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87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87B1
KR102206387B1 KR1020140175259A KR20140175259A KR102206387B1 KR 102206387 B1 KR102206387 B1 KR 102206387B1 KR 1020140175259 A KR1020140175259 A KR 1020140175259A KR 20140175259 A KR20140175259 A KR 20140175259A KR 102206387 B1 KR102206387 B1 KR 10220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aphic object
touch
mobile terminal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370A (ko
Inventor
박진형
이석진
임국찬
박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87B1/ko
Priority to US14/697,406 priority patent/US9891070B2/en
Priority to EP15001891.9A priority patent/EP3040684B1/en
Priority to CN201510536260.5A priority patent/CN105677138B/zh
Publication of KR2016006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지도정보에 대한 활용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도정보 출력에 최적화된 GUI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지도정보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지도정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장소정보, 상기 장소정보에 연계된 값이 가장 큰 장소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중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 이외의 영역에서 해제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도정보 전체 영역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출력된 영역 중 일 지점에서 해제되면, 상기 지도정보 중 상기 일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범위 내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는, 상기 아이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가 연계된 제2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서로 다른 카테고리 정보가 각각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은 상기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와 동일한 이미지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정보에 출력된 아이콘 중 적어도 두 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들을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장소정보들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탭(tab)을 생성하기 위한 탭 개수 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탭에는 지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탭 개수 정보에 근거하여 지도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탭에서 각각 경로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오버랩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정보들을 하나의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장소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 상에는 특정 장소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특정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 인접하면,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의 표시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장소정보, 상기 장소정보에 연계된 값이 가장 큰 장소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경로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일일이 타이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보다 편리하게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경로정보를 하나의 지도정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경로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경로정보를 하나의 지도정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경로정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에서 포함된장소정보 및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장소정보 및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함으로써, 지도정보에서 제공하는 장소정보 및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다 편리하게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에 기 출력하고, 상기 기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현재 이동 단말기가 상기 장소정보에 인접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소정보를 미리 설정해 놓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음으로써,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지도정보에 포함된 장소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는 지도정보 상에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방법, 상기 기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전송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하나의 도면(도 N)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가 2 by 2 형태로 도시된 경우, 좌측 상단에 도시된 이미지를 "첫번째 도면", 우측 상단에 도시된 이미지를 "두번째 도면", 우측 하단에 도시된 이미지를 "세번째 도면" 및 좌측 하단에 도시된 이미지를 "네번째 도면"이라 명명한다.
한편, 하나의 도면(도 N)에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가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일렬로 도시된 경우, 제일 상단에 있는 이미지부터 순차적으로 "첫번째 도면, 두번째 도면, ..."이라고 명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지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는 지도정보 출력에 연계된 아이콘(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또는 터치)되는 것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지도정보는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지도 기능 애플리케이션, 길 찾기 기능 애플리케이션, 교통 관련 기능 애플리케이션 등)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을 통해 지도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온(on) 상태일 수 있다.
지도정보(300)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정보(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지도정보(300)는 외부 서버(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정보(300)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지도정보(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정보에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정보는 지도정보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며, 일 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경로정보, 교통정보, 지리정보, 실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에는 GPS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획득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지도정보(300)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아이콘(820)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와 입력된 목적지 사이의 경로정보(310)를 지도정보(3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정보(210)를 지도정보(2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하고, 지도정보에 표시되는 위치정보 및 경로정보를 이용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지도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장소정보 또는 상기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지도정보에서 제공하는 경로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10).
