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77B1 -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77B1
KR102122577B1 KR1020200016412A KR20200016412A KR102122577B1 KR 102122577 B1 KR102122577 B1 KR 102122577B1 KR 1020200016412 A KR1020200016412 A KR 1020200016412A KR 20200016412 A KR20200016412 A KR 20200016412A KR 102122577 B1 KR102122577 B1 KR 10212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leak
household
drai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최부권
Original Assignee
동양비엠에스(주)
김태수
최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비엠에스(주), 김태수, 최부권 filed Critical 동양비엠에스(주)
Priority to KR102020001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세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가 흘러 들어가는 세대 드레인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고, 각 세대의 드레인과 건물 배수 입상관 사이의 경로에 누수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누수 센서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세대에서의 누수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Apartment Leak Alarm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층 건물에서 모든 입수관마다 누수 탐지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각층, 각 세대에서의 누수를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아파트 등 고층 건물에 있어서, 시공 중 또는 입주 후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세대 내 스프링쿨러 배관, 엘리베이터 홀 입상 배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매우 큰 피해가 발생한다.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특허 1(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0033779), 특허 2(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20-2001-0002210)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배관을 흐르는 물의 탄성파나 수압을 측정하여 배관 누수 여부 및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고층 아파트의 층간 누수 또는 여러 곳의 누수를 탐지하려면 모든 배관마다 누수 탐지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3(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4-0053177)과 같은 경우에도 각각의 배관에 이격하여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고층 건물의 시공 중, 혹은 입주 후에 다양한 경로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배관마다 다수의 누수 탐지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들은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급수 입상관 등의 입수관에서 누수 탐지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관에 센서, 누수 탐지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또 다른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 설치를 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고층건물에서 모든 입수관마다 누수 탐지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누수 여부를 파악하고, 특히 배수관에서의 간단한 누수탐지 장치 설치를 통하여 누수 조기경보를 통해 마감피해를 최소화하며, 건물 전체에서 누수층을 파악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건물에서 누수를 탐지하는 복층 건물 누수 탐지 시스템은, 각 세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건물 전체의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입상관; 각 세대의 배수구 또는 누수탐지 드레인에 설치되어,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하는 누수 탐지부;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빌딩 관리 센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건물에서 누수를 탐지하는 복층 건물 누수 탐지 시스템은, 각 세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건물 전체의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입상관; 각 세대의 배수구 또는 누수탐지 드레인에 설치되어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하는 누수 탐지부;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세대 관리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과 배수 입상관과의 사이에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누수 탐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누수 탐지부는 상기 누수 탐지관에서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누수 탐지부는, 누수 탐지장치와 탐지장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는, 탐지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 및/또는 빌딩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은 다른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 또는 빌딩 관리 센터는 전송 받은 누수 탐지 데이터로부터 누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누수 탐지 데이터가,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에 설치된 누수 탐지부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인 경우, 소정 기준량 이상의 누수량이 발생하는 경우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며, 각 세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누수 탐지부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인 경우, 소정 기준 시간 이상,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 경우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모든 입수관마다 누수 탐지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누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배수관에서의 간단한 누수탐지 장치 설치를 통하여 누수 조기경보를 통해 마감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건물 전체에서 누수층을 파악함으로써, 누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설명하도록 한다.
1. 용어의 정의
1.1. 건물
본 발명에서 건물이라 함은, 1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아파트, 빌딩을 포함하는 건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단층, 복층 건물을 포함한다.
1.2. 각 세대
각 세대라 함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의 통칭 세대를 포함하며, 오피스용 건물인 경우, 각 층에서 구역으로 정리되어 임대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각 세대의 넓이에 대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1.3. 누수탐지 드레인
본 발명에서 누수탐지 드레인은 각 세대의 통상적인 배수(하수)를 흘려 보내기 위해 설치되는 배수관과는 구분되는, 별도의 누수탐지를 위해 형성되는 배수구를 말한다.
