, 인지증 정보에, 과거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이변일을 나타내는 정보, 이변일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과거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해도 좋다. 아울러 판정부(140)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 출력부(160)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라고 해도 좋다. 또, 판정부(140)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 출력부(160)는, 과거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이변일의 발생 빈도 등(경도 인지증 등의 의심을 나타내는 정도 등)에 대한 지표값(예를 들면 단위는 %)을 포함하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해도 좋다. 출력부(160)는 인지증 정보를 알림 장치(200)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인지증 정보의 출력을 행한다. 알림 장치(200)에서는, 통신부(210)에 의해 수신한 인지증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부(220)에 의해, 인지증 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한다. 또, 인지증 판정 장치(100a)가 디스플레이를 갖는 경우에 대해 인지증 판정 장치(100a)의 출력부(160)는 그 디스플레이에 인지증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a)에 있어서의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동 도에 입각해서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설명한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신체 동작 센서(101)를 이용해 측정부(110)에 의해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여, 취득부(120)에 의해 1일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를 취득한다(스텝 S11).
인지증 판정 장치(100a)의 판정부(140)는, 스텝 S11로 취득된 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 기억부(130)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와의 차이의 크기가 임계치 σ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 스텝 S12에서 판별에 이용하는 기준 데이터는,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의 평균치 등이며, 예를 들면 유저 A에 대해 건강한 상태의 시기에 측정한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의 평균치이어도 좋다. 스텝 S12에서, 측정 결과와 기준 데이터와의 차이의 크기가 임계치 σ을 넘는 경우에는, 판정부(140)는, 그 1일을 이변일로 판정한다(스텝 S13). 또, 1일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 기준 데이터와의 차이의 크기가 임계치 σ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판정부(140)는, 갱신부(150)에게, 그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해 기준 데이터를 갱신시키고(스텝 S14), 그 1일을 정상일로 판정한다(스텝 S15).
계속해서, 판정부(140)는, 과거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빈도 임계치(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 이 과거 일정 기간은 예를 들면 1주간 등이며, 또, 예를 들면 최초의 이변일부터 현재까지를 과거 일정 기간이라고 해도 좋다. 스텝 S16에서,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판정부(14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스텝 S17). 이변일의 발생 빈도를 판정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여름의 열대야 등에 의해 잠들기 어려워 수면 시간대에 신체 동작이 커지는 날이 드물게 발생했을 경우에 경도 인지증 등으로 오판정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운용에 있어서는, 이 오판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적절한 소정 기준 빈도를 정해 두는 것이 유용하게 된다. 스텝 S17에서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출력부(16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는 취지를 포함하는 인지증 정보의 출력(알림 장치(200)에의 송신 등)을 행한다(스텝 S18). 스텝 S16에서,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부(160)는, 인지증 정보의 출력을 행하지 않지만,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지 않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18의 처리의 후, 혹은, 스텝 S16에서,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경우에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스텝 S11에서의 처리로 돌아간다. 스텝 S11의 처리는 예를 들면, 1일 마다 행해진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b, 100c)는 상술한 인지증 판정 장치(100a)와 같은 동작을 행하므로, 유저 A~C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했을 경우에 그 취지의 정보가, 관리실(21)에 설치된 알림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실시 형태 2)
이하,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을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은,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도 2 참조)의 인지증 판정 장치를 변형하여, 유저가 사용하는 전기 기기의 전원을 끊는 것을 잊어버림(끄는 것을 잊어버림)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는 인지증 정보의 출력 기능을 추가한 인지증 판정 장치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주로, 도 2에 나타내는 유저 A가 생활하는 개호 거실(22a)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를 변형한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에 주목해 설명한다. 아울러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에서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b, 100c)에 대해서도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와 같은 구성으로 변형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은, 여기서 나타내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과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적당 설명을 생략한다.
인지증 판정 장치(1100a)는 하드웨어면에 있어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인지증 판정 장치(100a)와 동일하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에 있어서의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의 기능 블럭도이다. 인지증 판정 장치(1100a)는, 유저 A가 생활하는 개호 거실(22a)에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동 도면에는, 개호 거실(22a)에 설치된, 유저 A가 사용하는 전기 기기(텔레비젼)(24a)와, 관리실(21)에 설치된 알림 장치(200)를 부기하고 있다.