상기 지도정보(30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지도 기능 애플리케이션, 길 찾기 기능 애플리케이션, 교통 관련 기능 애플리케이션 등)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3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정보(3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드래그 터치 또는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지도정보(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정보(3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핀치-인 터치, 핀치-아웃 터치, 더블 숏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지도정보(300)를 줌 아웃(축소)시키거나, 줌 인(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정보(300)에 포함된 장소명칭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숏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장소명칭에 해당하는 장소에 대한 상세정보 출력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 및 상기 터치가 가해진 장소명칭에 해당하는 장소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터치가 가해진 장소명칭에 대응되도록 출력되거나, 주변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가 출력된 영역 중 일 지점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롱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지점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이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기능은, 일 예로, 출발지 설정 기능, 목적지 설정 기능, 주소정보 출력 기능, 거리 측정 기능 및 공유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에는 경로정보(310)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장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경로정보를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31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으면, 현재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되거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정보(310)는, 경유지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상기 경유지를 경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지도정보(300)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는 지도정보(300)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요청은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기능이 연계된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거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웨어 버튼 중 상기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기능이 연계된 버튼이 선택되는 것 또는 상기 지도정보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미리 정해지거나, 지도정보(300)를 통해 제공 가능한 장소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장소정보,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 상에서 미리 등록된 장소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에 장소정보를 연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는, 버스, 지하철, 음식점, 카페, 베이커리, 은행, 병원, 엔터테인먼트, 편의점, 숙박, 주유소, 주차장, 관광 등과 같이 장소정보를 특정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한 카테고리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는, 특정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에 음식점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4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 중 상기 음식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예를 들어, A음식점, B음식점, C식당 등)가 연계되어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400)는 연계된 장소정보 또는 카테고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경로정보가 설정된 경우,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300)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20).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 가해진 터치로부터 연장되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다른 경로정보(310b)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된다는 것은, 상기 그래픽 객체가 지도정보 상으로 이동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400) 각각에는, 장소정보가 적어도 하나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객체(400) 각각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 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도정보(300)에는 각 지점에 해당하는 장소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지도정보(300)에 설정된 장소정보 중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찾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장소정보(장소)를 경유하는 경로정보(310b)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가 포함된 지도정보(300)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도 3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를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도 3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다른 경로정보(310b)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경로정보(310b)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가해진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 A음식점에 대한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상기 A음식점을 경유하는 경로정보(310b)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별도의 장소를 검색하지 않아도,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함으로써,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경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a 및 도 4b는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에는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는 음식점 A에 대한 장소정보 및 음식점 B에 대한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식점 A 및 B에 대한 장소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장소정보이거나, 음식점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출력된 지도정보(300) 상에서 검색된 장소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장소정보(예를 들어, 음식점 C)가 현재 출력된 지도정보(30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장소정보(음식점 C)가 표시되도록 지도정보(300)를 축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장소정보(예를 들어, 음식점 C)가 현재 출력된 지도정보(30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지도정보의 출력크기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장소정보(음식점 C)에 대한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정보(300)에 포함된 장소정보 중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장소정보만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드래그 터치가 가해진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선택(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장소정보, 상기 장소정보에 연계된 값이 가장 큰 장소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두번째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 음식점 A에 대한 장소정보 및 음식점 B에 대한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장소정보에 연계된 값이 가장 큰 장소정보를 선택하는 것인 경우, 제어부(180)는 음식점 A에 대한 장소정보 및 음식점 B에 대한 장소정보 중 더 높은 값이 연계된 장소정보(음식점 A에 대한 장소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소정보에 연계된 값은 사용자(들)에 의해 설정된 점수로, 일 예로, 평점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가 상기 선택된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음식점 A)를 경유하도록 경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경로정보(310b)를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기 설정된 경로정보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소정보를 선택하는 것인 경우, 도 4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예를 들어, 음식점 A에 대한 장소정보 및 음식점 B에 대한 장소정보) 중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에 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소정보(음식점 B)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상기 선택된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음식점 B)를 경유하도록 경로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를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객체(400)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장소정보를 특정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일 예로, 버스, 지하철, 음식점, 카페, 베이커리, 은행, 병원, 엔터테인먼트, 편의점, 숙박, 주유소, 주차장, 관광 등과 같이 장소정보를 분류하는 상위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300) 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를 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 내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5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특정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을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드래그 터치가 가해진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가 음식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 중 상기 음식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예를 들어, 음식점A, 음식점 B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도 5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도정보(300)에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60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는, 도 5a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경로정보 변경 기능에 연계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출력되는 위치는, 출력된 지도정보(300)의 이미지 및 터치가 가해진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동일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지도정보 상으로 이동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의 이미지에 따라 다른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의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더라도, 상기 지도정보로 이동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동일한 지도정보(300)의 이미지가 출력되고, 동일한 카테고리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가 지도정보(300)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을 서로 다른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300) 중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 이외의 영역에서 