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16B1 -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16B1
KR102206316B1 KR1020200008496A KR20200008496A KR102206316B1 KR 102206316 B1 KR102206316 B1 KR 102206316B1 KR 1020200008496 A KR1020200008496 A KR 1020200008496A KR 20200008496 A KR20200008496 A KR 20200008496A KR 102206316 B1 KR102206316 B1 KR 10220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microbial
dry
pellet
dr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인
Original Assignee
송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호인 filed Critical 송호인
Priority to KR102020000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16B1/ko
Priority to KR1020210003186A priority patent/KR102302111B1/ko
Priority to KR1020210003188A priority patent/KR102302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8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y or the form in which the microorganisms are added or do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3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for digestion of grease, fat,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는 장기간 실온보존이 가능하며, 오염된 하천수 등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킬 수 있으며,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지방의 제거에 효과적이고, 폐수의 악취 제거효과가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MICROORGANISM MATERIAL FOR WASTEWATER PURIFICA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ID THEREOF}
본 발명은 분말형, 액상형 또는 펠릿형 등으로 제조가능한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장기간 실온보존이 가능하며, 오염된 하천수 등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킬 수 있으며,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지방의 제거에 효과적이고, 폐수의 악취 제거효과가 우수한 분말형, 액상형 및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업단지 또는 농업단지 인근의 하천은 공업용수 또는 농업용수의 무단 방류 등으로 인하여 높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수치를 갖게 된다.
한편, 하천 폐수는 각종 유기물질의 부패로 인하여 각종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악취발생 등의 하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하기 특허문헌 1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수질정화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장기간 실온보존성이 높지 않으며, 공업단지 또는 농업단지 인근의 오염된 하천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낮추고,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 실온보존이 가능하며, 오염된 하천수 등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키며,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지방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폐수의 악취 제거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99호 (2014.03.14)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분말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분말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분말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분말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등을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이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폐수를 정화처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말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분말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분말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분말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분말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액상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액상 혼합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용매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pellet)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질산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은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은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유지방의 제거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 및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폐수의 악취 제거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 및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뿌리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말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의 배지에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고,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각각의 건조분말로 제조하는 단계(S100);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분말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00);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분말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30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분말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40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분말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혼합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액상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의 배지에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고,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각각의 건조분말로 제조하는 단계(S100);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분말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00);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분말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30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분말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40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분말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액상 혼합용매와 혼합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의 배지에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를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를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를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40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혼합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질산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0)에서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고, 상기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300)에서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폐수에 포함된 유지방의 제거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400)에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 및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폐수의 악취 제거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500)에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 및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뿌리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말형 또는 액상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각각 암모니아의 질산화, 유지방의 제거 및 악취 제거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펠릿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에서 추가적으로 포함된 성분들을 대응되도록 포함시켜 제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장기간 실온보존이 가능하며, 오염된 하천수 등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키며,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지방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폐수의 악취 제거효과가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장기간 실온보존이 가능하며, 오염된 하천수 등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키며,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지방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폐수의 악취 제거효과가 우수한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분말형, 액상형 또는 펠릿형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말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분말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분말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분말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분말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액상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분말; 및 액상 혼합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용매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펠릿(pellet)형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특정 미생물배양체와 특정 식물성건조분말을 혼합하여 펠릿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이를 장기간 실온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 등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는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기 위하여 각각의 세균배양배지 (예를 들어, Biozoa Biologicla Supply사의 세균배양배지 #151661)에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 배양한다.
그 다음, 이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배양체를 각각의 식물성 건조분말과 혼합하여 펠릿 (pellet)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는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과 고르게 혼합되며,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펠릿형태로 압착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는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과 고르게 혼합되며,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펠릿형태로 압착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는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과 고르게 혼합되며,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펠릿형태로 압착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는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과 고르게 혼합되며,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펠릿형태로 압착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건조펠릿 제조는 15 내지 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수행되며, 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착 가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수행된다.
펠릿 제조 과정에서 진행되는 건조과정은 20 내지 37℃의 바람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톱밥, 왕겨, 밀가루 및 감자전분을 적당량의 물과 함께 더욱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기 각각의 건조펠릿은 약 1 내지 5㎜ 직경의 구형 알갱이 또는 약 1 내지 2㎜직경, 약 3 내지 10㎜ 길이의 원통형 막대형상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이와 같이 준비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한다.