1.4. 누수 탐지관
누수 탐지관은, 상기 누수탐지 드레인으로부터 세대 외부로의 배수 입상관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말한다. 통상의 배수관과 다른 점은, 부엌이나 화장실에 설치되는 통상의 배수관은 누수 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의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이고, 누수 탐지관은 누수탐지 드레인으로부터의 배수만이 흘러 들어가므로, 소량의 유량이 측정되는 경우라도 누수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1.5. 누수 탐지 데이터
본 발명에서 누수 탐지 데이터라 함은, 누수 탐지부 혹은 누수 탐지장치에서 검출한 누수량 또는 누수 발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말한다.
1.6. 배수/배수경로
본 발명에서의 배수 또는 배수 경로는, 상수도 등에 의한 입수 또는 입수 경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배수구-배수관-입상 배수관의 경로, 누수탐지 드레인-누수 탐지관-배수관-입상 배수관의 경로 및 그 경로(배수경로)에서의 물의 흐름(배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경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2. 본 발명의 시스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 세대의 드레인과 건물 배수 입상관 사이의 경로에 누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각층, 각 세대에서의 누수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세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가 흘러 들어가는 세대 드레인은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1. 누수탐지 드레인(100)
본 발명에서의 누수탐지 드레인은 종래의 화장실, 부엌 등의 통상적인 배수구 이외의 추가적인 위치에 세대 드레인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천정 스프링쿨러,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입상배관, 세대내부를 통과하는 관로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통상의 화장실, 부엌 등에 설치된 통상의 배수구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경우, 누수의 발견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어 그로 인한 피해가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통상의 세대 배수구에서는 정상적인 배수인지 누수에 의한 배수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누수 감지를 위한 누수탐지 드레인은 세대 현관, 세대 진입 복도 등 통상 배수구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각 세대 누수탐지 드레인을 설치한 경우, 이를 통해 흘러 들어가는 배수가 감지되면, 통상의 배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의도치 않은 누수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고 경보 또는 누수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2. 배수 입상관(200)
배수 입상관은, 통상의 건물 전층에 걸쳐서 형성되는 배수 입상관에 해당할 수 있다. 배수 입상관은 각 세대의 누수 탐지관(300) 또는 배수관(700)과 연결되어 건물 전체의 배수로를 형성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배수 입상관은 상기 누수탐지 드레인(100)과 배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누수 탐지관(300)
누수 탐지관은 상술한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100)과 배수 입상관(200)을 연결하여, 누수탐지 드레인(100)으로 흘러 들어가는 누수가 배수 입상관(200)으로 가는 배수 경로를 형성한다.
누수 탐지관은, 반드시 배수 입상관(200)으로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종래의 화장실, 부엌 등의 배수관에 연결되어도 상관 없다. 다만,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누수 탐지장치(410)는 누수 탐지관(300)이 종래의 세대 배수관(700)에 연결되는 부위 이전 구간에 설치되어 종래의 통상적인 배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누수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4. 누수 탐지부(400)
본 발명의 누수 탐지부는, 각 세대에 형성되는 상기 누수 탐지관(300) 또는 누수탐지 드레인(100)에 설치되어 누수 탐지관(300)에서의 누수를 탐지한다.
누수 탐지부는, 각 층에 형성되는 누수 탐지장치(410)들과 누수 탐지 장치(410)들에서 탐지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빌딩 관리 센터, 각 세대의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등으로 전송하는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누수 탐지부는, 상기 누수 탐지관(300)이 아닌 종래 통상의 각 세대 배수구(8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 탐지부는 각 세대의 배수구(800) 또는 누수탐지 드레인(100)에 설치되거나, 각 세대의 배수관(700) 또는 누수 탐지관(300)에 설치되어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한다.
