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02B1 -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002B1
KR101915002B1 KR1020180007037A KR20180007037A KR101915002B1 KR 101915002 B1 KR101915002 B1 KR 101915002B1 KR 1020180007037 A KR1020180007037 A KR 1020180007037A KR 20180007037 A KR20180007037 A KR 20180007037A KR 101915002 B1 KR101915002 B1 KR 10191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crobial
green algae
fermentation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미
이춘구
이천호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엘바이오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엘바이오, 김영미 filed Critical (주)지에스엘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0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원은 천연식물로부터 얻은 자연원료를 활용하여 활성이 강한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고,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이용하여 녹조방제용 미생물 발효액을 얻어서녹조발생지역에 분사시켜 녹조성분을 소멸시키면서 악취도 제거하는 녹조 및 악취제거방법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수상의 녹조 및 악취 제거수단으로서, 싸리나무잎 50±10 중량부, 연잎 30±5 중량부, 어성초 10±3 중량부, 황금초 5±2 중량부, 죽력 5±2 중량부를 추가하여 100중량부를 이룬 혼합원료에 당밀 50±10 중량부에 물 50±10 중량부를 넣고 12±2 개월동안 발효숙성공정을 통하여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원액을 얻고 미생물원액 25±5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 1,000 중량부를 넣고 미생물원액 중량의 0.01~0.001 wt% 범위로 천일염을 추가하고 25~30℃ 범위에서 14~16 일 범위로 발효숙성시켜 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액을 녹조발생지역에 흘려주거나 악취발생 수역에 분사해주는 수단에 의해 녹조성분 및 악취성분을 소멸시키도록 접촉시키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상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BIOLOGICAL PROCESSING METHOD FOR REMOVING GREEN ALGAE FROM A RIVER OR LAKES}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서브스토러란스(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가 5.0×106 cfu/㎖, 락토바실러스 파라파래지니스(Lactobacillus parafarraginis)가 1.2×106 cfu/㎖,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가 3.0×106 cfu/㎖ 범위로 함유하는 미생물 발효액이 사용되어 수상의 녹조발생을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녹조방제 및 악취제거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및 호소의 주변에서 흘러나오는 유기물과 무기물은 하상에 적층되어 녹조를 발생시키고 그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여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녹조는 수온이 올라가는 시기에 영양염류의 유입에 의하여 창궐하여 국내의 많은 저수지 또는 강과 같은 수자원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공법이 개발되어 적용 시도를 하고 있으나 효율, 광범위 지역에의 적합성, 2차오염, 처리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 및 호소의 상류에서 수질개선을 위해 1차적인 수질정화처리가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대개 하수처리를 위한 특별한 처리장치가 요구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잉여슬러지가 발생하고 이러한 잉여슬러지는 대개 육상매립되어져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처리상 더욱어려움을 겪게되었다.
따라서, 하천 또는 호소의 상류에서 별도의 처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오염된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하류에서 녹조 및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환경오염 및 이로 인한 악취의 발생을 저감하는 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동안 하천 및 호소의 상류에서 수질개선을 도모하고 녹조를 방제하기 위한 기술로 개발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5177호에서는 녹·적조 및/또는 악취 제거용 수처리제로써, (a) 1~10%(w/v) 소금물 100 중량부, 황토분말 0.01~10 중량부, 백토분말 0.01~10 중량부 및 굴껍질 분말 0.01~10 중량부의 혼합액을 전기분해한 다음 0.5~24시간 침전시켜 수득된 침전물 100 중량부(1제)와 (b) 1~10%(w/v) 소금물 100 중량부, 숯 0.01~50 