한편, 이와 같이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감자전분을 적당량의 물과 함께 더욱 포함시키고, 이들 건조펠릿들을 다양한 모양 및 크기를 갖는 블럭 형태로 압착가공하는 과정을 더욱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블럭 형태로 압착가공하는 경우는 블럭의 내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블럭의 전체 표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블럭 내부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가공할 경우, 미생물제의 보존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이를 폐수에 투입할 경우 블럭이 가루로 분해되는 속도가 증가되어 폐수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일부 변형하여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를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키는 미생물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질산화되며, 이를 질화반응 또는 질산화반응이라고 하며, 폐수의 유해성분인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반응이다.
[질화반응]
암모니아 (NH3, ammonia) → 아질산(HNO2, nitrite) → 질산(HNO3, nitrate)
2NH3 + 3O2 → 2H+ + 2NO2 - + 2H2O
2NO2 - + O2 → 2NO3 -
본 발명자는 오랜 연구 끝에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니트로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고, 상기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킴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를 매우 효율적으로 질산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사용하는 경우,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질산화가 현저하게 촉진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을 일부 변형하여 폐수에 포함된 소수성 기름성분인 유지방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한 미생물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지방은 폐수의 악취를 유발하고 폐수의 자연정화시간을 지연시키며, 폐수의 표면에 부유하여 폐수에 대기 중의 산소 및 자외선이 유입됨으로써 폐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작용을 방해한다.
본 발명자는 오랜 연구 끝에 상기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 및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킴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유지방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사용하는 경우, 폐수에 포함된 유지방의 제거가 현저하게 촉진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을 일부 변형하여 폐수의 악취를 매우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제거 가능한 미생물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폐수에서 나는 각종 악취로 인하여 인근의 대기환경이 심각하게 파괴되며, 각종 전염성 곤충의 집결원인이 되고, 이로 인하여 폐수원 인근의 거주민들의 삶의 질 또한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자는 오랜 연구 끝에 상기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 및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뿌리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킴으로써, 폐수의 악취를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사용하는 경우, 폐수의 악취가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을 펠릿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의 배지에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를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를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를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40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혼합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한편,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질산화에 사용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0)에서 니트로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고, 상기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300)에서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폐수에 포함된 유지방의 제거에 사용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400)에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 및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폐수의 악취 제거에 사용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500)에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 및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뿌리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 (펠릿형) 및 그 결과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험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한국세포주은행(KCLRF) 및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ACC)로부터 입수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1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암모니아 질산화용 폐수정화 미생물제의 제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9*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150g 및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15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500g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 500g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150g 및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15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500g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 500g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유지방 제거용 폐수정화 미생물제의 제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9*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150g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체 15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500g 및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건조분말 500g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악취 제거용 폐수정화 미생물제의 제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150g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이치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배양체 15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500g 및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뿌리 건조분말 500g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미포함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미포함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미포함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미포함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 실시예 1에서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대신 밀가루 첨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밀가루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 실시예 1에서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대신 밀가루 첨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밀가루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 실시예 1에서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대신 밀가루 첨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밀가루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 실시예 1에서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 대신 밀가루 첨가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Biozoa Biologicla Supply사, #151661)에 각각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였으며, 배양체를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배양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0*108세균/㎖이었고,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8*108세균/㎖이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8.2*108세균/㎖이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의 배양밀도는 7.6*108세균/㎖이었다.
그 다음,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300g을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300g을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300g을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300g을 밀가루 1㎏과 혼합한 후 직경 2㎜의 구형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고르게 혼합하여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제조하였다.
[실험 1] - BOD 측정실험 (공업하천 폐수)
공업단지 인근의 공업하천 폐수 1,300리터를 수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우선 수집한 각각의 폐수를 각각 100리터 실험용 탱크 13개에 나누어 넣고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그 다음, 각각의 폐수가 담긴 탱크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8에서 준비된 혼합분말을 각각 100g씩 넣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BOD (단위: mg/L)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탱크 하나는 미처리 대조구).
처리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미처리 대조구 8.5 8.5 8.4 8.3
실시예 1 8.5 4.1 2.1 0.9
실시예 2 8.5 4.2 2.3 0.9
실시예 3 8.5 4.3 2.4 1.0
실시예 4 8.5 4.3 2.3 0.9
비교예 1 8.5 8.1 7.5 6.5
비교예 2 8.5 7.9 7.3 5.9
비교예 3 8.5 7.8 6.9 5.4
비교예 4 8.5 7.9 6.9 5.8
비교예 5 8.5 6.5 5.2 3.9
비교예 6 8.5 6.8 4.9 3.5
비교예 7 8.5 6.5 4.6 3.4
비교예 8 8.5 6.7 4.2 3.2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BOD값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2] - 암모니아의 질산화 효율 측정 실험
공업단지 인근의 공업하천 폐수 1,300리터를 수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우선 수집한 각각의 폐수를 각각 100리터 실험용 탱크 13개에 나누어 넣고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그 다음, 각각의 폐수가 담긴 탱크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8에서 준비된 혼합분말을 각각 100g씩 넣고, HORIBA사의 암모니아 농도 측정장치 (APNA-370/쳐2)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폐수의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탱크 하나는 미처리 대조구).
