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28B1 -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28B1
KR102564928B1 KR1020210011781A KR20210011781A KR102564928B1 KR 102564928 B1 KR102564928 B1 KR 102564928B1 KR 1020210011781 A KR1020210011781 A KR 1020210011781A KR 20210011781 A KR20210011781 A KR 20210011781A KR 102564928 B1 KR102564928 B1 KR 10256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condensation
unit
adjac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878A (ko
Inventor
여명석
이준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9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h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스룸과 같은 욕실 인접실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드레스룸은 편의를 위해 욕실과 인접하여 설계되어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 등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나, 현행 건축법이나 설계기준으로는 이러한 결로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또한, 기존의 환풍장치 및 방법들은 대부분 재실자가 직접 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효율적인 결로방지에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욕실문에 구동체를 시공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 사용후 욕실내 습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문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가동하여 추가시공 없이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결로발생 위험도 및 욕실문과 환기팬의 자동제어 동작에 대한 알림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맡기는 것에 불과하였던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욕실 활동에 따른 드레스룸으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Condensation prevention system for reducing condensation in adjacent rooms of bathroom and condensation prevention method in adjacent rooms of bathroo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드레스룸과 같은 욕실 인접실의 결로를 저감하고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드레스룸은 재실자 편의를 위해 욕실과 인접하여 설계되어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 등의 환경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현행 건축법이나 설계기준으로는 이러한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종래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환풍장치 및 방법들은 대부분 재실자가 직접 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효율적인 결로방지에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결로방지를 위한 센서 알고리즘에 따라 욕실문과 욕실 환풍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욕실문에 구동체를 시공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 사용후 욕실내 습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문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가동하여 추가시공 없이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결로발생 위험도 및 욕실문과 환기팬의 자동제어 동작에 대한 알림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의지 및 행위에 맡기는 것에 불과하였던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욕실 활동에 따른 드레스룸으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시공에 있어서, 기존의 방이나 주방 및 욕실 등과 같은 기본적인 공간에 더하여, 재실자의 편의를 위해 욕실에 인접하여 드레스룸과 같은 추가적인 공간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러한 드레스룸은 욕실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어 드레스룸 공간에 과도한 습기나 결로가 발생하여 실내공간이나 보관된 옷이 손상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겨울철에는 외기의 영향으로 구조체와 창호를 통한 열손실이 발생하며, 특히, 북쪽으로 면하는 평면 유형에서 결로 발생이 높게 나타나고, 이와 같이 욕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드레스룸은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이나 온도변화 등에 의한 환경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여기서, 드레스룸은 현행법상 세대내 난방공간으로 분류되므로 국토교통부 고시인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되고 있으나,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은 드레스룸 공간의 습도 상승을 야기하므로, 벽체 우각부 주변에서 50% 상대습도 조건에 대응하는 현행 결로방지 기준으로는 이와 같이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여기서, 종래,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환풍기는 대부분 재실자가 스스로 작동하여야 하는 방식이고, 그로 인해, 욕실 사용 후 환풍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또는, 환풍기를 동작시킨 후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효율적인 습기제거 및 결로방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욕실에 설치된 환풍기 대신에,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993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드레스룸에 설치하여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조작해야 하고, 제습기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욕실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어 드레스룸 공간에 과도한 습기나 결로가 발생함으로 인해 실내공간이나 보관된 옷이 손상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는, 욕실에 설치된 환풍기를 이용하여 제습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동작을 제어할 필요 없이 드레스룸으로 유입되는 수증기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습기제거 및 결로방지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993호 (2016.06.3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드레스룸은 재실자 편의를 위해 욕실과 인접하여 설계됨으로 인해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 등의 환경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나, 현행 건축법이나 설계기준으로는 이러한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습기제거를 위한 종래의 환풍장치 및 방법들은 대부분 재실자가 직접 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효율적인 결로방지에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결로방지를 위한 센서 알고리즘에 따라 욕실 문과 욕실 환풍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욕실문에 구동체를 시공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 사용후 욕실내 습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문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가동하여 추가시공 없이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결로발생 위험도 및 욕실문과 환기팬의 자동제어 동작에 대한 알림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맡기는 것에 불과하였던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욕실 활동에 따른 드레스룸으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욕실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욕실문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폐부; 욕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환풍기나 환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부; 욕실 