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107B1 -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107B1
KR102205107B1 KR1020200072686A KR20200072686A KR102205107B1 KR 102205107 B1 KR102205107 B1 KR 102205107B1 KR 1020200072686 A KR1020200072686 A KR 1020200072686A KR 20200072686 A KR20200072686 A KR 20200072686A KR 102205107 B1 KR102205107 B1 KR 10220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support
screw member
camera modu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식
Original Assignee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7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은 싱크대의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주택의 화재나 침입 여부를 감지하여 공동주택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침수, 화재, 도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피해 규모가 커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Intergrated Manag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주택의 화재나 침입 여부를 감지하여 공동주택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침수, 화재, 도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는 급수시설의 누수 문제와 사람의 부재 시 화재 발생이 다른 세대로 확산되어 피해 규모가 커지며, 이러한 누수와 화재는 공동주택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산상, 인명상 가장 우려되는 사고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싱크대, 세탁실 및 보일러 등에 급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싱크대에 설치된 급수시설은 냉수와 온수가 각각 공급되어 혼합되며, 물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와, 급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급수 밸브에서 나오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수도꼭지를 포함한다.
싱크대의 급수시설은 물이 이동되는 호스, 배관, 플랜지, 밸브 등의 부품으로 연결되고, 호스와 배관이 싱크대의 내부가 밀폐된 공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노후, 파손 등으로 누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다양한 이물질의 막힘으로 배관을 통해 역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누수는 예고없이 발생하는 시점을 알 수 없고,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없으며, 조금씩 새는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누수가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 다른 세대로의 침수 피해가 확산되어 피해 규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가철에는 사람의 장기간 부재 상황이므로 화재 발생에 대한 빠른 대처가 불가능하며, 사람들이 잠자는 야간에는 화재의 초기 발견이 어려워 피해 확산으로 인명 피해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등록번호 제10-2018-0070274호(공개일: 2018년 6월 26일), 발명의 명칭: "싱크대의 누수방지 배수유닛"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의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주택의 화재나 침입 여부를 감지하여 공동주택에서 발생 가능성 있는 침수, 화재, 도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싱크대의 내부 공간인 배수관(20)의 구멍(21) 근처에 설치되는 누수센서(30)와, 상기 누수센서(30)로부터 수신되는 누수 감지 신호를 누수제어모듈(40)로 전송하는 누수 신호 수신부(32)와, 상기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는 바닥면에 제1 지지대(111)와, 상기 제1 지지대(11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제2 지지대(112)와, 상기 제1 지지대(111)와 상기 제2 지지대(112)의 사이를 일정한 길이의 제1 스크류부재(114)를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제1 스크류부재(114)는 일측 끝단이 제1 지지대(111)을 관통하여 제1 종동기어(116)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2 지지대(1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류부재(114)는 육면체 형태의 제1 이동부재(115)를 관통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115)는 상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 수직프레임(115a)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5a)의 상부에 제1 카메라 결합부(119a)와 제1 카메라모듈(119b)를 결합하는 누수 감지장치(110); 및
상기 누수제어모듈(40)로부터 누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모듈(119b)로부터 배수관(20)의 구멍(21)의 주변 일정 범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모듈(119b)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영상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경고 알람 정보와 함께 신호 전송부(131)를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는 제어부(131)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모듈(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싱크대의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주택의 화재나 침입 여부를 감지하여 공동주택에서 발생 가능서 있는 침수, 화재, 도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피해 규모가 커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싱크대의 내부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주택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모듈의 제어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주택에서는 급수시설의 누수 문제와 사람의 부재 시 화재 발생이 다른 세대로 확산되어 피해 규모가 커지며, 이러한 누수와 화재는 공동주택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산상, 인명상 가장 우려되는 사고이다.
종래의 싱크대의 급수시설은 호스와 배관이 싱크대의 내부가 밀폐된 공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볼 수 없는 구조이므로 조금씩 새는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누수가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 다른 세대로의 침수 피해가 확산되어 피해 규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휴가철이나 야간에는 화재의 초기 발견이 어려워 화재 발생에 대한 빠른 대처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피해 확산으로 인명 피해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싱크대의 내부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주택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모듈의 제어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100)은 누수 감지장치(110) 및 화재 감지장치(120)를 포함한다.