인지증 판정 장치(1100a)는,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 및 전기 기기의 전원을 끄는 것을 잊어 버림의 유무에 근거하여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기능 구성요소로서 도 9에 나타내듯이 측정부(110), 취득부(120), 기억부(130), 판정부(1140), 갱신부(150), 출력부(160) 및 판별부(1170)를 갖는다.
판별부(1170)는 메모리(102), 통신 I/F(103),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4) 등에 의해 실현된다. 판별부(1170)는 텔레비전(24a)이 전원 온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해 그 판별 결과를 시각과 대응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원 온 상태는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이며, 구체적으로는 소비 전력이 소정치(예를 들면 제로, 대략 0의 값, 혹은 대기 전력의 값 등)보다 큰 상태이다. 전기 기기의 전원을 끄면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 판별부(1170)는 이 판별을, 예를 들면, 텔레비젼(24a)으로부터 전원 온 상태가 된 직후 및 전원 오프 상태가 되기 직전에, 텔레비젼(24a)이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는 취지 혹은 전원 온 상태가 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판별부(1170)는 텔레비전(24a)이 접속되고 있는 분전반의 분기 회로 등에 마련한 전류 센서로부터 검출한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텔레비전(24a)의 소비 전력을 산정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판별부(1170)는, 산정한 소비 전력이 제로 혹은 소정의 대기 전력(예를 들면 수W) 이하이면 전원 오프 상태이며, 그 이외이면 전원 온 상태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판정부(1140)는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판정부(140)의 기능에 부가하여, 다음의 기능을 가진다. 즉, 판정부(1140)는, 취득부(120)가 특정한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 판별부(1170)에 의해 전기 기기(텔레비젼)(24a)가 전원 온 상태라고 판별되었는지 여부와,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측정 결과(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날(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1140)는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와 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과의 차이의 절대치가 임계치 σ을 넘는 날(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 및,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예를 들면 취침시)에 있어 판별부(1170)에 의해 텔레비전(24a)이 전원 온 상태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동작)
이하, 상술의 구성을 갖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에 있어서의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에 있어서의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동 도면에 입각해서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설명한다. 아울러 동 도면에 있어,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처리(스텝)와 동일한 스텝에는 도 8과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적당 설명을 생략한다.
인지증 판정 장치(1100a)는, 측정부(110)에 의해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여, 취득부(120)에 의해 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를 특정하고, 그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를 취득한다(스텝 S11).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의 판정부(1140)는, 스텝 S11에서 취득된 유저 A의 1일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 기억부(130)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와의 차이의 크기(절대치)가 임계치 σ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 그 차이의 크기가 임계치 σ을 넘는 경우에는, 판정부(1140)는, 그 1일을 이변일로 판정한다(스텝 S13). 또, 그 차이의 크기가 임계치 σ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판정부(1140)는, 갱신부(150)에게 기준 데이터를 갱신시키고(스텝 S14), 그 1일을 정상일로 판정한다(스텝 S15).
계속하여, 판정부(1140)는 과거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빈도 임계치(소정 기준 빈도)을 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판정부(114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스텝 S17).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지 않는 경우라도, 판정부(1140)는 스텝 S11에서 특정된 수면 시간대(예를 들면 취침시)에 판별부(1170)에서 판별된 텔레비젼(24a) 상태가 전원 온 상태였을 때에는(스텝 S19),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스텝 S17). 스텝 S17에서의 판정에 있어서, 출력부(16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 취지를 포함하는 인지증 정보의 출력(알림 장치(200)에의 송신 등)을 행한다(스텝 S18).
스텝 S18의 처리의 후, 혹은, 스텝 S19에서 수면 시간대에 있어 판별부(1170)에 의해 판별된 텔레비젼(24a) 상태가 전원 오프 상태였을 때에는, 인지증 판정 장치(1100a)는 스텝 S11에서의 처리로 돌아간다. 스텝 S11의 처리는 예를 들면, 1일 마다 행해진다.