내부의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 및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개폐부 및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결로방지 시스템은, 결로발생 며부 및 위험도에 대한 알림과 상기 환기팬의 가동 및 상기 욕실문의 제어상태에 대한 알림을 재실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불빛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LED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수단과, 각종 메시지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신호음을 포함하는 음향신호나 음성신호를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저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 시스템은, 상기 욕실문의 자동 개폐로 인한 문끼임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문열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거리센서, 인체를 인식하기 위한 모션센서 및 사물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욕실 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환기부는, 욕실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나 환기팬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환풍기나 상기 환기팬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욕실 내부와 인접실 및 욕실문 근처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욕실 및 인접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지속하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 되면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욕실 문의 닫힘상태 유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기준 이상이면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지속하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상기 제 2 기준 미만이 되면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욕실 문의 닫힘상태 유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결로발생 유무와 위험도 및 상기 개폐부와 상기 환기부의 동작 및 제어상태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전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각종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발생시 사고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상기 욕실 문을 개방하거나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전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에 기재된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로방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축단계; 및 상기 결로방지 시스템을 통하여 욕실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고 욕실 내부의 결로 위험도 및 결로발생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욕실문에 구동체를 시공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 사용후 욕실내 습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문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가동하여 추가시공 없이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결로발생 위험도 및 욕실문과 환기팬의 자동제어 동작에 대한 알림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맡기는 것에 불과하였던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욕실 사용으로 인한 수증기가 드레스실과 같이 욕실에 인접한 실내공간으로 과도하게 유입되어 결로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결로방지를 위한 센서 알고리즘에 따라 욕실 문과 환풍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시공에 있어서 재실자 편의를 위해 드레스룸이 욕실과 인접하여 설계됨으로 인해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 등의 환경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나 현행 건축법이나 설계기준으로는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대부분 재실자가 직접 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효율적인 결로방지에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동절기와 간절기의 결로알림 센서 구축현장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의 실제 하드웨어 구성을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드레스룸 수증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된 센서 및 출력장치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욕실문에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모습과 욕실 환풍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연결하여 설치한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결로발생 환경 조성시 욕실 및 드레스룸의 온습도 환경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욕실문 자동제어를 적용하여 출입제한시 욕실 및 드레스룸의 온습도 환경변화를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욕실 내부 습도변화에 따른 제어 적용시 욕실 및 드레스룸 온습도 환경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드레스룸은 재실자 편의를 위해 욕실과 인접하여 설계되므로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 등의 환경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나, 현행 건축법이나 설계기준으로는 이러한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환풍장치는 대부분 재실자가 직접 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효율적인 결로방지에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로방지를 위한 센서 알고리즘에 따라 욕실 문과 욕실 환풍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욕실문에 구동체를 시공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 사용후 욕실내 습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문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가동하여 추가시공 없이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결로발생 위험도 및 욕실문과 환기팬의 자동제어 동작에 대한 알림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맡기는 것에 불과하였던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욕실 활동에 따른 드레스룸으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욕실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욕실문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폐부(11)와, 욕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환풍기나 환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부(12)와, 욕실 내부 및 인접실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13)와, 측정부(13)의 측정값에 따라 개폐부(11) 및 환기부(12)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LED와 같은 불빛신호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 및 신호음 등과 같은 음향신호나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부저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결로발생 여부 및 위험도에 대한 알림과 환기팬의 가동 및 욕실문의 제어상태에 대한 알림을 재실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부(15) 및 욕실문의 자동 개폐로 인한 문끼임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욕실문 제어 관련 안전장치로서, 예를 들면, 문열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거리센서나 인체를 인식하기 위한 모션센서 및 사물인식 센서 등과 같은 각종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지부(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한 