(1) 누수 탐지장치(410)
누수 탐지장치는 각 세대의 배수경로에 형성됨으로써, 입수관에서의 누수 탐지를 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효율적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탐지장치는 예를 들면, 통상의 유량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압력이 높은 입수관에서와는 달리 단순히 누수 탐지관(300)에서 흐르는 유량만을 검출하는 정도로도 누수를 탐지할 수 있다.
통상의 배수관(700)에 설치되는 누수 탐지장치(410)와 누수 탐지관(300)에 설치되는 누수 탐지장치(410)는 별도의 아이디를 부여 받아 관리되며, 탐지되는 누수 탐지 데이터(유량 데이터) 역시 별도의 아이디를 부여 받아 관리될 수 있다.
(2)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
누수 탐지 통신부는 각 누수 탐지장치(410)에 포함되는 탐지장치 통신모듈(412)과 빌딩 내 하나 이상 구성되는 누수 탐지 중계기(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이 중계기를 겸하는 경우, 누수 탐지 중계기(9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은 상호 그리고 누수 탐지 중계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및 빌딩 관리 센터(600)와 직접 연결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는 후술하는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들,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빌딩 관리 센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1) 탐지장치 통신모듈(412)
탐지장치 통신모듈은 각 누수 탐지장치(410)에 형성되어 각 누수 탐지장치(410)에서 센싱한 누수에 대한 탐지 데이터를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한다.
탐지장치 통신모듈은 각 누수 탐지장치(410)의 ID를 보유하고 있으며, 누수 탐지 데이터 전송 시 각 누수 탐지장치(410)의 ID를 함께 전송한다.
(2-1-1) (실시 예 1)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은 후술하는 누수 탐지 중계기(900)와 함께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면서, 중계기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은 기본적으로 누수 탐지 중계기(900)로 누수 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되지만, 동시에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이 중계기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탐지장치 통신모듈 #n은 누수 탐지 중계기(900)로 누수 탐지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인접하는 탐지장치 통신모듈 #1, 탐지장치 통신모듈 #2, … , 탐지장치 통신모듈 #k로도 누수 탐지 데이터를 자신의 ID와 함께 전송하고, 후술하는 누수 탐지 중계기(900)는 가용한 또는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빌딩 관리 센터(600), 각 세대의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1~ 500 #k) 등으로 전송한다.
(2-1-2) (실시 예 2)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이 누수 탐지 중계기(900)를 겸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누수 탐지 중계기(900)가 생략된 채로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누수 탐지장치(410)는 자신이 탐지한 누수 탐지 데이터 및 다른 탐지장치 통신모듈(412)로부터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빌딩 관리 센터(600), 각 세대의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등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2-2) 누수 탐지 중계기(900)
누수 탐지 중계기는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412)이 전송하는 각 누수 탐지부(400)에서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빌딩 관리 센터(600), 각 세대의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등으로 전달한다.
2.5.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는 상술한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조치한다. 세대 관리 컨트롤러는 누수 판단부(510)와 누수 조치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1) 누수 판단부(510)
누수 탐지관(300)으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누수량의 크기로부터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누수 발생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는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고, 누수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1000), 빌딩 관리 센터(600)로 송신한다.
(1-2) 통상의 배수관으로부터의 누수 판단
통상의 배수관(700), 즉, 화장실이나 부엌의 배수관에 설치된 누수 탐지부(400)로부터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를 누수 탐지관(300)으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경우 누수 탐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의 배수관(700)은 누수에 의한 배수 이외에도 평상 시 일상 하수 등이 배출되기 때문에 이로부터 누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상 하수와 누수를 구분하여야 한다.
일 실시 예로서, 통상의 배수관으로부터의 누수 판단은, 누수 탐지관(300)으로부터의 누수 판단과 상반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 탐지관(300)으로부터의 누수 판단이 기준유량 이상의 배수가 탐지되는 경우 누수인 것으로 판단한다면, 통상의 배수관(700)으로부터의 누수 판단은 소정의 기준유량 이하로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배수가 지속되는 경우, 누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일상 하수의 경우, 단시간 다량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유량은 상기 누수 탐지관(300)으로부터의 누수 판단에서의 기 설정된 기준 값(누수량)과는 다른 값일 수 있다.