중량부 및 생석회 0.01~30 중량부를 교반시킨 다음 0.5~24시간 침전시켜 수득된 상등수 10~500중량부(2제)와 (c) 1~10%(w/v) 소금물 100 중량부, 백토분말 0.01~10 중량부 및 황토분말 0.01~10 중량부을 교반시킨 다음 0.5~24시간 침전시켜 수득된 상등수 10~500중량부(3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녹·적조 및/또는 악취 제거용 수처리제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657171호에서는 친환경 녹조 및 적조 제거제로써, 감람석 분말을 포함하는 광물분말 90 내지 99중량%와, 숯 분말을 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광물분말은 상기 감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견운모 분말 300 내지 500중량부, 제올라이트 분말 100 내지 300중량부, 규조토 분말 200 내지 260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5 내지 20중량부, 유황 분말 1 내지 10중량부, 규석 분말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숯 분말은 감압된 챔버에 투입된 상태에서 과산화수소수를 상기 챔버에 분무하여 상기 과산화수소수가 내부에 흡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녹조 및 적조 제거제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원료가 특정 중량비율로 배합되어 녹조 방제조성물로 제공되기까지 많은 준비과정이 필요하고, 많은 수고와 정성을 들인만큼 방제효과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출원인 회사인 지에스엘바이오(GSL Bio)에서는 새로운 공법으로 제공되는 복합유산균은 친환경농산물에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며, 최근 녹조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 및 검증되어 이에 대한 특허출원에 이르게 되었다.
본원은 천연식물로부터 얻은 자연원료를 활용하여 활성이 강한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고,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이용하여 녹조방제용 미생물 발효액을 얻어서녹조발생지역에 분사시켜 녹조성분을 소멸시키면서 악취도 제거하는 녹조 및 악취제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수상의 녹조발생을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천연식물로부터 얻은 자연원료를 활용하여 활성이 강한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고자 하였는바, 싸리나무잎 50±10 중량부, 연잎 30±5 중량부, 어성초 10±3 중량부, 황금초 5±2 중량부, 죽력 5±2 중량부를 추가하여 100중량부를 이룬 혼합원료에 당밀 50±10 중량부에 물 50±10 중량부를 넣고 12±2 개월동안 발효숙성공정을 통하여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원액을 얻고 미생물원액 25±5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 1,000 중량부를 넣고 미생물원액 중량의 0.01~0.001 wt% 범위로 천일염을 추가하고 25~30℃ 범위에서 14~16 일 범위로 발효숙성시켜 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액을 녹조발생지역 또는 악취발생지역에 흘려주거나 분사해주는 수단에 의해 녹조성분이나 악취성분을 소멸시키도록 접촉시키거나 는 제3단계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수상의 녹조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의 녹조나 악취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발효액은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 가 5.0×106 cfu/㎖, Lactobacillus parafarraginis가 1.2×106 cfu/㎖, Lactobacillus harbinensis가 3.0×106 cfu/㎖ 범위로 함유하는 미생물 발효액이 사용되어 수상의 녹조 및 악취를 제거하거나 예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미생물 발효액의 이용방법으로서, 싸리나무잎 50±10 중량부, 연잎 30±5 중량부, 어성초 10±3 중량부, 황금초 5±2 중량부, 죽력 5±2 중량부를 추가하여 100중량부를 이룬 혼합원료에 당밀 50±10 중량부에 물 50±10 중량부를 넣고 12±2 개월동안 발효숙성공정을 통하여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원액을 얻고 미생물원액 25±5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 1,000 중량부를 넣고 미생물원액 중량의 0.01~0.001 wt% 범위로 천일염을 추가하고 25~30℃ 범위에서 14~16 일 범위로 발효숙성시켜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 가 5.0×106 cfu/㎖, Lactobacillus parafarraginis가 1.2×106 cfu/㎖, Lactobacillus harbinensis가 3.0×106 cfu/㎖ 범위로 함유하는 미생물 발효액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액을 녹조발생지역 또는 악취발생 지역에 흘려주거나 녹노발생 표면이나 악취발생 수역에 단순히 분사해주는 수단에 의해 녹조성분 및/또는 악취성분을 소멸시키도록 접촉시키는 제3단계공정을 포함하여 수상의 녹조 및 악취를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녹조 및 악취 제거에 적용하는 