이러한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에 의해, 유저 A가 취침 시 등에서 전기 기기(텔레비전 등)의 전원을 끄는 것을 잊어버리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서도, 그것에 근거하는 인지증 정보가 알림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등)
이상, 실시 형태 1, 2에 의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각종의 변경, 부가, 생략 등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이 개호 보건 시설에서 이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주택(단독 주택, 집합 주택의 개별 호실 등), 고령자용 집합 주택, 병원, 그 외의 시설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가 디스플레이 등의 제시 장치(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신체 동작 센서(101)를 제외한 인지증 판정 장치(100a)를 관리실(21)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각 개호 거실(22a~22c)에 설치된 각 신체 동작 센서(101)로부터 각 유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그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경도 인지증 등인지 여부의 판정 등을 행하여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실(21)에 인지증 판정 장치(100a)를 포함하게 했을 경우에,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지 않아도 관리실(21)의 알림 장치(200)에 인지증 정보를 송신하여 제시시켜도 좋다. 관리실(21) 내에 인지증 판정 장치(100a)를 설치한 구성의 일례를 도 11에 나타낸다.
또,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으로 1명만의 유저 A를 대상으로 하여 경도 인지증 등과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하는 경우에는, 1개의 인지증 판정 장치(100a)를 갖추면 충분하다.
또, 상술한 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의 출력부(160)가 인지증 정보를 송신하는 상대는, 관리실(21)에 설치된 알림 장치(200)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의 통신 I/F(103)는 예를 들면, 전화망,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알림 장치(200)는 관리실(21)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통신 장치, 혹은, 이동체인 스마트 폰 등의 정보 통신 단말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혼자 사는 고령자의 주택에 인지증 판정 장치(100a)를 설치하고, 인지증 판정 장치(100a)에, 고령자와 떨어져 생활하는 가족의 스마트 폰의 메일 주소 등을 기억하고, 출력부(160)에서 인지증 정보를 그 스마트 폰에 송신하는 것이 유용하다. 또, 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는 복수의 송신처에 인지증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a)가 신체 동작 센서(101)를 포함한 예를 나타냈지만, 인지증 판정 장치(100a)는 신체 동작 센서(101)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고, 신체 동작 센서(101)로부터 유저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취득할 수 있으면 좋다. 아울러 인지증 판정 장치(100a)와 신체 동작 센서(101)가 분리된 구성의 경우에, 예를 들면 신체 동작 센서(101)가 측정부(110) 및 취득부(120)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인지증 판정 장치(100a)의 각 기능 구성요소의 기능 분담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예를 들면 취득부(120)가 측정부(110)를 포함해도 좋고, 예를 들면 출력부(160)가 판정부(140)를 포함해도 좋다.
또, 실시 형태 2에서,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의 판정부(1140)가, 수면 시간대(예를 들면 취침시)에 있어 텔레비젼(24a)이 전원 온 상태였을 경우에,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은,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의 전원 온 상태에 근거하여,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을 판정하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 텔레비젼(24a)이 전원 온 상태였던 날의 발생이, 일정 빈도(예를 들면 1주간에 2회 등)를 넘었을 경우에,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의 전원 온 상태와 이변일의 발생 빈도의 조합과 관련되는 일정한 조건 판단에 근거하여,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텔레비젼(24a)은, 유저가 사용하는 전기 기기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텔레비젼(24a)에 한정하지 않고, 조명 기구, 오디오 기기 그 외의 기기여도 좋다. 또,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에, 유저 A가 이용하는 수도의 수도꼭지(수전)가 물 토출 상태인지 물 잠금 상태 인지를 센서 등으로 판별하여,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물 토출 상태인 경우에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기능을 추가해도 좋다. 인지증에 걸리면, 전기 기기를 끄는 것을 잊어버림, 수전을 잠그는 것을 잊어버림 등이라고 하는 소위 「잊어버림」이 생긴다고 여겨지고 있으므로, 인지증 판정 장치(1100a)에서는, 「잊어버림」에 대응하여, 적절히 유저 A의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판정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출력부(160)가 인지증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도 좋음을 나타냈지만, 표시 이외 방법으로 인지증 정보를 제시해도 좋다. 여기서 정보의 제시는, 인간의 오감에 의해 인식되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표시 이외의 제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인지증 정보의 내용과 관련되는 음성의 재생(스피커 등으로부터의 음성 출력), 혹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인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 부저의 울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술한 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 등에 있어서의 처리 절차(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절차 등)의 실행 순서는, 반드시, 상술한 대로의 순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행 순서를 바꾸거나 그 일부를 생략하거나 할 수가 있다. 또, 그 처리 절차(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절차 등)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실현되어도 좋다. 아울러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는, 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 등에 포함되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또,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반포나 유통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반포된 제어 프로그램을 인지증 판정 장치(컴퓨터)에 인스톨하여, 프로세서로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컴퓨터에게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처리 절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요소 및 기능을 임의에 조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각종 태양에는, 장치, 시스템, 방법 등의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이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에 대한 구성, 변형 태양, 효과 등에 대해 나타낸다.