개폐부(11)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축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욕실 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자동 문 개폐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종래기술의 자동문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내용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상기한 환기부(12)에 구비되는 환풍기는, 바람직하게는, 욕실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이용하여 제어부(14)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환풍기나 습기제거를 위한 제습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측정부(13)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구비하여 욕실과 인접실의 온도 및 습도를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측정부(13)의 온습도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욕실 내부와 인접실 및 욕실문 근처 등과 같이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수증기가 욕실문을 통해 인접실(드레스룸)로 유입되어 결로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더욱이, 상기한 제어부(14)는, 욕실 사용 완료 이후 시점부터 측정부(13)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개폐부(11)를 제어하여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환기부(12)를 작동시키며, 이후 측정부(13)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가 될 때까지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환풍기 동작을 지속하며,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 되면 환기부(12)의 환풍기를 정지시키고 욕실 문의 닫힘상태 유지를 해제하도록 개폐부(11)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제어부(14)는, 욕실 사용 완료 이후 시점부터 측정부(13)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기준 이상이면 개폐부(11)를 제어하여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환기부(12)를 작동시키며, 이후 측정부(13)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기준 이하가 될 때까지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환풍기 동작을 지속하며, 욕실 내 절대습도가 제 2 기준 미만이 되면 환기부(12)의 환풍기를 정지시키고 욕실 문의 닫힘상태 유지를 해제하도록 개폐부(11)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1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결로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결로발생 유무와 위험도 및 개폐부(11)와 환기부(12)의 동작 및 제어상태와 같은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을 출력부(15)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전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제어부(14)는, 감지부(16)의 각종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문 개폐로 인한 문 끼임 등의 이상 발생시 사고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문을 개방하거나,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을 출력부(15)를 통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전달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센서 알고리즘에 욕실문 개폐를 위한 구동모터와 환풍기를 연동하여 자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욕실 활동에 따른 드레스룸으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의존하여 직접 작동을 제어해야 했던 기존의 결로방지 시스템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풍장치나 제습기 등의 추가적인 시공이 필요 없이 욕실 내부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센서값에 따라 욕실로부터 유입되는 수증기를 최소화하므로 보다 확실한 결로방지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실제 성능을 시험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실제 성능을 시험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먼저, 결로알림 센서가 구축된 세대에 대하여 재실자의 알림신호 이행에 따른 결로제어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자들은, 재실자에 의해 직접 환기장치를 작동하는 경우의 결로방지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결로알림 센서가 구축된 세대에서의 재실자의 알림신호 이행에 따른 결로제어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동절기와 간절기의 결로알림 센서 구축현장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모니터링 결과에 있어서, 관측이 이루어진 세대는 2015년 준공 완료된 세종시 고운동 소재의 공동주택 5층에 위치한 세대를 대상으로 하였고, 실측대상 공간은 주거활동 중 많은 양의 습기를 발생시키는 조리활동이 일어나는 주방에 인접한 북향의 발코니에 대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측기간은 2018.02 ~ 2018.05 까지의 기간동안 모니터링이 진행되었고, 모니터링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로발생 시기는 동절기(2월)부터 간절기(3 ~ 4월)에 걸쳐 결로가 관측되었다.
여기서, 이러한 결로발생 원인으로는, 결로알림 센서 구축에도 불구하고 재실자의 자율 의지에 따라서 화장실문 개폐, 욕실 환풍기 가동이 적용됨으로 인해, 제어알림에 대한 재실자의 제어요소 이행율이 높지 않을 경우 결로방지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실자의 제어요소 이행여부에 따라 결로방지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욕실 문에 구동체를 설치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문 자동개폐를 통해 욕실 활동에 따른 과도한 수증기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시공이 필요 없이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자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의존하는 기존의 결로알림 센서와는 달리 센서값에 따라 욕실로부터 유입되는 수증기를 최소화 하여 확실한 결로방지 효과가 보장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실제 성능을 시험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기본적인 제어 알고리즘은, 욕실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60초) 단위로 측정하고, 욕실공간의 상대습도가 70%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해당 공간의 수증기 유입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드레스룸의 노점온도를 계산한다.
이어서, 드레스룸의 노점온도와 우각부 및 드레스룸 창에서 측정되는 표면온도를 비교하고, 욕실 사용 이후에 욕실 내부의 상대습도 값에 따라 욕실문과 욕실 내부 환풍기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제어를 위한 하드웨어의 구현방법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3B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파이선 3(Python3)으로 작성한 제어 알고리즘을 입력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구현된 라즈베리 파이와 SHT31d 온습도 센서 및 T-type 열전대 모듈을 연결하여 드레스룸과 욕실의 온습도 값을 기록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욕실문 구동기와 욕실 환풍기를 on/off 제어 가능하도록 릴레이로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실제 하드웨어 구성을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드레스룸 수증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된 센서 및 출력장치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10)의 실제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스룸 수증기 자동제어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하여 2018년 준공 완료된 의정부시 민락동 소재 공동주택 3층에 위치한 세대 현장에서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인 라즈베리 파이에 온습도 센서와 표면온도 측정센서를 연결하여 프로세서 내부에서 결로 발생 유무를 판단하였으며,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이동은 욕실 샤워 수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하여 임의로 약 10분간 가동하여 구현하였고, 가동과 동시에 욕실 문을 개방하였다.