이용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은 수상의 녹조 및 악취를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방제작업에 적용되는 복합미생물제제로서, 싸리나무잎 50±10 중량부, 연잎 30±5 중량부, 어성초 10±3 중량부, 황금초 5±2 중량부, 죽력 5±2 중량부를 추가하여 100중량부를 이룬 혼합원료에 당밀 50±10 중량부에 물 50±10 중량부를 넣고 12±2 개월동안 발효숙성공정을 통하여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을 통하여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원액을 얻고 미생물원액 25±5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 1,000 중량부를 넣고 미생물원액 중량의 0.01~0.001 wt% 범위로 천일염을 추가하고 25~30℃ 범위에서 14~16 일 범위로 발효숙성시켜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 가 5.0×106 cfu/㎖, Lactobacillus parafarraginis가 1.2×106 cfu/㎖, Lactobacillus harbinensis가 3.0×106 cfu/㎖ 범위로 함유하고 수상의 녹조발생을 제거하거나 악취방제에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복합미생물제제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미생물제제는 유수 또는 저장수에 단순히 흘려주거나 녹노발생 표면에 단순히 분사해주는 수단에 의해 하천 또는 호소에서 번식하는 녹조 및 이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악취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복합 미생물제제는 하천 또는 호소에 살포되는 경우에도 2차오염의 문제가 없고 오히려 수질이 정화되며, 수생 동식물의 활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원의 Baru 복합미생물을 얻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2 :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ru 복합미생물의 탈취시험성적서.
도 3 : 본원 Baru 복합미생물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한 현장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 수상의 녹조발생을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녹조방제 조성물을 얻기 위한 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공정을 설명하고 본원 미생물 발효액을 이용하여 녹조방제 작업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에서 첫번째 공정으로 천연의 자연 식물 원료로부터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조실시예(1)를 설명하고, 다음공정으로 상기 발효종균액을 이용하여 녹조발생을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녹조방제 조성물을 얻기 위한 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제조실시예(2)를 순서대로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원에서 제시되는 제조실시예(1) 및 제조실시예(2)의 기재내용은 수많은 시행오차 과정을 겪으면서 최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베스트모드의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이다.
자연 식물원료로부터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조실시예(1)
본원 발명자는 화학적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자원에서 얻어지는 식물원료로부터 종균을 얻어 이용하고자 하였는바, 수많은 시행오차를 겪으면서 최상의 베스트 모드로 적용되는 발효종균액을 얻기 위한 수단은, 봄철 5월초에 채취한 싸리나무잎 10.0 ㎏, 연잎 6.0 ㎏, 어성초 2.0 ㎏, 황금초 1.0 ㎏, 죽력 1.0 ㎏ 을 혼합한 20.0 ㎏을 발효반응용기에 깔아 넣고, 당밀 10.0 ㎏에 정제수 10.0 ㎏을 추가하고 30~35℃를 유지하는 발효실에서 12개월 동안 발효숙성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부에 흰곰팡이가 점점이 생긴 상태로 걸쭉한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을 수 있었다.
녹조방제용 미생물 발효액 제조실시예(2)
상기 제조실시예(1)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 발효원액을 얻고 미생물 발효원액 25 ㎏에 정제수 1톤(1,000 ㎏)과 천일염 25 g을 추가하여을 넣고 25~30℃를 유지하는 발효실에서 15일 동안 발효숙성시키고 상기 미생물 발효액을 분석한 결과 대표균종으로 아래 표 1에 제시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성 분 단 위 실험결과 검정방법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 cfu/㎖ 5.0×106 표준분석방법
Lactobacillus parafarraginis. cfu/㎖ 1.2×106 표준분석방법
Lactobacillus harbinensis. cfu/㎖ 3.0×106 표준분석방법
본원 발명자는 상기 표1로 제공되는 미생물 발효액을 Balu-복합미생물로 명명하고 Balu- 복합미생물을 이용하여 충청북도 제천천에서 Microcysistis 우점종을 나타내는 수역에서 원수와 처리후 3시간 후와 24시간 후에 대하여 수은, DO, pH, chl-a, 조류 개체수(우점종)의 변화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BARU 복합미생물 현장 시연 결과