(1)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신체 동작량)를 단위 기간(예를 들면 24시간) 마다 취득하는 취득부(120)와, 정상인(예를 들면 건강한 상태의 유저 A 혹은 다른 정상인 등)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예를 들면 차분, 비 등)의 크기(예를 들면 절대치)가 소정 임계치(예를 들면 임계치 σ)를 넘는 단위 기간(예를 들면 이변일)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예를 들면 경도 인지증, 경도 인지 장애)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60)(혹은 출력부(220))를 구비한다. 경도 인지증 등 정보는 경도 인지증 등 인지 여부의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좋고, 경도 인지증 등일 가능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값 등이어도 좋고, 이것들 양쪽 모두를 포함해도 좋다.
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스위치의 조작 등의 규칙 사항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출력되는 인지증 정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2)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유저 A가 정상인인 시기에 있어서의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상기 차이의 크기를 얻기 위해서, 비교되는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와 기준 데이터는 측정 시기 이외의 점을 대체로 공통으로 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가능성을 비교적 정밀도 좋게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3) 예를 들면, 단위 기간의 길이는 24시간이며,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예를 들면 과거 1주간 이상의 기간에 있어 70%의 빈도 등)를 넘는 경우에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판정부(140, 1140)를 구비하고, 판정부(140, 1140)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출력부(16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출력되는 인지증 정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A의 관계자, 개호자 등은 유저 A에 상시 밀착해 관찰하지 않아도,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알림 장치(200) 등)이 출력하는 인지증 정보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지증 정보에 의해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했음이 인식되는 것을 계기로 하여, 예를 들면 의사 등이 유저 A의 상세한 상태를 진단하고, 적절한 처치 등을 할 수 있다. 이 진단 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각종 측정 기기(CT 스캐너 등)에 의해 유저 A의 인체(뇌 등) 상태가 검사된다. 이와 같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진단, 기기 이용에 의한 검사 실시 등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4) 예를 들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또한,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측정 결과(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량)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지 않는 단위 기간 내의 그 측정 결과를 반영하도록 기준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부(150)를 구비하고, 판정부(140, 1140)는 갱신부(150)에 의해 갱신된 기준 데이터와 그 갱신 후에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기준 데이터가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반영해 갱신되므로, 판정부(140, 1140)에 의해, 유저 A의 개별 사정(신체 동작량의 경향 등)에 대응하여 정밀도 좋게 경도 인지증 등의 발생의 판정을 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5) 예를 들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또한,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부(110)를 구비하고, 취득부(120)는 측정부(110)에 의한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유저 A의 수면 시간대를 특정하고, 특정한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아울러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은 예를 들면,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해 식별한 취침시부터 기상시까지를 수면 시간대로서 특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면 시간대를 고정적으로 23시부터 6시까지 등으로 특정하는 것보다도, 유저 A의 사정에 대응 가능해지므로, 정밀도 좋게 경도 인지증 등의 발생의 판정을 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6) 예를 들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은 또한,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부(110)를 구비하고, 취득부(120)는 측정부(110)에 의한 유저 A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유저 A의 수면 시간대를 특정하고, 특정한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1)은 또한, 유저 A에 사용되는 전기 기기(예를 들면 텔레비젼(24a))가 전원 온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부(1170)와, 취득부(120)가 특정한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 판별부(1170)에 의해 상기 전기 기기가 전원 온 상태라고 판별되었는지 여부와, 기준 데이터와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예를 들면 이변일)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1140)를 구비하고, 판정부(1140)에 의해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출력부(160)(혹은 출력부(220))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 A가 텔레비젼(24a) 등의 전기 기기의 전원을 끊는 것을 잊어버리고(끄는 것을 잊어버리고) 취침했던 것에 근거하여,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과 관련되는 판정을 실시하므로, 보다 적절히 경도 인지증 등의 발생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7) 예를 들면, 판정부(1140)는, 상기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예를 들면 이변일)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 및, 유저 A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 판별부(1170)에 의해 상기 전기 기기가 전원 온 상태라고 판별되었던 것이 일정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유저 