누수 감지장치(110)는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서 배수관(20)의 구멍(21) 근처에 누수센서(30)를 설치하고, 누수 신호 수신부(32), 누수제어모듈(40), 제1 카메라모듈(119b) 및 제1 이동부재(1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누수센서(30)는 배수관(20)의 구멍(21) 근처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포인트에 설치될 수 있다.
누수센서(30)는 케이스의 상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두 전극(+, -)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별도의 구속장비 없이 놓여진 채로 중력에 의해 바닥면과 접촉되고 수분에 의해 두 전극이 통전되면, 누수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누수 신호 수신부(32)로 전송한다.
누수 신호 수신부(32)는 하나 이상의 누수센서(30)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누수센서(30)로부터 수신되는 누수 감지 신호를 누수제어모듈(40)로 전송한다.
누수 신호 수신부(32)는 누수센서(30)의 케이블 선단에 연결된 커넥터가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며, 누수 감지 신호를 해당 누수센서(30)가 연결된 포트의 고유번호로 식별하여 전달할 수 있다. 누수 감지 신호는 누수센서(30)의 통전으로 입력되는 전류일 수 있다.
누수제어모듈(40)은 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이며, 이를 위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회로, 프로세서, 반도체칩, 메모리 등)와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누수감지 제어알고리즘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는 바닥면에 제1 지지대(111)와, 제1 지지대(11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제2 지지대(112)와, 제1 지지대(111)와 제2 지지대(112)의 사이를 제1 프레임(113)으로 연결한다.
제1 프레임(113)은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가이드홈에 일정한 길이의 제1 스크류부재(114)를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제1 스크류부재(114)는 일측 끝단이 제1 지지대(111)을 관통하여 제1 종동기어(116)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이 제2 지지대(112)에 결합된다.
제1 스크류부재(114)는 회전에 따라 일측 끝단에 결합된 제1 종동기어(116)가 회전되고, 타측 끝단이 제2 지지대(112)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제1 스크류부재(114)는 육면체 형태의 제1 이동부재(115)를 관통하고, 제1 이동부재(115)는 제1 스크류부재(114)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제1 스크류부재(114)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제1 이동부재(115)는 상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 수직프레임(115a)를 결합하고, 제1 수직프레임(115a)의 상부에 제1 카메라 결합부(119a)와 제1 카메라모듈(119b)를 결합한다.
제1 카메라모듈(119b)은 배수관(20)의 구멍(21)의 주변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제1 지지대(111)의 내부에는 제1 종동기어(116)가 제1 구동기어(117)에 서로 기어 맞물림되고, 제1 구동기어(117)의 중심부가 제1 회전축(118)에 결합하며, 제1 회전축(118)에 제1 구동모터(119)를 결합한다.
제1 스크류부재(114)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이 제1 이동부재(115)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맞물려 접촉되어 있다.
제1 이동부재(115)의 내측면에는 제1 스크류부재(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맞물려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크류부재(114)는 제1 구동모터(119)에 의해 회전 운동하면서 제1 스크류부재(114)에 연결된 제1 이동부재(115)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로 직선 운동시킨다.
제1 이동부재(115)는 제1 스크류부재(114)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제1 스크류부재(11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이동부재(115)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이동부재(115)를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115)는 제1 스크류부재(114)의 회전 운동인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누수제어모듈(40)은 누수센서(30)로부터 누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구동모터(119)의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모터(119)로 전송하고, 제1 카메라모듈(119b)의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카메라모듈(119b)로 전송한다.
제1 구동모터(119)의 구동에 따라 제1 종동기어(116), 제1 구동기어(117)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 스크류부재(114)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이동부재(115)는 제1 스크류부재(114)의 회전에 따라 제1 스크류부재(114)의 일측 끝단에서 제1 스크류부재(114)의 타측 끝단까지 직선 이동하면서 제1 카메라모듈(119b)에 의해 배수관(20)의 구멍(21)의 주변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한다.
누수제어모듈(40)은 누수센서(30)로부터 수신한 누수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 모듈(130)로 전송한다.
제1 카메라모듈(119b)은 촬영한 영상 정보를 컨트롤러 모듈(130)로 전송한다.
화재 감지장치(120)는 주택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의 근처에 인체 센서부(50)를 설치하고, 가스렌지 등의 화기 주변에 온도 센서부(60)와 연기 센서부(70)를 설치하며, 제2 카메라모듈(127a) 및 제2 이동부재(126)를 포함한다.
인체 센서부(50)는 포토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펄스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며,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 모듈(130)로 무선 전송한다.