처리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미처리 대조구 1,230 1,215 1,210 1,204
실시예 1 1,230 1,120 980 850
실시예 2 1,230 350 98 32
실시예 3 1,230 1,105 890 842
실시예 4 1,230 1,201 1,020 854
비교예 1 1,230 1,202 1,008 950
비교예 2 1,230 1,210 1,010 985
비교예 3 1,230 1,115 988 860
비교예 4 1,230 1,208 992 867
비교예 5 1,230 1,204 985 852
비교예 6 1,230 1,102 973 845
비교예 7 1,230 1,201 962 824
비교예 8 1,230 1,215 985 852
(단위: ppm)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2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폐수의 암모니아의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3] - 유지방 제거 효율 측정 실험
공업단지 인근의 공업하천 폐수 130리터를 수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우선 수집한 각각의 폐수를 각각 10리터 실험용 유리플라스크 13개에 나누어 넣고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그 다음, 각각의 폐수가 담긴 탱크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8에서 준비된 혼합분말을 각각 10g씩 넣고, 폐수를 강하게 저어서 혼합한 후, 상층부에 떠있는 유지방층의 두께를 육안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탱크 하나는 미처리 대조구).
처리직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미처리 대조구 25 25 25 25
실시예 1 25 23 21 19
실시예 2 25 23 20 19
실시예 3 25 12 8 2
실시예 4 25 23 21 19
비교예 1 25 24 22 20
비교예 2 25 24 23 21
비교예 3 25 24 22 21
비교예 4 25 24 21 20
비교예 5 25 23 21 19
비교예 6 25 23 20 19
비교예 7 25 23 20 19
비교예 8 25 23 21 19
(단위: ㎜)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3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폐수의 유지방층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4] - 악취제거 효율 측정 실험
공업단지 인근의 공업하천 폐수 1,300리터를 수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우선 수집한 각각의 폐수를 각각 100리터 실험용 탱크 13개에 나누어 넣고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그 다음, 각각의 폐수가 담긴 탱크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8에서 준비된 혼합분말을 각각 100g씩 넣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폐수의 악취 정도 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탱크 하나는 미처리 대조구).
악취의 정도는 냄새의 강약에 따라 악취의 정도가 0 내지 999의 숫자로 표시되는 악취측정기 (에코맥사의 OMX-SRM)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처리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미처리 대조구 350 350 350 350
실시예 1 350 310 280 210
실시예 2 350 306 275 208
실시예 3 350 311 265 198
실시예 4 350 120 53 30
비교예 1 350 345 310 290
비교예 2 350 342 309 288
비교예 3 350 345 305 287
비교예 4 350 343 306 291
비교예 5 350 340 301 288
비교예 6 350 342 302 275
비교예 7 350 340 299 269
비교예 8 350 339 303 286
상기 표 4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4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폐수의 악취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미생물제를 전술한 분말형 및 액상형으로 각각 제조(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8과 대응되는 성분으로 나누어 각각 제조)하고, 각각 대응되는 성분을 포함시켜 상기 실험 1 내지 4와 동일한 실험을 반복 수행하였으며, 분말형 및 액상형 미생물제의 경우에도 상기 표 1 내지 4와 거의 유사한 실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를 분말형, 액상형 또는 펠릿형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하더라도, BOD저감효과, 암모니아 질산화효과, 유지방 분해효과 및 악취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및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및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 및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은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은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하며,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질산화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의 배지에 배양하여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니트로소모나스 에스투아리 (Nitrosomonas aestuarii) 배양체를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니트로박터 불가리스 (Nitrobacter vulgaris) 배양체를 섬꿩고사리 (Plagiogyria japonica Nakai)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300);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배양체를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400);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체를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 건조분말과 혼합한 후 펠릿형태로 가공하여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제3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 및 제4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혼합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며,
    상기 폐수정화용 미생물제를 폐수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질산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0)에서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Nitrosomonas halophila) 배양체 및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고,