A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일정 빈도의 예로서는, 제로, 1주간에 2번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 A가 텔레비젼(24a) 등의 전기 기기의 전원을 끊는 것을 잊어버리고(끄는 것을 잊어버리고) 취침한 것의 빈도에 의해서도,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과 관련되는 판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적절히 경도 인지증 등의 발생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8) 예를 들면, 출력부(160)는 인지증 정보를 제시하는 것에 의해, 인지증 정보의 출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에 의해, 유저 A의 경도 인지증 등의 발증의 가능성과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9) 예를 들면, 출력부(160)는 인지증 정보를 알림 장치(200)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인지증 정보의 출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알림 장치(200)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에 포함되어도 좋고,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의 외부에 소재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알림 장치(200)에 대해 인지증 정보를 수신하여, 예를 들면 표시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 A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부(110)를 갖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10, 11)의 장치(예를 들면 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로부터 떨어진 알림 장치(200)를 이용하여, 유저 A의 관계자, 개호자 등이 유저 A와 관련되는 인지증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104)를 갖는 장치(인지증 판정 장치(100a, 1100a))에게,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는 유저(대상자)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마다 취득하는 취득 스텝(예를 들면 스텝 S11)과,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예를 들면 스텝 S12, S13, S16~S18)을 포함한다.
이 제어 프로그램을 인지증 판정 장치(컴퓨터)에 인스톨하여, 프로세서(104)에게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10, 11 :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24a ~ 24c : TV(전기 기기)
104 : 프로세서 110 : 측정부
120 : 취득부 150 : 갱신부
160, 220 : 출력부 140, 1140 : 판정부
200 : 알림 장치 1170 : 판별부
A~C : 유저

Claims (10)

  1. 유저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마다 취득하는 취득부와,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의 길이는 24시간이고,
    상기 발생 빈도는 1주간 이상의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날의 비율에 의해 정해지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유저가 정상인인 시기에 있어서의 해당 유저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인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은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출력부는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상기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은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지 않는 단위 기간내의 해당 측정 결과를 반영하도록 상기 기준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상기 기준 데이터와 해당 갱신 후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은 상기 유저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의 수면 시간대를 특정하고, 특정한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은 상기 유저의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의 수면 시간대를 특정하고, 특정한 수면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은
    상기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전기 기기가 전원 온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취득부가 특정한 상기 유저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 상기 판별부에 의해 상기 전기 기기가 전원 온 상태인 것으로 판별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와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출력부는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상기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가 소정 기준 빈도를 넘는 경우 및 상기 유저의 수면 시간대에 있어 상기 판별부에 의해 상기 전기 기기가 전원 온 상태라고 판별되었던 것이 일정 빈도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인지증 정보를 제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을 행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인지증 정보를 알림 장치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력을 행하는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10.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는 장치에게,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지증 정보 출력 처리는,
    유저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의 측정 결과를 단위 기간마다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정상인의 수면 시간대의 신체 동작과 관련되는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의 차이의 크기가 소정 임계치를 넘는 단위 기간의 발생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경도 인지증 등을 발증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지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간의 길이는 24시간이고,
    상기 발생 빈도는 1주간 이상의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측정 결과의 차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넘는 날의 비율에 의해 정해지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