또한, 기존에 욕실에 설치되어 있는 110 CMH 정풍량 환기팬을 라즈베리 파이 프로세서와 릴레이 제어로 연결하여 연동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욕실문에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모습과 욕실 환풍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연결하여 설치한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로판정 위치는 직접외기와 면한 하부 우각부 표면온도 및 이에 대응하는 드레스룸 창가 주위의 공기 온습도 상태값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2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었으며, 욕실쪽 1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욕실문 개폐 구동기와 욕실 환기팬이 연결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현된 시험환경에서 욕실 및 드레스룸의 온습도 환경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결로발생 환경 조성시 욕실 및 드레스룸의 온습도 환경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로발생 환경 분석을 위하여 자동제어 알고리즘의 적용 없이 욕실 샤워 수전을 가동하여 10분간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욕실문을 개방한 경우, 드레스룸에서 약 15분간 결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난방공간 내부의 구조체 표면온도가 높게 측정됨에도 불구하고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생활공간 내에서 TDR(Temperature Difference Ratio)값 도출조건을 초과하는 높은 습도발생의 경우가 빈번하여 실생활에서의 자율적인 제어가 더욱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욕실문 자동제어를 적용하여 출입제한시 욕실 및 드레스룸의 온습도 환경변화를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 사용후 출입을 제외하고 욕실문을 제어하여 닫아둘 경우,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 영향도가 낮아 드레스룸에서의 결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즉, 욕실 사용후 출입을 완전히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출입목적을 제외하고 문을 닫아 두어 수증기 유입을 막을 경우 결로발생 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욕실 내부 습도 변화에 따른 제어 적용시 욕실 및 드레스룸 온습도 환경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기 모니터링 및 예비실험 결과, 욕실 내부 상대습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드레스룸에서 높은 확률로 결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거주조건에 따라서 상대습도값이 변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욕실 내부 상대습도값이 거주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수준 이상일때 제어가 시작되고, 충분히 수증기를 제거하도록 욕실 내부 상대습도값이 거주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적정 수준의 상대습도로 내려가면 제어가 종료되도록 알고리즘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분간의 수증기 발생 이후 욕실 내부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제어 알고리즘 적용시 제어종료 시점 이후에도 상대습도가 거의 상승하지 않아 결로방지 효과가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드레스룸과 같은 욕실 인접공간의 결로방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의 개폐나 습도와 같은 동작 및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원격제어 및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과, 사용자에게 상태 및 동작을 알리고 원격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와, 다수의 욕실환경을 중앙에서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 서버 등을 더 포함하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욕실문에 구동체를 시공하고 결로알림 센서 알고리즘에 구동체를 연동하여, 욕실 사용후 욕실내 습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문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가동하여 추가시공 없이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결로발생 위험도 및 욕실문과 환기팬의 자동제어 동작에 대한 알림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재실자의 자율 의지 및 행위에 맡기는 것에 불과하였던 기존의 결로알림 제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욕실 사용으로 인한 수증기가 드레스실과 같이 욕실에 인접한 실내공간으로 과도하게 유입되어 결로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결로방지를 위한 센서 알고리즘에 따라 욕실 문과 환풍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욕실로부터 드레스룸과 같은 인접실로의 과도한 수증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시공에 있어서 재실자 편의를 위해 드레스룸이 욕실과 인접하여 설계됨으로 인해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 등의 환경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나 현행 건축법이나 설계기준으로는 욕실로부터의 수증기 유입에 의한 결로발생 및 피해를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대부분 재실자가 직접 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효율적인 결로방지에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11. 개폐부 12. 환기부
13. 측정부 14. 제어부
15. 출력부 16. 감지부

Claims (11)

  1.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욕실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욕실문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폐부;
    욕실 내부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나 환기팬을 이용하여 욕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환기부;
    욕실 내부와 인접실 및 욕실문 근처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욕실 및 인접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값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측정부;
    상기 욕실문의 자동 개폐로 인한 문끼임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문열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거리센서, 인체를 인식하기 위한 모션센서 및 사물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지부; 및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상기 개폐부 및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측정부의 각각의 측정값에 따라 욕실 내부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를 욕실문의 개폐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환풍장치나 제습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욕실로부터 욕실 인접실로 유입되는 수증기를 차단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욕실문의 자동 개폐로 인한 문끼임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 시스템은,