    상기 제2미생물배양체 건조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300)에서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Nitrobacter alkalicus) 배양체 및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 건조분말을 더욱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08496A 2020-01-22 2020-01-22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96A KR102206316B1 (ko) 2020-01-22 2020-01-22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0003186A KR102302111B1 (ko) 2020-01-22 2021-01-11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배양체 및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KR1020210003188A KR102302114B1 (ko) 2020-01-22 2021-01-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96A KR102206316B1 (ko) 2020-01-22 2020-01-22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188A Division KR102302114B1 (ko) 2020-01-22 2021-01-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KR1020210003186A Division KR102302111B1 (ko) 2020-01-22 2021-01-11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배양체 및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316B1 true KR102206316B1 (ko) 2021-01-22

Family

ID=743077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96A KR102206316B1 (ko) 2020-01-22 2020-01-22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0003188A KR102302114B1 (ko) 2020-01-22 2021-01-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KR1020210003186A KR102302111B1 (ko) 2020-01-22 2021-01-11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배양체 및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188A KR102302114B1 (ko) 2020-01-22 2021-01-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KR1020210003186A KR102302111B1 (ko) 2020-01-22 2021-01-11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배양체 및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06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162B1 (ko) 2021-12-23 2024-05-3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난분해성 유기탄소물질 제거 기능이 우수한 미생물 혼합 균주 및 폐수 처리 방법
CN114561321A (zh) * 2022-02-14 2022-05-31 江苏世邦生物工程科技有限公司 用于黑臭水体治理的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856A (en) * 1991-12-24 1998-01-13 Higa; Teruo Microbiological method for disposing of organic waste materials
KR100443068B1 (ko) * 2003-09-24 2004-08-05 주식회사 대한화학상사 오·폐수처리용 미생물제재
KR101373399B1 (ko) 2012-08-03 2014-03-14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천연재료를 이용한 수질정화제의 제조방법
KR20150094015A (ko) *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바이오명륜 악취 제거용 혼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 미생물 제제 및 환경기초시설의 악취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856A (en) * 1991-12-24 1998-01-13 Higa; Teruo Microbiological method for disposing of organic waste materials
KR100443068B1 (ko) * 2003-09-24 2004-08-05 주식회사 대한화학상사 오·폐수처리용 미생물제재
KR101373399B1 (ko) 2012-08-03 2014-03-14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천연재료를 이용한 수질정화제의 제조방법
KR20150094015A (ko) *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바이오명륜 악취 제거용 혼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 미생물 제제 및 환경기초시설의 악취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114B1 (ko) 2021-09-13
KR20210095043A (ko) 2021-07-30
KR102302111B1 (ko) 2021-09-13
KR20210095042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ix Do macrophytes play a role in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s?
Van Der Kooij et al.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easily assimilable organic carbon in drinking water
KR102302111B1 (ko) 니트로소모나스 할로필라 배양체 및 니트로박터 알칼리쿠스 배양체를 포함하는 폐수정화용 미생물제
Lincoln et al. Zooplankton control in mass algal cultures
KR101915002B1 (ko)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CN104528955A (zh) 一种用于修复化肥厂污水的微生物制剂及其应用
JP4032199B2 (ja) 硝酸性窒素脱窒基質
CN108264149A (zh) 一种湖泊河道生态修复剂
CA2973961A1 (en) Soil inocula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107162168A (zh) 一种基于微生物强化的生物曝气滤池
Delgado et al. Organic and inorganic nutrients removal from pig slurry by water hyacinth
WO2021149811A1 (ja) 有機物分解材及びその使用
Fleituch et al. Spatial trends in sediment structure, bacteria, and periphyton communities across a freshwater ecotone
Aung et al. Observational study of wastewater treatment by the use of microalgae
Wan et al. Optimized parameters and mechanisms for simultaneous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in stormwater biofilters: a pilot study
CN1325392C (zh) 一种去除海水中氮、磷的方法
Trouve et al. Autotrophic denitrification by Thiobacillus denitrificans with thiosulphate as sole energy source. Pilot scale experiments at low temperature
JP2004344886A (ja) 高胞子種汚泥の製造方法及び高胞子種汚泥を用いた排水処理方法
CN109368931A (zh) 鲆鲽类养殖用水的改良方法
KR20140058186A (ko) 경도 및 미생물의 개체수가 향상된 수질정화용 흙공
Oboodi et al. Development of a denitrifying biofilter with short Start-Up period
KR100783688B1 (ko) 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원료로 형성된 수질정화용 고형재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방법
Mirwan et al. Reducing TSS and COD of Leachate with Constructed Wetland using Water Jasmine (Echinodorus palaefolious) and Spider Plant (Chlorophytum comosum)
Duan et al. Research on Aerobic Composting Using Biological Enhanced Dewatered Sludge
KR20220018660A (ko) 저온활성이 있는 수질정화용 흙공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