KR1020187017869A 2016-03-09 2017-03-06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KR102206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6358 2016-03-09
JP2016046358 2016-03-09
PCT/JP2017/008657 WO2017154805A1 (ja) 2016-03-09 2017-03-06 認知症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999A KR20180084999A (ko) 2018-07-25
KR102206717B1 true KR102206717B1 (ko) 2021-01-22

Family

ID=5979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69A KR102206717B1 (ko) 2016-03-09 2017-03-06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52663B2 (ko)
JP (1) JP6519903B2 (ko)
KR (1) KR102206717B1 (ko)
CN (1) CN108472022B (ko)
WO (1) WO2017154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404B2 (en) * 2017-12-13 2022-01-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gnitive decline detection system
JP7117491B2 (ja) 2018-03-09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77740B1 (ko) * 2018-12-12 2020-11-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인지 능력 평가 방법, 이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23096416A1 (ko) * 2021-11-25 2023-06-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7141B1 (ja) 2012-07-18 2014-06-11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認知症鑑別装置
US20150126821A1 (en) 2012-06-12 2015-05-07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
JP2016022310A (ja) 2014-07-24 2016-02-08 タイオー株式会社 認知症リスク判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4394B2 (ja) * 2002-05-29 2006-03-08 横河電機株式会社 睡眠段階推定装置及び睡眠段階推定装置から出力される信号を利用した装置
JP2005287641A (ja) 2004-03-31 2005-10-20 Rikogaku Shinkokai 脳機能劣化度推定装置
JP4407365B2 (ja) 2004-04-23 2010-02-0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睡眠状態検出装置
JP2007282992A (ja) 2006-04-19 2007-11-01 Sky Kk 認知症診断支援システム
KR101218626B1 (ko) * 2010-10-29 2013-01-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의 질 결정 장치 및 방법
US9192333B1 (en) * 2010-12-30 2015-11-24 University Of Main System Board Of Trustees System and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mild traumatic brain injury
JP5912952B2 (ja) 2012-07-17 2016-04-27 株式会社アイトシステム 認知症初期段階見極めシステム
US9238142B2 (en) * 2012-09-10 2016-01-19 Great Lakes Neurotechnologies Inc. Movement disorder therapy system and methods of tuning remotely, intelligently and/or automatically
JP6435482B2 (ja) 2014-01-24 2018-12-12 地方独立行政法人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認知症予見システム、認知症予見プログラム、および認知症予見方法
JP6373657B2 (ja) * 2014-06-27 2018-08-15 吉田 一雄 見守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6821A1 (en) 2012-06-12 2015-05-07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
JP5517141B1 (ja) 2012-07-18 2014-06-11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認知症鑑別装置
JP2016022310A (ja) 2014-07-24 2016-02-08 タイオー株式会社 認知症リスク判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1246A1 (en) 2019-08-01
KR20180084999A (ko) 2018-07-25
JPWO2017154805A1 (ja) 2018-11-29
CN108472022B (zh) 2022-03-01
JP6519903B2 (ja) 2019-05-29
WO2017154805A1 (ja) 2017-09-14
CN108472022A (zh) 2018-08-31
US10952663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9992B2 (ja) 認知症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06717B1 (ko) 인지증 정보 출력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CN109843173B (zh) 用于监测人的日常生活活动的系统和方法
Virone et al. Behavioral patterns of older adults in assisted living
JP6631931B2 (ja) 認知症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54817A (ja) 人の認知能力を監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90213060A1 (en) Facilitating Restful Sleep Using Reminders
JP2019076689A (ja) 体調予測方法、体調予測装置及び体調予測プログラム
CN109419493B (zh) 身体状况预测方法、身体状况预测装置和身体状况预测程序
JP6145907B1 (ja) 生活見守り装置
JPWO2018003752A1 (ja) 呼吸異常検出装置及び呼吸異常検出方法
WO201314477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clutter
JP6611871B1 (ja) 監視装置
JP2018502367A (ja) 環境因子に対する患者の曝露のモニタリング
Klymko Video monitoring: a room with a view, or a window to challenges in falls prevention research?
JP2016209404A (ja) ストレス検知システム
US8593285B2 (en) Safety-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safety confirmation system
Lentelink et al. A Remote Home Monitoring System to Support Informal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JP2019158426A (ja) 在不在判定方法、プログラム、センサ処理システム、及びセンサシステム
JP7447599B2 (ja) 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174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king times
WO2020003714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JP2022173949A (ja) 宅内見守りシステム、宅内見守り方法、及び宅内見守りプログラム
JP20200146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7174430A (ja) 空間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