(2) 누수 조치부(520)
누수 조치부는 누수 판단부(510)의 누수 발생여부 판단에 따라, 누수 조치를 수행한다.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의 누수 조치는 빌딩 관리 센터(500)로의 누수 발생 경보, 사용자 단말(1000)로의 통보, 표시장치로의 표시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2.6. 빌딩 관리 센터(600)
본 빌딩 관리 센터는 누수 판단부(610)와 누수 조치부(620)를 포함한다.
누수 판단부(610)는 누수 탐지부(620)로부터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빌딩 관리 센터는 단거리 무선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누수 탐지 데이터를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누수 탐지 중계기(9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경우, 거리/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연결상태가 좋지 못한 누수 탐지장치들이 있을 수 있는데, 연결상태가 좋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 탐지 중계기로부터 연결상태가 좋지 못한 누수 탐지장치들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빌딩 관리 센터는 누수 탐지 데이터를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500)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1) 누수 판단부(610)
빌딩 관리 센터의 누수 판단부는 상술한 세대 관리 컨트롤러에서의 누수 판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누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 누수 조치부(620)
빌딩 관리 센터(600)의 누수 조치부는 상술한 세대 관리 컨트롤러에서의 누수 조치 사항에 더하여, 누수 발생 여부에 따라 실제 물리적인 건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 관리 센터(600)는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물 전체 누수량/누수 발생 층수/누수 발생 세대 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데, 기 설정한 단계별 조치사항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최고층 또는 최저층으로 강제 이동 조치하거나 해당 층에 대한 단전/단수 조치 등의 물리적인 조치사항을 취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누수탐지 드레인
200: 배수 입상관
300: 누수 탐지관
400: 누수 탐지부
410: 누수 탐지장치
412: 탐지장치 통신모듈
500: 세대 관리 컨트롤러
510: 누수 판단부
520: 누수 조치부
600: 빌딩 관리 센터
610: 누수 판단부
620: 누수 조치부
700: 배수관
800: 배수구
900: 누수 탐지 중계기

Claims (7)

  1. 복층 건물에서 누수를 탐지하는 복층 건물 누수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각 세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건물 전체의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입상관;
    각 세대의 화장실, 부엌 등을 포함하는 통상 배수구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누수탐지 드레인;
    상기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에 설치되어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하며, 누수 탐지장치와 탐지장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누수 탐지부;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들, 빌딩 관리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조치하는 빌딩 관리 센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수탐지 드레인은, 통상 배수구 이외의 각 세대의 세대 현관 바닥, 세대 진입 복도 바닥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은, 다른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각 누수 탐지장치는, 자신이 탐지한 누수 탐지 데이터 및 다른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빌딩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
  2. 복층 건물에서 누수를 탐지하는 복층 건물 누수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각 세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건물 전체의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입상관;
    각 세대의 화장실, 부엌 등을 포함하는 통상 배수구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누수탐지 드레인;
    상기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에 설치되어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하며, 누수 탐지장치와 탐지장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누수 탐지부;
    각 탐지장치 통신모듈들, 각 세대의 세대 관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조치하는 세대 관리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수탐지 드레인은, 통상 배수구 이외의 각 세대의 세대 현관 바닥, 세대 진입 복도 바닥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은, 다른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각 누수 탐지장치는, 자신이 탐지한 누수 탐지 데이터 및 다른 세대의 탐지장치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세대 관리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과 배수 입상관과의 사이에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누수 탐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누수 탐지부는 상기 누수 탐지관에서의 누수 탐지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탐지 통신 네트워크는,
    탐지한 누수 탐지 데이터를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 및 빌딩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대 관리 컨트롤러 또는 빌딩 관리 센터는 전송 받은 누수 탐지 데이터로부터 누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누수 탐지 데이터가,
    각 세대의 누수탐지 드레인에 설치된 누수 탐지부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인 경우, 소정 기준량 이상의 누수량이 발생하는 경우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며,
    각 세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누수 탐지부로부터의 누수 탐지 데이터인 경우, 소정 기준 시간 이상,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 경우 누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누수 경보 시스템.