해제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도정보 전체 영역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는 상기 지도정보(300) 중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 이외의 영역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도 5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도정보(300)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정보(300) 중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출력된 영역 중 일 지점에서 해제되면, 상기 지도정보 중 상기 일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범위 내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는 상기 지도정보(300)에 포함된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가 출력된 영역 중 일 지점(320)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도 5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도정보(300) 중 상기 일 지점(320)을 기준으로 기준범위 내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아이콘(6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60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숏 터치 또는 롱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를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는 상기 아이콘(60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소정보(장소)를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그래픽 객체(40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300) 중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 이외의 영역에서 해제되면,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범위 이내에서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5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가 지도정보(300) 중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 이외의 영역의 일 지점에서 해제되면, 상기 일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범위 이내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는 상기 터치가 가해진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 또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범위를 알려주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가해진 그래픽 객체(400a) 또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지점을 중심으로 기준범위에 대응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준범위의 크기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기 그래픽 효과가 적용된 영역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핀치-인, 핀치 아웃 터치, 상기 영역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기준범위의 크기가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크기가 변경된 기준범위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장소정보에 대응되도록 아이콘을 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기준범위 이내에서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경우, 지도정보 전체 영역에서 아이콘을 제공할 때보다 더 많은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경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내용을 유추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지도정보 상으로 이동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검색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경우에도,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내용을 유추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지도정보 상으로 이동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아이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집중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으로 이동시켜, 해당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지역(부분, 영역)에서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소정보 또는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장소정보 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장소정보 또는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설정된 출발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에 근거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정보를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가 연계된 제2 그래픽 객체(41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410)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에 연계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서로 다른 카테고리 정보가 각각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를 출력하기 위해 제2 그래픽 객체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일 예로, 숏 터치이거나,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410)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410) 중 어느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41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질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41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6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a)에 연계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서로 다른 카테고리 정보가 각각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 중 어느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40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지도정보(300) 상에서 상기 터치가 가해진 제1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 아이콘(60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 아이콘을 출력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400a)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숏 터치 및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400) 중 어느 하나(400a)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400a)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을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 중 어느 하나(60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600a)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600)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60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숏 터치 또는 롱 터치)가 가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600a)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600a)은, 도 6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것과 같이, 상기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400a)와 동일한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600)을 상기 터치가 가해진 어느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400a)와 동일한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장소정보가 선택되었음을 가이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지도정보에 출력된 아이콘(600) 중 적어도 두 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해당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제1 그래픽 객체와 동일한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A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제1 그래픽 객체를 통해 출력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A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제1 그래픽 객체와 동일한 이미지(400a)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B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제1 그래픽 객체를 통해 출력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B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제1 그래픽 객체와 동일한 이미지(400b)로 변경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6c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지도정보(300)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장소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장소정보에는 각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제1 그래픽 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정보(300)에 출력된 아이콘 중 적어도 두 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들을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6c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로정보 생성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41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정보 생성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410)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들을 이용하여 경로정보(31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로정보(310)는 상기 장소정보들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조건은, 일 예로, 카테고리 정보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것, 동일한 카테고리 정보가 연속하도록 설정되지 않는 것, 특정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출발지로 설정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정보상에 설정된 장소정보들이 숙박 카테고리, 음식점 카테고리, 관광지 카테고리인 경우, 제어부(180)는 숙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출발지로 하여, 음식점 카테고리, 관광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장소정보가 번갈아가면서 경유될 수 있도록 경로정보(310)를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조건은, 이러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6a로 돌아와,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탭(tab)을 생성하기 위한 탭 개수 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410)에는 각각 탭 개수 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 예로, 2박 3일에 해당하는 제2 그래픽 객체(410a)에는 3에 해당하는 탭 개수 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제2 그래픽 객체(410)에 연계된 탭 개수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탭(70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가의 탭(700)에는 지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410a)에 연계된 탭 개수 정보에 근거하여, 지도정보(300)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탭(7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을 통해, 각 탭에는 적어도 두 개의 경로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탭에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각 탭에 포함된 지도정보(30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탭에 설정된 경로정보들은 서로 다를수 있다.