    결로발생 여부 및 위험도에 대한 알림과 상기 환기팬의 가동 및 상기 욕실문의 제어상태에 대한 알림을 재실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불빛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LED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수단과, 각종 메시지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및 신호음을 포함하는 음향신호나 음성신호를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저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욕실 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지속하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습도 및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 되면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욕실 문의 닫힘상태 유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기준 이상이면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욕실 문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지속하며,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욕실 내 절대습도가 상기 제 2 기준 미만이 되면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욕실 문의 닫힘상태 유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로발생 유무와 위험도 및 상기 개폐부와 상기 환기부의 동작 및 제어상태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출력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전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각종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발생시 사고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상기 욕실 문을 개방하거나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을 출력부를 통해 전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11.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항, 청구항 2항, 청구항 4항, 청구항 7항 내지 청구항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로방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축단계; 및
    상기 결로방지 시스템을 통하여 욕실 내의 습도를 제어하고 욕실 인접실 내부의 결로 위험도 및 결로발생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방법.
KR1020210011781A 2021-01-27 2021-01-27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KR10256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81A KR102564928B1 (ko) 2021-01-27 2021-01-27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81A KR102564928B1 (ko) 2021-01-27 2021-01-27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878A KR20220108878A (ko) 2022-08-04
KR102564928B1 true KR102564928B1 (ko) 2023-08-09

Family

ID=8283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81A KR102564928B1 (ko) 2021-01-27 2021-01-27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9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436B1 (ko) * 2014-10-28 2016-04-20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용 결로현상 방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4274A (ja) * 1983-10-31 1985-05-27 株式会社東芝 ナツト締付装置
KR101498572B1 (ko) * 2013-08-02 2015-03-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습기 제거용 환기 시스템
KR101636993B1 (ko) 2015-07-01 2016-07-07 (주)메리트 벽걸이형 스마트 제습기
KR101993513B1 (ko) * 2017-05-01 2019-06-26 정일권 결로방지를 위한 밀폐제어 제습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01100A (ko) * 2017-06-26 2019-01-04 전북3디프린팅협동조합 손 끼임 방지 장치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436B1 (ko) * 2014-10-28 2016-04-20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용 결로현상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878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185B1 (ko) 공조 설비 통제 제어 시스템
US10854067B1 (en) Connected door hinge
KR101613436B1 (ko) 공동주택용 결로현상 방지방법
US9182751B1 (en) Carbon dioxide monitoring
US7683794B2 (en) Carbon monoxide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entry into a dwelling containing toxic gases
WO2017015894A1 (zh) 一种手机控制并具有监控功能的智能家居系统
US20170154517A1 (en) Air quality alert system and method
CA2766813A1 (en) Make-up air system and method
US20140224340A1 (en) Building water safety device
US10704314B2 (en) Automatic safety window apparatus and system
US20070261558A1 (en) Building ventilator response system
KR101993513B1 (ko) 결로방지를 위한 밀폐제어 제습방법 및 그 장치
US201703725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ation of false alarm
EP2953102B1 (en) System and method of motion detection and secondary measurements
US10982873B1 (en) Integrated air quality control system
US10329745B2 (en) Flood mitigation and pipe freeze prevention systems for use in a structure
US20160305181A1 (en) Automatic safety window apparatus and system
KR101415652B1 (ko) 외부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범 장치
US20080092631A1 (en) Poisonous Gas Detector
KR102564928B1 (ko) 욕실 인접실 결로 저감을 위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인접실 결로방지 방법
KR102569971B1 (ko) 발코니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결로방지 방법
KR20200082092A (ko) 스마트 창문 시스템
JP2016200913A (ja) 省エネルギー支援及び見守りシステム
EP3916497B1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dular building control system
US11402813B2 (en) Wall mountable universal back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