KR1020200016412A 2020-02-11 2020-02-11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KR10212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12A KR102122577B1 (ko) 2020-02-11 2020-02-11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12A KR102122577B1 (ko) 2020-02-11 2020-02-11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577B1 true KR102122577B1 (ko) 2020-06-15

Family

ID=7108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12A KR102122577B1 (ko) 2020-02-11 2020-02-11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326B1 (ko) 2020-11-24 2021-04-0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
KR102235327B1 (ko) 2020-11-24 2021-04-0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외벽 단열이 적용된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 구축방법
KR102262194B1 (ko) 2020-11-24 2021-06-09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가 적용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태양광 전력 구축방법
KR20220023065A (ko) 2020-08-20 2022-03-02 (주)동일판매 방화 배수 드레인
CN115136131A (zh) * 2022-05-16 2022-09-30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漏水检测方法、漏水检测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82B1 (ko) * 2011-09-30 2012-05-24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192702B1 (ko) * 2012-08-01 2012-10-19 대한센서 주식회사 공동주택 누수감지장치
JP2017031623A (ja) * 2015-07-30 2017-02-09 株式会社木村技研 トイレ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82B1 (ko) * 2011-09-30 2012-05-24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192702B1 (ko) * 2012-08-01 2012-10-19 대한센서 주식회사 공동주택 누수감지장치
JP2017031623A (ja) * 2015-07-30 2017-02-09 株式会社木村技研 トイレ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65A (ko) 2020-08-20 2022-03-02 (주)동일판매 방화 배수 드레인
KR102235326B1 (ko) 2020-11-24 2021-04-0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
KR102235327B1 (ko) 2020-11-24 2021-04-0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외벽 단열이 적용된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 구축방법
KR102262194B1 (ko) 2020-11-24 2021-06-09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가 적용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태양광 전력 구축방법
CN115136131A (zh) * 2022-05-16 2022-09-30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漏水检测方法、漏水检测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136131B (zh) * 2022-05-16 2024-05-17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漏水检测方法、漏水检测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577B1 (ko) 공동주택 누수경보 시스템
US7114516B2 (en) Leak-detecting check valve, and leak-detection alarm system that uses said check valve
US10590640B2 (en) Automated plumbing system sensor warning system and method
US7221281B1 (en) Apparatus for flow dete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and method for use of same
CA2985810C (en) Flow characteristic detection and automatic flow shutoff
US20150376874A1 (en) Water leak detection,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6741179B2 (en) Apparatus for flow dete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and system for use of same
US20160041565A1 (en) Intelligent electronic water flow regulation system
US11047115B2 (en) Water meter system and method
US20080185049A1 (en) Fluid supply monitoring system
US7057507B1 (en) Flood detection and alarm system
KR101192702B1 (ko) 공동주택 누수감지장치
US20170009432A1 (en) Wireless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Pressure in a Building
EP2068221A1 (en) Flow-sensing device
WO2015015227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JP2008073204A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設備
US2017005849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Flooding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Properties
KR20220061111A (ko) 누출 감지 시스템
JPH11283146A (ja) スプリンクラ設備を利用した漏水・停滞水の報知システム
KR200430473Y1 (ko) 누수 탐지 시스템
US20220243431A1 (en) Plumbing distribution and control panel system
JPH01248034A (ja) 漏水検出装置
JPH0312604B2 (ko)
JP2000045343A (ja) 集合住宅における給水配管自動閉鎖システム
KR20230138975A (ko) 우수 드레인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