온도 센서부(60)는 실내 온도(특히, 화기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여 온도 신호를 생성한다. 온도 센서부(60)는 일정 주기마다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가 하강하여 이슬점 온도가 되거나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연기 센서부(70)는 가스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연기 농도를 감지하여 연기 신호를 생성한다.
컨트롤러 모듈(130)은 인체 센서부(50)로부터 측정된 인체 감지 신호와, 온도 센서부(60)로부터 측정된 온도 신호와, 연기 센서부(70)로부터 측정된 연기 신호를 수신한다.
세대 내의 일측 벽면에는 제1 지지대(121)와, 제1 지지대(12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제2 지지대(122)와, 제1 지지대(121)와 제2 지지대(122)의 사이를 제2 프레임(123)으로 연결한다.
제2 프레임(123)은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가이드홈에 일정한 길이의 제2 스크류부재(124)를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제2 스크류부재(124)는 일측 끝단이 제2 지지대(122)을 관통하여 제2 종동기어(125)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이 제1 지지대(121)에 결합된다.
제2 스크류부재(124)는 회전에 따라 일측 끝단에 결합된 제2 종동기어(125)가 회전되고, 타측 끝단이 제1 지지대(121)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제2 스크류부재(124)는 육면체 형태의 제2 이동부재(126)를 관통하고, 제2 이동부재(126)는 제2 스크류부재(124)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제2 스크류부재(124)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제2 이동부재(126)는 상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2 수직프레임(126a)를 결합하고, 제2 수직프레임(126a)의 상부에 제2 카메라 결합부(127)와 제2 카메라모듈(127a)를 결합한다.
제2 카메라모듈(127a)은 세대 내의 주변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제2 지지대(122)의 내부에는 제2 종동기어(125)가 제2 구동기어(125a)에 서로 기어 맞물림되고, 제2 구동기어(125a)의 중심부가 제2 회전축(125b)에 결합하며, 제2 회전축(125b)에 제2 구동모터(125c)를 결합한다.
제2 스크류부재(124)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이 제2 이동부재(126)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맞물려 접촉되어 있다.
제2 이동부재(126)의 내측면에는 제2 스크류부재(1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맞물려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크류부재(124)는 제2 구동모터(125c)에 의해 회전 운동하면서 제2 스크류부재(124)에 연결된 제2 이동부재(126)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로 직선 운동시킨다.
제2 이동부재(126)는 제2 스크류부재(124)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제2 스크류부재(12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이동부재(126)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 이동부재(126)를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이동부재(126)는 제2 스크류부재(124)의 회전 운동인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컨트롤러 모듈(130)은 인체 센서부(50)로부터 측정된 인체 감지 신호와, 온도 센서부(60)로부터 측정된 온도 신호와, 연기 센서부(70)로부터 측정된 연기 신호 중 하나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면, 제2 구동모터(125c)의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구동모터(125c)로 전송하고, 제2 카메라모듈(127a)의 카메라 온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카메라모듈(127a)로 전송한다.
제2 구동모터(125c)의 구동에 따라 제2 종동기어(125), 제2 구동기어(125a)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 스크류부재(1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이동부재(126)는 제2 스크류부재(124)의 회전에 따라 제2 스크류부재(124)의 일측 끝단에서 제2 스크류부재(124)의 타측 끝단까지 직선 이동하면서 제2 카메라모듈(127a)에 의해 세대 내의 주변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모듈(130)은 신호 전송부(131), 신호 수신부(132)와, 제1 카메라모듈(119b), 누수제어모듈(40), 인체 센서부(50), 온도 센서부(60), 연기 센서부(70), 제2 카메라모듈(127a), 분사 처리부(1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31)는 누수제어모듈(40)로부터 누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카메라모듈(119b)로부터 배수관(20)의 구멍(21)의 주변 일정 범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31)는 제1 카메라모듈(119b)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영상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경고 알람 정보와 함께 신호 전송부(131),통신망(101)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40)은 수신된 영상 처리 정보를 기초로 배수관(20)의 주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인체 센서부(50)로부터 측정된 인체 감지 신호와, 온도 센서부(60)로부터 측정된 온도 신호와, 연기 센서부(70)로부터 측정된 연기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31)는 인체 센서부(50)로부터 수신된 인체 감지 신호가 기설정된 제1 센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카메라모듈(127a)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영상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경고 알람 정보와 함께 신호 전송부(131),통신망(101)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한다.
