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583B1 -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583B1
KR102205583B1 KR1020180088163A KR20180088163A KR102205583B1 KR 102205583 B1 KR102205583 B1 KR 102205583B1 KR 1020180088163 A KR1020180088163 A KR 1020180088163A KR 20180088163 A KR20180088163 A KR 20180088163A KR 102205583 B1 KR102205583 B1 KR 10220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wer supply
unit
vehicl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629A (ko
Inventor
이동원
김태림
권성진
이봉현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5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opening under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door itself
    • E05B65/102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opening under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door itself by a yieldable or breakable bolt or strik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는, 자동차에 기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전개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와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도어 폐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폭발하여 도어를 폭발시키는 폭약과, 전원 공급 제어 신호에 의해 폭약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제1 감지부의 감지 결과 에어백이 전개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2 감지부를 통하여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전원 공급부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폭약을 폭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DOOR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운전자 등 탑승자의 탑승을 위한 도어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를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난방지 등을 위해 도어를 잠궈 두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자동차에는 필요 시 도어를 차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시킬 수 있는 로킹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록은 해당 자동차의 키이(key)에 의해서만 로킹 및 해제되는 바, 도어록이 열려 있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구비된 개방손잡이를 통해 도어를 열수 있으나 도어록이 잠겨 있을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손잡이로도 도어를 열지 못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가 주행 중에는 인접 또는 대형차량과의 접촉이나 충돌 및 그로 인한 전복사고 등이 빈발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어가 충격을 받거나 손상되게 되면 도어록이 손상되어 본래의 방법으로는 도어를 열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운전자등 탑승자의 힘으로는 도어를 열기가 대단히 어려워 사고발생 차량으로부터의 탈출이 사실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사상자를 구출한다 하더라도 전면이나 도어의 유리를 부수고 구출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더욱이 자동차는 인화성이 강한 휘발유나 경유 및 가스 등을 연료로 구동되는 것이므로 사고 시 연료누출에 의한 화재발생은 물론 자칫 자동차가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자동차는 사고 시 탑승자의 탈출을 보장할 수 없어 귀중한 인명피해를 유발시키는 등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8-00720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사고 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폭파하여 탑승자가 사고 자동차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탑승자를 구출하도록 하는데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침수 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폭파하여 탑승자가 사고 자동차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탑승자를 구출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는, 자동차에 기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전개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도어 폐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폭발하여 상기 도어를 폭발시키는 폭약; 전원 공급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폭약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에어백이 전개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상기 폭약이 폭발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부; 및 지정된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알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자동차가 일정 레벨 이상 침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은, 제1 감지부에 의해, 자동차에 기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전개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도어 폐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에어백이 전개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도어 내부에 설치된 폭약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발생부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상기 폭약이 폭발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통신부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알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3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3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자동차가 일정 레벨 이상 침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자동차 사고 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폭파하여 탑승자가 사고 자동차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탑승자를 구출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침수 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폭파하여 탑승자가 사고 자동차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탑승자를 구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내부에 구비된 도어 폭파 장치(100)는 폭약(110), 전원 공급부(120),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 도어 개/폐 감지부(140), 침수 감지부(150), 제어부(160), 알람 발생부(170) 및 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지정된 단말기로서의 구조대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폭약(110)은 자동차에서 도어를 고정하는 2개의 지점(예를 들어, 흰지, 스트라이커)에 구비될 수 있다. 