수은

DO

EC

pH
chl-a 탁도 총조류
개체수
우점종
개체수
우점종
원수 22.6 13.0 154 9.2 157.0 41.6 681,461 669,448 Microcysistis
3시간후 23.4 15.6 183 9.1 186.8 57.9 304,584 297,528 Microcysistis
처리율(%) - - - - -19.0 -39.2 55.3 55.6 -
24시간후 22.2 13.3 247 8.5 65.6 18.5 70,266 64,008 Microcysistis
처리율(%) - - - - 58.2 55.5 89.7 90.4 -
상기 표2에 제시되는 시험결과와 같이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lu-복합미생물이 총조류 개체수의 제거처리율이 89.7%에 이르고, 우점종개체수에서는 90.4%의 제거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원 발명자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lu-복합미생물의 악취저감효과를 확인받기 위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수역에서 발생하는 악취원인물질인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에 대한 탈취시험을 의뢰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 3 및 표 4의 결과로 통보되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샘플
시험결과
시험환경
Blank농도 Sample
농도
농도 감소율(5)
암모니아(NH3)

0분 % 의뢰자제시 59 50 0.0 (25.6±0.4)℃
(44.4±1.1)
%R.H.


30분 49 1 98.0
60분 49 <0.2 99.6
90분 49 <0.2 99.6
120분 49 <0.2 99.6

시험항목

단위

시험샘플
시험결과
시험환경
Blank농도 Sample
농도
농도 감소율(5)
트리메칠아민
(CH3)3N
0분 % 의뢰자제시 59 50 0.0 (25.6±0.4)℃
(44.4±1.1)
%R.H.