여기서, 각 탭에 포함된 지도정보(300)에는 오버랩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800)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탭(700) 중 어느 하나의 탭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탭에 경로정보가 설정된 지도정보(300)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오버랩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800)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6d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적어도 두개의 텝에서 각각 설정된 경로정보(310a, 310b, 310c)를 하나의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된 적어도 두 개의 경로정보(310a, 310b, 310c)는 서로 다른 탭에서 설정된 경로정보임을 알릴 수 있도록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각 탭에 대한 알림정보(예를 들어, 1일, 2일 등)가 상기 경로정보들 주변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 등을 일일이 검색(타이핑)하지 않고,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제1 그래픽 객체가 적어도 두 개 연계된 제2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여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고, 복수의 경로정보들을 한번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지도정보에서 제공 가능한 정보들을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a 및 도 7b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지도정보에 포함된 장소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와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가 지도정보(300)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 중 어느 하나(420a)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a)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a)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장소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지도정보(300) 및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 중 어느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a)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a)가 일정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일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a의 두번째 도면에는 상기 일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는, 도 7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장소정보(32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20)가 지도정보(300)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420a)가 이동된 지점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420a)가 이동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된 그래픽 객체(420a)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420a)가 이동된 지점에 대응되는 장소정보(320)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 중 드래그 터치가 시작되는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b)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은 SMS(Short Message Service) 관련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20b)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300) 상에서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개 SMS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SMS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400)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지점에 해당하는 장소정보(320)(예를 들어, ABC 휘트니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던 지도정보(300)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지도정보(300)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웹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지점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이용하여 웹 검색 기능을 수행하고, 검색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지점에 대응되는 장소정보 및 지도정보 등을 게시(공유)할 수 있는 SNS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지도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지도정보에 포함된 장소정보를 포함시켜 보다 간편하게 장소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지도정보에 포함된 장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장소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는 지도정보 상에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방법, 상기 기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8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 상에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 400b)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400a, 400b)에는 각각의 특정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400a, 400b)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특정 장소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 출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그래픽 객체(400a, 400b)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숏 터치 또는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는 것)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출력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지도정보(300) 상에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400a, 400b)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은, 상기 아이콘에 숏 터치 또는 롱 터치가 가해지거나,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아이콘 상에서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8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도정보(300) 상에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 400b)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400a)에 터치가 가해지면, 기 설정된 경로정보(310a)를 상기 터치가 가해진 그래픽 객체(400a)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경유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도 8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경된 경로정보(310b)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와 다른 그래픽 객체(400b)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310b)를 또 다시 변경하고, 다시 변경된 경로정보(310c)를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 상에 경로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된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 400b)를 이용하여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설정된 출발지, 목적지 및 경유지 등을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정보를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웹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텍스트 추출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900)를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웹 페이지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 추출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900)를 상기 웹 페이지가 출력된 영역 중 일부분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그래픽 객체(900)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특정 텍스트(910) 상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텍스트(910)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정 텍스트(910)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900)와 오버랩된 텍스트만을 추출하거나, 상기 오버랩된 텍스트가 포함된 단어 단위로 텍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8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래픽 객체(900)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ABC 음식점"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ABC 음식점" 텍스트를 추출하고, 지도정보에서 중 상기 "ABC 음식점"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결과에 근거하여 장소정보를 결정하고, 지도정보(300)에서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를 상기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는 상기 장소정보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웹 페이지에서 텍스트 추출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900)를 이용하여 장소정보를 획득하고,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지도정보 상에서 상기 획득된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장소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400a)를 기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쇼핑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도정보(300) 출력시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 장소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400b)를 기 출력할 수도 있다.