폭약(110)은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폭발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폭약(110)은 구아닐우레아 디니트라마이드(GUDN: guanylureadinitramide), 니트로트리아졸론(NTO: nitrotriazolone), 질산칼륨(KNO3), 붕소(B: boron), 디페닐아민(DPA: diphenylami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아닐우레아 디니트라마이드(GUDN)와 니트로트리아졸론(NTO)은 주원료이고, 질산칼륨(KNO3)은 산화제이며, 붕소(B)는 보조제이고, 디페닐아민(DPA)은 안정제로서 각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폭약(110)이 폭발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대기 상태로 동작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폭약(110)이 폭발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는 제1 감지부로서, 자동차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전재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 감지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가 에어백 전개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면, 제어부(160)는 자동차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0)는 제2 감지부로서,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중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 폐쇄 상태는 제1 도어 폐쇄 상태 및 제2 도어 폐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폐쇄 상태는 도어 개/폐 신호를 수신하기는 하지만 자동차의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래치를 밀었지만 램프가 점등되지 않고 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로,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려고 하는 의지가 있는 탑승자 의식 명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어 폐쇄 상태는 도어 개/폐 감지 신호를 수신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고 도어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로,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려고 하는 의지가 없는 탑승자 의식 불명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0)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또는 자동차의 도어 폐쇄 상태를 제어부(160)로 전송하면, 제어부(160)는 탑승자의 의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이 전개된 이후 제1 도어 폐쇄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탑승자의 의식상태가 명확하다고 판단하고, 에어백이 전개된 이후 제2 도어 폐쇄 상태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탑승자의 의식상태가 불명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침수 감지부(150)는 제3 감지부로서,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침수 감지부(150)는 하나 이상의 침수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침수센서는 자동차에 구비된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빛이 입사되는 굴절율을 감지하여 물인지 공기 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침수센서는 물의 접촉여부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변화하는 정전용량 스위치와, 물의 접촉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침수센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동차의 침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도 본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어부(160)는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 도어 개/폐 감지부(140), 침수 감지부(15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60)는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로부터 에어백 전개 신호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도어 개/폐 감지부(140)로부터 도어 개방 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원 공급부(120)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60)는 에어백 작동 감지부(130)로부터 에어백 전개 신호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도어 개/폐 감지부(140)로부터 제1 도어 폐쇄 상태 신호 또는 제2 도어 폐쇄 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원 공급부(120)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폭약(110)을 폭파시킬 수 있다. 폭약(110)이 폭파되면 도어를 고정하는 흰지 및 스트라이커의 강도가 약해져서 도어가 자동차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60)는 침수 감지부(150)로부터 침수상태 감지 결과 일정 레벨 이상 침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도어 개/폐 감지부(140)로부터 제1 도어 폐쇄 상태 신호 또는 제2 도어 폐쇄 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원 공급부(120)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폭약(110)을 폭파시킬 수 있다.
알람 발생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제어부(160)가 전원 공급부(120)로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폭약(110)이 폭발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폭약(110)이 폭발하지 않은 상태는, 제어부(160)가 도어 개/폐 감지부(140)로부터 개방 상태 신호 및/또는 폐쇄 상태를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와,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전원 공급부(120) 및 폭약(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발생부(170)는 알람 신호 발생 시에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알람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알람 신호에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 자동차는 GPS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알람 신호 발생은, 자동차에서 탑승자가 탈출하지 못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폭약(110)으로의 신호 전송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통신부(180)는 긴급 상황 발생 및 폭약 폭파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통신망(200)을 통하여 지정된 구조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200)은 도어 폭파 장치(100) 및 구조대 단말기(30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200)은 도어 폭파 장치(100)가 구조대 단말기(300)에 접속한 후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2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위성 통신, VHF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대 단말기(300)는 지정된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경찰서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구급대원 단말기 등과 같은 관공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신호를 수신한 구조대 단말기(300)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통신망(200)을 통하여 도어 폭파 장치(100)의 제어부(160)를 통해 전원 공급부(120)로 전송하여 폭약(110)을 폭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사고 시에 또는 침수 시에 탑승자의 의식 상태와 상관 없이, 도어를 자동으로 폭파함으로써 탑승자가 사고 자동차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탑승자를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자동차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전재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한다. 도어 폭파 장치(100)는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 자동차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 자동차가 정상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S22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중 하나를 감지한다. 도어 폭파 장치(100)는 탑승자에 의해 래치가 밀려서 램프가 점등된 경우 도어 개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폭파 장치(100)는 탑승자에 의해 래치가 밀렸지만 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 도어 폐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 폐쇄 상태는 제1 도어 폐쇄 상태 및 제2 도어 폐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폐쇄 상태는 도어 폭파 장치(100)가 도어 개/폐 신호를 수신하기는 하지만 자동차의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로, 탑승자 의식이 명확하다고 볼 수 있다. 제2 도어 폐쇄 상태는 도어 폭파 장치(100)가 개/폐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로, 탑승자의 의식이 불명확 하다고 볼 수 있다.