30분 49 1 98.0
60분 49 <0.2 99.6
90분 49 <0.2 99.6
120분 49 <0.2 99.6
상기 시험결과와 같이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lu- 복합미생물이 조류 개체수의 제거효율이 높은 결과 및 탈취효과도 뛰어남을 확인하고 본원 발명자는 국내의 여러 수역을 다니면서 Balu-복합미생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Balu-복합미생물은 녹조 발생 장소에 직접 고압분무기로 살포하여 적용할 수 있는바, 녹조발생의 조건 현장상태에 따라 살포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녹조가 밀집되어 상부에 부상 하여 밀집녹조 두께가 ≤20mm 이하인 경우에는 1,000㎡ 녹조면적에 본원의 Balu- 복합미생물이 1㎥ 으로 분사되도록 적용될 수 있고, 밀집녹조층이 두껍게 발생하여밀집녹조 두께≥100mm 이하인 경우에는 녹조발생면적*높이를 계측하여 녹조발생 체적을 구하고 체적 대비 1~3% 비율로 Balu- 복합미생물이 분사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밀집녹조가 적층되지 않고 전 수역에 걸쳐 상부에 녹조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 1,000㎡ 녹조면적에 본원의 Balu- 복합미생물이 0.3~0.5 ㎥ 기준으로 분사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있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로 제공되는 Balu- 복합미생물의 현장 적응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국으로 돌아다니며 Balu- 복합미생물의 녹조제거실험을 실시하고 현장의 사진도를 도 3으로 제시하여 현장에 적용된 Balu-복합미생물이 녹조제거에 활용되는 실시양태의 사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 사진도는 본원 출원인이 소재하는 제주시 내도동 소재 하천(도근천)에 발생한 녹조제거 실험 사진으로서 2017. 08월에 녹조발생 수역에 본원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Baru- 복합미생물을 살포한 후 2시간 후부터 녹조상태 변화되기 시작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살포 2일 후에는 물의 흐름이 있는 곳은 녹조가 거의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물이 흐르지 않는 곳은 일부 녹조가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b 사진도는 경기도 안산시 소재 00골프장에서 골프장 연못 중 가장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녹조가 발생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문의하여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ru- 복합미생물을 살포한 후 2일 후부터 연못 물 중에 있던 녹조가 거의 확인되지 않을만큼 깨끗해 졌고 악취도 사라졌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도 3c의 사진도는 광주광역시 서구에 소재하는 풍암저수지에 녹조가 모여있는 집합장소에 녹조층의 두께가 약 100mm 이상으로 녹조층이 쌓여 있던 장소에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ru- 복합미생물을 살포한 후 살포 1시간 후부터 녹조상태가 변화되는 현상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살포 2일 후 녹조제거 상태를 촬영한 사진도로써 저수지의 상층부에는 호수 쪽을 향하여 신규 녹조가 밀려내려오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d의 사진도는 경기도 의왕시 소재 왕송호수의 녹조발생 수역에 오염수가 유입되는 수로 및 녹조가 집합된 장소에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ru- 복합미생물을 살포한 후 살포 후 30분 경과시부터 녹조상태변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였으며, 살포 2일 후 녹조제거 상태를 촬영한 사진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천연식물로부터 얻은 자연원료를 활용하여 활성이 강한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고,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이용하여 녹조방제용 미생물 발효액(Baru- 복합미생물)을 얻어서 녹조발생지역에 분사시키는 경우 2일 이내에 녹조성분을 소멸시키면서 동시에 악취도 제거하는 녹조 및 악취방지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도 1은 본원의 Baru 복합미생물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Baru 복합미생물의 탈취시험성적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원 Baru 복합미생물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사진도를 나타낸 것으로별도의 부호 설명은 필요없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수상의 녹조발생을 제거하면서 악취도 함께 제거하기 위한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에 있어서,
    싸리나무잎 50±10 중량부, 연잎 30±5 중량부, 어성초 10±3 중량부, 황금초 5±2 중량부, 죽력 5±2 중량부를 추가하여 100중량부를 이룬 혼합원료에 당밀 50±10 중량부에 물 50±10 중량부를 넣고 12±2 개월동안 발효숙성공정을 통하여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원액을 얻고 미생물원액 25±5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 1,000 중량부를 넣고 미생물원액 중량의 0.01~0.001 wt% 범위로 천일염을 추가하고 25~30℃ 범위에서 14~16 일 범위로 발효 숙성시켜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 가 5.0×106 cfu/㎖, Lactobacillus parafarraginis가 1.2×106 cfu/㎖, Lactobacillus harbinensis가 3.0×106 cfu/㎖ 범위로 함유하는 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액을 녹조발생지역에 흘려주거나 악취발생 수역에 분사해주는 수단에 의해 녹조성분 및 악취성분을 소멸시키도록 접촉시키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2. 삭제
  3. 수상의 녹조발생을 제거하면서 악취도 함께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 발효액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싸리나무잎 50±10 중량부, 연잎 30±5 중량부, 어성초 10±3 중량부, 황금초 5±2 중량부, 죽력 5±2 중량부를 추가하여 100중량부를 이룬 혼합원료에 당밀50±10 중량부에 물 50±10 중량부를 넣고 12±2 개월동안 발효숙성공정을 통하여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얻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종균액을 여과하여 미생물원액을 얻고 미생물원액 25±5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 1,000 중량부를 넣고 미생물원액 중량의 0.01~0.001 wt% 범위로 천일염을 추가하고 25~30℃ 범위에서 14~16 일 범위로 발효 숙성시켜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tolerans 가 5.0×106 cfu/㎖, Lactobacillus parafarraginis가 1.2×106 cfu/㎖, Lactobacillus harbinensis가 3.0×106 cfu/㎖ 범위로 함유하는 미생물 발효액을 얻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얻은 미생물 발효액을 녹조발생지역에서 1,000㎡ 녹조면적기준에 미생물 발효액이 0.3~0.5 ㎥ 기준으로 분사되는 수단에 의해 녹조성분 및 악취성분을 소멸시키도록 접촉시키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수상의 녹조발생 방제 및 악취제거에 사용하는 미생물 발효액의 이용방법
  4. 삭제
KR1020180007037A 2018-01-19 2018-01-19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KR10191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037A KR101915002B1 (ko) 2018-01-19 2018-01-19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037A KR101915002B1 (ko) 2018-01-19 2018-01-19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02B1 true KR101915002B1 (ko) 2018-11-06