도 8c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쇼핑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물품정보(920)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물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물품정보(820)를 구입할 수 있는 장소정보(예를 들어, A쇼핑몰)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쇼핑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물품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8c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물품정보를 구입할 수 있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그래픽 객체(400b)가 출력된 지도정보(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된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 400b)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GPS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아이콘(810)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획득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지도정보(300)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아이콘(8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상기 지도정보(300) 상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400a, 400b)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된 장소와 인접하게 되면(기준 범위 이내이면), 제어부(180)는, 도 9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접한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400a)의 표시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인접한 장소정보를 알리는 알림정보(83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830)는 이동 단말기를 진동키거나, 소리를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은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이용)하여 지도정보상에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기 출력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하고,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또 다시 검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된 정보 중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바로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연동(저장)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경로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일일이 타이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보다 편리하게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경로정보를 하나의 지도정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경로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경로정보를 하나의 지도정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경로정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에서 포함된장소정보 및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장소정보 및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함으로써, 지도정보에서 제공하는 장소정보 및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다 편리하게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소정보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에 기 출력하고, 상기 기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변경하거나, 현재 이동 단말기가 상기 장소정보에 인접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소정보를 미리 설정해 놓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음으로써, 편의성이 증진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 및 장소정보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장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 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고,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중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 이외의 영역에서 해제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도정보 전체 영역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가 출력된 영역 중 일 지점에서 해제되면, 상기 지도정보 중 상기 일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범위 내에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드래그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 또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범위를 알려주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고, 상기 기준범위의 크기는 상기 그래픽 효과가 적용된 영역에 핀치-인, 핀치 아웃 터치, 및 상기 영역의 테두리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가변되고,
    상기 기준범위의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크기가 변경된 기준범위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장소정보에 대응되도록 아이콘을 더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변경된 경로정보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상기 지도정보 상에서 해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장소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장소정보, 상기 장소정보에 연계된 값이 가장 큰 장소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경로정보는,
    상기 아이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가 연계된 제2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에는 장소정보와 관련된 서로 다른 카테고리 정보가 각각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은 상기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와 동일한 이미지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정보에 출력된 아이콘 중 적어도 두 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장소정보들을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장소정보들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탭(tab)을 생성하기 위한 탭 개수 정보가 연계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탭에는 지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탭 개수 정보에 근거하여 지도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탭에서 각각 경로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오버랩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경로정보를 하나의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75259A 2014-12-08 2014-12-0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0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59A KR102206387B1 (ko) 2014-12-08 2014-12-0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697,406 US9891070B2 (en) 2014-12-08 2015-04-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EP15001891.9A EP3040684B1 (en) 2014-12-08 2015-06-2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201510536260.5A CN105677138B (zh) 2014-12-08 2015-08-27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59A KR102206387B1 (ko) 2014-12-08 2014-12-0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70A KR20160069370A (ko) 2016-06-16
KR102206387B1 true KR102206387B1 (ko) 2021-01-22

Family

ID=5351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259A KR102206387B1 (ko) 2014-12-08 2014-12-0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91070B2 (ko)
EP (1) EP3040684B1 (ko)
KR (1) KR102206387B1 (ko)