제어부(131)는 온도 센서부(60)로부터 수신된 온도 신호가 제2 센서값을 초과하고, 연기 센서부(70)로부터 수신된 연기 신호가 제3 센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카메라모듈(127a)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영상 처리 정보를 생성하며, 긴급 알람 정보와 함께 신호 전송부(132), 통신망(101)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140)과 중앙 관제 센터(15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40)은 영상 처리 정보가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화액이나 물을 분사하는 분사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분사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분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수신부(133)로 전송한다.
제어부(131)는 신호 수신부(133)를 거쳐 분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분사 처리부(129)로 분사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분사 처리부(129)는 분사부(128)를 통해 소화액 또는 물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통합관리시스템 110: 누수 감지장치
120: 화재 감지장치 130: 컨트롤러 모듈
140: 사용자 단말 150: 중앙 관제 센터

Claims (1)

  1. 싱크대의 내부 공간인 배수관(20)의 구멍(21) 근처에 설치되는 누수센서(30)와, 상기 누수센서(30)로부터 수신되는 누수 감지 신호를 누수제어모듈(40)로 전송하는 누수 신호 수신부(32)와, 상기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는 바닥면에 제1 지지대(111)와, 상기 제1 지지대(11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제2 지지대(112)와, 상기 제1 지지대(111)와 상기 제2 지지대(112)의 사이를 일정한 길이의 제1 스크류부재(114)를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제1 스크류부재(114)는 일측 끝단이 제1 지지대(111)을 관통하여 제1 종동기어(116)에 결합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2 지지대(1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류부재(114)는 육면체 형태의 제1 이동부재(115)를 관통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115)는 상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 수직프레임(115a)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5a)의 상부에 제1 카메라 결합부(119a)와 제1 카메라모듈(119b)를 결합하는 누수 감지장치(110); 및
    상기 누수제어모듈(40)로부터 누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모듈(119b)로부터 배수관(20)의 구멍(21)의 주변 일정 범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모듈(119b)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영상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경고 알람 정보와 함께 신호 전송부(131)를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는 제어부(131)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모듈(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KR1020200072686A 2020-06-16 2020-06-16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KR10220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86A KR102205107B1 (ko) 2020-06-16 2020-06-16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86A KR102205107B1 (ko) 2020-06-16 2020-06-16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107B1 true KR102205107B1 (ko) 2021-01-20

Family

ID=7430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686A KR102205107B1 (ko) 2020-06-16 2020-06-16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1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213A (ko) * 2000-11-15 2001-02-05 정영길 개량형 수도계량기 자동 검침장치
JP2007105424A (ja) * 2005-10-11 2007-04-26 Yasuhiro Furuya 全自動洗濯機の漏水検知および排水停止機構
KR20180070274A (ko) 2016-12-16 2018-06-26 (주)코트랩 싱크대의 누수방지 배수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213A (ko) * 2000-11-15 2001-02-05 정영길 개량형 수도계량기 자동 검침장치
JP2007105424A (ja) * 2005-10-11 2007-04-26 Yasuhiro Furuya 全自動洗濯機の漏水検知および排水停止機構
KR20180070274A (ko) 2016-12-16 2018-06-26 (주)코트랩 싱크대의 누수방지 배수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9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leak detection
US7253741B2 (en) Automated system to monitor multiple sources of water leaks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US7114516B2 (en) Leak-detecting check valve, and leak-detection alarm system that uses said check valve
US11591777B2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leaks using a system of flow rate sensors and smart valves
US9039968B2 (en) Smart hom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876646B2 (en)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US20060191323A1 (en) Autom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water leaks, gas leaks, and other building problems
US20180291593A1 (en) Wireless automated shutoff valve
KR101649173B1 (ko)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CN201991033U (zh) 家居防漏水系统
KR102122577B1 (ko)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US7057507B1 (en) Flood detection and alarm system
KR102205107B1 (ko)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KR101415652B1 (ko) 외부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범 장치
JP2005115408A (ja) 異常検知システム
US9690303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775486B1 (ko) 건축공간내 설치되는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244834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점검 시스템
US9109349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564928B1 (ko)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KR102569971B1 (ko) 발코니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결로방지 방법
US11243103B1 (en) Drain monitor,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JP2006107265A (ja) 防犯システム
US20170067232A1 (en) Water flow control and supply system
WO2023014231A1 (en) Water-sto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