S23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도어 폐쇄 상태를 수신한 경우, 전원 공급부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폭약을 폭파시킨다. 폭약이 폭파되면 탑승자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거나 구조자에 의해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 폭파 장치(100)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도어 개방 상태를 수신한 경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S24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로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폭약이 폭발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통신망(200)을 통하여 지정된 구조대 단말기(30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알람 신호는 긴급 상황 발생 및 폭약 폭파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S250단계에서, 알람 신호를 수신한 구조대 단말기(300)는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로 전송하여, 폭약을 폭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한다. 도어 폭파 장치(100)는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침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S32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중 하나를 감지한다.
S330단계에서, 도어 폭파 장치(100)는 자동차가 일정 레벨 이상 침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도어 폐쇄 상태를 수신한 경우, 전원 공급부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폭약을 폭파시킨다. 폭약이 폭파되면 탑승자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거나 구조자에 의해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도어 폭파 장치
200: 구조대 단말기
300: 통신망

Claims (8)

  1. 자동차에 기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전개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도어 폐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폭발하여 상기 도어를 폭발시키는 폭약;
    전원 공급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폭약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에어백이 전개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상기 폭약이 폭발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및
    지정된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알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자동차가 일정 레벨 이상 침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5. 제1 감지부에 의해, 자동차에 기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전개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도어 개방 상태 및 도어 폐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에어백이 전개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도어 내부에 설치된 폭약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에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알람 발생부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상기 폭약이 폭발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통신부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알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가 생성한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제3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자동차 내부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3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자동차가 일정 레벨 이상 침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 폐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방법.
KR1020180088163A 2018-07-27 2018-07-27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KR10220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63A KR102205583B1 (ko) 2018-07-27 2018-07-27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63A KR102205583B1 (ko) 2018-07-27 2018-07-27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29A KR20200012629A (ko) 2020-02-05
KR102205583B1 true KR102205583B1 (ko) 2021-01-22

Family

ID=695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163A KR102205583B1 (ko) 2018-07-27 2018-07-27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5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887A (ja) 1998-11-18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0076552A (ja) * 2008-09-25 2010-04-08 Denso Corp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118Y1 (ko) * 1995-11-30 1998-12-01 정몽원 자동차의 도어록 자동 파괴시스템
KR19980083197A (ko) * 1997-05-13 1998-12-05 홍종만 차량의 자동 구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80072013A (ko) 2016-12-20 2018-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887A (ja) 1998-11-18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0076552A (ja) * 2008-09-25 2010-04-08 Denso Corp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29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894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schar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US9022417B2 (en) Single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s
US6081758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unlocking an automotive child safety door lock
CN207089219U (zh) 一种行人保护系统和车辆行人保护系统
CN102416875A (zh) 电动交通工具中的电池断开
US9135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asure of data from a data storage device located on a vehicle
CN106427862A (zh) 一种汽车落水预警救生系统与方法
CN113384835B (zh) 用于车辆的灭火装置
CN206841377U (zh) 一种汽车远程控制车门锁和启动的装置
CN105905060A (zh) 一种智能化汽车安全气囊系统及控制方法
KR20120114753A (ko) 선박의 침몰 지연장치
JPH0559855A (ja) 車両用ドアロツク解除システム
KR102205583B1 (ko) 비상 탈출용 도어 폭파 장치 및 방법
CN103832381A (zh) 一种车窗玻璃边缘起爆逃生系统
KR102044955B1 (ko) Nfc를 이용한 차량 금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347610B1 (ko) 비상시 차량위치 자동통보장치 및 그 방법
JP2001307261A (ja) 車両搭載緊急信号発信システム
KR102357827B1 (ko) 차량 탑승객의 승하차 정보 탐지 시스템 및 이에 의한 탑승객의 보호 방법
CN106314358B (zh) 发动机防盗锁止系统和方法、汽车防盗报警系统
NL1019796C2 (nl) Een beveiligingssysteem voor het automatisch uitschakelen van airbags e.d. in een voertuig of vaartuig.
US11938895B2 (en) Sensor integration module for detecting a vehicle interio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KR0125118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자동 파괴시스템
CN101004343A (zh) 防暴气囊
CN211642097U (zh) 一种车内安全防护装置
KR19980025194A (ko) 자동차의 충돌사고 및 물 속으로 침몰사고시 도어의 비상 자동개방안전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