CN (1) CN1056771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091B1 (en) 2002-02-01 2003-12-02 @Security Broadband Corp. LIfestyle multimedia security system
US11201755B2 (en) 2004-03-16 2021-12-1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20170118037A1 (en) 2008-08-11 2017-04-27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for premises automation
US10382452B1 (en) 2007-06-12 2019-08-1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9141276B2 (en) 2005-03-16 2015-09-22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11159484B2 (en) 2004-03-16 2021-10-26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0339791B2 (en) 2007-06-12 2019-07-02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7711796B2 (en) 2006-06-12 2010-05-04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11113950B2 (en) 2005-03-16 2021-09-0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integrated with premises security system
US11582065B2 (en)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10721087B2 (en)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8635350B2 (en) 2006-06-12 2014-01-21 Icontrol Networks, Inc. IP device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10444964B2 (en) 2007-06-12 2019-10-15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313303B2 (en) 2007-06-12 2019-06-04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0200504B2 (en) 2007-06-12 2019-02-05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0375253B2 (en) 2008-08-25 2019-08-06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and gateway
US9531593B2 (en) 2007-06-12 2016-12-27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9729342B2 (en) 2010-12-20 2017-08-08 Icontrol Networks, Inc. Defining and implementing sensor triggered response rules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0127802B2 (en) 2010-09-28 2018-11-13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8963713B2 (en) 2005-03-16 2015-02-24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network with security alarm signaling system
US10142392B2 (en) 2007-01-24 2018-11-27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11277465B2 (en) 2004-03-16 2022-03-15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20090077623A1 (en) 2005-03-16 2009-03-19 Marc Baum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368429B2 (en) 2004-03-16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US10156959B2 (en)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1489812B2 (en) 2004-03-16 2022-11-01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20066608A1 (en) 2005-03-16 2012-03-15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20160065414A1 (en) 2013-06-27 2016-03-03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AU2005223267B2 (en) 2004-03-16 2010-12-09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system
US11677577B2 (en) 2004-03-16 2023-06-13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10522026B2 (en) 2008-08-11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US11316958B2 (en) 2008-08-11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700142B2 (en) 2005-03-16 2023-07-11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20110128378A1 (en) 2005-03-16 2011-06-02 Reza Raji Modular Electronic Display Platform
US20170180198A1 (en) 2008-08-11 2017-06-22 Marc Baum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US11496568B2 (en) 2005-03-16 2022-11-08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11615697B2 (en) 2005-03-16 2023-03-2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9306809B2 (en) 2007-06-12 2016-04-05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10999254B2 (en) 2005-03-16 2021-05-0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 for data routing in networks
US10079839B1 (en) 2007-06-12 2018-09-18 Icontrol Networks, Inc. Activation of gateway device
US11706279B2 (en) 2007-01-24 2023-07-1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communication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8451986B2 (en) 2007-04-23 2013-05-2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lternate network access for telecommunications
US10666523B2 (en) 2007-06-12 2020-05-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389736B2 (en) 2007-06-12 2019-08-20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18878B2 (en) 2007-06-12 2022-01-04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089122B2 (en) 2007-06-12 2021-08-10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among networks
US11601810B2 (en) 2007-06-12 2023-03-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423756B2 (en) 2007-06-12 2022-08-2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46907B2 (en) 2007-06-12 2023-05-0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523689B2 (en) 2007-06-12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0616075B2 (en) 2007-06-12 2020-04-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498830B2 (en) 2007-06-12 2019-12-03 Icontrol Networks, Inc. Wi-Fi-to-serial encapsulation in systems
US10423309B2 (en) 2007-06-12 2019-09-24 Icontrol Networks, Inc. Device integration framework
US11316753B2 (en) 2007-06-12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37714B2 (en) 2007-06-12 2022-02-01 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70185278A1 (en)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530839B2 (en) 2008-08-11 2020-01-07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729255B2 (en) 2008-08-11 2023-08-1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258625B2 (en)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US11750414B2 (en) 2010-12-16 2023-09-05 Icontrol Networks, Inc.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9147337B2 (en) 2010-12-17 2015-09-29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security event data
US10365804B1 (en) * 2014-02-20 2019-07-30 Google Llc Manipulation of maps as documents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1146637B2 (en) 2014-03-03 2021-10-1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0621063B2 (en) * 2015-07-10 2020-04-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omain-specific sequence diagram visualization