Family

ID=6432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037A KR101915002B1 (ko) 2018-01-19 2018-01-19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446A (zh) * 2019-11-14 2021-05-14 吉思乐生物株式会社 太阳能发电设备的水质净化及清洁方法和系统
CN113735276A (zh) * 2020-05-27 2021-12-03 株式会社洁世生物 利用纳米及微气泡的湖沼的水质净化方法
CN114395515A (zh) * 2022-03-03 2022-04-26 青岛蔚蓝赛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哈尔滨乳杆菌、包含其的微生物除臭剂及二者的应用
KR20230009791A (ko) * 2021-07-09 2023-01-17 (주)미산이앤씨 악취 저감제 및 악취 저감제 분사 장치
KR102582552B1 (ko) * 2022-12-30 2023-09-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취 저감용 조성물
KR20230144289A (ko) 2022-04-07 2023-10-16 (주)지에스엘바이오 호소의 수질 정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05B1 (ko) * 2015-07-28 2016-09-01 박승원 증류를 이용한 유용 미생물의 수득 방법
KR101701092B1 (ko) * 2016-06-15 2017-01-31 문종식 키토산 올리고당 살조력과 오존의 산화력을 연계한 해양적조제거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05B1 (ko) * 2015-07-28 2016-09-01 박승원 증류를 이용한 유용 미생물의 수득 방법
KR101701092B1 (ko) * 2016-06-15 2017-01-31 문종식 키토산 올리고당 살조력과 오존의 산화력을 연계한 해양적조제거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446A (zh) * 2019-11-14 2021-05-14 吉思乐生物株式会社 太阳能发电设备的水质净化及清洁方法和系统
CN113735276A (zh) * 2020-05-27 2021-12-03 株式会社洁世生物 利用纳米及微气泡的湖沼的水质净化方法
KR20230009791A (ko) * 2021-07-09 2023-01-17 (주)미산이앤씨 악취 저감제 및 악취 저감제 분사 장치
KR102589731B1 (ko) 2021-07-09 2023-10-16 (주)미산이앤씨 악취 저감제 및 악취 저감제 분사 장치
CN114395515A (zh) * 2022-03-03 2022-04-26 青岛蔚蓝赛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哈尔滨乳杆菌、包含其的微生物除臭剂及二者的应用
KR20230144289A (ko) 2022-04-07 2023-10-16 (주)지에스엘바이오 호소의 수질 정화 방법
KR102582552B1 (ko) * 2022-12-30 2023-09-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취 저감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002B1 (ko)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 제거방법
US6649397B1 (en) Microbial culture liqu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differing in characteristics and living in symbiosis and metabolites thereof, carriers and adsorbents containing the active components of the culture liquors and utilization of the same
El-Sheekh et al. Green technology for bioremediation of the eutrophication phenomenon in aquatic ecosystems: a review
CN103820427A (zh) 微生物水质净化菌剂的制备方法
CN101508505A (zh) 一种清除水中蓝藻并消减藻臭的方法
CA2380797A1 (fr) Methode de traitement du lisier
JP6007446B2 (ja) 可溶性シリカを含んだフルボ酸鉄含有物の製造方法
CN101224940A (zh) 一种河道底泥原位修复方法
Onalo et al. Growth of freshwater microalga, Botryococcus sp. in heavy metal contaminated industrial wastewater
CN101503264A (zh) 一种异位生态修复富营养化水体的方法
US7297273B2 (en) Method of intensified treatment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excreta with highly concentrated nitrogen and COD
CN107032501B (zh) 一种模拟生态净化富营养化河水的方法及设施
Koley et al.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a sustainable strategy for heavy metals removal from contaminated waterbodies
CN107285482A (zh) 一种净化富营养化水质的环保酵素及其制备方法
CN112028680A (zh) 一种深度处理蓝藻等富营养化藻类并提取液态肥原料的工艺
CN107361010B (zh) 基于滨海盐碱地的黄河口大闸蟹养殖池塘水质调控方法
KR101273956B1 (ko) 미네랄이 함유된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Husin et al. Review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in removing pollutants by microalgae Scenedesmus obliquus in wastewater treatment
WO2021149811A1 (ja) 有機物分解材及びその使用
KR102200101B1 (ko)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원에 발효미생물을 적용시켜 악취를 제거 또는 저감시키는 악취저감방법
CN103787489B (zh) 一种水处理方法
CN112094138A (zh) 一种深度处理蓝藻等富营养化藻类并提取有机碳源的工艺
KR102274556B1 (ko) 유해 조류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블록
KR101657211B1 (ko) 개질된 활성오니, 이를 이용한 하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처리수의 이용
Oladejo et al. Sub-surface constructed wetland system as alternative treatment for effluent discharge from Atenda abattoir, Ogbomoso Southwestern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