CN106446282B (zh) * 2016-10-28 2019-11-01 易瓦特科技股份公司 一种显示定位结果的方法和装置
WO2018222510A2 (en) 2017-06-02 2018-12-06 Apple Inc. Venues map application and system
CN107748637A (zh) * 2017-06-26 2018-03-02 陶畅 一种对自变形图像进行交互式控制的游戏方法
CN109377855B (zh) * 2018-09-18 2021-03-05 咪咕互动娱乐有限公司 一种图案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766049A (zh) * 2018-12-14 2019-05-17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为作业设备分配目标地块的方法和控制设备
KR20220114336A (ko) * 2021-02-08 2022-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8824A (ja) * 2008-08-07 2010-02-18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探索方法
JP2010256347A (ja) * 2009-03-30 2010-11-11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40081881A1 (en) * 2012-09-17 2014-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cial network based mapp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1742B2 (en) * 2002-03-01 2007-09-18 Networks In Mo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retrieving and planning location relevant information
JP4098638B2 (ja) 2003-01-28 2008-06-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839628B1 (en) * 2003-06-13 2005-01-04 Alpine Electronics, Inc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order of listing points of interest for navigation system
JP4260574B2 (ja) 2003-08-06 2009-04-30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069967A (ja) 2003-08-27 2005-03-17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565239B2 (en) * 2005-05-06 2009-07-21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for searching selected type of information along route to destination
EP1990789A1 (en) * 2006-02-27 2008-11-12 Navitime Japan Co., Ltd. Map display system, method of inputting conditions for searching for poi, method of displaying guidance to poi, and terminal device
JP4360381B2 (ja) * 2006-06-05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39682A (ja) * 2006-08-09 2008-02-21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携帯電話機
US20080167812A1 (en) * 2007-01-10 2008-07-10 Pieter Geel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fuel pricing display
KR100948773B1 (ko) * 2007-05-16 2010-03-24 팅크웨어(주) 경로 설정을 위한 주변 검색 방법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DE102007056328A1 (de) * 2007-11-22 2009-05-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Information über interessante Orte mit einem Navigationssystem
KR20090071076A (ko) * 2007-12-27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의 관심 지점 정보 제공방법
US9896044B2 (en) 2009-12-18 2018-02-20 Fca U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range extension on detection of a low fuel condition
US20110224896A1 (en) * 2010-03-09 2011-09-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based routing services
KR101347518B1 (ko) * 2010-08-12 2014-01-07 주식회사 팬택 필터의 선택이 가능한 증강 현실 사용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증강 현실 서버
US8185302B2 (en) 2010-08-26 2012-05-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servational vehicle routing
AU2012261938B2 (en) 2011-06-03 2015-03-1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mparing and selecting alternative navigation routes
KR101912409B1 (ko) * 2012-01-06 2018-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95283B1 (ko) * 2013-03-14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앱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996246B2 (en) *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KR102069322B1 (ko) * 2013-06-05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04007B2 (en) * 2013-08-13 2016-04-05 Mapque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apping services including route break point recommendations
US9651392B2 (en) * 2014-01-22 2017-05-16 Mapques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ynamic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and trip planning
US9739631B2 (en) * 2014-04-01 2017-08-22 Mapques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
US9464909B2 (en) * 2014-09-10 2016-10-11 Volkswagen A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ing points of interest in a navigation system
US9606716B2 (en) * 2014-10-24 2017-03-28 Google Inc. Drag-and-drop on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8824A (ja) * 2008-08-07 2010-02-18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探索方法
JP2010256347A (ja) * 2009-03-30 2010-11-11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40081881A1 (en) * 2012-09-17 2014-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cial network based ma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91070B2 (en) 2018-02-13
EP3040684B1 (en) 2019-11-27
KR20160069370A (ko) 2016-06-16
EP3040684A2 (en) 2016-07-06
CN105677138B (zh) 2020-08-07
EP3040684A3 (en) 2016-10-26
US20160161277A1 (en) 2016-06-09
CN105677138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09511B1 (ko) 안경형 단말기와 그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2237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949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965176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75625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612371B (zh) 移动终端
KR1017142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667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1068B1 (ko) 무선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611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660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7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015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0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463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41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34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10309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8697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73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539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46149A (ko) 이동 단말기
KR10211465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